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953B1 - 방화용판유리 - Google Patents

방화용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953B1
KR100457953B1 KR10-1998-0705542A KR19980705542A KR100457953B1 KR 100457953 B1 KR100457953 B1 KR 100457953B1 KR 19980705542 A KR19980705542 A KR 19980705542A KR 100457953 B1 KR100457953 B1 KR 10045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eight
mgo
temperature
ca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840A (ko
Inventor
키미나리 스기우라
아키히로 코야마
테츠로 요시이
Original Assignee
닛본 이따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이따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이따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다라임유리로 분류될 조성을 가지는 유리 조성물로 형성되는 방화용 판유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판유리의 생산성이 높고, 유리 용해요의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없는 소다라임유리제 방화용 판유리가 요망되고 있었으나, 내구성이 높고, 연화되기 어려운 소다라임유리제인 것은 없었다. 그래서, 소다라임유리를 특정의 유리 조성으로 조합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연화점을 780℃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구성이 높고, 연화되기 어려운 소다라임유리제 방화용 판유리를 제공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방화용 판유리 {FIREPROOF FLAT GLASS}
본 발명은 방화용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다라임유리로 분류될 조성을 가지는 유리 조성물로 형성되는 방화용 판유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방화용 판유리로서는, 화재시에 높은 방화성을 발휘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종래에는, 통상의 소다라임유리 조성물을, 망이 들어간 판유리로 성형하여, 방화용 판유리로 이용하거나, 소다라임유리 조성물로 열강화유리를 성형하여 방화용 판유리로서 이용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 방화용 판유리로서는, 붕규산유리 등의 고융점인 것을 방화용 판유리로 이용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지만, 용융온도가 높거나, 점성이 높거나 하여, 판유리의 생산성이 낮다. 또, 붕소성분이 함유되면 유리 용해요(溶解窯)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기 쉽기 때문에, 소다라임유리를 이용하여 방화용 판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었고, 예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방화용 판유리는, 화재 초기에는 우수한 방화성능을 나타내지만, 갑종(甲種) 방화로의 기준(일본국 건설성 고시 제 1125호에 따른 방화 시험)을 만족시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방화용 판유리는, 화재에 처해도 파쇄되지 않고, 화재가 유소(類燒)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지만, 소정 시간 경과되면 유리 자체가 연화하여, 판유리 지지부재(섀시, 프레임) 등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볼 수 있고, 상기 기준안에서 60분간 형상 지지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결점을 감안하여, 소다라임유리를 이용하여, 상기 갑종 방화로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방화용 판유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가열시험에 따른 판유리 온도의 변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갑종 방화로의 기준에 의해 판유리가 가열되는 경우, 60분의 가열에 의해 770℃에서 780℃에 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얻는 동시에, 연화점이 780℃ 이상인 유리 조성물로 성형된 판유리는, 상술한 기준에 적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먼저 발견한, 내화성이 우수한 하기 조성의 유리 조성물(중량%):
SiO2 … 56∼68%,
Al2O3 … 0.2∼5%,
ZrO2 … 0∼3%,
Li2O … 0∼0.5%,
Na2O … 0.2∼4%,
K2O … 6∼14%,
MgO … 1∼14%,
CaO … 6∼12%,
SrO … 0∼12%,
BaO … 0∼13%,
ZnO … 0∼2%,
으로 이루어지고,
Na2O+K2O … 8∼14%,
MgO+CaO … 8∼15%,
SrO+BaO … 8∼14%,
MgO+CaO+SrO+BaO … 20∼27%,
SO3+Sb2O3 … 0∼1%,
이고,
또한,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75∼95×10-7/K,
또한, 왜점(歪點)이 540℃ 이상,
또한, 102푸아즈의 온도가 1560℃ 이하
를 방화용 판유리로서 이용하여 검토한 바, 상술한 기준을 알맞게 만족시킨다는 새로운 사실을 얻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용 판유리의 특징구성은, 중량%로,
SiO2 … 56∼68%,
Al2O3 … 0.2∼5%,
ZrO2 … 0∼3%,
Li2O … 0∼0.5%,
Na2O … 0.2∼4%,
K2O … 6∼14%,
MgO … 1∼14%,
CaO … 6∼12%,
SrO … 0∼12%,
BaO … 0∼13%,
ZnO … 0∼2%,
으로 이루어지고,
Na2O+K2O … 8∼14%,
MgO+CaO 8∼15%,
SrO+BaO … 8∼14%,
MgO+CaO+SrO+BaO … 20∼27%,
SO3+Sb2O3 … 0∼1%,
이고,
또한,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75∼95×10-7/K,
또한, 왜점이 540℃ 이상,
또한, 102푸아즈의 온도가 1560℃ 이하,
또한, 연화점이 780℃ 이상인 점에 있다.
그리고, 이들 조성물에는 각 성분 각각에 따라 바람직한 범위가 고려되고, 구체적으로는, 유리의 용융온도(102푸아즈의 온도)는 1560℃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을 상기 용융온도가 1550℃ 이하로 되도록 조정하는 편이 좋다. 마찬가지로, 유리 조성물의 점도는, 예를 들면 판유리를 플로우트 성형할 때에, 플로우트 바스로의 공급구에서의 적당한 점성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으로서, 104푸아즈 온도(작업온도)가 1140℃ 이하로 되도록 각 조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50∼350℃의 평균 열팽창율은, 75∼95×10-7/K, 보다 바람직하게는 80∼90×10-7/K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는, 유리의 실투(失透, devitrification)온도는, 유리성형시에 실투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실투온도를 1140℃ 이하로 되도록 각 조성이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각 조성성분의 함유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조정되어야 한다.
[SiO]
유리의 네트워크포머이다. SiO2가 56중량% 미만에서는 유리의 왜점이 낮아지고, 58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iO2가 58중량%를 넘으면 유리의 열팽창율이 작아지고, 또 이 유리를 열강화 처리하여 방화용으로 이용하려고 한 경우, 강화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Al2O3]
Al2O3는 유리의 왜점을 높이는 데에 유효한 성분이고, 또 소량의 첨가라도 유리의 실투성의 개선 및 내수성의 개선에 유효하다. Al2O3는, 0.2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작으므로, 적어도 0.2중량% 이상이 필요하고, 0.5중량% 이상 이용하는 것이 실투성 및 내수성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융로의 내측을 깔 때 일부에는 알루미나질(質) 벽돌이 이용되고 있고, 장기간 유리를 용해하면, 벽돌이 침식(浸食)되고, 벽돌근방의 알루미나 농도가 증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유리 조성에는 알칼리금속 산화물 및 알칼리금속 토류 산화물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벽돌의 침식이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유리중에 Al2O3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 벽돌의 침식에 따라 벽돌근방의 Al2O3 농도가 상승하고, Al2O3를 성분으로 하는 실투가 발생하고, 유리의 품질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Al2O3는 5중량% 이하이고, 특히 4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ZrO2]
ZrO2는, Al2O3와 동일하게 유리의 왜점을 높이는 데에 유효한 성분이다. 그러나 ZrO2는, Al2O3와 동일하게 유리 물성으로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필수성분으로는 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량의 첨가로, 유리의 내수성의 개선에 유효하므로, 0.2중량% 이상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3중량% 이상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융로의 내측을 깔 때에는 알루미나질 벽돌과 지르코니어질 벽돌이 이용되고 있고, ZrO2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유리를 장기간 용해하면, Al2O3와 동일하게, 침식에 따라 ZrO2질의 벽돌근방의 ZrO2 농도가 상승하고, ZrO2를 성분으로 하는 실투가 발생하여, 유리의 품질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ZrO2는 3중량% 이하이고, 2.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O]
MgO는 용해성 향상에 유효할 뿐 아니라, 왜점을 높이는 데에 유효하다. MgO는, 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2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gO는 7중량%를 넘으면 실투가 일어나기 쉬워지고,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이다.
[CaO]
CaO는 MgO와 동일하게, 용해성 향상에 유효할 뿐 아니라, 왜점을 높이는 데에 유효한 성분이다. CaO량은, 6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7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2중량%를 넘으면 실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MgO+CaO]
MgO+CaO는 용해성 향상 및 왜점을 높이기 위해 8중량% 이상 필요하고, 9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5중량%를 넘으면 실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하이다.
[SrO]
SrO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용해성 향상에 유효할 뿐 아니라, 왜점을 높이는 데에 유효한 성분이다. 그러므로, 2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2중량%를 넘으면 실투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동시에, 비중이 커지고, 원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BaO]
BaO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용해성 향상에 유효하다. 그러므로, 2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3중량%를 넘으면 비중이 커지고, 또한 원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BaO+SrO]
BaO+SrO는 MgO+CaO만으로는 불충분한 용해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및 Na2O+K2O와 함께 팽창계수를 높이는 데에 필요하고, 8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1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4중량%를 넘으면 실투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원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MgO+CaO+SrO+BaO]
유리의 용해성 향상에 유효하고, 합계량이 20중량% 미만에서는 원하는 용융 온도를 얻을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21중량% 이상이다. 한편, 27중량% 이상에서는 유리의 실투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판(製板)이 곤란하게 된다. 26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nO]
ZnO는 용해성 향상에 유효하지만, 휘발되기 쉽고 용해로의 수명을 단축하므로, 2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Li2O]
용융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그 이상으로 왜점을 저하시키므로 0.5중량% 미만이고,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 즉 0.2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Na2O]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열팽창율을 증가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또한 K2O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수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0.2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0.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량의 첨가로 왜점이 크게 저하하고, 또한 벽돌의 침식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4중량%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이고, 3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한 2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K2O]
K2O는, 열팽창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왜점도 상승시키는 성분이다. 6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7중량% 이상이고, 9.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4중량%를 넘으면 실투하기 쉽고, 또한 내수성이 악화된다. 1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Na2O+K2O]
이것은, 용해성을 개선하고, 특히 열팽창율을 증가시키는 데에 필수이다. 합계량으로 8중량% 미만에서는 열팽창율이 지나치게 작아진다. 바람직하게는 9중량% 이상이고, 1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14중량%를 넘으면 왜점이 저하하거나, 또는 실투온도가 상승한다. 13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TiO2]
이것은, 필수성분은 아니지만, 존재하면 화학적 내구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3중량% 이상에서는, 유리가 착색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용 판유리의 보다 바람직한 특징구성은, 중량%로,
SiO2 … 56∼68%,
Al2O3 … 0.2∼4%,
ZrO2 … 0∼2.5%,
Li2O … 0∼0.5%,
Na2O … 0.2∼3.5%,
K2O … 7∼11%,
MgO … 2∼6%,
CaO … 6∼10%,
SrO … 2∼10%,
BaO … 2∼10%,
ZnO … 0∼2%,
이고, 또한,
Na2O+K2O … 8∼14%,
MgO+CaO … 8∼15%,
SrO+BaO … 8∼14%,
MgO+CaO+SrO+BaO … 20∼27%,
SO3+Sb2O3 … 0∼1%,
이고,
또한,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75∼95×10-7/K,
또한, 왜점이 550℃ 이상,
또한, 102푸아즈의 온도가 1550℃ 이하,
또한, 연화점을 780℃ 이상으로 하는 점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로,
SiO2 … 58∼66%,
Al2O3 … 0.5∼4%,
ZrO2 … 0.2∼2.5%,
Li2O … 0∼0.1%,
Na2O … 0.5∼3%,
K2O … 8∼11%,
MgO … 2∼6%,
CaO … 6∼10%,
SrO … 2∼10%,
BaO … 2∼10%,
ZnO … 0∼1%,
이고, 또한,
Na2O+K2O … 9∼ 13%,
MgO+CaO … 9∼1,3%,
SrO+BaO … 10∼14%,
MgO+CaO+SrO+BaO … 21∼26%,
SO3+Sb2O3 … 0∼ 1%,
이고,
또한,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80∼90×10-7/K,
또한, 왜점이 550℃ 이상,
또한, 102푸아즈의 온도가 1550℃ 이하,
또한, 연화점이 780℃ 이상인 점에 있다.
상기의 구성이면, 상술한 방화용 판유리는 내열성이 높고, 또한 연화점이 78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므로, 갑종 방화로의 내화기준의 테스트를 행한 경우에도, 깨지지 않고 잘 견디며, 또한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유리 자체가 연화하여, 판유리 지지부재(섀시, 프레임) 등으로부터 빠지는 상황은 발생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판유리에 정형(整形)할 때에는, 망이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열강화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망이 들어간 유리로서 방화용 판유리를 구성하면, 보다 한층 방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열강화처리에 의해서도 방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융온도가 1560℃ 이하, 작업온도가 1140℃ 이하이고,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벽돌을 이용한 용융에 있어서는 벽돌근방에서 실투하기 어렵고, 또한 작업온도가 실투온도보다 높다는 특성을 가지는 유리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로우트법에 의한 고품질의 유리판의 연속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고려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중 샘플 1의 유리 조성물을 조정하고, 그 유리 조성물로 판유리를 성형하고, 갑종 방화로의 가열시험을 행한 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온도가 변화하였다. 그 결과, 가열 1시간후에, 판유리의 표면온도는 약 780℃에 도달했지만, 연화점에는 이르지 않고, 변형되어 프레임으로부터 빠지는 등의 악영향을 발생시키지 않고, 충분히 시험을 견디어, 화재의 유소방지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1은, 종축에 가열온도(℃), 횡축에 가열시간(분)을 나타내고, 도면중 A는 가열온도이고, B는 판유리 온도이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낸 목표 유리 조성(샘플 1∼8)(중량%)으로 되도록, 각 원료를 조합(調合)하였다. 이때, 청징제(淸澄劑)로서 망초(芒硝)를 이용하였다. 조합한 배치(batch)를 도가니에 투입하고, 1500℃에서 4시간 용융한 후, 유출하여 서서히 냉각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리시료에 대하여, 그 용융온도(102푸아즈의 온도), 작업온도(104푸아즈의 온도), 실투온도, 연화점, 왜점, 열팽창율, 내수성, 벽돌근방의 실투성을 측정하였다.
용융온도 및 작업온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70㏄의 백금 도가니에 유리를 넣고, 1550℃에서 용융하여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을 시료인하식(試料引下式) 고온점도측정장치에 세트하여, 시료용융유리중에 백금구(白金球)를 매달고, 용기마다 시료를 인하할 때에 백금구에 걸리는 점성 저항을 하중으로 하여 측정하고, 각 온도에서의 점도를 구하였다. 900∼1500℃의 온도범위에서, 온도와 점도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실투온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유리를 분쇄하여 2830㎛의 체로 걸러, 1000㎛의 체상에 남은 유리가루 25g을 평량하여 취하고, 폭 12㎜, 길이 200㎜, 깊이 9㎜의 백금제의 보트에 상기 유리가루를 전체면에 깔고, 보트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온도구배를 가지도록 온도 설정된 노내에서 2시간 유지한다. 노에서 취출한 백금보트를 자연 방냉(放冷)시킨 후에, 현미경에 의해 백금보트상의 유리를 관찰하고, 실투가 발생하고 있는 최고온도를 가지고 실투온도로 하였다.
연화점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세로 30㎜, 가로 30㎜, 두께 5㎜의 유리의 샘플 피스를 제작한다. 온도 제어된 노내에 샘플 피스를 넣고, 막대기상의 압자(壓子)를 일정 하중하에서 압착해 둔다. 온도제어에 의해, 상기 압자를 샘플 피스에 관입(貫入)시키고, 그 관입속도로부터 유리점도의 온도의존성을 구한다. 그 관계로부터 logη=7.65(η은 유리점도)가 되는 온도를 구하여 연화점으로 하였다.
왜점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세로 3㎜, 가로 3㎜, 두께 50㎜의 직방체의 유리 막대기를 제작하였다. 이 유리 막대기를 빔 절곡식 점도측정장치에 세트하고, 시료의 장변측의 양단을 고정하여 중앙부분에 하중을 가하여 유리가 휘는 속도와 온도의 관계로부터 왜점을 구하였다.
열팽창계수를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직경 5㎜, 높이 15㎜의 원주형의 로드를 제작하고, 25℃에서 유리의 항복점(降伏點)까지 온도와 유리의 신장을 측정하고, 50℃에서 350℃ 사이의 열팽창계수를 계산하였다.
내수성의 측정을,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였다. 유리를 분쇄하고, 590㎛의 체로 걸러 420㎛의 체상에 남은 유리가루를 에탄올로 세정하고, 건조한 후, 비중분을 평량하여 취하고, 100ml의 순수한 물속에서 80℃로 94시간 방치한 후, 중량감소(%)를 측정하였다.
벽돌근방의 실투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유리컬릿 50g과 100㎜입방의 알루미나 벽돌편(Al2O3 95%)을 50㎜각(角), 깊이10㎜의 백금용기에 넣고, 1550℃에서 2시간 용융한 후, 1000℃에서 24시간 유지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샘플에 대하여, 벽돌근방의 실투의 유무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실투가 관찰되지 않은 것은 " ○" , 약간 관찰된 것은 " △" , 명확하게 실투가 성장되어 있는 것은 " ×" 의 기호로 표시하였다.
(비교예)
샘플 9에 나타낸 비교예의 유리 조성물을,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각 특성을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 조성물은, 실투온도가 작업온도 이하, 용융온도는 1560℃ 이하이고, 벽돌근방에서의 실투성도 양호하고, 또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왜점이 낮다. 그 결과, 열처리시의 유리의 열수축이 작고, 50∼350℃의 평균 열팽창율이 75∼95×10-7/K이고, 플로우트법에서의 유리의 연속생산에 적합하다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연화점을 가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유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산한 판유리는, 방화로로서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대하여, 샘플 9의 건축용 창유리에 이용되는 소다라임유리에 상당하는 유리 조성물은, 연화점이 낮고 갑종 방화로의 시험에는 견딜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Claims (6)

  1. 중량%로,
    SiO2 … 56~68%,
    Al2O3 … 0.2~5%,
    ZrO2 … 0~3%,
    Li2O … 0~0.5%,
    Na2O … 0.2~4%,
    K2O … 6~14%,
    MgO … 1~14%,
    CaO … 6~12%,
    SrO … 0~12%,
    BaO … 0~13%,
    ZnO … 0~2%,
    으로 이루어지고,
    Na2O+K2O … 8~14%,
    MgO+CaO … 8∼15%,
    SrO+BaO … 8~14%,
    MgO+CaO+SrO+BaO … 20∼27%,
    SO3+Sb2O3 … 0∼1%,
    이고,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75∼95×10-7/K이고,
    왜점이 540℃ 이상이며,
    102푸아즈의 온도가 1560℃ 이하이고,
    연화점이 780℃ 이상인 방화용 판유리.
  2. 중량%로,
    SiO2 … 56∼68%,
    Al2O3 … 0.2∼4%,
    ZrO2 … 0∼2.5%,
    Li2O … 0∼0.5%,
    Na2O … 0.2∼3.5%,
    K2O … 7∼11%,
    MgO … 2∼6%,
    CaO … 6∼10%,
    SrO … 2∼10%,
    BaO … 2∼10%,
    ZnO … 0∼2%,
    이고, 또한,
    Na2O+K2O … 8∼14%,
    MgO+CaO … 8∼15%,
    SrO+BaO … 8∼14%,
    MgO+CaO+SrO+BaO … 20∼27%,
    SO3+Sb2O3 … 0∼1%,
    이고,
    또한,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75∼95×10-7/K,
    또한, 왜점이 550℃ 이상,
    또한, 102푸아즈의 온도가 1550℃ 이하,
    또한, 연화점이 780℃ 이상인 방화용 판유리.
  3. 중량%로,
    SiO2 … 58∼66%,
    Al2O3 … 0.5∼4%,
    ZrO2 … 0.2∼2.5%,
    Li2O … 0∼0.1%
    Na2O … 0.5∼3%,
    K2O … 8∼11%,
    MgO … 2∼6%,
    CaO … 6∼10%,
    SrO … 2∼10%,
    BaO … 2∼10%,
    ZnO … 0∼1%,
    이고, 또한,
    Na2O+K2O … 9∼13%,
    MgO+CaO … 9∼13%,
    SrO+BaO … 10∼14%,
    MgO+CaO+SrO+BaO … 21∼26%,
    SO3+Sb2O3 … 0∼1%,
    이고,
    50∼350℃에서의 평균 열팽창율이 80∼90×10-7/K이고,
    왜점이 550℃ 이상이며,
    102푸아즈의 온도가 1550℃ 이하이며,
    연화점이 780℃ 이상인 방화용 판유리.
  4. 망이 들어 있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화용 판유리.
  5. 열강화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화용 판유리.
  6. 104푸아즈의 온도가 1140℃ 이하인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화용 판유리.
KR10-1998-0705542A 1996-11-21 1997-11-17 방화용판유리 KR100457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045096A JP3957348B2 (ja) 1996-11-21 1996-11-21 防火用板ガラス
JP1996-310450 199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40A KR19990081840A (ko) 1999-11-15
KR100457953B1 true KR100457953B1 (ko) 2005-05-27

Family

ID=1800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542A KR100457953B1 (ko) 1996-11-21 1997-11-17 방화용판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54401A (ko)
JP (1) JP3957348B2 (ko)
KR (1) KR100457953B1 (ko)
CN (1) CN1096432C (ko)
TW (1) TW347428B (ko)
WO (1) WO1998022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991B1 (en) * 1997-03-13 2005-06-14 Saint-Gobain Glass France Soda-lime-silica glass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FR2762838B1 (fr) * 1997-04-30 1999-11-05 Saint Gobain Vitrage Compositions de verre silico-sodo-calcique et leurs applications
FR2775476B1 (fr) * 1998-03-02 2000-04-14 Saint Gobain Vitrage Feuille de verre destinee a etre trempee thermiquement
US6949485B2 (en) * 2000-06-01 2005-09-27 Asab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for substrate and glass substrate
KR100847618B1 (ko) * 2001-09-05 2008-07-21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고 투과 글래스판 및 고 투과 글래스판의 제조방법
FR2854627B1 (fr) * 2003-05-07 2006-05-26 Saint Gobain Composition de verre silico-sodo-calcique, notamment pour la realisation de substrats
CN100366560C (zh) * 2005-11-25 2008-02-06 中国洛阳浮法玻璃集团有限责任公司 钠钙硅系列防火玻璃
KR20150095942A (ko) * 2006-08-14 2015-08-2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열 강화 유리 및 내열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JP5456317B2 (ja) * 2006-09-28 2014-03-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物品
FR2911335B1 (fr) * 2007-01-12 2009-09-04 Saint Gobain Composition de verre silico-sodo-calcique pour ecran de visualisation
JP5573157B2 (ja) * 2007-10-25 2014-08-20 旭硝子株式会社 基板用ガラス組成物および板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9155148A (ja) * 2007-12-26 2009-07-16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組成物
US9637408B2 (en) * 2009-05-29 2017-05-02 Corsam Technologies Llc Fusion formable sodium containing glass
KR102225583B1 (ko) 2013-04-29 2021-03-1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광기전력 모듈 패키지
CN110128007B (zh) * 2017-07-03 2022-07-15 成都光明光电股份有限公司 重镧火石光学玻璃
CN116040939A (zh) * 2023-01-19 2023-05-02 华南理工大学 低熔点硼硅酸盐玻璃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792A (ja) * 1991-05-07 1992-11-2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透明防火戸
JPH05193985A (ja) * 1991-07-26 1993-08-03 Asahi Glass Co Ltd 耐火・防火透明結晶化ガラス
JPH05170482A (ja) * 1991-12-18 1993-07-09 Asahi Glass Co Ltd 防耐火窓
DE4325656C2 (de) * 1993-07-30 1996-08-29 Schott Glaswerke Verwendung eines Glaskörpers zur Erzeugung eines als Brandschutzsicherheitsglas geeigneten vorgespannten Glaskörpers auf einer herkömmlichen Luftvorspannanlage
JPH07172863A (ja) * 1993-10-27 1995-07-11 Central Glass Co Ltd 耐火性板ガラス
JP3017020B2 (ja) * 1994-08-31 2000-03-06 有限会社鳳月堂 装飾容器
US5631195A (en) * 1994-09-14 1997-05-20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composition and substrate for plasma display
JPH08104539A (ja) * 1994-09-30 1996-04-23 Central Glass Co Ltd 透明非膨張性結晶化ガラス
FR2727399B1 (fr) * 1994-10-13 1997-01-31 Saint Gobain Vitrage Compositions de verre silico-sodo-calciques et leurs applications
JPH10152339A (ja) * 1996-09-27 1998-06-09 Nippon Sheet Glass Co Ltd 耐熱性ガラ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4029A (zh) 1999-04-14
JP3957348B2 (ja) 2007-08-15
CN1096432C (zh) 2002-12-18
WO1998022403A1 (fr) 1998-05-28
US6054401A (en) 2000-04-25
KR19990081840A (ko) 1999-11-15
JPH10152337A (ja) 1998-06-09
TW347428B (en) 199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953B1 (ko) 방화용판유리
KR100472804B1 (ko) 내열성유리조성물
KR100404028B1 (ko) 기판또는열안정성플레이트제조용유리시트,및이로부터방출스크린용기판또는내열성창유리를제조하는방법
KR101486417B1 (ko) 유리-세라믹 플로테이션
US4199364A (en) Glass composition
EP2338847B1 (de) Borfreies Glas
US5599753A (en) Borosilicate glass weak in boric acid
US6794322B2 (en) Low-boron glass fibers and glass compositions for making the same
KR100773602B1 (ko) 인공체액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한 고온단열재용 생분해성세라믹 섬유조성물
US6297182B1 (en) Glass for a substrate
US4298389A (en) High transmission glasses for solar applications
US4438210A (en) Transparent colorless glass-ceramics especially suitable for use as stove windows
JPH10291833A (ja) シリカ−ソーダ−石灰ガラス組成物
JP4790300B2 (ja) ガラス
US4054472A (en) Alkali-resistant compositions for forming glass fibers
JPS6357372B2 (ko)
KR101206365B1 (ko) 세라믹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온단열재용 생체용해성 세라믹 섬유
CN100376499C (zh) 尤其用于生产基材的钠钙硅玻璃组合物
JP2009155148A (ja) ガラス組成物
JPH07108787B2 (ja) 陰極線管フェースプレート用ガラス
JP2001180967A (ja) ガラス組成物
DE102008054386B3 (de) Transparente Glaskeramik mit niedriger Dichte und deren Verwendung
JPH0444612B2 (ko)
WO2014163348A1 (ko) 세라믹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온단열재용 염용해성 세라믹 섬유
JPH07172863A (ja) 耐火性板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