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989B1 - 뜸통 지지대 - Google Patents

뜸통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989B1
KR100996989B1 KR1020080075756A KR20080075756A KR100996989B1 KR 100996989 B1 KR100996989 B1 KR 100996989B1 KR 1020080075756 A KR1020080075756 A KR 1020080075756A KR 20080075756 A KR20080075756 A KR 20080075756A KR 100996989 B1 KR100996989 B1 KR 10099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support
skin
donpi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990A (ko
Inventor
선재광
Original Assignee
선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재광 filed Critical 선재광
Priority to KR102008007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989B1/ko
Priority to US13/057,152 priority patent/US9044376B2/en
Priority to PCT/KR2009/002005 priority patent/WO2010013883A1/ko
Priority to CN200980130104.1A priority patent/CN102112093B/zh
Publication of KR2010001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통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는 뜸통과 결합되는 밀착부가 형성된 뜸통 지지대 본체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를 포함하고, 틈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를 사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돼지가죽)는 다른 가죽보다 부드럽고 인체의 피부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시술받는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피부가 예민한 환자, 피부에 알러지가 있거나 아토피 증상을 가지는 환자에게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돈피는 열에 강하여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시술되는 뜸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돈피는 인체와의 밀착력이 뛰어나므로,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 지지대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으며, 뜸통 지지대 본체에 다수의 밀착부를 형성시켜 여러 부위에 뜸 시술을 동시에 하는 경우 돈피와 뜸부위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그 효과는 극대화된다.
뜸, 뜸통 지지대, 돈피, 돼지가죽, 나일론사, 밀착부

Description

뜸통 지지대{Support for Cautery device}
본 발명은 뜸통 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뜸 시술을 받는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뜸통 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주로 경혈(經穴)을 많이 이용하는 구점(灸點)에 쑥과 같은 약제를 연소시켜 체표로부터의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한방 특유의 시술방법을 말한다. 상기한 뜸의 치료효과는 방대하여, 인체에 주는 효과로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막힌 기와 혈을 소통시키며, 세포 면역과 체액 면역기능을 높이고,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와 혈색소의 양를 늘리며, 유주속도와 탐식기능을 강화하고, 혈당량과 피 속의 칼륨, 칼슘 및 피응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위장관의 윤동운동과 소화액 분비를 항진시키며 몸 질량을 늘릴 뿐만 아니라 내분비 계통에 영향을 주어 진통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한의학적으로 효과가 뛰어난 뜸을 시술하기 위한 장치인 뜸장치는 일반적으로 뜸재 받침부에 의해 연소실 및 뜸실로 구획된 뜸통과 뜸통 지지대로 구 성된다. 뜸통 받침부에 거치된 뜸재를 연소시키면 연소실에 열이 발생하고 연소실에서 발생한 열은 뜸실로 전달되고 뜸실의 열은 뜸부위로 전달된다. 이때 뜸통 자체의 온도는 대략 70℃ 내외이므로 뜸통 자체가 환자의 뜸부위인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화상을 유발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뜸통의 하부를 뜸통 지지대에 고정시키고 뜸통 지지대의 하부면이 환자의 뜸부위인 피부와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나 뜸통 지지대는 보통 내열성의 탄성 재질인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실리콘이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피부가 예민한 환자, 피부에 알러지가 있거나 아토피 증상을 가지는 환자는 불편함을 느끼거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뜸통 지지대의 하부면과 환자의 뜸부위인 피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뜸통 지지대의 하부면과 환자의 뜸부위인 피부 사이에 종이를 끼워 넣거나 환자의 뜸부위를 랩으로 씌우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 지지대의 위치가 변하여 정확한 부위의 시술을 어렵게 만들고 환자의 움직임이 큰 경우 뜸통이 넘어져서 화상 또는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뜸통 지지대의 하부면을 인체에 무해한 재료로 형성시켜 피부가 예민한 환자, 피부에 알러지가 있거나 아토피 증상을 가지는 환자도 편안하게 뜸 시술을 받게 할 수 있는 뜸통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 지지대의 위치가 변할 염려가 없어 정확한 부위의 뜸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환자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도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어 화상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뜸통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뜸통 지지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뜸통과 결합되는 밀착부가 형성된 뜸통 지지대 본체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를 포함하고, 틈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통 지지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는 뜸통 지지대는 뜸통 지지대 본체에 형성된 밀착부의 수가 2 내지 9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밀착부는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뜸통과 결합되는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돈피를 밀착시키는 단계; (b) 돈피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밀착부에 재봉사를 관통시켜 재봉하는 단계; 및 (c) 틈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구멍을 뚫어 통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뜸통 지지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뜸통 지지대 본체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재봉사는 나일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를 사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돼지가죽)는 다른 가죽보다 부드럽고 인체의 피부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시술받는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피부가 예민한 환자, 피부에 알러지가 있거나 아토피 증상을 가지는 환자에게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돈피는 열에 강하여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시술되는 뜸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돈피는 인체와의 밀착력이 뛰어나므로,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 지지대의 위치가 변하거나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으며, 뜸통 지지대 본체에 다수의 밀착부를 형성시켜 여러 부위에 뜸 시술을 동시에 하는 경우 돈피와 뜸부위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그 효과는 극대화된다.
본 발명은 뜸통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뜸 시술을 받는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뜸통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통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는 뜸통(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되는 밀착부(11)가 형성된 뜸통 지지대 본체(10)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12)를 포함한다. 밀착부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가진다. 뜸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는 뜸 지지대의 하면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더 큰 돈피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뜸통 지지대 본체는 밀착부의 안쪽에 통공(h1)이 형성되어 있고, 뜸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도 통공(h2)이 형성되어 있다. 돈피에 형성되는 통공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돈피를 결합하는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재봉사로 재봉하는 방법 등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뜸통 지지대 본체의 재질과 돈피에 동시에 접착할 수 있는 성분으로 제한될 수 있고, 뜸을 시술하는 경우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아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재봉사로 재봉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뜸통 지지대 본체는 보통 내열성이 강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데, 뜸통 지지대 본체의 재질이 실리콘인 경우 상기 돈피는 열에 강한 나일론사에 의해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를 사용하여 뜸을 시술하는 경우, 뜸부위에 해당하는 환자의 피부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와 접촉하게 되는데, 돈피(돼지가죽)는 소가죽, 양가죽 등 다른 가죽보다 부드럽고 인체의 피부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시술받는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돈피는 열에 강하여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시술되는 뜸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돈피는 인체와의 밀착력이 뛰어나므로,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뜸통 지지대의 위치가 변할 염려가 없어 정확한 부위의 뜸 시술을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도 뜸통이 넘어질 염려가 없어 화상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에 있어서, 뜸통 지지대 본체의 밀착부의 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에 있어서 뜸통 지지대 본체에 형성되는 밀착부의 위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통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5개의 밀착부(21, 22, 23, 24, 25)는 뜸부위가 복부의 특정부위인 중완, 천추, 대횡인 경우 상기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 본체(20)의 위치에 형성된다. 중완은 한의학상 임맥(任脈)에 속하는 혈(穴)로서 배꼽 위 네 치쯤 되는 곳으로 위가 있는 부위에 있다. 천추는 한의학상 족양명위경에 속하는 혈(穴)로서 배꼽 좌우 두 치 되는 곳에 있는 부위이고, 각종 대장(大腸) 질환, 설사 따위의 증상에 쓰는 치료점이다. 대횡은 한의학상 비경(脾經)에 속하는 혈(穴)로서, 배꼽 중심에서 양옆으로 네 치씩 나가 있다. 도 5에서 도면참조부호 "21"은 대횡의 중완에 대응되는 밀착부이고, 도면참조부호 "23" 및 "24"는 천추의 위치에 대 응되는 밀착부이며, 도면참조부호 "22" 및 "25"는 대횡의 위치에 대응되는 밀착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통과 결합되는 다수의 밀착부가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 몸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뜸부위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여러 부위의 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뜸부위에 해당하는 환자의 피부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30)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에 따른 뜸통 지지대의 위치 변화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뜸통의 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의 수는 뜸을 시술하는 경우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뜸통의 최대 개수를 제한한다. 한의학적으로 뜸의 부위를 매우 세부적으로 나누는 경우 밀착부의 수는 커지고 밀착부의 크기 및 그에 따른 뜸통의 크기는 매우 작아지나, 일반적으로 시술되는 뜸 부위를 고려할 때 밀착부의 최대 수는 9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뜸 부위의 조합 및 그에 따른 밀착부의 수(또는 뜸통의 수)를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뜸 부위 밀착부의 수
전면의 흉부/ 등의 상부 2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의 상부/ 중완과 천추 3
복부의 상부와 중부/ 복부의 중부와 하부/ 등의 상부 및 중부 4
복부의 중부와 하부/ 중완, 천추,및 대횡 5
복부의 상부와 중부/ 등의 상부와 중부/ 등의 중부와 하부 6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의 하부와 허리 7
복부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 및 허리 전체 8 또는 9
도 2에서는 뜸부위가 복부의 특정부위인 중완, 천추, 대횡인 경우에 한하여 밀착부의 위치 및 밀착부의 수를 설명하였고 표 1에서는 다양한 뜸부위의 조합에 따른 밀착부의 수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복부의 특정부위의 조합, 또는 등의 특정부위의 조합에 의해 밀착부의 위치 또는 밀착부의 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 제조방법은 (a) 뜸통과 결합되는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돈피를 밀착시키는 단계; (b) 돈피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밀착부에 재봉사를 관통시켜 재봉하는 단계; 및 (c) 틈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구멍을 뚫어 통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뜸통 지지대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는 (a), (b), (c)의 순서가 일반적이나, (a), (c), (b)의 순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뜸통 지지대 제조방법에서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과 돈피를 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봉사는 열에 강하고 견고한 특성을 가지는 실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일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일론사는 표면 감촉이 부드럽고, 열에 강하며,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이 큰 특징을 가지므로, 뜸을 시술할 때 발생되는 열에 잘 견딜 수 있다. 특히, 뜸통 지지대 본체의 재질이 실리콘인 경우 나일론사를 사용하여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돈피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통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뜸통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6)

  1. 뜸통과 결합되는 밀착부가 형성된 뜸통 지지대 본체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돈피를 포함하고, 틈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통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수는 2 내지 9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통 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뜸부위의 위치와 대응되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통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 지지대 본체의 재질은 실리콘이고, 상기 돈피는 나일론사에 의해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통 지지대.
  5. (a) 뜸통과 결합되는 밀착부를 가지는 뜸통 지지대 본체의 하면에 돈피를 밀착시키는 단계;
    (b) 돈피와 뜸통 지지대 본체의 밀착부에 재봉사를 관통시켜 재봉하는 단계; 및
    (c) 틈통 지지대 본체의 통공에 대응되는 돈피의 부분에 구멍을 뚫어 통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뜸통 지지대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뜸통 지지대 본체의 재질은 실리콘이고, 상기 재봉사는 나일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통 지지대의 제조방법.
KR1020080075756A 2008-08-01 2008-08-01 뜸통 지지대 KR10099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756A KR100996989B1 (ko) 2008-08-01 2008-08-01 뜸통 지지대
US13/057,152 US9044376B2 (en) 2008-08-01 2009-04-17 Moxa holder support and customized moxibus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09/002005 WO2010013883A1 (ko) 2008-08-01 2009-04-17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CN200980130104.1A CN102112093B (zh) 2008-08-01 2009-04-17 艾固定器支座以及包括该艾固定器支座的定制的艾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756A KR100996989B1 (ko) 2008-08-01 2008-08-01 뜸통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990A KR20100013990A (ko) 2010-02-10
KR100996989B1 true KR100996989B1 (ko) 2010-11-25

Family

ID=4208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756A KR100996989B1 (ko) 2008-08-01 2008-08-01 뜸통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48Y1 (ko) 2020-12-15 2021-03-15 이경미 뜸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920Y1 (ko) 2000-02-25 2000-08-01 유태우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920Y1 (ko) 2000-02-25 2000-08-01 유태우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48Y1 (ko) 2020-12-15 2021-03-15 이경미 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990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9747B2 (en) Modifying humidity to glabrous tissue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 and other conditions
US9358180B2 (en) Stimulus method for releasing stress, and stress-free medical treatment method by the stimulus method
CN103222926B (zh) 温灸装置
CN201719431U (zh) 一种膝盖按摩垫
KR100938330B1 (ko) 맞춤형 뜸장치
KR100996989B1 (ko) 뜸통 지지대
US10828188B2 (en) Stimulus method for releasing stress, and stress-free medical treatment method by the stimulus method
US20120215293A1 (en) High comfort hot or cold thermal therapy pad
WO2010013883A1 (ko)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CN208877212U (zh) 一种乳房按摩保护罩
CN201642804U (zh) 全自动中药熏蒸治疗床
US11766351B2 (en) Stimulus method for promoting secretion of growth hormone
CN205285796U (zh) 一种能够改变软硬程度的医疗保健枕
CN106618933A (zh) 一种热敷式颈椎枕
CN104224433A (zh) 一种医用冰帽
CN201257049Y (zh) 头脑颈椎疾病治疗保健枕
KR20080041810A (ko) 세 개의 일체형 뜸구로 형성된 높이조절용 쑥뜸기
CN220275929U (zh) 一种熏蒸装置
JP7431670B2 (ja) 温熱刺激器具
CN204233337U (zh) 一种按摩靠垫
CN205073105U (zh) 一种基于天然石材的经络理疗装置
CN205322755U (zh) 一种座式熏蒸仪
CN204411080U (zh) 一种医用冰帽
KR20140120632A (ko) 쑥뜸 보조구
CN217724094U (zh) 一种便于调节膝关节高度的针灸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