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09B1 -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09B1
KR950006809B1 KR1019910020589A KR910020589A KR950006809B1 KR 950006809 B1 KR950006809 B1 KR 950006809B1 KR 1019910020589 A KR1019910020589 A KR 1019910020589A KR 910020589 A KR910020589 A KR 910020589A KR 950006809 B1 KR950006809 B1 KR 95000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wood powder
fragrance
wood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096A (ko
Inventor
이남승
Original Assignee
이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승 filed Critical 이남승
Priority to KR101991002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809B1/ko
Publication of KR93001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lanulat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성, 유성 및 분말향료를 함유한 목분(wood flour)에 분말상태의 합성수지를 제품의 용도에 따라 적량 첨가하고, 이에 안정제와 색소를 주입하여 교반, 배합한 다음, 이를 소정의 형태로 압출성형하여 향기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pellet)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분은 목제의 톱밥을 체별하여 얻어진 것으로, 수분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수축/팽창률이 큰 물성을 갖고 있다.
목분을 기재로 하면서 이 목분에 합성수지와 향료를 혼합하여 소정의 제품 형태로 성형하면, 제품으로부터 향기가 지속적으로 발산됨과 동시에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의 밀도가 낮아져 중량이 감소되는 것은 물론 수지원료를 절감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같은 목분과 합성수지의 혼합제품은 건축내장재, 가구류, 전기ㆍ전자제품, 문구 및 완구류 등에 폭넓게 적용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습도에 따른 호흡작용(팽창/수축작용)에 의해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다공질의 정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에 함침시킬 경우 보다 강렬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정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의 주성분으로서 목분을 이용하고, 목분에 수성이나 유성 또는 분말 향료를 첨가하여 향기를 부여하며, 아울러 목분의 성형을 위해 목분에 일정량의 합성수지를 배합, 교반하여 압출, 성형함으로써 다공질의 정제(pellet)를 성형하는 것으로, 공기중의 습도가 높을 경우 다공질의 정제에 형성된 핀홀(pinhole)을 통해 목분입자가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시는 목분입자로부터 다시 습기를 발산하는 일종의 호흡작용에 의해 강렬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기재인 목분에 합성수지 및 수성향료를 투입하여 정제를 성형하는 것으로, 우선 100~120메쉬 정도의 미세한 목분을 120℃ 이상의 온도에서 1200RPM으로 5~10분간 교반하여 목분에 함유된 목산가스와 수분을 제거한다.
목산가스와 수분이 제거되면 온도와 회전속도를 각각 50℃, 500RPM으로 서서히 낮추면서 목분에 액상의 수성향료를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적량 투입하여 수성향료가 목분에 흡수되도록 계속 교반한다.
이때 교반시의 마찰열에 의하여 목분에 잔재된 수분이 제거되면서 건조한 상태로 되면 정제의 성형을 위해 목분에 그 부피의 약 1/3 정도의 합성수지 분말을 투입하여 교반, 배합한다.
이후 목분과 합성수지의 혼합체에 안정제와 색소 등을 일정량 첨가하여 교반, 배합한 다음, 이를 통상의 압출기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압출함으로써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
기재인 목분에 합성수지와 유성 또는 분말향료를 투입하여 정제를 성형하는 것으로, 100~120메쉬 정도의 미세한 목분에 적량의 유성 또는 분말향료를 첨가하여 이를 500RPM으로 교반, 배합하고, 교반시 50℃의 마찰열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또는 외부에서 별도의 히팅장치를 이용하여 5~10분간 계속 교반함과 동시에 목분에 함유된 수분과 목산가스를 제거한다.
이후 목분의 성형을 위해 목분에 그 부피의 1/3 정도의 합성수지 분말을 배합하고, 안정제와 색소를 적량 첨가하여 1200RPM으로 교반과 동시에 통상의 압출기로 압출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를 성형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성형된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는, 목분과 합성수지가 배합된 상태에서 미세한 목분의 입자들에 의해 저밀도의 상태로 성형됨과 동시에 그 정제에 미세한 핀홀이 연속형성된 조직구조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의 조직구조는 미세한 목분의 입자가 해면상으로써 기포 또는 세포가 상호 연락되어 있는 일종의 발포체의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공기중의 습도가 높아지면 정제의 세포구조가 팽창하여 그 핀홀을 통해 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목분의 입자가 습기를 스폰지처럼 빨아 들이고, 공기중의 습도가 낮아지면 정제의 세포구조가 수축되면서 건조되어 습기를 방출시킨다.
이와같이 정제는 습도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일종의 호흡작용을 행함으로써 그 과정중에 향의 미립자가 수분과 함께 방출, 이동하여 정제로부터 지속적으로 향기가 발산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제를 물에 함침시켰다가 꺼내면 수분이 목분입자에 흡수, 침투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고, 정제의 수분이 발산, 건조되면서 그 부피가 지속적으로 수축되는 일종의 호흡작용에 의해 향기의 발산이 정제로부터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 향기를 한층 강렬하게 느낄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는 건축자재에 첨가하여 고품위의 향기를 발산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향기를 요하는 욕실의 천정제나 벽체에 이를 적용할 경우 은은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산시킴으로써 보다 상쾌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해충이 싫어하는 향기를 정제에 함유시켜 이를 장농이나 문갑, 화장재, 책장, 쌀통 등의 가구 및 주방기구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는 전기 및 전자제품류, 문구류, 자동차 악세서리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의 정제에 벌레가 싫어하는 향수를 혼합한 판재를 성형하여 농업용 자재로 사용할 경우 각종 병충해를 예방함과 동시에 농약의 사용량을 줄여 무공해 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다.
한편 인조과일, 조화 등을 그 고유의 향기를 발산하도록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 마치 실물의 과일이나 생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어 뛰어난 실내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제품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Claims (1)

100~120메쉬의 목분을 120℃ 이상에서 1200RPM으로 교반하여 목분중의 수분 및 가스를 제거하는 제1단계와, 온도와 속도를 낮추면서 수성, 유성, 분말향료중 어느 하나의 향료를 목분에 첨가, 흡수시킨 다음 50℃에서 500RPM으로 교반하는 제2단계와, 합성수지와 안정제 및 색소를 목분에 배합, 교반하여 정제로 압출성형하는 제3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KR1019910020589A 1991-11-19 1991-11-19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KR95000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589A KR950006809B1 (ko) 1991-11-19 1991-11-19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589A KR950006809B1 (ko) 1991-11-19 1991-11-19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096A KR930010096A (ko) 1993-06-22
KR950006809B1 true KR950006809B1 (ko) 1995-06-22

Family

ID=1932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589A KR950006809B1 (ko) 1991-11-19 1991-11-19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227A (ko) * 2000-11-24 2002-05-30 민병창 방향성 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096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129A (en) Hydrophilic gels containing high amounts of fragrance
US7741266B2 (en) Process for preparing scented cellulosics and products prepared thereby
US4735626A (en) Air freshener unit
US5109029A (en) Fragrant thermoplastic foa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128148A1 (en) Aroma-releasing polymeric gel matrix
US3661838A (en) Scented plastic composition
CA2429967A1 (en) Plastic films containing a fragrance and an odor barrier material
CN108404187A (zh) 一种高密度耐燃熏香及其制备工艺
KR102364014B1 (ko)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KR950006809B1 (ko)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US9352060B2 (en) Carrageenan gel air freshener
KR100458129B1 (ko)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682074B1 (ko) 향 지속성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JPS60500750A (ja) 清浄剤蒸気を連続的に拡散する装置
JPH0262147B2 (ko)
JPS6115827B2 (ko)
JP2607390B2 (ja) 香料入り色鉛筆用芯
KR200259181Y1 (ko)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KR101205825B1 (ko) 황토 숯 방향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54761B2 (ko)
CN2574427Y (zh) 香樟防虫包
JP2005074636A (ja) 天然木の香りを放香する合成樹脂製室内扉の製造方法
JPH10179707A (ja) 芳香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
JPH05286009A (ja) 芳香性の押出熱可塑性フォームとその製造方法
TW209234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