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531B1 -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531B1
KR102625531B1 KR1020200121135A KR20200121135A KR102625531B1 KR 102625531 B1 KR102625531 B1 KR 102625531B1 KR 1020200121135 A KR1020200121135 A KR 1020200121135A KR 20200121135 A KR20200121135 A KR 20200121135A KR 102625531 B1 KR102625531 B1 KR 10262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artificial nail
nail
artificial
master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840A (ko
Inventor
이광권
Original Assignee
이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권 filed Critical 이광권
Priority to KR102020012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5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40A/ko
Priority to KR1020240004599A priority patent/KR2024001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의 제조 방법은 향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향 성분을 기재 성분과 혼합하여 향 방출 소재를 성형하는 단계; 향 방출 소재를 합성수지 소재와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마스터배치와 형성되는 물품 소재로부터 인조 네일 또는 인조 네일에 부착 가능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An Artificial Nail with a Property Emitting a Flav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착용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향이 방출되는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 네일은 손톱 또는 발톱을 미적 또는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네일 아트(nail art)의 일종이 되고, 합성수지 소재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들어진다. 인조 네일은 접착제에 의하여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조 네일은 접착성을 가진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다양한 화학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되면 손톱 또는 발톱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또한 인조 네일이 부착된 상태에서 손톱 또는 발톱과 인조 네일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틈에 다양한 형태의 균이 발생될 수 있다. 인조 네일 또는 접착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10-1164554가 있다. 선행기술은 인조 네일용 양면테이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4-0093558은 항균 테이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인조 네일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손톱 또는 발톱의 위쪽 면과 인조 네일의 아래쪽의 접촉면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공간이 생길 수 있고, 이와 같은 공간에 다양한 형태의 균 또는 박테리아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인조 네일은 장시간 동안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지속적으로 항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인조 네일은 개인적인 독특한 취향을 나타내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조 네일은 이와 같은 취향을 표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고, 예를 들어 인조 네일 자체에서 독특한 향이 방출되는 경우 이와 같은 취향의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번호 10-1164554(장성용, 2012.07.10. 공고) 인조네일용 양면테이프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10-2014-0093558(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보부, 2014.07.28. 공개) 항균 테이프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특정 향이 방출되도록 하는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의 제조 방법은 향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향 성분을 기재 성분과 혼합하여 향 방출 소재를 성형하는 단계; 향 방출 소재를 합성수지 소재와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마스터배치와 형성되는 물품 소재로부터 인조 네일 또는 인조 네일에 부착 가능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향 성분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이 되고, 기재 성분은 제올라이트, 지방산류(fatty acids; C34H66O4Zn)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은 폴리우레탄 성분을 포함하는 네일 기재; 및 네일 기재에 혼합되거나, 네일 기체에 부착되어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향을 방출시키는 향 방출 소재를 포함하고, 향은 식물 추출 성분 또는 (E)-9-oxodec-2-enoic acid(9-ODA), methyl-4-hydroxy benzoate, 2-methyl-1-butanol 및 n-butyl-n-butyrat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은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향 또는 향기가 방출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향이 방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성이 표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은 인체에 유용하면서 항균 특성을 가진 향을 포함하여 인조 네일의 사용에 따라 손톱 또는 발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이 제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이 필름 형태로 만들어진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이 제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의 제조 방법은 향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P11); 향 성분을 기재 성분과 혼합하여 향 방출 소재를 성형하는 단계(P12); 향 방출 소재를 합성수지 소재와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P13); 및 마스터배치와 형성되는 물품 소재로부터 인조 네일 또는 인조 네일에 부착 가능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P14)를 포함한다.
향 성분은 식물 또는 나무와 같이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종류의 향 성분이 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성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 성분은 소나무 향, 향나무 향, 피톤치드 향, 잣나무 향, 밤나무 향 또는 이와 같은 다양한 천연 또는 인조 나무 향이 될 수 있다. 향 성분은 예를 들어 사과 향, 바닐라 향, 바나나 향, 복숭아 향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과일 향이 될 수 있다. 또는 향 성분은 예를 들어 라벤더 향, 허브 향 또는 이와 유사한 아로마 향이 될 수 있다. 추가로 향 성분은 동물 또는 식물에서 분비되는 (E)-9-oxodec-2-enoic acid(9-ODA)(C10H16O3), methyl-4-hydroxybenzoate(C8H8O3), 2-methyl-1-butanol(C5H12O) 또는 n-butyl-n-butyrate(C8H16O2)와 성분이 되거나, 이와 유사한 페로몬(pheromone) 향이 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 성분이 준비될 수 있고, 향 성분은 액체 형태가 될 수 있고 미리 적절하게 희석되어 준비될 수 있다(P11). 이와 같은 향 성분이 준비되면, 향 성분을 함유하여 유지하는 항 방출 소재가 준비될 수 있다(P12). 향 성분이 인조 네일에 포함된 상태에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방출될 필요가 있고, 향 방출 소재는 희석된 향 성분을 유지하면서 정해진 양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향 방출 소재는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지방산류(fatty acids; C34H66O4Zn), 스테아로아미드(strearamide) 또는 이와 유사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향 방출 소재가 준비되면, 희석된 향 성분과 혼합되어 마스터배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P13).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위하여 희석된 향 성분, 향 방출 소재는 베이스 소재와 혼합되어 마스터배치로 만들어질 수 있다(P13). 베이스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수지 소재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스터배치는 적어도 하나의 향 성분, 제올라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배치는 0.00001 내지 1.0 g의 향 성분; 5 내지 70 wt%의 제올라이트; 및 전체를 100 wt%로 만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터배치는 5 내지 50 wt%의 제올라이트; 5 내지 30 wt%의 지방산류 또는 스테아로아미드; 및 전체를 100 wt%로 만드는 폴리프로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스터배치는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고, 폴리우레탄은 폴리프로필렌 100 wt%에 대하여 10 내지 50 wt%의 양이 될 수 있다. 향 성분은 극히 소량 또는 미량이 첨가될 수 있고, 물 또는 이와 유사한 향 성분의 분산이 가능한 다양한 성분에 의하여 희석되어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 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식물성 글리세린에 의하여 희석된 상태로 첨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올라이트는 담체 또는 캐리어(carrier)가 될 수 있고, 항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예를 들어 (SiO2/Al2O3)로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올라이트 X 또는 제올라이트 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0.1 내지 10.0 ㎚ 직경을 가지는 다공성 물질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공의 크기 또는 다공성이 조절된 다양한 형태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산류는 유화제(emulsifier), 질감 향상 제제, 습윤제, 기포 형성 방지제 또는 안정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스테아로아미드는 분산제 또는 방출 제제(release agent)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항균 성분이 서로 접착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인조 네일 소재 또는 필름 소재가 되는 수지 성분이 서로 접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폴리프로필렌은 소수성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접착테이프와 손톱 또는 발톱 사이에 습기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마스터 배치는 예를 들어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 Propylene), PS(Poly 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이와 유사한 폴리머를 베이스로 하여 5 내지 20 wt%의 농축 비율로 마스터 배치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마스터 배치는 폴리우레탄과 혼합하여 5 내지 20 wt%의 농축 비율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스터 배치는 펠렛, 비드(bead), 칩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마스터배치가 만들어지면(P13), 인조 네일을 위한 합성수지 성분과 혼합되거나, 인조 네일의 접착을 위한 양면테이프의 제조를 위한 합성수지 성분과 혼합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인조 네일에 부착되는 향 방출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P14). 이와 마스터배치는 인조 네일에 직접 혼합되거나, 인조 네일을 손톱 또는 발톱에 접착시키는 접착테이프와 혼합되거나, 독립적으로 인조 네일에 부착되는 향 방출 필름으로 만들어져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의 제조 과정에서 항균 성분이 추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스터배치의 제조 과정에서 항균 성분이 추가될 수 있다. 항균 성분은 예를 들어 아연 스테아레이트((CH3(CH2)16COO)2Zn)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지방산류 또는 스테로아미드와 함께 항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아연 스테아레이트는 예를 들어 마스터배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wt%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다양한 항균 성분이 마스터배치에 추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이 필름 형태로 만들어진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일 아트는 독립적으로 부착 가능한 필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향 방출 필름(22_1 내지 22_N)은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 가능한 네일 형태의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다수 개가 기재(21)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향 방출 필름(22_1 내지 22_N)이 기재(21)로부터 분리되어 인조 네일의 위쪽 또는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될 수 있다. 향 방출 필름(22_1 내지 22_N)은 예를 들어 마스트배치와 폴리우레탄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원료를 압출기에서 압출시키는 단계; 압출된 원료를 연신시키는 단계; 연신된 필름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만들어질 필요가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 방출 성분은 이와 같이 향 방출 필름(22_1 내지 22_N)과 같이 독립적인 물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네일 아트 또는 접착테이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인조 네일은 폴리우레탄 성분을 포함하는 네일 기재; 및 네일 기재에 혼합되거나, 네일 기체에 부착되어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향을 방출시키는 향 방출 소재를 포함하고, 향은 식물 추출 성분 또는 (E)-9-oxodec-2-enoic acid(9-ODA), methyl-4-hydroxy benzoate, 2-methyl-1-butanol 및 n-butyl-n-butyrat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될 수 있다. 인조 네일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를 참조하면, 인조 네일(30)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부위(31a)와 네일의 외부 면에 부착되는 접착 면(31b)으로 이루어지고, 접착 면(31b)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 패턴(32)이 형성되고, 접착 패턴(12)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면(31b)의 베이스 면에 대하여 길이 방향(LD) 또는 폭 방향(WD1, WD2)을 따라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인조 네일(30)은 전체적으로 손톱 전체 또는 일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면서 외부로 노출이 되는 노출 부위(31a)와 네일의 외부 면에 접착되는 접착 면(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조 네일(30)은 폭 방향(WD1, WD2)을 따라 손톱 또는 발톱과 같은 네일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착 면(31b)은 폭 방향(WD1, WD2)으로 큰 곡률 반지름을 가진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접착 면(31b)은 길이 방향(LD)을 따라 기초 부위(35); 기초 부위(35)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폭 방향(WD1, WD2)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부위(34); 및 유도 부위(34)의 위쪽에 형성되는 접착 패턴(3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초 부위(35)의 끝 부분에 분리 탭(36)이 형성되어 필요시 인조 네일(30)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유도 부위(34)는 폭 방향(WD1, WD2)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이 될 수 있고, 기초 부위(3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도 부위(34)가 홈 형상으로 만들어지면서 기초 부위(35) 또는 접착 패턴(32)이 형성된 부위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인조 손톱(30)은 길이 방향(WD)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고, 큰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인조 손톱(30)은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LD)에 비하여 폭 방향(WD1, WD2)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고, 곡면 형상을 가지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부위(34)의 위쪽에 접착 패턴(3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패턴(32)은 인조 네일(30)의 네일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인조 네일(30)의 접착 면(31b)과 네일의 외부 면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패턴(32)은 사용 과정에서 인조 네일(30)의 일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취급 또는 사용 과정에서 인조 네일(30)의 일부에 외부 압력이 가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형상 유지 특성 또는 변형 방지 특성은 접착 패턴(32)의 배치 구조 또는 소재의 탄성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상 유지 특성은 밀착성과 함께 인조 네일(30)의 미적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인조 네일(30)은 네일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지만 네일의 복잡한 외부 표면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없다. 또한 개인의 네일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미세한 형상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인조 네일(30)의 접착성 또는 밀착성이 네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접착 패턴(32)은 이와 같은 네일의 미세한 형상의 차이로 인한 접착성 또는 밀차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접착 패턴(32)은 접착성 또는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수 개의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가 접착 패턴(32)을 형성하는 베이스 면에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면은 유도 부위(34)의 위쪽 부분을 형성하는 접착 면(31b)의 일부가 될 수 있고, 베이스 면은 유도 부위(34)와 동일하거나, 작거나 또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 패턴(32)이 형성되는 베이스 면과 유도 부위(34)는 계단 면을 형성하거나, 베이스 면과 유도 부위(34) 사이에 경계선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의 수평 방향은 단면은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타원,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로 다른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길이 방향(LD)을 따라 유도 부위(34)로부터 접착 면(31b)의 끝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이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LD)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는 연장 방향을 따라 높이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가 길이 방향(LD)을 따라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인조 네일(30)의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LD)을 따라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의 높이를 작아지도록 또는 서로 다르도록 형성하여 예를 들어 끝 부분의 들뜸과 같은 인조 네일(30)의 일부 분리 또는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는 베이스 면(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면(31b)에 형성되는 패턴 돌기(33_1 내지 33_K)는 유도 부위(34)로부터 접착 면(31b)의 끝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b의 (a)는 길이 방향(LD)을 따른 각각의 패턴 돌기(33_1 내지 33_K)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의 길이 방향을 따른 돌기 폭(33_LW)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패턴 돌기(33_1 내지 33_N)의 돌기 높이(33_LH)는 유도 부위(34)로부터 접착 면(31b)의 끝 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부위(34)로부터 제1 N, N-1 패턴 돌기(33_N, 33_N-1)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다른 패턴 돌기((33_N-2 내지 33_1)에 비하여 큰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제N-2 패턴 돌기(33_N-2)로부터 제1 패턴 돌기(33_1)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로 작아질 수 있다. 제N 및 N_2 패턴 돌기(33_N, 33_N-1)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유도 부위(34)의 인근 부위가 견고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한다.
도 3b의 (b)는 유도 부위(34)의 폭 방향(WD1, WD2)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중심 부분과 가장자리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출 부위에 해당하는 외부 면(342)과 접착 면(11b)에 해당하는 내부 면(341)에 의하여 형성되는 두께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접착 면(31b)은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접착 면(31b)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도 부위(34)는 폭 방향(WD1, WD2)을 따라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길이 방향(LD)을 기준으로 양쪽 부분이 대칭 형상이 되면서 중심 두께(TC)는 가장자리 두께(TP1, TP2)에 비하여 클 수 있고, 중심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WD1, WD2)을 따라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한 휨 특성 및 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인조 네일(30)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인조 네일(30)을 위한 원료와 향 성분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가 혼합될 수 있다. 인조 네일(30)은 적어도 5 wt%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마스터배치도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된 인조 네일(30)은 네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향을 방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향을 방출하는 인조 네일(30)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인조 네일(30)의 제조 과정에서 향 방출을 위한 마스터배치가 첨가될 수 있고 제시된 구조의 인조 네일(30)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1: 기재 22_1 내지 22_N: 향 방출 필름
30: 인조 네일 31a: 노출 면
31b: 접착 면 32: 접착 패턴
33_1 내지 33_N: 패턴 돌기 34: 유도 부위
35: 기초 부위 36: 분리 탭

Claims (3)

  1. 향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향 성분을 기재 성분과 혼합하여 향 방출 소재를 성형하는 단계;
    향 방출 소재를 합성수지 소재와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마스터배치와 형성되는 물품 소재로부터 인조 네일 또는 인조 네일에 부착 가능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향 성분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이 되고, 기재 성분은 제올라이트; 지방산, C16-18, 아연염(C34H66O4Zn);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프로필렌 100 wt%에 대하여 10 내지 50 wt%의 양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아연 스테아레이트((CH3(CH2)16COO)2Zn)가 마스터배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wt%의 양으로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1135A 2020-09-21 2020-09-2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35A KR102625531B1 (ko) 2020-09-21 2020-09-2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0004599A KR20240011850A (ko) 2020-09-21 2024-01-1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35A KR102625531B1 (ko) 2020-09-21 2020-09-2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599A Division KR20240011850A (ko) 2020-09-21 2024-01-1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40A KR20220038840A (ko) 2022-03-29
KR102625531B1 true KR102625531B1 (ko) 2024-01-15

Family

ID=809972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135A KR102625531B1 (ko) 2020-09-21 2020-09-2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0004599A KR20240011850A (ko) 2020-09-21 2024-01-1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599A KR20240011850A (ko) 2020-09-21 2024-01-11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5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56Y1 (ko) * 2000-08-17 2001-02-15 정세은 향 발산 스티커형 매니큐어
JP3624354B2 (ja) * 1993-07-23 2005-03-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抗菌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516034A (ja) 2005-11-14 2009-04-16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酸化剤含有芳香性消費財
KR100939633B1 (ko) * 2008-11-04 2010-01-29 키스프로덕츠 코리아(주) 금속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기능을 가지면서 색오염이없는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JP2017145250A (ja) 2016-02-18 2017-08-24 株式会社Dear Laura 爪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29B1 (ko) * 2002-01-23 2004-11-18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164554B1 (ko) 2010-12-30 2012-07-10 장성용 인조네일용 양면테이프
KR101516699B1 (ko) 2013-01-18 2015-05-27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항균 테이프
JP5670527B1 (ja) * 2013-08-28 2015-02-18 フェニックス電機株式会社 リフレク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ンプ
JP7033906B2 (ja) * 2017-12-21 2022-03-11 ヱスビー食品株式会社 タラコ含有食品及びタラコ含有食品の製造方法
KR102129099B1 (ko) * 2018-08-03 2020-07-01 주식회사 이리스코스메틱 네일 스티커용 인쇄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354B2 (ja) * 1993-07-23 2005-03-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抗菌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213256Y1 (ko) * 2000-08-17 2001-02-15 정세은 향 발산 스티커형 매니큐어
JP2009516034A (ja) 2005-11-14 2009-04-16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酸化剤含有芳香性消費財
KR100939633B1 (ko) * 2008-11-04 2010-01-29 키스프로덕츠 코리아(주) 금속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기능을 가지면서 색오염이없는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JP2017145250A (ja) 2016-02-18 2017-08-24 株式会社Dear Laura 爪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5046300 A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40A (ko) 2022-03-29
KR20240011850A (ko)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9438B (zh) 虫害防治材料
DE602004020179D1 (de) Peptidenanostrukturen die fremdmaterial enthal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20080134421A1 (en) Plunger device
KR102625531B1 (ko)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DE60233039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ynthetischen Grasstrukturen, und synthetische Grasstruktur
US20100163067A1 (en) Hair grooming device with biological coatings
KR20200104095A (ko) 스티커식 인조손톱 제조방법 및 인조손톱
US20170049207A1 (en) Lice rejecting scrunchie
KR102370634B1 (ko) 항균 특성의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4120B1 (ko) 네일 아트용 항균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접착테이프
JP2005053813A (ja) 害虫の防除方法および防除剤
CA2922775C (en) System for dispensing agents to agricultural or forestry products
US3713454A (en) Device for temporarily attaching artificial hair to the scalp
JPH08100513A (ja) 塗り床用樹脂組成物
JP2008222554A (ja) 害虫駆除テープおよび害虫駆除方法
JP2597264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JP2017114821A (ja) 軟体動物用忌避テープ
US20220330679A1 (en) Artificial nail having improved adhesion properties and shape retention properties
KR200213256Y1 (ko) 향 발산 스티커형 매니큐어
KR200496195Y1 (ko) 미용용 페이스 커버
JPH0321690Y2 (ko)
JP2022124422A (ja) 育苗ポット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植物苗類製品および植物苗類の移植方法
KR20200031850A (ko) 식물씨앗이 담지된 네일아트용 인조손톱
KR200354490Y1 (ko) 나노실버를 함유한 붓
JP2007000696A (ja) 多孔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