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678B1 -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678B1
KR100457678B1 KR1019970038188A KR19970038188A KR100457678B1 KR 100457678 B1 KR100457678 B1 KR 100457678B1 KR 1019970038188 A KR1019970038188 A KR 1019970038188A KR 19970038188 A KR19970038188 A KR 19970038188A KR 100457678 B1 KR100457678 B1 KR 10045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polyurethane
overfeed
dimensional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48A (ko
Inventor
이은주
양광웅
황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1997003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6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7/00Woven fabrics having elastic or stretch properties due to manner of weav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폭방향의 치수안전성이 우수하고 소모조의 외관, 촉감을 가지며 신축성이 우수한 직물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
본발명은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DTY를 합연한 것을 경사로 사용하고, POY 폴리에스테르사 2 합을 특정한 조건으로 처리한 에어 텍스쳐링한 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후, 상기 직물을 빔에 말려 있는 상태로 릴렉서에서 정련, 축소시키고 감량, 염색, 열고정시켜서 제조하는 방법임.

Description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치수안정성과 탄성회복율이 우수하며 소모조의 외관과 태를 갖는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합연사(ply yarn)의 형태로 일반 연사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신축성 섬유 가공사를 경방향에 사용하고, 에어 제트 텍스쳐링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위방향에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 후 릴렉서에서 정련, 축소하고 텐터 가공에서 오버피드로 처리하고, 텐션리스 액류 염색기에서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은 신축성사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사용하고, 혼용사로 올을 사용하여 제조하는바, 올의 경우 후가공 공정에서 폭의 변화가 매우 불안정하여서 가공에 문제점이 있으며, 가격이 높아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모조 위방향 신축성 직물의 경우 치수안정화을 위해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혼용사로써 올이 아닌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커버링하여 위방향에 사용하고 있는바, 이것은 긴장이 부여되는 가공 공정에 폭의 안정성이 부족하며, 이를 경방향에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때 각각의 커버드사(covered yarn)의 텐션이 달라져 가공후예 경사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커버링의 속도가 매우 낮아서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소모조의 외관과 태를 목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가공사인 DTY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DTY사는 가공공정에서 신장되면서 벌크성이 감소하므로 만족스러운 소모조의 외관과 태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가공사인 DTY를 일반 연사기에서 연사하고 세팅하여 준비한 합연사을 경사로 사용하여 생산 속도를 높이고 경사줄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둘째, POY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에어제트 텍스쳐링한 가공사를 위사에 사용하므로써 방적사와 유사한 외관과 공기함유량이 높아 소모조 외관과 태가 얻어지며 에어제트 텍스쳐드사가 신장성이 낮아 가공과정에서 폭을 안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위방향의 치수안정성이 높은 직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셋째로, 후가공 공정에서 제직이 끝난 생지를 직기빔에 말려진 롤상태로 릴렉서에 공급하여 릴렉서에서 축소시킬 때 축소가 고르게 일어나도록 하며, 경방향 신축성 직물이므로 텐터공정에서 직물 진행방향으로 오버피드를 부여하여 텐션을 억제하고 또한 경사방향의 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텐션리스 염색기로 염색함으로써 신축성이 우수하고 소모조의 외관과 터치가 우수한 직물을 제조토록한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5 ∼ 3.5배로 신장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DTY를 이태리 연사기에서 600 ∼ 800T/M으로 연사하고 75 ∼ 85℃로 열세팅한 것을 경사에 바디 1인치당 l50본으로 사용하며, 4,000m/분으로 방사된 POY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85데니어/72필라멘트를 2 합하여 T100 헤머 제트 텍스쳐링 머신을 사용하여 오버피드 10∼30%, 텍스쳐링 스피드 300∼600m/분, 에어 압력 5∼7bar, 습윤 처리 1 ℓ/h, 스테빌라이징 익스텐션 2 ∼ 6%로 가공한 가공사를 위사에 1인치당 타입 본수를 50본으로 하여 사틴조직으로 제직한 후, 직기빔에 말려져있는 롤상태의 직물을 릴렉서에 바로 공급하여 75 ∼ 85℃로 30분간 정련, 축소하고, 텐터 공정에서 180℃에서 50초간 처리하는데 이때 6 ∼ 10%의 오버피드를 부여한다. 그다음 감량공정에서 15%로 감량을 하고 무장력 액류염색기에서 130℃에서 30분간 염색을 한다. 마지막 공정으로 와이날 세트를 175℃에서 50초간 처리하는데 이때에도 6 ∼ 10%의 오버피드를 부여한다.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DTY를 연사할때에 폴리우레탄게 탄성사의 신장율이 2.5배 보다 낮을 경우 가공후 신축율이 감소하게 되고 3.5배보다 높을 경우에는 탄성사의 절단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사와 플리에스테르 DTY의 꼬임수가 600T/M보다 낮을 경우 제직시 원사의 강력이 떨어져 홀날림(떨림)이 발생해 제직이 불안정하고 이에 따른 각 경사의 장력 불안정으로 경사줄이 발생하며, 꼬임수가 800T/M보다 높을 경우 플리우레탄 탄성사의 사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꼬임의 고정과 경사의 강력 향상 및 장력 균일화를 위하여 75 ∼ 85℃에서 열세팅한다, 한편 위사로 사용하는 POY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텍스쳐링 조건으로 오버피드가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노즐 안에서 각 필라멘트간의 교락이 증가하여 루프의 형성은 증가하지만 그만큼 루프의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텍스쳐링성이 떨어지게 되며, 10% 미만에서는 필라멘트의 공급이 노즐 출구밖으로 나가는 속도에 비해 적기 때문에 필라멘트 굽힘으로 인한 루프의 크기가 커지고 필라멘트간의 결속이 작아져 루프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므로 텍스쳐링성이 떨어지게 된다. 텍스쳐링 스피드가 600m/분을 초과하면 노즐안에서 에어에의한 각 필라멘트의 회전력이 감소하여 필라멘트간의 굽힘과 교락의 기회가 줄어들어 거의 일직선상의 가공사가 만들어지며, 텍스쳐링 스피드가 300m/분 보다 낮을수록 루프가 증가하고 생성된 루프가 견고하지만 생산성면에서 텍스쳐링 스피드는 300m/분 이상이 적당하다. 에어 압력이 7 bar를 초과하면 필라멘트간의 인터밍글링이 증가하여 루프가 증가하지만 그만큼 루프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5 bar 미만이면 루프의 크기가 커지고 루프수는 적어지게 된다. 스테빌라이징 익스텐션은 노즐을 나온 가공사의 중심부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은 루프를 제거하기 위해 하는것으로 6%를 초과하면 가공사가 손상되거나 절단되고, 2%미만에서는 불안전한 루프가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다. 습윤처리는 노즐로 필라멘트가 공급되기 전에 행해지는데 노즐안에서 필라멘트간의 굽힘과 교락을 하는데 있어서 윤활역할을 하기때문에 습윤처리를 하면 하지 않았을때와 비교해 가공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된다. 제직이 끝난 생지를 직기빔에 말려있는 상태로 릴렉서에 공급해야 하는데 이때 직기빔에 말려있는 생지를 풀어서 경방향으로 굽혀져있는 상태로 릴렉서에 공급할 경우 굽혀져있는 부분이 릴렉서안에서 수축율이 달라져 처리후 폭이 일정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정련, 축소온도가 75℃보다 낮을 경우 호발이 충분히 되지 않으며, 85℃보다 높을 경우에는 위사 방향으로 접힘줄이 발생하게 된다. 프리 세트 공정인 텐터 가공에서 오버 피드가 6%보다 낮을 경우에는 경사 방향으로 장력이 걸려서 신축성이 감소하며,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후 위사의 밀도가 과도해져서 직물이 딱딱해지게 된다. 또한 염색을 무장력 액류염색기가 아닌 일반 염색기에서 할 경우에는 경방향에 긴장이 걸려서 직물의 늘어짐이 발생하게되어 신축성이 떨어지게 된다.
실시예 1
3 배로 신장시킨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가공사 DTY 85데니어/72필라멘트를 이태리 연사기에서 700T/M으로 연사하고 80℃로 열세팅하여 제조한 것을 경사에 바디 1인치당 l50본으로 사용하고, 4,000m/분으로 방사된 POY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85데니어/72필라멘트를 2 합하여 T100헤머 제트 텍스쳐링 머신을 사용하여 오버피드 20%, 텍스쳐링 스피드 400m/분, 에어 압력 7 bar, 습윤처리 1 ℓ/h, 스테빌라이징 익스텐션 4%로 가공한 가공사를 위사에 1인치당 타입 본수를 50본으로 하여 사틴조직으로 제직한 후 직기빔에 말려져 있는 생지상태로 릴렉서에 공급하여 80℃로 30분간 정련·축소하고, 텐터 공정에서 180℃에서 50초간 처리하는데 이때 오버피드를 8%로 한다. 그 다음 감량공정에서 15%로 감량을 하고 무장력 액류염색기에서 130℃에서 30분간 염색을 한다. 마지막 공정으로 화이날 세트를 175℃에서 50초간 처리하는데 이때에도 오버피드를 8%로 하여서 신축성직물을 제조한 후 경사줄 발생여부, 사절(경사) 발생여부, 위방향 접힘줄 발생여부, 치수안정도, 신축율, 신축회복율, 관능평가(직물표면의 소모조 효과)를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500T/M므로 연사하고 60℃에서 열세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신장율을 5배로 한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위사로 에어제트 텍스쳐드사를 사용한것 대신에 4,000m/분으로 방사된 POY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가공한 DTY 85데니어/72필라멘트를 2 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생지를 릴렉서에 공급할때에 직기빔에 말려져 있는 상태가 아니고 풀려져서 접혀진 상태로 릴렉서에 공급하고 90℃로 정련·축소한것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5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3배로 신장한 것을 심사로 하고 필라멘트 DTY를 커버링한 커버드사를 경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l과 동일하다.
비교예 6
위사로 에어제트 텍스쳐사를 사용한 것 대신에 탄성사를 3배로 신장하여 심사로 하고 필라멘트 가공사 DTY를 커버링한 커버드사를 위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l과 동일하다.
비교예 7
텐터 공정에서 오버피드를 2%로 하는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l과 동일하다.
비교예 8
무장력 액류염색기가 아닌 일반 염색기에서 염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 8로 제조한 신축성직물을 평가한 결과는 표와 같았다.
[표]
《평가 방법》
1. 경사줄 발생 여부 : 가공지 검단
2. 사절 발생 : 연사기에서 연사시 발생 여부 체크함
3. 치수안정성(위방향) : 릴렉서에서 정련,축소후 30m길이를
30cm간격으로 체크 함.
(위폭차가 1인치 이하이면 우수,
1 인치초과 2 인치미만이면 보통,
2 인치를 초과하면 불량)
4. 접힘 발생 여부(위방향) : 릴릭서에서 정련,축소후 확인(육안)
5. 신축율 : KSK 0508 5-7
6. 신축회복율 : KSK 0508 5-8
7. 관능평가 : 육안 판정(○:우수, △:보통, × :불량)
본발명으로 제조된 직물은 경방향으로 신축성이 우수하며, 위방향에 사용한 에어 제트 텍스쳐드사로 인해 소모조의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 본발명은 가공할 때 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탄성사와 이펙트사를 커버링방법이 아닌 일반 연사방법으로 제조하므로 생산성이 높다. 아울러 본발명은 직물표면에 경사줄이나 접힘등의 결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품질이 우수한 신축성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DTY를 600 ∼ 800T/M으로 합연한 합연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POY 폴리에스테르사를 2 합한 것을 습윤처리한 후 오버피드 10 ∼ 30%, 텍스쳐링 스피드 300 ∼ 600 m/분, 공기압력 5 ∼ 7 bar, 스테빌라이징 익스텐션 2 ∼ 6%의 조건으로 가공한 에어 제트 텍스쳐드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한 직물을 빔에 말려있는 상태로 릴렉서에 공급하여 75 ∼ 85℃의 은도로 정련, 축소시키고, 6 ∼ 10%의 오버피드하에서 텐터링하고, 감량, 염색, 열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안전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합연사 제조시에 폴리우레탄계 탄성사를 2.5 ∼ 3.5 배로 신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안전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무장력 액류염색기로 염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안전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70038188A 1997-08-11 1997-08-11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KR100457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188A KR100457678B1 (ko) 1997-08-11 1997-08-11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188A KR100457678B1 (ko) 1997-08-11 1997-08-11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8A KR19990015848A (ko) 1999-03-05
KR100457678B1 true KR100457678B1 (ko) 2005-06-16

Family

ID=3730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188A KR100457678B1 (ko) 1997-08-11 1997-08-11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37B1 (ko) * 2017-12-04 2019-04-16 (주)유영산업 신발 갑피용 원단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558B1 (ko) * 1999-09-01 2002-04-17 김윤 착용감이 우수한 소모조직물의 제조 방법
KR100618470B1 (ko) * 2005-09-07 2006-09-05 주식회사 새 한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투웨이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69060B1 (ko) *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신발 갑피용 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560A (ja) * 1991-04-11 1994-04-05 Kuraray Co Ltd 伸縮性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40011319A (ko) * 1992-11-13 1994-06-20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크린룸용 반송설비
JPH08325931A (ja) * 1995-06-02 1996-12-10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セルロース/スパンデックス混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43557A (ko) * 1995-12-05 1997-07-26 박홍기 심색효과가 우수한 소모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560A (ja) * 1991-04-11 1994-04-05 Kuraray Co Ltd 伸縮性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40011319A (ko) * 1992-11-13 1994-06-20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크린룸용 반송설비
JPH08325931A (ja) * 1995-06-02 1996-12-10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セルロース/スパンデックス混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43557A (ko) * 1995-12-05 1997-07-26 박홍기 심색효과가 우수한 소모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37B1 (ko) * 2017-12-04 2019-04-16 (주)유영산업 신발 갑피용 원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8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678B1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모조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JP4497648B2 (ja) 複合弾性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5542B1 (ko) 이수축혼섬사및그직물의제조방법
KR100199155B1 (ko) 반발탄력성이 우수한 소모조의 이수축혼섬직물 제조방법
KR100490563B1 (ko) 신축성이우수한직물의제조방법
JP4418281B2 (ja) ポリアミド混繊糸及び織編物
JP2000248425A (ja) 高収縮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KR100231193B1 (ko) 심색성이 우수한 소모조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직, 편물의 제조방법
KR100260385B1 (ko) 경량보온성 폴리아미드계 직물의 제조방법
JP3449839B2 (ja) ポリエステル太細混繊糸の製造法
JPS6321968A (ja) 鬼シボ調ポリエステル系織物の製造方法
JPH0379471B2 (ko)
KR100232728B1 (ko) 나일론 마이크로 화이버 고신축 편물의 제조방법
JPS63270858A (ja) 野蚕調ポリエステル系織物の製造方法
JP4530862B2 (ja) 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JP2003193351A (ja) ポリアミド織物
JP4531961B2 (ja) 濃淡柄混在用の織編物
KR910002286B1 (ko) 폴리아미드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KR920010291B1 (ko) 폴리에스터 가공사의 제조방법
KR920010285B1 (ko) 폴리에스테르 가공사의 제조방법
JPH11181638A (ja) ポリアミド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3113550A (ja) 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4027373A (ja) 繊維構造物
JP2003183947A (ja) 裏 地
JPS636156A (ja) 野蚕調ポリエステル系織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