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920Y1 -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 Google Patents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20Y1
KR200190920Y1 KR2020000005241U KR20000005241U KR200190920Y1 KR 200190920 Y1 KR200190920 Y1 KR 200190920Y1 KR 2020000005241 U KR2020000005241 U KR 2020000005241U KR 20000005241 U KR20000005241 U KR 20000005241U KR 200190920 Y1 KR200190920 Y1 KR 200190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moxa
moxibustion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유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우 filed Critical 유태우
Priority to KR2020000005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920Y1/ko
Priority to CN00207073U priority patent/CN2446986Y/zh
Priority to US09/566,554 priority patent/US62999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 Y10T428/218Aperture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쑥뜸구 하단으로 받침판을 부착시 발생하는 번거로운 공정을 줄여 제조단가를 낮추므로 경제적 이도록 함은 물론, 일회용이 아닌 연속으로 뜸시술을 할 수 있어 편리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중앙으로 소형통공이 형성된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지를 삽착하되, 상기 상·하판지 상·하단에 각각 접착제가 도포 되고, 이에 각각 이형지가 부착된 받침판 상단으로 황토쑥뜸구를 접착시켜 시술토록 된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으로서, 인체의 환부에 시술시 이형지를 떼어낸후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을 환부에 부착한 뒤, 받침판 상판지의 접착면에 황토쑥뜸구를 접착시켜 불을 점화 시키면 약쑥효과와 원적외선 방사열 투과 효과를 동시에 얻는 것은 물론, 황토쑥뜸구 하단으로 받침판을 접착시켜 유통, 보관 및 시술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이 줄어들며, 완전 연소후 계속 시술을 할 경우 상판지에 황토쑥뜸구만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접착하므로서 지속적으로 뜸시술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이도록 된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쑥뜸구용 받침판{SUPPORTING BOARD FOR MOXIBUSTING IMPLEMENT OF LOESS}
본 고안은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와 뜸쑥을 접착 시켜 결합된 황토쑥뜸구를 중앙으로 소형통공이 형성된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지를 삽착하되, 상·하판지 상·하단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시켜 이에 이형지를 부착시켜 형성된 받침판 상단으로 황토쑥뜸구를 안착시켜 뜸 시술을 하는 것으로서, 제조시 황토쑥뜸구 하단으로 받침판을 접착시켜 유통, 보관 및 시술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경제적이며, 약쑥효과와 원적외선 방사열 투과 효과가 있음은 물론, 받침판 상단으로 새로운 황토쑥뜸구만 교체시켜 지속적으로 뜸시술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인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쑥뜸구를 제조 할 때는 작업자들이 수공으로 소형 통공이 형성된 황토판 상단으로 접착제를 도포한뒤 뜸쑥을 접착시킨 다음, 소형통공이 형성된 상판지와 여과지 및 하판지, 이형지가 차례로 접착된 받침판을 상기 뜸쑥이 접착된 황토판을 조심스럽게 잡아 고정한 후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상태에서 받침판을 각각 하나씩 수공으로 황토판 저면으로 접착시켜 된 것으로서, 상기 제조공정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에 따른 인건비 상승으로 단가가 높아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인체의 환부에 시술시 황토 쑥뜸구의 받침판을 이용하여 이형지를 이탈시킨 후 피부면에 부착하여 점화시키면 뜸 시술이 되는데, 완전 연소후에 재차 그 부위를 뜸 시술코자 할 때에는 새로운 황토쑥뜸구 하단의 받침판을 다시 피부면에 부착시켜 시술을 하므로서 매우 번거로움과 동시에 동일 부위에 뜸시술을 하기에도 어려운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황토 쑥뜸구 하단으로 받침판을 부착시 발생하는 번거로운 공정을 줄여 제조단가를 낮추므로 경제적이도록 함은 물론, 일회성이 아니 연속으로 뜸시술을 할 수 있어 편리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소형통공이 형성된 황토판과 뜸쑥이 접착된 황토쑥뜸구에 있어서, 중앙으로 소형통공이 형성된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지를 삽착하되, 상기 상·하판지 상·하단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에 이형지를 각각 부착되어 결합된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으로서, 시술시 인체의 환부에 황토쑥뜸구용 받침판의 하단 이형지를 이탈시킨 후 접착시킨 다음 상단 이형지를 이탈시키고 이에 황토쑥뜸구를 접착시켜 뜸쑥에 불을 점화시키면 연소열과 훈기가 하향되며 쑥뜸효과 및 원적외선 방사열이 소형통공들을 지나면서 투과되어 깊숙한 뜸효과가 발생함은 물론, 여과지에 의해 쑥진은 제거되고, 완전산화후 재차 뜸시술을 할 경우 황토판을 제거한 뒤 새로운 황토쑥뜸구를 상판지 상의 접착제에 부착 시켜 지속적으로 뜸시술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특히, 쑥뜸구 제조시 하나씩 받침판을 황토판에 접착시키면서 발생되는 제조공정 및 시간이 단축되므로 인건비가 감축되어 단가가 높아지지 않는 등의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은 상·하판지의 제조공정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은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지를 접착하는 공정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은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지를 삽착하고 상·하단에
이형지를 접착하는 공정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받침판을 절단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받침판을 하나씩 이탈시키는 상태의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서 이형지를 이탈시켜 사용시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을 이용한 시술상태의 예시도
도 9 은 다른 실시 예로서 종이판지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공정의 사시도
도 10 은 다른 실시예인 받침판을 하나씩 이탈시키는 상태의 예시도
도 11 은 다른 실시 예에서 이형지를 이탈시켜 사용시 상태의 사시도
도 12 는 도 11 의 단면도
도 13 은 다른 실시예의 시술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10, 10' : 상·하판지 11, 11', 11' : 소형통공
12, 12', 12', 12'' : 접착제 20 : 여과지
30, 30', 30', 30'' : 이형지 10' : 종이판지
소형통공이 형성된 황토판(110)과 뜸쑥(120)이 접착된 황토쑥뜸구(100)에 있어서, 중앙으로 소형통공(11)(11')이 형성된 상·하판지(10)(10') 사이에 여과지 (20)를 삽착하되, 상기 상·하판지(10)(10') 상·하단에 각각 접착제(12)(12')를 도포하고, 이에 이형지(30)(30')를 각각 접착시켜 결합된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의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 200 ' 은 절단선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은 도 1 에서와 같이 일정크기의 상·하판지(10)(10')에 다수개의 소형통공(11)(11')을 천공한 뒤, 도 2 와 같이 소형통공(11)(11')이 형성된 상·하판지(10)(10') 사이에 여과지(20)를 놓고 삽착시키되, 도 3 과 같이 상·하판지(10)(10') 상·하단에 접착제(12)(12')를 도포한 후 상·하측으로 각각 이형지(30)(30')를 부착시킨 다음 도 4 에서와 같이 각각의 소형통공(11)(11')들이 정중앙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커터기로 절단선(200)이 만들어지게 절단하는 것으로, 도 5 에서와 같이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을 하나씩 이탈시켜 사용하는 것인데,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체의 환부에 시술시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의 하단 이형지(30')를 이탈시킨 후 하판지(10')의 접착제 (12')를 이용하여 피부면에 부착한 다음, 상단 이형지(30)를 이탈시킨뒤 황토쑥뜸구(100)를 상판지(10) 상단의 접착제(12)에 부착하여 뜸쑥(120)에 불을 점화시키면 되는 것으로, 뜸쑥(120)이 완전 산화되어 재가되면, 황토판(110)을 이탈시킨 후, 새로운 황토쑥뜸구(100)를 재차 상판지(10)의 접착제(12) 상단으로 접착시켜 연속적으로 뜸시술을 하면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1, 12 와 같이 소형통공(11')이 형성된 종이판지 (10') 상·하단에 접착제(12')(12'')를 도포한뒤 이에 이형지(30')(30'')를 각각 접착시켜 결합된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도 이형지(30'')를 이탈시켜 도 13 과 같이 환부에 부착한후 상단의 이형지(30')를 이탈한 다음, 그 상측으로 황토쑥뜸구 (100)의 황토판(110)을 접착시켜 뜸시술을 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황토쑥뜸구(100)를 교체만 하므로서 연속 뜸 시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황토쑥뜸구(100)는 뜸쑥(120)과 황토판(110)을 접착시킨 뒤 황토판(110)의 밑면으로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지가 삽착된 받침판의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한뒤 수공으로 하나씩 접착시켜 유통, 보관 및 시술하므로서 제조공정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인건비 상승에 의한 단가가 비싸 비경제적이며, 한번시술후 모두 버려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키 위하여 받침판을 황토쑥뜸구(100)에 접착시켜 일체로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크기로 제작되어 절단선(200)을 형성한것을 이탈시켜 사용토록 하므로서, 제조시간이 많이 걸림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단가가 비싼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황토쑥뜸구(100)의 양보다 적은 양의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을 함께포장 유통시켜 사용해도 되므로 경제적이고, 시술시 이형지(30)(30')를 각각 이탈시켜 하판지(10')의 접착제(12')는 환부에 부착하고, 상판지(10)의 접착제(12)에는 황토쑥뜸구(100)의 황토판(110)을 접착시켜 뜸시술을 하므로서 간편하고, 특히, 뜸쑥(120)이 완전산화된 후에 재차 뜸시술을 하고자 할 때 산화된 황토쑥뜸구(12)의 황토판(110)을 이탈시킨후 새로운 황토쑥뜸구(1)를 상판지(10) 상단에 접착시켜 연속적으로 뜸시술을 하므로서 환부에 약쑥 효과와 원적외선 방사열 침투효과를 지속적이고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우 간편하고도 유용하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소형통공(11')이 형성된 종이판지(10') 상·하단에 접착제(12')(12'')를 도포한뒤 이에 이형지(30')(30'')를 접착시켜 결합된 황토 쑥뜸구용 받침판(1')으로서, 시술시 환부에 하단의 이형지(30'')를 이탈시켜 종이판지(10') 하단의 접착제(12'')를 이용하여 접착시킨 후 상단의 이형지(30')를 이탈시켜 종이판지(10') 상단의 접착제(12') 상측으로 황토쑥뜸구(100)의 황토판 (110)을 접착시켜 뜸쑥(120)에 불을 점화시켜 시술하므로서 약쑥 효과와 원적외선 방사열 침투효과를 극대화 시킴은 물론, 제조가 더욱 간편해지고 손쉬워 경제적 이도록 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황토쑥뜸구(100)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지속적인 뜸시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여과기능이 있는 종래의 쑥뜸구를 사용시나, 여과기능이 필요 없는 경우 간편하게 뜸시술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소형통공이 형성된 황토판(110)과 뜸쑥(120)이 접착된 황토쑥뜸구(100)에 있어서, 중앙으로 소형통공(11)(11')이 형성된 상·하판지(10)(10') 사이에 여과지 (20)를 삽착하되, 상기 상·하판지(10)(10') 상·하단에 각각 접착제(12)(12')를 도포하고, 이에 이형지(30)(30')를 각각 접착시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
  2. 제 1 항에 있어서, 소형통공(11')이 형성된 종이판지(10') 상·하단에 접착제(12')(12'')를 도포하고, 이에 이형지(30')(30'')를 각각 접착시켜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황토쑥뜸구용 받침판(1').
KR2020000005241U 2000-02-25 2000-02-25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KR200190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41U KR200190920Y1 (ko) 2000-02-25 2000-02-25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CN00207073U CN2446986Y (zh) 2000-02-25 2000-04-24 用于黄土灸疗器具的支承板
US09/566,554 US6299955B1 (en) 2000-02-25 2000-05-08 Supporting board for moxibusting implement of lo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41U KR200190920Y1 (ko) 2000-02-25 2000-02-25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20Y1 true KR200190920Y1 (ko) 2000-08-01

Family

ID=1964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241U KR200190920Y1 (ko) 2000-02-25 2000-02-25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99955B1 (ko)
KR (1) KR200190920Y1 (ko)
CN (1) CN2446986Y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257B1 (ko) * 2000-08-18 2003-08-21 유태우 황토쑥뜸구의 제조방법
WO2010013883A1 (ko) * 2008-08-01 2010-02-04 Sun Jae Kwang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KR100996989B1 (ko) 2008-08-01 2010-11-25 선재광 뜸통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428B2 (en) * 2000-11-01 2003-12-30 Argent International, Inc. Locating door hinge washer device for hinge assembly
USD787079S1 (en) * 2015-12-16 2017-05-16 tae Woo Yoo Heating moxa cauter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875Y1 (ko) 1993-11-09 1996-08-08 유태우 쑥뜸구
KR19980055845U (ko) 1998-06-15 1998-10-07 유태우 쑥뜸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257B1 (ko) * 2000-08-18 2003-08-21 유태우 황토쑥뜸구의 제조방법
WO2010013883A1 (ko) * 2008-08-01 2010-02-04 Sun Jae Kwang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KR100996989B1 (ko) 2008-08-01 2010-11-25 선재광 뜸통 지지대
US9044376B2 (en) 2008-08-01 2015-06-02 Jae Kwang Sun Moxa holder support and customized moxibus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446986Y (zh) 2001-09-12
US6299955B1 (en) 200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0920Y1 (ko)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RU2001112426A (ru) Гигиеническое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ердцеви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4572422B2 (ja) 脱脂綿に分離膜が形成されたメッシュコットンの製造方法
WO2006006663A1 (ja) 温灸器
CN2194700Y (zh) 艾灼用具
USD496794S1 (en) Surface pattern for absorbent paper
US20070197991A1 (en) Disposable sanitary napkin with pull-tab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200212264Y1 (ko)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KR200258342Y1 (ko)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KR200214473Y1 (ko) 쑥뜸구
US5948506A (en) Moxibusting implement
US644407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oxibusting implement of loess
CN207075980U (zh) 可视的外置分体式艾灸
KR200396505Y1 (ko) 관절용 파스
CN208726250U (zh) 用于艾灸座排布的板贴结构、灸疗件以及艾灸包装品
JP2009195347A (ja) 温灸器セット
KR0117296Y1 (ko) 쑥뜸구
KR960006876Y1 (ko) 쑥뜸구
CN208492682U (zh) 多能灸艾灸贴
JP2002513635A5 (ko)
JP3056071U (ja) 温灸器及び温灸器セット
JP2867329B2 (ja) 灸頭磁気刺激円皮鍼
CN210844395U (zh) 一种具有戒烟功效的戒烟贴
KR200192586Y1 (ko) 황토쑥뜸구
JP3220104U (ja) 艾葉コロイドパ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