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134B1 -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 Google Patents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134B1
KR101743134B1 KR1020140142432A KR20140142432A KR101743134B1 KR 101743134 B1 KR101743134 B1 KR 101743134B1 KR 1020140142432 A KR1020140142432 A KR 1020140142432A KR 20140142432 A KR20140142432 A KR 20140142432A KR 101743134 B1 KR101743134 B1 KR 10174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wick
rind
present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490A (ko
Inventor
양경월
김상철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사랑농수산 filed Critical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to KR102014014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134B1/ko
Priority to PCT/KR2014/011374 priority patent/WO2016064019A1/ko
Publication of KR2016004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과피의 선형 건조물이 2겹 이상으로 맞대어 구성된 양초 심지와 이를 이용한 양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는 천연향을 가진 과피를 건조시켜 얻은 건조물로 양초 심지를 구성함으로써 그 심지가 연소되는 동안 과피가 본래 가지는 천연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그럴 경우 고가의 방향성 물질인 식물 정유(精油)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거나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짐과 함께, 일반적으로 부산물로 버려져 활용되지 않는 과피의 재활용 효과도 아울러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A Candle Wick Using Line Forms of a Seedcase and a Cand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에 관한 것이다.
양초는 그 기원이 분명하지 않지만 봄베이나 그리스 유적, 중국의 분묘 등에서 청동으로 만들어진 촛대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문명화 초기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양초는 왁스의 일종인 파라핀 왁스, 밀랍 등 일정한 온도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를 원통형 등의 일정 모양으로 성형하고 그 중심에 연소성 섬유질 심지가 삽입된 등화용 연료의 하나이다. 양초 심지에 불이 붙여지면 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고체 왁스를 녹이고, 액화된 왁스가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양초 심지로 유동하여 연소된다.
양초 심지는 일반적으로 면이나 천연 레이온 등을 재료로 제작되며, 특히 액상 양초의 심지는 그 표면을 왁스 등으로 코팅하여 심지에 경직성을 부여한 후 사용한다.
한편 최근 방향 물질을 첨가하여 후각적으로 흥미를 끌기 위한 방향성 양초가 개발되고 있다. 방향성 양초는 통상 그 왁스 본체 내에 식물성 정유 등 방향제가 혼입되어 있는 제품을 말한다. 심지에 불이 붙여지면 양초의 왁스가 녹음에 따라 액화된 왁스가 형성되고 상기 액화된 왁스로부터 방향제가 방출된다.
그런데 방향성 양초의 경우 양초의 연소 동안에 적정 수준으로 향기가 방출되도록 하기가 어렵다. 왁스 본체 내에 혼입된 방향제는 그것이 갖는 강한 휘발성으로 인하여 연소가 되지 않더라도 제품이 제조된 때로부터 왁스 본체를 이탈하여 휘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제품의 유통 기간이 길어지면 방향제가 휘발되어 소실되는 양은 더욱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정도로 일정 수준의 향기가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왁스 본체로 혼입되는 방향제의 양을 늘려야 하며 이는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방향성 양초는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연소 초기에는 향기가 강하게 발산되지만 연소가 지속될수록 향기의 발산 정도가 감소하는 단점도 있다.
한편 감귤류, 바나나, 사과 등의 과일에는 일반적으로 과육보다는 과피에 더 많은 방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피가 연소될 때 방향성 물질이 발산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양초 심지를 과피의 선형 건조물로 구성한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피 선형 건조물로 구성된 양초 심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초 심지를 이용한 양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과피의 선형 건조물이 2겹 이상으로 맞대어 구성된 양초 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에 있어서, 상기 과피 선형 건조물은 과피가 가지는 천연향이 유통 과정이나 보관 과정 중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초 연료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초 심지에 있어서, 상기 과피는 감귤류의 과피, 바나나 과피, 파인애플 과피, 피망 과피, 망고 과피, 고추 과피, 사과 과피, 포도, 참다래, 참외 과피, 메론 과피, 호박 과피 또는 수박 과피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초 심지에 있어서, 상기 2겹 이상으로 맞대어 구성된 과피의 선형 건조물은 그 두께 방향으로 끈으로 묶여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초 심지가 사용된 고상 또는 액상 양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a) 가연성 고체 연료를 녹여 액상 연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연료를 성형틀에 넣고 성형하는 단계, 및 (c) 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 심지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초 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양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a) 가연성 액체 연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 심지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초 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피의 선형 건조물로 구성된 양초 심지와 이를 이용한 양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는 천연향을 가진 과피를 건조시켜 얻은 건조물로 양초 심지를 구성함으로써 그 심지가 연소되는 동안 과피가 본래 가지는 천연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그럴 경우 고가의 방향성 물질인 식물 정유(精油)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거나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짐과 함께, 일반적으로 부산물로 버려져 활용되지 않는 과피의 재활용 효과도 아울러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과피의 선형 건조물로 구성된 양초 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는 과피의 선형 건조물을 2겹 이상으로 맞대어(즉 포개어) 구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과피의 선형 건조물을 하나만 사용할 경우 모세관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초 심지는 과피의 선형 건조물을 2겹 이상으로 구성해야 하는데 2겹 이상으로 구성하는 한, 그 겹의 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겹의 수가 많을 경우 모세관 작용이 강해지고 겹의 수가 작을 경우 모세관 현상이 약해지므로 본 발명의 심지가 사용될 양초의 연소 속도를 고려하여 겹의 수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겹의 수의 결정에 방향성의 정도(과피로부터의 향의 발산 정도)를 아울러 고려할 수도 있는데, 그것은 겹의 수가 많을수록 방향성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를 구성하는 과피의 선형 건조물은 과피를 선형으로 절단하고 건조하여 얻어질 수 있다. 선형으로 절단할 때 그 두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왜냐하면 모세관 현상은 단지 과피의 선형 건조물이 2겹 이상으로 맞대어짐으로써 일어나기 때문에) 가능하면 1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 범위일 수 있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건조 과정 중 선형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양초 심지를 구성하는 조작 과정 중 쉽게 부서질 수 있으며, 두께나 너무 두꺼우면 과피 선형 건조물이 서로 정확히 맞대어 지지 않아 모세관 현상이 약해질 수 있다. 또 선형으로 절단할 때 그 길이도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길이가 너무 작을 경우 장시간 연소 용도의 양초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길이는 가능하면 적절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적절한 길이는 적어도 2cm 이상, 바람직하게는 3c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에 있어서, 과피의 선형 건조물은 과피가 본래 가지는 천연향이 유통 과정이나 보관 과정 중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초 연료로 코팅될 수도 있다. 여기서 양초 연료는 고상 양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연성 고체 연료 또는 액상 양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연성 액체 연료를 의미하며, 그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또 본 발명의 양초 심지에 있어서, 과피는 그것으로부터 선형 건조물이 얻어질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강도가 강한 밤 껍질이나 호두 껍질 등이나 강도가 약한 복숭아, 딸기 등은 그것으로부터 선형 건조물을 얻을 수 없어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나, 선형 건조물이 얻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과피든 특별한 제한이 없이 모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귤류(온주 밀감, 진귤, 유자, 당유자, 한라봉, 진지향, 천혜향, 레몬 등)의 과피, 바나나 과피, 파인애플 과피, 피망 과피, 망고 과피, 고추 과피, 사과 과피, 포도 과피, 참다래 과피, 참외 과피, 메론 과피, 호박 과피, 수박 과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초 심지에 있어서, 2겹 이상으로 맞대어 구성된 과피의 선형 건조물들이 양초 제작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양초 제작 작업의 편리를 위해서 그 선형 건조물들을 두께 방향(횡 방향)으로 끈을 사용하여 묶어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그 선형 건조물 사이에 형성된 모세관이 막히지 않도록 묶는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끈은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초 심지는 천연향을 가진 과피를 건조시켜 얻은 건조물로 양초 심지를 구성함으로써 그 심지가 연소되는 동안 과피가 본래 가지는 천연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그럴 경우 고가의 방향성 물질인 식물 정유(精油)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거나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짐과 함께, 일반적으로 부산물로 버려져 활용되지 않는 과피의 재활용 효과도 아울러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양초 심지를 이용한 고상 양초 또는 액상 양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상 양초는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가연성 고체 연료와 그 중심부에 형성된 전술한 바의 과피 양초 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액상 양초는 일정 용기에 담겨진 가연성 액체 연료와 그 용기의 중심부에 형성된 전술한 바의 과피 양초 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고체 연료는 고상 양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가연성 고체 연료로서 대표적으로 왁스를 들 수 있다. 왁스는 천연 왁스(동·식물, 광물 및 석유로부터 얻어진 것), 합성 왁스(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어진 왁스) 및 배합 왁스(2종 이상의 왁스를 혼합하여 얻어진 왁스)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양초의 제조에는 석유 왁스의 일종인 파라핀 왁스가 단독으로 또는 밀랍과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파라핀 왁스는 유분이 적고 경도가 높으며, 상온에서 백색 고체 상태이고 휘발성이 거의 없으며, 해로운 가스 발생 없이 쉽게 연소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파라핀 왁스를 밀랍과 혼합 사용할 경우 양초 겉면이 매끄러우면서도 미려한 특성을 지니게 되므로 파라핀 왁스를 밀랍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혼합 비율은 파라핀 왁스 90 내지 99 중량%, 밀랍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 이외에도 동물성 유지, 경화된 식물성 유지(불포화지방산에 수소를 결합시켜 포화 지방산으로 제조한 경화유) 등이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액체 연료는 상온에서 액상을 유지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모든 가연성 원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야자 오일 등 식물성 오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고체 연료와 상기 가연성 액체 연료는 본 발명의 양초 심지가 가지는 방향성을 보완·강화하기 위해서 방향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방향제는 공지된 임의의 방향제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향제로서 리모넨, α-테르피넨, α-피넨, 캄펜, 운데카놀,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사놀, 게라니올, 리날룰, 시트로넬롤, 파메솔, 멘톨, 3-트랜스-이소캄필시클로헥사놀, 벤질 알콜, 2-페닐에틸 알콜, 3-페닐 프로판올, 3-메틸-5-페닐펜탄올, 신남산 알콜, 이소보메올, 티몰, 유게놀, 이소유게놀, 아니스 알콜, 메틸 살리실레이트, 헥사날, 데카날, 2-메틸테카날, 트랜스-2-헥사날, 아세토인, 디아세틸, 게라니알, 시트로넬랄, 메톡시디히드로-시트라넬랄, 멘톤, 카르본(carvone), 캄포르, 펜촌(fenchone), 아이오논, 아이론(irone), 다마스콘, 세드릴 메틸 케톤, 무스콘, 시베톤, 2,4-디메틸-3-시클로헥산 카르복스알데히드, 2-헵틸시클로펜타논, 시스-자스몬, 디히드로자스몬, 시클로펜타데카논, 벤즈알데히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디히드로신남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α-아밀신남알데히드, 아세토페논, 벤질아세톤, 벤조페논, 피페로날, 트랜스-2-헥세닐 아세테이트, 알릴 3-시클로헥실프로피온에이트, 메틸 신남에이트, 벤질 신남에이트, 페닐에틸 신남에이트, 바닐린, 에틸 바닐린, 코우마린, 토날리드, 칼론, 헬리오테르펜, 머스크 크실롤, 세드롤, 머스크 케톤, 벤조페논, 라스프베리 케톤, 메틸 나프틸 케톤 베타, 페닐 에틸 살리실레이트, 벨톨, 말톨, 메이플 락톤, 프로유게놀 아세테이트, 이베르닐, 라벤더향, 마조람향, 로즈마리향, 네롤리향, 베르가못향, 카모마일향, 페퍼민트향, 유칼리투스향, 자스민향, 레몬향, 레몬그래스향, 그레이후르츠향, 스위트 오렌지향, 주니퍼향, 사이프러스향, 샌들우드향, 프랑켄센스향, 패추리향, 로즈우드향, 로즈향, 일랑일랑향, 제라늄향, 티트리향, 클라이세이지향, 미르라향, 타임향, 시나몬향, 피르마로저향, 바질향, 만다린향, 파인니들향, 라임향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향제는 양초 연료에 양초 연료 100 중량부 기준 0.5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 물질은 양초의 유통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쉽게 소실될 수 있기 때문에 흡착성과 다공성 재질의 송이(scora) 분말과 혼합하여 방향제를 송이 분말에 흡착시킨 후에 본 발명의 양초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심지를 이용하여 고상 양초와 액상 양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상 양초의 제조 방법은 (a) 가연성 고체 연료를 녹여 액상 연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연료를 성형틀에 넣고 성형하는 단계, 및 (c) 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 심지는 전술한 바의 과피의 선형 건조물을 2겹 이상 맞대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액상 양초의 제조 방법은 (a) 가연성 액체 연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 심지는 전술한 바의 과피의 선형 건조물을 2겹 이상 맞대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고상 양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초 심지가 가지는 방향성을 보완·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b) 단계의 액상 연료에 전술한 바의 방향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향제는 흡착성과 다공성 재질의 송이(scora) 분말과 혼합한 후에 상기 (b) 단계의 액상 연료에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액상 양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양초 심지가 가지는 방향성을 보완·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a) 단계의 가연성 액체 연료에 전술한 바의 방향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도 이러한 방향제는 흡착성과 다공성 재질의 송이(scora) 분말과 혼합한 후에 상기 (b) 단계의 액상 연료에 혼합될 수 있다. 이때 방향제를 흡착하기 위한 매체로 송이 분말을 사용할 경우 가연성 액상 연료와 송이 분말의 균일한 혼합을 유도하고 송이 분말의 응집 현상이나 송이 분말의 침전을 억제하기 위해서 송이 분체를 친유성 코팅제로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유성 코팅제로서는 메티콘(methicone), 실란(silane), 디메티콘(dimethicone), 티탄산염(titanate),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레시틴(lecithin), 퍼플루오로알코올 포스페이트(perfluoroalcohol phosphate), 스펜트 그레인 왁스, 알간 오일(Argania Spinosa Oil), 쉬어 버터(Shea Butter(Butyrospermum Parkii),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Oenothera Biennis) Oil) 등을 예시할 수 있다.

Claims (7)

  1. 과피의 선형 건조물이 2겹 이상으로 맞대어 구성되되,
    상기 과피는 감귤류의 과피, 바나나 과피, 파인애플 과피, 피망 과피, 망고 과피, 고추 과피, 사과 과피, 포도 과피, 참다래 과피, 참외 과피, 메론 과피, 호박 과피 또는 수박 과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피의 선형 건조물은 과피가 가지는 천연향이 유통 과정이나 보관 과정 중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초 연료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심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겹 이상으로 맞대어 구성된 과피의 선형 건조물은 그 두께 방향으로 끈으로 묶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심지.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초 심지가 사용된 액상 양초.
  6. (a) 가연성 고체 연료를 녹여 액상 연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연료를 성형틀에 넣고 성형하는 단계, 및
    (c) 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 심지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초 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양초의 제조 방법.
  7. (a) 가연성 액체 연료에 송이 분체와 방향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b) 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 심지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초 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초의 제조 방법.

KR1020140142432A 2014-10-21 2014-10-21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KR10174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32A KR101743134B1 (ko) 2014-10-21 2014-10-21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PCT/KR2014/011374 WO2016064019A1 (ko) 2014-10-21 2014-11-25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32A KR101743134B1 (ko) 2014-10-21 2014-10-21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90A KR20160046490A (ko) 2016-04-29
KR101743134B1 true KR101743134B1 (ko) 2017-06-05

Family

ID=5576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432A KR101743134B1 (ko) 2014-10-21 2014-10-21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3134B1 (ko)
WO (1) WO20160640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956A (ko) 2020-01-09 2021-07-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세척 전용 바나나 부직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308B1 (ko) * 2017-06-30 2019-04-03 김해주 젤 타입 향초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8252A1 (en) * 2000-12-06 2002-06-06 Robinson Carl E. Fruit shaped candle
KR200384745Y1 (ko) 2005-03-03 2005-05-17 박병석 향기 품고 직조된 양초 심지
KR100750205B1 (ko) 2006-05-11 2007-08-17 이란형 자연성분이 함유된 자연향 밀납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039B1 (ko) * 2009-09-03 2012-01-16 배영근 양초용 심지 및 이를 구비한 양초
CN103620012A (zh) * 2011-04-18 2014-03-05 约翰·拉米瑞兹 柔性芯体
KR101158771B1 (ko) * 2011-12-08 2012-06-22 윤기정 액상 향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8252A1 (en) * 2000-12-06 2002-06-06 Robinson Carl E. Fruit shaped candle
KR200384745Y1 (ko) 2005-03-03 2005-05-17 박병석 향기 품고 직조된 양초 심지
KR100750205B1 (ko) 2006-05-11 2007-08-17 이란형 자연성분이 함유된 자연향 밀납초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956A (ko) 2020-01-09 2021-07-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세척 전용 바나나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019A1 (ko) 2016-04-28
KR20160046490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905B2 (en) Multilayered compressed c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e
CA2632964A1 (en) Aroma-releasing polymeric gel matrix
KR101743134B1 (ko)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CN111108100B (zh) 帝王龙涎用于增强铃兰调的用途
KR102282820B1 (ko)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을 포함하는 방향제 겔
EP3635082B1 (en) Wax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release characteristics
KR20160046491A (ko) 과피를 몰드로 한 양초 및 그 제조 방법
JP3433246B2 (ja) 気化性成分を徐放する樹脂組成物
KR101020805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한 소취 및 방향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651050B (zh) 一种适用于压缩空气雾化式扩香器的香氛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RU267355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хвойного дезодоранта
KR20150131698A (ko) 화산석 송이를 이용한 방향성 양초의 제조 방법
JP2011168496A (ja) 香りの線香
CN110799633A (zh) 胶态香薰蜡烛及其制造方法
US11332695B2 (en) Wax formulations comprising high molecular weight synthetic linear primary alcohols
RU2152983C1 (ru) Сухие духи
JP7007339B2 (ja) 浴室用防カビ剤及び浴室内への防カビ剤の定着方法
JP5697003B1 (ja) 蜜蝋香りお香
Perera Chemistry of perfumes
WO2023156471A1 (en) A bioactive candle, a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iodine derivatives of vegetable oils for use as additives for food and candles
KR101583280B1 (ko) 허브 분말을 포함하는 고형 방향,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0768A (ko) 네츄럴 및 케미컬 향을 함침, 강제주입으로 향의 지속 시간을 연장한 향기 마케팅 기술
WO2018224481A1 (en) Wax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release characteristics
CN107890579A (zh) 香氛胶囊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