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771B1 - 액상 향초 - Google Patents

액상 향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771B1
KR101158771B1 KR1020110130859A KR20110130859A KR101158771B1 KR 101158771 B1 KR101158771 B1 KR 101158771B1 KR 1020110130859 A KR1020110130859 A KR 1020110130859A KR 20110130859 A KR20110130859 A KR 20110130859A KR 101158771 B1 KR101158771 B1 KR 10115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candle
oil
fragran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정
Original Assignee
윤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정 filed Critical 윤기정
Priority to KR102011013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04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liquid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ⅰ) 상부 개방형 용기; (ⅱ) 심지 고정 중량체; 및 (ⅲ)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 그리고 (a) 오일; (b) 상부 개방형 용기; (c) 심지 고정 중량체; 및 (d) 심지를 포함하는 액상 향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이용되는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 야자 오일은 일반적인 램프 오일(Paraffin류 오일) 보다 인화점 및 비중이 높아 유면 위에서 안정적인 불꽃을 이루고, 주위 온도가 올라가 식물성 야자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향료에 의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심지 고정 중량체는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심지 고정 중량체에 무게중심이 형성이 되어 심지가 세워져 설치(입설)되고,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심지는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가 코팅되어, 심지의 외부에는 식물성 야자 오일이 스며들지 않고, 오직 내부에서만 모세관 현상으로 식물성 야자 오일이 빨려 올라가게 되어, 일정한 양의 식물성 야자 오일이 불꽃에 공급되어 불꽃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로 인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액상 향초{Fragrant Candle of Liquid Type}
본 발명은 불꽃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액상 향초에 관한 것이다.
양초는 왁스의 일종인 파라핀납, 밀납 등과 같은 일정한 온도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를 원통형 등으로 성형하고 그 중심에 무명 등의 심지를 삽입한 등화용 연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종교의식 때나 가정의 제사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급 식당이나 가정에서 장식용으로 사용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양초의 경우는 대부분 단순히 양초를 연소시켜 불을 밝히는 조명기능 밖에 기대할 수가 없어서, 점차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향기를 발산하는 양초가 제시되고 있다.
종래 컵 향초 및 오일 램프를 살펴보면, 구체적으로 도 1의 왼쪽 사진은 종래 컵 향초로서, 컵에 파라핀 왁스로 만든 양초를 넣어 심지가 타면서 불꽃을 일으키는데, 이 경우 양초는 심지 주변만 태워 컵 주변에 많은 잔류물을 남기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도 1의 오른쪽 사진은 종래 오일램프로서, 램프의 윗부분 신주 중심에 심지가 있어 불을 태우면 윗부분부터 오일이 소모되는 상품인데, 이 경우 램프는 향을 함유한 오일이 유리제품 속에 들어 있어 방향 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초의 불꽃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액상 향초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는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 그리고 불꽃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액상 향초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식물성 야자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하는 오일, 상부가 개방된 용기,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코팅된 심지, 상기 심지를 고정하여 상기 용기 바닥을 향한 무게중심에 의해 입설(立設)되는 심지 고정 중량체를 포함하여 액상 향초를 제조한 결과, 불꽃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그로 인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향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식물성 야자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하는 오일; (b) 상기 오일을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 용기; (c)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를 포함하는 심지 고정 중량체; 및 (d) 겉 표면이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로 코팅 처리되고,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의 심지고정부에 일 말단이 고정되어 상기 용기 바닥을 향한 무게중심에 의해 입설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액상 향초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자는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 그리고 불꽃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액상 향초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식물성 야자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하는 오일, 상부가 개방된 용기,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코팅된 심지, 상기 심지를 고정하여 상기 용기 바닥을 향한 무게중심에 의해 입설되는 심지 고정 중량체를 포함하여 액상 향초를 제조한 결과, 불꽃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그로 인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향초는 향료가 포함되어 방향 효과를 나타내는 양초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용어 양초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는 크게 (ⅰ) 상부 개방형 용기; (ⅱ) 심지 고정 중량체; 및 (ⅲ) 심지로 구성되어 있다.
(ⅰ) 상부 개방형 용기
그리고 본 발명의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는 상부 개방형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에는 액상 타입이라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식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에 대한 안전을 위해 유리 컵을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투명 유리 컵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개방형 용기는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별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ⅱ) 심지 고정 중량체
또한, 본 발명의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는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를 포함하는 심지 고정 중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심지를 일 말단을 끼워 넣어 고정할 수 있는 심지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심지를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심지 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금속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중앙으로 연장되고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부는 바닥과 평행하게 맞닿아 있어, 무게 중심이 형성된 심지 고정 중량체를 용기에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ⅲ) 심지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는 겉 표면이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로 코팅 처리된 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에 이용되는 심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양초 또는 향초용 심지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면 및 천연 레이온이 8번 수 또는 12 번수로 이루어진 심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 및 천연 레이온이 12 번수로 이루어진 심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딱딱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가열하여 액상(왁스)로 제조한 다음 상기 액상에 침지를 시키거나 붓 등을 이용하여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지는 심지 고정 중량체의 심지고정부에 일 말단이 고정되어 상기 용기 바닥을 향한 무게중심에 의해, 즉 심지가 고정된 심지 고정 중량체의 중량에 의해 심지 고정 중량체에 무게중심이 형성이 되어 심지가 세워서 설치(입설)된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심지를 고정한 심지 고정 중량체가 상기 상부 개방형 용기의 바닥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심지 고정 중량체에 형성된 무게 중심에 의해 심지가 고정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에 액상의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을 첨가하여 양초 또는 향초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액상 향초는 크게 (a) 오일; (b) 상부 개방형 용기; (c) 심지 고정 중량체; 및 (d) 심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오일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포함되는 오일은 식물성 야자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야자 오일은 후술할 심지를 통한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승되어 점화에 의해 향초에 불꽃을 발생 및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야자 오일은 인화점(Flash Point)이 180-190℃이고, 비중이 0.85-0.9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화점(Flash Point)이 183-185℃이고, 비중이 0.86-0.89이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식물성 야자 오일을 이용한다는 점인데, 상기 식물성 야자 오일은 인화점(Flash Point)이 100℃ 미만이고 비중이 약 0.800 미만인 일반적인 램프 오일(Paraffin류 오일) 보다도 인화점 및 비중이 높아 유면 위에서 안정적인 불꽃을 이루고, 주위 온도가 올라가 식물성 야자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향료에 의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낸다.
인화점 및 비중이 낮은 상기 일반적인 램프 오일을 사용하면 컵 전체가 점화되어 화재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오일에 포함되는 향료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방향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향료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 허브향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벤더향, 마조람향, 로즈마리향, 네롤리향, 베르가못향, 카모마일향, 페퍼민트향, 유칼리투스향, 자스민향, 레몬향, 레몬그래스향, 그레이후르츠향, 스위트오렌지향, 주니퍼향, 사이프러스향, 샌들우드향, 프랑켄센스향, 패추리향, 로즈우드향, 로즈향, 일랑일랑향, 제라늄향, 티트리향, 클라이세이지향, 미르라향, 타임향, 시나몬향, 피르마로저향, 바질향, 만다린향, 파인니들향, 라임향 또는 박하향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로즈마리향 또는 쟈스민향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은 식물성 야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료 1-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향료 2-8 중량부가 포함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향료 3-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오일에서 식물성 야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료가 10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방향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방향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나게 된다.
(b) 상부 개방형 용기
그리고, 본 발명의 액상 향초는 상기 오일을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에 대한 안전을 위해 유리 컵을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투명 유리 컵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유면 위의 불꽃에 의한 주위 향료에 대한 열전달을 통해서 방향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부 개방형 용기는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별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c) 심지 고정 중량체
또한, 본 발명의 액상 향초는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를 포함하는 심지 고정 중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심지를 일 말단을 끼워 넣어 고정할 수 있는 심지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심지를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심지 및 상기 오일 보다는 무거운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중앙으로 연장되고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부는 바닥과 평행하게 맞닿아 있어, 무게중심이 형성된 심지 고정 중량체를 용기에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d) 심지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액상 향초는 겉 표면이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로 코팅 처리된 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액상 향초에 이용되는 심지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양초 또는 향초용 심지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면 및 천연 레이온이 8번수 또는 12 번수로 이루어진 심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 및 천연 레이온이 12번수로 이루어진 심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심지에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가 코팅되어, 심지의 외부에는 식물성 야자 오일이 스며들지 않고, 오직 내부에서만 모세관 현상으로 식물성 야자 오일이 빨려 올라가게 되어, 일정한 양의 식물성 야자 오일이 불꽃에 공급되어 불꽃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로 인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 코팅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딱딱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가열하여 액상(왁스)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액상에 침지시키거나 붓 등을 이용하여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지는 심지 고정 중량체의 심지고정부에 일 말단이 고정되어 상기 용기 바닥을 향한 무게중심에 의해, 즉 심지가 고정된 심지 고정 중량체의 중량에 의해 심지 고정 중량체에 무게중심이 형성이 되어 심지가 세워져 설치(입설)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심지를 고정한 심지 고정 중량체가 상기 상부 개방형 용기의 바닥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심지 고정 중량체에 형성된 무게중심에 의해 심지가 고정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유면이 내려가면 심지는 교체하고 식물성 야자 오일 및 향료가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부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은 (ⅰ) 상부 개방형 용기; (ⅱ) 심지 고정 중량체; 및 (ⅲ)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 또는 향초 케이스 그리고 (a) 오일; (b) 상부 개방형 용기; (c) 심지 고정 중량체; 및 (d) 심지를 포함하는 액상 향초에 관한 것이다.
(나)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이용되는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 야자 오일은 일반적인 램프 오일(Paraffin류 오일) 보다 인화점 및 비중이 높아 유면 위에서 안정적인 불꽃을 이루고, 주위 온도가 올라가 식물성 야자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향료에 의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오일은 식물성 원료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부가 개방이 되어 있으므로 유면 위의 불꽃에 의한 주위 향료에 대한 열전달을 통해서 방향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라)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심지 고정 중량체는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심지 고정 중량체에 무게중심이 형성이 되어 심지가 세워져 설치(입설)되고, 심지 고정 중량체가 상기 상부 개방형 용기의 바닥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 그리고,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심지는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가 코팅되어, 심지의 외부에는 식물성 야자 오일이 스며들지 않고, 오직 내부에서만 모세관 현상으로 식물성 야자 오일이 빨려 올라가게 되어, 일정한 양의 식물성 야자 오일이 불꽃에 공급되어 불꽃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로 인해 은은하게 방향 효과를 나타낸다.
(바) 본 발명의 액상 향초에 포함되는 오일은 별도 병에 담아 유통이 가능하고 향초의 불에 의한 잔류물이 발생하지 않아 컵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하드 타입의 향초(왼쪽 사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액상 향초(가운데 사진) 및 종래 액상 램프(오른쪽 사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액상 향초의 불꽃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왼쪽 사진: 실시예 1, 오른쪽 사진: 비교예 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향초의 제조
상부가 개방된 유리 컵을 준비하고, 무지개 연사(한국) 사로부터 구입한 양초 심지(면 및 천연 레이온, 12번수)의 겉 표면에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왁스를 각각 붓을 이용하여 코팅하고 상온에서 40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는 금속 냄비에 구입한 폴리에틸렌(모던 통상 사, 한국) 또는 폴리프로필렌(모던 통상 사, 한국) 300g을 첨가하고 강한 불에서 약 40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중앙으로 연장되고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로 이루어진 심지 고정 중량체(스테인레스 금속, 재동통상 사, 한국)를 준비하고, 상기 심지고정부에 상기 코팅 후 건조된 심지를 고정하였다. 그 다음, 식물성 야자 오일(SK SUPER TN 40, 수입처: SK)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로즈마리향(한빛향료 사, 한국) 3-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로스마리향이 포함된 식물성 야자 오일을 상기 유리 컵에 첨가하고 상기 유리 컵 부피의 80% 정도를 채웠다.
상기 제조예 1에서 폴리에틸렌 왁스를 이용하여 코팅한 심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향초를 실시예 1, 그리고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이용하여 코팅한 심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향초를 실시예 2로 이용하였다.
비교제조예 1: 향초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심지로 무지개 연사(한국) 사로부터 구입한 양초 심지(면 및 천연 레이온, 12번수)를 이용하여 향초를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 1로 이용하였다.
비교제조예 2: 향초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일반적인 램프 오일(파라핀류 오일, 구입처: 이수화학 사(한국)) 100중량부에 로즈마리 향료(한빛향료 사)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오일을 준비하고 심지는 폴리에틸렌(PE) 왁스로 코팅하여 제조한 향초를 비교예 2로 이용하였다.
시험예 1: 식물성 야자 오일의 물성 시험
구입한 식물성 야자 오일의 물성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항목 결과 규격 시험방법
지방산메틸에스테르함량(부피%) 99.73 Min. 96.5 KS M 2413
인화점(℃) 184.0 Min. 120 KS M 2010
등점도(40℃, mm/s) 4.390 1.9-5.0 KS M 2014
잔류탄소분(무게%) 0.00 Max. 0.1 KS M ISO 10370
황분(mg/kg) - Max. 10 KS M 2027
회분(무게%) - Max. 0.01 KS M ISO 6245
Saybolt Color 18 Min. 10 KS M 2029
등판부식(50℃, 3h) 1A Max. 1 KS M 2018
밀도(15℃, kg/m3) 876.7 860-900 KS M 2002
고형불순물(mg/kg) - Max. 24 EN 12662
전산가(mg KOH/g) 0.420 Max. 0.50 KS M ISO 6618
총 글리세린(무게%) 0.003 Max. 0.24 KS M 2412
유리 글리세린(무게%) 0.000 Max. 0.02 KS M 2412
모노 글리세라이드(무게%) 0.000 Max. 0.80 KS M 2412
디 글리세라이드(무게%) 0.002 Max. 0.20 KS M 2412
트리 글리세라이드(무게%) 0.019 Max. 0.20 KS M 2412
메탄올(무게%) 0.003 Max. 0.2 EN 14110
알카리금속(mg/kg) Na+K - Max. 5 EN 14108, 14019
Ca+Mg - Max. 5 Pr EN 14538
인(mg/kg) - Max. 10 EN 14107
CFPP 5 Max. 20 KS M 2016
산화안정도(110℃/h) 10.2 Min. 6 EN 14112
Moisture(ppm) 120 Max. 500 KS M 2115
시험예 2: 향초의 방향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의 향초를 통풍이 되지 않는 실내에 각각 두고 불을 붙인 다음에 순서대로 방향 효과를 2분 동안 확인하였다. 방향 효과 확인은 향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 향기가 은은하게 발생하는 경우를 ++ 및 향기 발생이 많은 경우를 +++로 분류하였고, 향에 대해 잘 훈련된 패널 평균 30세의 여성 10명이, 향초를 기준으로 반경 1 m 주위로 둘러앉아서 방향 효과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한 평균값을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시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분 ++ ++ +++ +++
2분 ++ ++ - -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의 경우는 불꽃이 일정하게 발생되어 로즈마리향이 시험시간 동안 은은하게 발생하였으나, 비교예 1 및 2의 경우는 불꽃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면서 불꽃이 크게 타 올라 순간 향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시험 시작 25초 만에 화재 위험이 있어 불꽃을 강제로 꺼트릴 수 밖에 없었다.
방향 효과는 컵 중앙에 불꽃이 타면 주위 온도가 올라가 식물성 야자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향료에 의해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시험예 3: 향초 불꽃의 유지 여부 확인
상기 시험예 2의 시험 시작 10초가 되었을 때,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향초의 불꽃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도 2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경우는 불꽃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빛이 일정하게 발생 및 유지되나, 비교예 1의 경우는 불꽃이 크게 발생하고 일정하게 유지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 2 및 3에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불꽃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로 인한 향이 은은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기존 양초용 심지의 겉 표면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코팅한 결과, 심지의 외부에는 식물성 야자 오일이 스며들지 않고, 오직 내부에서만 모세관 현상으로 식물성 야자 오일이 빨려 올라가게 되어, 일정한 양의 식물성 야자 오일이 불꽃에 공급되어 불꽃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일반적인 램프 오일(Paraffin류 오일)은 인화점(Flash Point)이 100℃ 미만이고, 비중이 보통 0.800 미만이지만, 식물성 야자 오일은 인화점(Flash Point)이 184℃로 대단히 높고, 비중이 0.8767로 높아 유면 위에서 안정적 불꽃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의 향초는 불꽃이 일정하면서 적당한 크기를 가져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예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로즈마리향이 은은하게 발생하여 방향제로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a) 식물성 야자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하는 오일; (b) 상기 오일을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 용기; (c) 구멍이 형성된 심지고정부를 포함하는 심지 고정 중량체; 및 (d) 겉 표면이 폴리에틸렌(PE)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왁스로 코팅 처리되고, 상기 심지 고정 중량체의 심지고정부에 일 말단이 고정되어 상기 용기 바닥을 향한 무게중심에 의해 입설(立設)되는 심지;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야자 오일은 인화점(Flash Point)이 180-190℃이고 비중이 0.85-0.9이며,
    상기 향료는 라벤더향, 마조람향, 로즈마리향, 네롤리향, 베르가못향, 카모마일향, 페퍼민트향, 유칼리투스향, 자스민향, 레몬향, 레몬그래스향, 그레이후르츠향, 스위트오렌지향, 주니퍼향, 사이프러스향, 샌들우드향, 프랑켄센스향, 패추리향, 로즈우드향, 로즈향, 일랑일랑향, 제라늄향, 티트리향, 클라이세이지향, 미르라향, 타임향, 시나몬향, 피르마로저향, 바질향, 만다린향, 파인니들향, 라임향 및 박하향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료이고,
    상기 오일은 식물성 야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료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 향초.
  3. 삭제
  4. 삭제
KR1020110130859A 2011-12-08 2011-12-08 액상 향초 KR10115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59A KR101158771B1 (ko) 2011-12-08 2011-12-08 액상 향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59A KR101158771B1 (ko) 2011-12-08 2011-12-08 액상 향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771B1 true KR101158771B1 (ko) 2012-06-22

Family

ID=4668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859A KR101158771B1 (ko) 2011-12-08 2011-12-08 액상 향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7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493A (en) * 2014-05-30 2016-04-27 Just Love Candles Ltd Wicks
WO2016064019A1 (ko) * 2014-10-21 2016-04-28 (주)제주사랑농수산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KR20180080069A (ko) * 2017-01-02 2018-07-11 장선미 천연 향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427A (ko)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KR20190002982A (ko) 2017-06-30 2019-01-09 김해주 젤 타입 향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21603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대륙 전기회로 차단용 오일대쉬포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864A (ja) * 1994-12-09 1996-06-18 Pegasus Candle Kk キャンドル
JP2000008076A (ja) 1998-06-22 2000-01-11 Kobayashi Pharmaceut Co Ltd 容器入りろうそく
KR200222399Y1 (ko) 2000-11-21 2001-05-02 권갑원 장식용 초
KR20110024822A (ko) * 2009-09-03 2011-03-09 배영근 양초용 심지 및 이를 구비한 양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864A (ja) * 1994-12-09 1996-06-18 Pegasus Candle Kk キャンドル
JP2000008076A (ja) 1998-06-22 2000-01-11 Kobayashi Pharmaceut Co Ltd 容器入りろうそく
KR200222399Y1 (ko) 2000-11-21 2001-05-02 권갑원 장식용 초
KR20110024822A (ko) * 2009-09-03 2011-03-09 배영근 양초용 심지 및 이를 구비한 양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493A (en) * 2014-05-30 2016-04-27 Just Love Candles Ltd Wicks
GB2531493B (en) * 2014-05-30 2020-02-12 Madalura Jenny Wicks for liquid-fuelled candles
WO2016064019A1 (ko) * 2014-10-21 2016-04-28 (주)제주사랑농수산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KR20180080069A (ko) * 2017-01-02 2018-07-11 장선미 천연 향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427A (ko)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KR20190002982A (ko) 2017-06-30 2019-01-09 김해주 젤 타입 향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21603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대륙 전기회로 차단용 오일대쉬포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771B1 (ko) 액상 향초
US7217301B2 (en) Triacylglycerol-based alternative to paraffin wax
US6284007B1 (en) Vegetable lipid-based composition and candle
US3844706A (en) Candles and manufacture thereof
MX2008009041A (es) Vela hecha de multiples materiales de cera con diferentes puntos de fusion.
US6733548B2 (en) Shimmering candle cream
US20100147969A1 (en) Wick Fragrance Diffuser
US6667006B2 (en) Emanator and lamp for dispersing volatiles
US1958462A (en) Candle
JP2003213293A (ja) 透明ろうそく
US7524339B2 (en) Lamp oil composition and lighter fluid composition
WO2001083656A1 (en) Incense candle
KR20170054949A (ko)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EP2475755A1 (en) Transparent gel candle base
US20210401726A1 (en) Smuthcentz
KR20180089112A (ko) 방향 및 조명기능을 갖는 다용도 실내용 장신구
US10975330B2 (en) Gel-type scented c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859223B2 (en) Floating candle over a base with suspended decoration
US20090042153A1 (en) Liquid fuel composition for a lamp with a colored flame
WO2016064019A1 (ko)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US20130209946A1 (en) Candle with stones
JPH08212818A (ja) 灯火照明体用液体燃焼剤及び灯火照明体
KR20130000547U (ko) 제주 천연 감귤향 양초 제조 방법
KR102350886B1 (ko) 천연재료로 제조되는 기능성 팜유 초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7551A (ko) 원하는 향수를 담을 수 있는 향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