KR100938330B1 - 맞춤형 뜸장치 - Google Patents

맞춤형 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330B1
KR100938330B1 KR1020080075754A KR20080075754A KR100938330B1 KR 100938330 B1 KR100938330 B1 KR 100938330B1 KR 1020080075754 A KR1020080075754 A KR 1020080075754A KR 20080075754 A KR20080075754 A KR 20080075754A KR 100938330 B1 KR100938330 B1 KR 10093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abdomen
steamer
thicknes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재광
Original Assignee
선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재광 filed Critical 선재광
Priority to KR102008007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30B1/ko
Priority to US13/057,152 priority patent/US9044376B2/en
Priority to PCT/KR2009/002005 priority patent/WO2010013883A1/ko
Priority to CN200980130104.1A priority patent/CN10211209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뜸재 받침부에 의해 연소실 및 뜸실로 구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뜸통과 상기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를 포함하고, 뜸부위에 따라 뜸실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뜸장치를 이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뜸부위와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뜸부위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확인하지 않고도 뜸부위에 적합한 뜸통을 선택하여 바로 뜸을 시술할 수 있다. 아울러,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밀착부가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뜸부위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여러 부위의 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다.
뜸통, 뜸통 지지대, 뜸실 온도, 뜸통 두께, 뜸장치

Description

맞춤형 뜸장치{Adjustable Cautery device}
본 발명은 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뜸부위와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뜸부위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뜸장치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주로 경혈(經穴)을 많이 이용하는 구점(灸點)에 쑥과 같은 약제를 연소시켜 체표로부터의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한방 특유의 시술방법을 말한다. 상기한 뜸의 치료효과는 방대하여, 인체에 주는 효과로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막힌 기와 혈을 소통시키며, 세포 면역과 체액 면역기능을 높이고,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와 혈색소의 양를 늘리며, 유주속도와 탐식기능을 강화하고, 혈당량과 피 속의 칼륨, 칼슘 및 피응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위장관의 윤동운동과 소화액 분비를 항진시키며 몸 질량을 늘릴 뿐만 아니라 내분비 계통에 영향을 주어 진통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한의학적으로 효과가 뛰어난 뜸을 시술하기 위한 장치인 뜸장치에 관한 연구가 근래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로 원적외선 발생, 음이온 발생, 탈취와 같은 기능성을 가진 뜸통 및 여러 뜸 부위에서 동시에 뜸을 시술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9609호에는 원적외석을 발생하는 황토, 음이온을 발생하는 견운모, 탈취기능이 있는 규조석, 활성탄, 숯가루 등을 배합, 소결시켜 제조된 쑥뜸기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뜸은 주로 복부 또는 등 부위에서 행해지는 데 한의학적으로 복부 또는 등은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지고 각 부위는 인체의 특정기관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뜸이 시술되는 부위과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뜸 시간, 뜸 부위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 등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뜸 부위와 관련된 인체 기관의 특징을 고려한 뜸장치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뜸부위와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뜸부위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뜸부위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여러 부위의 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는 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뜸재 받침부에 의해 연소실 및 뜸실로 구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뜸통과 상기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를 포함하고, 뜸부위에 따라 뜸실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뜸부위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뜸실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뜸부위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뜸통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시키거나 틈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적게 형성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밀착부가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뜸장치를 이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뜸부위와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뜸부위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확인하지 않고도 뜸부위에 적합한 뜸통을 선택하여 바로 뜸을 시술할 수 있다.
아울러,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밀착부가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뜸부위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여러 부위의 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은 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뜸부위와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뜸부위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뜸재 받침부에 의해 연소실 및 뜸실로 구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뜸통과 상기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를 포함하고, 뜸부위에 따라 뜸실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뜸통(10)과 뜸통 지지대(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통은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뜸재 받침부(11)에 의해 연소실(12) 및 뜸실(13)로 구획되며, 뜸통 측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기구멍(h1)이 형성되어 있다. 뜸재 받침부(11)에는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열을 뜸실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공(h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뜸통 지지대(40)는 상기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밀착부(41)를 가진다. 밀착부는 뜸통 지지대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가지며, 홈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통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원형의 형상을 가지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뜸통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뜸통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다른 뜸통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뜸재 받침부(11)는 뜸통(10)의 내부에 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h3)에 안착시킴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뜸재 받침부(11')는 뜸통(10')을 성형할 때 처음부터 뜸통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뜸재 받침부(11, 11')에는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열을 뜸실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한 통공(h2, h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도 가능하다. 여기서 뜸재 받침부에 형성되는 통공의 수 또는 통공의 크기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통공의 크기는 뜸재가 연소된 후 발생하는 재(Ash)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뜸재 받침부는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재가 놓여지는 부위로서 뜸재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연소실의 열은 뜸재 받침부를 매개로 전도(Conduction)에 의해 뜸실로 전달되어 진다. 또한, 뜸재 받침부에 일정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연소실의 열은 전도뿐만 아니라 통공을 통과하는 공기를 매개로 대류(Convection)에 의해 뜸실로 전달될 수 있다. 뜸재 받침부에 형성되는 통공이 뜸재가 연소된 후 발생하는 재에 의해 막히는 경우 연소실의 열을 뜸실로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뜸은 주로 복부 또는 등 부위에서 행해지는 데 한의학적으로 복부 또는 등은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진다. 복부 또는 등의 각 부위는 인체의 특정기관과 관련이 있는데, 상부는 심장, 폐와 관련이 있고, 중부는 간, 담, 비, 위와 관련이 있으며, 하부는 신장, 방광, 소장, 대장과 관련이 있다. 복부 또는 등의 부위와 관련된 인체의 기관에 비추어 볼 때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뜸이 시술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뜸 시간이 짧고, 뜸통의 뜸실 내부에서 뜸부위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야 한다. 또한,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뜸이 시술되는 경우 뜸 시간 및 뜸통의 뜸실 내부에서 뜸부위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중간 정도이어야 하며,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뜸이 시술되는 경우 뜸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뜸통의 뜸실 내부에서 뜸부위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야 한다. 뜸을 시술하는 경 우 뜸 시간은 일반적으로 뜸재의 성분, 중량 또는 형상 등에 의해 조절되나, 뜸부위로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뜸재만으로 조절되는 데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열이 전달되는 방식은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복사(Radiation)가 있고, 뜸장치를 이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연소실과 외부 공기, 뜸실과 외부공기, 연소실과 뜸실, 또는 뜸실과 뜸부위 사이에서의 열전달은 전도 또는 대류로 이루어진다. 전도는 열에너지가 물질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으로서 주로 고체 내부에서 일어난다. 열전달이 전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달을 매개하는 고체의 두께가 클수록 단위 시간당 전달되는 열의 양은 작아진다. 대류는 열에너지가 열에너지를 포함하는 물질, 즉 매질의 이동을 수반하여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열전달이 대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달을 매개하는 매질의 이동량이 클수록 전달되는 열의 양은 커진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는 뜸이 시술되는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에 있어서,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달리 형성시켜 뜸실의 온도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여기서, 뜸통의 두께는 열전달이 전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달을 매개하는 고체의 두께에 대응되고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는 열전달이 대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달을 매개하는 매질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수단에 대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뜸부위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뜸실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온도 조절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뜸통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뜸통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서, 뜸통의 두께가 조절되는 부분은 뜸통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하고,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은 뜸통 측면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사용되는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는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하는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의 뜸실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의 중간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뜸부위에 따른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는 사용되는 뜸재의 성분, 중량, 형상 등에 의해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뜸통을 제외한 나머지 뜸장치의 구성성분 및 뜸 조건이 동일한 경우 뜸부위에 따라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뜸장치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조건에서 등 또는 복부의 부위에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통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등 또는 복부의 상부에 놓이는 뜸통(10)은 두께가 2.1~5.5㎜이거나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뜸통의 두께가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뜸통의 두께가 조절되는 부분은 뜸통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은 뜸통 측면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뜸통의 두께가 2.1㎜ 미만인 경우 전도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손실되는 열의 양이 너무 커서 원하는 수준의 온도를 얻을 수 없게 될 염려가 있고 뜸통의 두께가 5.5㎜를 초과하면 전도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손실되는 열의 양이 너무 작아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관련된 심장, 폐에 대한 적절한 온도 범위를 초과할 염려가 있다. 아울러, 뜸통의 두께가 3.0~4.0㎜인 경우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관련된 심장, 폐에 대한 최적의 온도 범위로서 뜸부위와 접촉하는 뜸실 하부의 온도를 67~69℃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6개인 경우 대류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적당한 양의 열이 손실되어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관련된 심장, 폐에 대한 최적의 온도 범위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등 또는 복부의 중부에 놓이는 뜸통(20)은 두께가 5.6~9.0㎜이거나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뜸통의 두께가 6.5~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뜸통의 두께가 조절되는 부분은 뜸통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은 뜸통 측면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뜸통의 두께가 5.6㎜ 미만인 경우 전도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손실되는 열의 양이 너무 크고 9.0㎜를 초과하면 전도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 부로 손실되는 열의 양이 너무 작아 복부 또는 등의 중부와 관련된 간, 담, 비, 위에 대한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뜸통의 두께가 6.5~7.5㎜인 경우 복부 또는 등의 중부와 관련된 간, 담, 비, 위에 대한 최적의 온도 범위로서 뜸부위와 접촉하는 뜸실 하부의 온도를 70~72℃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5개인 경우 대류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적당한 양의 열이 손실되어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관련된 간, 담, 비, 위에 대한 최적의 온도 범위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등 또는 복부의 하부에 놓이는 뜸통(30)은 두께가 9.1~12.5㎜이거나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뜸통의 두께가 1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뜸통의 두께가 조절되는 부분은 뜸통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은 뜸통 측면 전체,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뜸통의 두께가 9.1㎜ 미만인 경우 전도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손실되는 열의 양이 너무 크고 12.5㎜를 초과하면 전도에 의해 연소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손실되는 열의 양이 너무 작아 복부 또는 등의 하부와 관련된 신장, 방광, 소장, 대장에 대한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뜸통의 두께가 10.0~11.0㎜인 경우 복부 또는 등의 하부와 관련된 신장, 방광, 소장, 대장에 대한 최적의 온도 범위로서 뜸부위와 접촉하는 뜸실 하부의 온도를 73~75℃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4개인 경우 대류에 의해 연소 실 또는 뜸실로부터 뜸통 외부로 적당한 양의 열이 손실되어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관련된 신장, 방광, 소장, 대장에 대한 최적의 온도 범위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편의상 도 1 또는 도 2의 동일한 뜸장치를 가지고 등 또는 복부의 상부, 중부, 하부에 뜸을 시술하는 경우 각 부위에 따른 뜸통의 특징을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등이 복부보다 길이 및 면적이 넓기 때문에 등의 부위에 사용되는 뜸장치의 뜸통, 뜸통 지지대, 및 밀착부의 크기 또는 개수 등이 복부의 동일 부위에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 크거나 많아야 한다. 일 예로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에 동시에 뜸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3개의 뜸통이 필요하지만, 등의 동일한 부위에 뜸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복부에 사용되는 뜸통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뜸통을 기준으로 보통 4 내지 9개가 필요하다. 다만, 상기의 예는 뜸을 시술받는 환자의 체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의 뜸장치를 가지고 등 또는 복부의 상부, 중부, 하부에 뜸을 시술하는 경우 상부에 사용되는 뜸통(10)의 표면을 검은색으로, 중부에 사용되는 뜸통(20)의 표면을 파란색으로, 하부에 사용되는 뜸통(30)의 표면을 붉은 색으로 칠하여 뜸통의 색깔을 구분시킬 수 있다. 또한, 뜸통의 제조 원료상에 안료(Pigment)를 첨가하고, 뜸통을 제조하여 뜸통의 색깔을 구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는 뜸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뜸통의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뜸통의 두 께 또는 뜸실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를 확인하지 않고도 뜸부위에 적합한 뜸통을 선택하여 바로 뜸을 시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뜸부위가 등 또는 복부의 상부, 중부, 하부이고 뜸통이 3개인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특정 뜸부위 및 뜸통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에 있어서, 뜸통 지지대의 밀착부의 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에 있어서 뜸통 지지대에 형성되는 밀착부의 위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밀착부가 5개인 뜸통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5개의 밀착부(51, 52, 53, 54, 55)는 뜸부위가 복부의 특정부위인 중완, 천추, 대횡인 경우 상기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 지지대(50)의 위치에 형성된다. 중완은 한의학상 임맥(任脈)에 속하는 혈(穴)로서 배꼽 위 네 치쯤 되는 곳으로 위가 있는 부위에 있다. 천추는 한의학상 족양명위경에 속하는 혈(穴)로서 배꼽 좌우 두 치 되는 곳에 있는 부위이고, 각종 대장(大腸) 질환, 설사 따위의 증상에 쓰는 치료점이다. 대횡은 한의학상 비경(脾經)에 속하는 혈(穴)로서, 배꼽 중심에서 양옆으로 네 치씩 나가 있다. 도 5에서 도면참조부호 "51"은 대횡의 중완에 대응되는 밀착부이고, 도면참조부호 "53" 및 "54"는 천추의 위치에 대응되는 밀착부이며, 도면참조부호 "52" 및 "55"는 대횡의 위치에 대응되는 밀착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는 뜸 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밀착부가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뜸부위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여러 부위의 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다.
밀착부의 수는 뜸을 시술하는 경우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뜸통의 최대 개수를 제한한다. 한의학적으로 뜸의 부위를 매우 세부적으로 나누는 경우 밀착부의 수는 커지고 밀착부의 크기 및 그에 따른 뜸통의 크기는 매우 작아지나, 일반적으로 시술되는 뜸 부위를 고려할 때 밀착부의 최대 수는 9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뜸 부위의 조합 및 그에 따른 밀착부의 수(또는 뜸통의 수)를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뜸 부위 밀착부의 수
전면의 흉부/ 등의 상부 2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의 상부/ 중완과 천추 3
복부의 상부와 중부/ 복부의 중부와 하부/ 등의 상부 및 중부 4
복부의 중부와 하부/ 중완, 천추,및 대횡 5
복부의 상부와 중부/ 등의 상부와 중부/ 등의 중부와 하부 6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의 하부와 허리 7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 및 허리 전체 8 또는 9
도 5에서는 뜸부위가 복부의 특정부위인 중완, 천추, 대횡인 경우에 한하여 밀착부의 위치 및 밀착부의 수를 설명하였고 표 1에서는 다양한 뜸부위의 조합에 따른 밀착부의 수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복부의 특정부위의 조합, 또는 등의 특정부위의 조합에 의해 밀착부의 위치 또는 밀착부의 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서는 5개의 밀착부가 형성된 1개의 뜸통 지지대를 이용하여 여러 특정부위에 뜸을 시술하는 경우만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밀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뜸통 지지대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1개의 밀착부가 형성된 1개 또는 다수개의 뜸통 지지대 및 다수개의 밀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뜸통 지지대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다수개의 뜸통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다수개의 뜸통 지지대는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에 뜸을 시술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데, 상부에 사용되는 뜸통 지지대(60)는 2개의 밀착부(61, 62)가 형성되어 있고, 중부에 사용되는 뜸통 지지대(70)에는 3개의 밀착부(71, 72, 7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사용되는 뜸통 지지대(80)에는 2개의 밀착부(81, 8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뜸장치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2, 또는 도 5 내지 도6에 도시된 2개 이상의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을 재료로 하여 하나의 금형에서 사출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뜸통 지지대를 사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 지지대의 하면은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데, 피부가 예민한 환자, 피부에 알러지나 있거나 아토피 증상을 가지는 환자의 경우 실리콘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뜸통 지지대는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 돈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돈피(돼지가죽)는 다른 가죽보다 부드럽고 인체의 피부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시술받는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열에 강하여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시술되는 뜸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돈피는 인체와의 밀착력이 뛰어나므로, 돈피가 하면에 결합된 뜸통 지지대를 사용하는 경우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돈피가 하면에 결합된 뜸통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통 지지대(90)는 다수의 밀착부(91, 92, 도 7에서는 편의상 2개의 밀착부만을 도시함)가 하나의 뜸통 지지대 안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밀착부가 형성된 부분의 안쪽으로는 뜸실의 열이 시술받는 환자의 뜸부위에 전달될 수 있도록 통공(h10, h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는 뜸통 지지대의 하면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더 큰 돈피(95)가 결합 되어 있다. 통뜸 지지대의 하면에 결합되는 돈피에는 뜸 지지대의 통공(h10, h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뜸통 지지대의 통공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의 통공(h10', h20')이 형성된다.
돈피를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뜸통 지지대의 재질이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인 경우 돈피를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 밀착시키고 돈피와 밀착부(즉, 홈 부분)에 나일론사를 관통시켜 재봉하는 방법으로 단단하게 결합시키고, 틈통 지지대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구멍을 뚫어 통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돈피를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나일론사를 예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에 강하고 견고한 특성을 가지는 재봉사라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뜸통 지지대의 재질이 단단하여 재봉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돈피를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 결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뜸통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다른 뜸통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밀착부가 5개인 뜸통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다수개의 뜸통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에 채택된 돈피가 하면에 결합된 뜸통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15)

  1.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뜸재 받침부에 의해 연소실 및 뜸실로 구획된 2개 이상의 뜸통과 상기 뜸통의 하부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를 포함하고,
    뜸부위에 따라 뜸실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뜸통의 두께 또는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뜸부위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뜸실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뜸부위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뜸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의 두께는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두께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뜸부위가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적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뜸통 측면은 연소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 또는 뜸실을 구성하는 뜸통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뜸통은 두께가 2.1~5.5㎜이거나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사용되는 뜸통은 두께가 5.6~9.0㎜이거나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뜸통은 두께가 9.1~12.5㎜이거나 뜸통 측면의 공기구멍의 수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은 뜸부위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수는 2 내지 9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은 뜸부위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 지지대는 하면에 돈피(돼지가죽)가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 지지대의 재질은 실리콘이고, 상기 돈피는 나일론사에 의해 뜸통 지지대의 하면에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장치.
KR1020080075754A 2008-08-01 2008-08-01 맞춤형 뜸장치 KR10093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754A KR100938330B1 (ko) 2008-08-01 2008-08-01 맞춤형 뜸장치
US13/057,152 US9044376B2 (en) 2008-08-01 2009-04-17 Moxa holder support and customized moxibus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09/002005 WO2010013883A1 (ko) 2008-08-01 2009-04-17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CN200980130104.1A CN102112093B (zh) 2008-08-01 2009-04-17 艾固定器支座以及包括该艾固定器支座的定制的艾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754A KR100938330B1 (ko) 2008-08-01 2008-08-01 맞춤형 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330B1 true KR100938330B1 (ko) 2010-01-22

Family

ID=4181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754A KR100938330B1 (ko) 2008-08-01 2008-08-01 맞춤형 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18B1 (ko) 2009-06-30 2011-1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뜸장치
CN103239355A (zh) * 2013-03-18 2013-08-14 张义纲 一种调温艾灸盒
KR20150084365A (ko) 2014-01-14 2015-07-22 배삼훈 뜸질용 종이컵 제조방법
KR200493348Y1 (ko) * 2020-12-15 2021-03-15 이경미 뜸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03U (ko) * 1998-07-22 2000-02-15 권영인 쑥뜸기
KR20020014449A (ko) * 2000-08-18 2002-02-25 유태우 황토쑥뜸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03U (ko) * 1998-07-22 2000-02-15 권영인 쑥뜸기
KR20020014449A (ko) * 2000-08-18 2002-02-25 유태우 황토쑥뜸구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18B1 (ko) 2009-06-30 2011-1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뜸장치
CN103239355A (zh) * 2013-03-18 2013-08-14 张义纲 一种调温艾灸盒
KR20150084365A (ko) 2014-01-14 2015-07-22 배삼훈 뜸질용 종이컵 제조방법
KR200493348Y1 (ko) * 2020-12-15 2021-03-15 이경미 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330B1 (ko) 맞춤형 뜸장치
KR200452501Y1 (ko) 훈증기가 구비된 침대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CN103222926B (zh) 温灸装置
KR101076948B1 (ko) 온구기
KR100704905B1 (ko) 사용자의 하체 치료에 적합한 온열치료기
WO2010013883A1 (ko)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CN205322762U (zh) 一种美容保健仪
WO2010037294A1 (zh) 医疗保健枕
CN205322753U (zh) 一种对人体口、鼻或眼熏蒸的熏蒸仪
KR200459795Y1 (ko) 간편사용식 온구형 온열찜질기
CN201642804U (zh) 全自动中药熏蒸治疗床
KR100996989B1 (ko) 뜸통 지지대
CN205359958U (zh) 艾灸刮痧按摩器
JPH03131210A (ja) ベッド
CN205126821U (zh) 一种艾灸椅
KR20080041810A (ko) 세 개의 일체형 뜸구로 형성된 높이조절용 쑥뜸기
KR101727629B1 (ko) 뜸 기구
CN207679715U (zh) 一种艾灸磁疗联合器
KR200275614Y1 (ko) 다목적 한방 치료를 위한 이중구조 부항컵과 보조기구
CN205322755U (zh) 一种座式熏蒸仪
CN215426102U (zh) 一种全背经穴无烟艾灸椅
CN205073105U (zh) 一种基于天然石材的经络理疗装置
CN204233337U (zh) 一种按摩靠垫
KR200382822Y1 (ko) 쑥뜸질용 한방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