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780B1 -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780B1
KR100455780B1 KR10-2002-0040413A KR20020040413A KR100455780B1 KR 100455780 B1 KR100455780 B1 KR 100455780B1 KR 20020040413 A KR20020040413 A KR 20020040413A KR 100455780 B1 KR100455780 B1 KR 10045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switching element
turn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826A (ko
Inventor
이장혁
이경탁
윤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02-004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7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1Functional circuits, e.g. logic, sequencing, interlocking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절환하는 릴레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서지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릴레이 구동부내에 포함되어 있는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소자 보호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RELAY}
본 발명은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절환하는 릴레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밧데리와 각 부하 사이에 릴레이를 설치하여 차량 내부의 각 장치 예를 들면, 에어콘디셔너, 카오디오, 램프 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있다. 릴레이 구동회로는 원칩화/소형화 추세에 따라 집적회로로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릴레이 구동회로는 전원의 온/오프시 또는 부하변동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서지전압으로 인가되는 경우에 출력신호가 서지전압/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내부 소자들의 오픈 또는 쇼트에 의해 릴레이 구동회로가 파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구동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내부 소자들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자 보호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레귤레이터 32,40 : 발진기
33,35 : 연산증폭기 34 : 릴레이
36 : 온도보상회로 42 : 소자보호부
37 : 원칩으로 집적된 릴레이 구동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서지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릴레이 구동부내에 포함되어 있는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소자 보호부를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가변 기준전압과 삼각파를 비교하고, 가변 기준전압보다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와;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출력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제 1스위칭소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전압원과 릴레이 사이에 접속되어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외부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을 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스위칭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소자 보호부는 제 1스위칭소자와 제 2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되어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는 제 3스위칭소자와, 외부전압원과 제 3스위칭소자 사이의 베이스단자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저항과, 기저전압원과 제 3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되어 외부전압원으로부터 서지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제 1스위칭소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와, 제 3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2저항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 및 구형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릴레이의 쇼트시에 릴레이에 공급되는 릴레이 구동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구동신호 차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가변 기준전압과 삼각파를 비교하고, 가변 기준전압보다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와;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출력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제 1스위칭소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전압원과 릴레이 사이에 접속되어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외부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을 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스위칭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발진기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발진기로부터 구형파의 하이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3스위칭소자와;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자, 제 3스위칭소자 및 제 2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됨과 아울러 릴레이가 쇼트되었을 때 턴-온되어 연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제 3스위칭소자를 경유하여 기저전압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4스위칭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릴레이의 쇼트시에 가변기준전압의 전압값을 높이기 위한 소자 보호부를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가변 기준전압과 삼각파를 비교하고, 가변 기준전압보다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와;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출력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제 1스위칭소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전압원과 릴레이 사이에 접속되어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외부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을 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스위칭소자와; 외부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소자보호부는 제 2스위칭소자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릴레이의 쇼트시에 턴-온되는 제 3스위칭소자와, 기준전압 발생기와 제 3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되어 제 3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레귤레이터의 전압을 기준전압 발생기로 공급하여 가변기준전압의 전압값을 높이기 위한 제 4스위칭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 3스위칭소자 및 제 4스위칭소자가 릴레이의 쇼트되지 않을경우 항상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전압원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분압저항들 사이에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이미터단자가 기저전압원에 접속되는 제 5스위칭소자와; 제 5스위칭소자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컬렉터단자 및 베이스단자가 접속됨과아울러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레귤레이터에 접속된 제 6스위칭소자와; 제 6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레귤레이터에 접속됨과 아울러 자신의 컬렉터단자가 제 3스위칭소자의 이미터단자 및 제 4스위치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제 7스위칭소자와; 제 3스위칭소자의 이미터단자와 제 7스위칭소자의 컬렉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와 접속되어 밧데리로부터 전압(Vbat)이 공급되는 레귤레이터(31)와, 레귤레이터(31)로부터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온도보상회로(36)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 연산 증폭기(35)와, 외부전원(Vbat)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저항(R1,R2)과, 제1 연산 증폭기(35)의 출력단자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된 발진기(32)와, 입력단자가 제1 및 제2 저항(R1,R2) 사이의 제3 노드(n3)와 발진기(3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2 연산 증폭기(33)와, 제2 연산 증폭기(33)의 출력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와,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에자신의 이미터단자가 접속된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와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외부전원(Vbat) 사이에 설치된 제 100저항(R100)과,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설치된 제너 다이오드(D2)와,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02저항(R102)을 구비한다.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의 외부에는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pnp형 트랜지스터(Q2)(파워 트랜지스터로 이용된다)가 설치된다.
레귤레이터(31)는 제3 저항(R3)과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밧데리에 접속된다. 이 레귤레이터(31)는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Vbat)의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제한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에 공급한다. 온도보상회로(36)와 제1 연산 증폭기(35)는 주위 온도를 감지하여 발진기(32)와 제2 연산 증폭기(33)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저항(R1,R2)은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전압(Vbat)을 분압하여 제2 연산 증폭기(33)의 기준전압을 발생하고, 그 기준전압을 제3 노드(n3)를 통하여 제2 연산 증폭기(33)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3 노드(n3) 상의 기준전압은 제1 노드(n1) 상의 전압(Vbat)이 변동하는 경우 즉, 서지전압이 발생할 때 그 전압레벨변화에 비례하여 그 전압레벨이 증가한다.
발진기(32)는 일정한 주파수의 삼각파를 제2 연산 증폭기(3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2 연산 증폭기(33)는 발진기(32)로부터의 삼각파와 제3노드(n3)로부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보다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는 제2 연산 증폭기(33)로부터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가 베이스단자에 인가될 때마다 턴-온(Turn-on)되어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제4 노드(n4) 상의 전압을 기저전압원(GND)으로 방전시키게 된다.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제 100저항(R100)과 제 102저항(R102)의 전압 분압에 의해 턴-온된다. 따라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제 4노드(n4) 상의 전압이 pnp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로 인가된다. 즉,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항상 턴-온되기 때문에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pnp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기저전압(GND)이 공급된다.
pnp형 트랜지스터(Q2)는 자신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자신의 문턱전압보다 작을 때 턴-온되어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입력전압(Vbat)을 릴레이(34)에 공급하게 된다. 즉, pnp형 트랜지스터(Q2)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입력전압(Vabt)을 릴레이(34)에 공급한다.
릴레이(34)는 pnp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에어콘디셔터, 카오디오 등의 차량용 주변장치에 자신의 두 출력단자(TA,TB)가 접속되어 pnp형 트랜지스터(Q2)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값 이상일 때 턴-온되어 두 출력단자(TA,TB)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키게 된다. 이 릴레이(34)는 pnp형 트랜지스터(Q2)로부터 입력되는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주파수가 일정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원칩(37)으로 집적된다.
온도보상회로(36)는 제 5노드(n5)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5 및 제 6저항(R5,R6)과, 제 5 및 제 6저항(R5,R6)과 병렬로 접속된 제 7저항(R7) 및 서미스터(Thermistor)(THR)와, 제6 노드(n6)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제9 저항(R9)과, 제6 노드(n6)와 제7 노드(n7)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1)를 구비한다.
제5 및 제6 저항(R5,R6)은 제5 노드(n5)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레귤레이터(31)의 출력전압을 분압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의 기준전압을 발생하고, 그 기준전압을 제6 노드(n6)를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의 비반전단자에 공급한다. 제7 저항(R7)과 서미스터(THR)는 제5 노드(n5)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레귤레이터(31)의 출력전압을 분압하고, 그 분압전압을 제7 노드(n7)를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제1 연산 증폭기(35)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은 서미스터(THR)의 저항값에 따라 변화게 된다. 다시 말하여, 서미스터(THR)의 저항값이 주위 온도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제 1연산 증폭기(35)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은 주위 온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7 저항(R7)과 서미스터(THR)는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9 저항(R9)은 제1 연산 증폭기(35)의 입력과 출력의 히스테리시스특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용 에어콘디셔너에 접속된 릴레이(34)를 구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콘디셔너의 동작시, 상온에서는 제1 연산 증폭기(35)의 비반전 입력이 반전입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연산 증폭기(35)의 출력이 하이논리가 되어 제2 연산 증폭기(33)가 정상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온에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와 pnp형 트랜지스터(Q2)가 펄스폭변조방식(PWM)으로 제어되어 온/오프를 반복함으로써 릴레이(34)가 구동될 수 있는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 전류에 의해 에어콘디셔너의 전원라인인 출력단자(TA,TB)가 쇼트되어 에어콘디셔너가 정상동작하게 된다.
빙점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에어콘디셔너의 증발기(Evaporator)의 온도가 하강하여 빙점이 형성되면, 에어콘디셔너의 실내유입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증발기에 부착된 네가티브 온도센서(Negative Temperatuer Senser)의 서미스터(THR)의 저항이 증가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의 반전전압이 상승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의 출력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연산 증폭기(33)와 발진기(32)가 동작하지 않게되므로 릴레이(34)는 턴-오프되고, 에어컨디셔너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 2연산증폭기(33)의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기준전압레벨이 증가된다. 그러면 제 2연산증폭기(33)는 기준전압의 서지레벨이 서지전압에 따라 높아지는 만큼 하이 듀티(High duty)가 작은 구형파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입력되는 경우에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하이 듀티비를 줄임으로써 출력단의 pnp 트랜지스터(Q2)의 소모전력을 낮추게 된다.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최소 하이 듀티와 주파수는 릴레이(34)가 쇼트를 유지할 수 있는 하이 듀티와 주파수이다.
한편,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인가시 제너 다이오드(D2)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4노드(n4) 상에는 제너 다이오드(D2)에 인가되는 전압과 거의 같은 전압(실제적으로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문턱전압을 제한 나머지 전압이 제 4노드(n4) 상에 인가된다)이 인가된다. 이때, 제너 다이오드(D2)의 전압은 40V 에서 100V 사이가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서지전압 인가시에도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에 100V 이상이 전압이 인가되고 않고, 따라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제 1npn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이 100V 일 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에서는 릴레이(34)가 쇼트될 때 pnp 트랜지스터(Q2)로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다시 말하여, 릴레이(34)가 턴-온될 때 pnp 트랜지스터(Q2)로 암페어(A) 단위의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2)가 파괴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pnp 트랜지스터(Q2)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제안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소자들은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할당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와 접속되어 밧데리로부터 전압(Vbat)이 공급되는 레귤레이터(31)와, 레귤레이터(31)로부터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온도보상회로(36)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 연산 증폭기(35)와, 외부전원(Vbat)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저항(R1,R2)과, 제1 연산 증폭기(35)의 출력단자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된 발진기(40)와, 입력단자가 제1 및 제2 저항(R1,R2) 사이의 제3 노드(n3)와 발진기(4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2 연산 증폭기(33)와, 제2 연산 증폭기(33)의 출력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와, 발진기(40)의 출력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와,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컬렉터단자가 접속된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와,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접속된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와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외부전원(Vbat) 사이에 설치된 제 100저항(R100)과,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설치된 제너 다이오드(D2)와,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02저항(R102)을 구비한다.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의 외부에는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파워 트랜지스터로 이용된다)가 설치된다.
레귤레이터(31)는 제3 저항(R3)과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밧데리에 접속된다. 이 레귤레이터(31)는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Vbat)의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제한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에 공급한다. 온도보상회로(36)와 제1 연산 증폭기(35)는 주위 온도를 감지하여 발진기(40)와 제2 연산 증폭기(33)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저항(R1,R2)은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전압(Vbat)을 분압하여 제2 연산 증폭기(33)의 기준전압을 발생하고, 그 기준전압을 제3 노드(n3)를 통하여 제2 연산 증폭기(33)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3 노드(n3) 상의 기준전압은 제1 노드(n1) 상의 전압(Vbat)이 변동하는 경우 즉, 서지전압이 발생할 때 그 전압레벨변화에 비례하여 그 전압레벨이 증가한다.
발진기(40)는 일정한 주파수의 삼각파를 제2 연산 증폭기(3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또한, 발진기(40)는 일정한 주기의 구형파 펄스를 제 2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로 공급한다. (여기서, 삼각파 및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기 위하여 발진기가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33)는 발진기(40)로부터의 삼각파와 제3 노드(n3)로부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보다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는 제2 연산 증폭기(33)로부터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가 베이스단자에 인가될 때마다 턴-온(Turn-on)되어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제4 노드 상의 전압을 기저전압원(GND)으로 방전시키게 된다.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제 100저항(R100)과 제 102저항(R102)의 전압 분압에 의해 턴-온된다. 따라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제 4노드(n4) 상의 전압이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로 인가된다. 즉,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항상 턴-온되기 때문에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기저전압(GND)이 공급된다.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는 자신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자신의 문턱전압보다 작을 때 턴-온되어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입력전압(Vbat)을 릴레이(34)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입력전압(Vabt)을 릴레이(34)에 공급한다.
릴레이(34)는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에어콘디셔터, 카오디오 등의 차량용 주변장치에 자신의 두 출력단자(TA,TB)가 접속되어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값 이상일 때 턴-온되어 두 출력단자(TA,TB)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키게 된다. 이 릴레이(34)는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로부터 입력되는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주파수가 일정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는 발진기(40)로부터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가 베이스단자에 인가될 때마다 턴-온되어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제 2pnp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자를 기저전압원(GND)에 접속시킨다.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릴레이(34)가 정상동작 상태일 때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는 문턱전압을 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릴레이(34)가 쇼트상태일 때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에는 대략 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면 제 2연산증폭기(33)의 출력단자가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가 턴-온상태라면 제 2연산증폭기(33)의 출력단자가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된다. 이때,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가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 및 제 1pnp 트랜지스터(Q2)가 순차적으로 턴-오프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릴레이(34)의 쇼트시에 제 2연산증폭기(33)의 출력단을 기저전압원(GND)에 접속시킴으로써 제 1pnp 트랜지스터(Q2)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 2연산증폭기(33)의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기준전압레벨을 증가시켜 하이 듀티(High duty)가 작은 구형파를 제 1npn 트랜지스터(Q1)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형파의 하이 듀티(High duty)를 줄임으로써 제 1pnp 트랜지스터(Q2)의 전력소모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 등에 의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소자들은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할당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와 접속되어 밧데리로부터 전압(Vbat)이 공급되는 레귤레이터(31)와, 레귤레이터(31)로부터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온도보상회로(36)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 연산 증폭기(35)와, 외부전원(Vbat)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저항(R1,R2)과, 제1 연산 증폭기(35)의 출력단자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된 발진기(32)와, 입력단자가 제1 및 제2 저항(R1,R2) 사이의 제3 노드(n3)와 발진기(3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2 연산 증폭기(33)와, 제2 연산 증폭기(33)의 출력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와,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접속된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와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외부전원(Vbat) 사이에 설치된 제 100저항(R100)과,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설치된 제너 다이오드(D2)와,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02저항(R102)과, 외부전원(Vbat)과 제 3노드(n3) 사이에 접속된 소자 보호부(42)를 구비한다.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의 외부에는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파워 트랜지스터로 이용된다)가 설치된다.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는 소자 보호부(42)에 접속된다.
레귤레이터(31)는 제3 저항(R3)과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밧데리에 접속된다. 이 레귤레이터(31)는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Vbat)의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제한하여 제1 연산 증폭기(35)에 공급한다. 온도보상회로(36)와 제1 연산 증폭기(35)는 주위 온도를 감지하여 발진기(32)와 제2 연산 증폭기(33)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저항(R1,R2)은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전압(Vbat)을 분압하여 제2 연산 증폭기(33)의 기준전압을 발생하고, 그 기준전압을 제3 노드(n3)를 통하여 제2 연산 증폭기(33)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3 노드(n3) 상의 기준전압은 제1 노드(n1) 상의 전압(Vbat)이 변동하는 경우 즉, 서지전압이 발생할 때 그 전압레벨변화에 비례하여 그 전압레벨이 증가한다.
발진기(32)는 일정한 주파수의 삼각파를 제2 연산 증폭기(3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2 연산 증폭기(33)는 발진기(32)로부터의 삼각파와 제3 노드(n3)로부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보다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는 제2 연산 증폭기(33)로부터 하이논리의 구형파 펄스가 베이스단자에 인가될 때마다 턴-온(Turn-on)되어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제4 노드 상의 전압을 기저전압원(GND)으로 방전시키게 된다.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제 100저항(R100)과 제 102저항(R102)의 전압 분압에 의해 턴-온된다. 따라서,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제 4노드(n4) 상의 전압이 pnp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로 인가된다. 즉, 제 100npn형 트랜지스터(Q100)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항상 턴-온되기 때문에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pnp형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기저전압(GND)이 공급된다.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는 자신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자신의 문턱전압보다 작을 때 턴-온되어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켜 입력전압(Vbat)을 릴레이(34)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는 제 1npn형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입력전압(Vabt)을 릴레이(34)에 공급한다.
릴레이(34)는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에어콘디셔터, 카오디오 등의 차량용 주변장치에 자신의 두 출력단자(TA,TB)가 접속되어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값 이상일 때 턴-온되어 두 출력단자(TA,TB)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키게 된다. 이 릴레이(34)는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로부터 입력되는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주파수가 일정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소자 보호부(42)는 릴레이(34)가 쇼트되었을 때 제 3노드(n3) 상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제 3노드(n3) 상의 전압이 증가되면 제 2연산증폭기(33)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의 하이 듀티비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소모전력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릴레이(34) 쇼트시에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자 보호부(42)는 도 4와 같이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자 보호부(42)는 입력전압(Vabt)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0저항(R10) 및 제 11저항(R11)과, 제 10저항(R10) 및 제 11저항(R11) 사이의 제 10노드(n10)에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와,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컬렉터단자 및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와,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3pnp형 트랜지스터(Q5)와, 제 3pnp형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와,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자에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접속된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와,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와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 사이에 설치되는 제 12저항(R12)을 구비한다.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단자는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된다.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자와 베이스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 제 3pnp형 트랜지스터(Q5) 및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의 이미터단자는 레귤레이터(31)에 접속된다.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자는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접속된다.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자와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 사이에는 제 13저항(R13)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소자 보호부(42)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릴레이(34)가 쇼트되지 않았을 때(릴레이(34)의 정상동작시에)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자에는 소정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는 문턱전압을 넘지못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렐레이(34)가 쇼트되었을 때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자에는 대략 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는 문턱전압 이상이 되어 턴-온된다.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가 턴-온되면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자가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된다.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면 레귤레이터(31)의 출력전압이 제 3노드(n3)에 인가된다. 즉, 제 2연산증폭기(33)의 반전입력단에 공급되는 전압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연산증폭기(33)의 반전입력단에 공급되는 전압값이 증가하면(즉, 제 2연산증폭기(33)의 기준전압값이 증가하게 되면) 제 2연산증폭기(33)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하이 듀티(High duty)가 줄어들어 제 1pnp 트랜지스터(Q2)의 전력소모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34)의 쇼트시에도 제 1pnp형 트랜지스터(Q2)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를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입력되지 않을 때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는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하여, 제 10노드(n10)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의 문턱전압을 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면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 및 제 3pnp형 트랜지스터(Q5)도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 및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도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입력되었을 때 제 10노드(n10)의 전압이 증가하여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 다시 말하여, 제 2npn형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및 컬렉터단자가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 이때, 제 2pnp형 트랜지스터(Q4)와 커런트 미러 형태로 접속된 제 3pnp형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된다. 제 3pnp형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제 12저항(R12)에 레귤레이터(31) 출력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의 이미터 및 베이스단자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하여,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및 서지전류가 입력되었을 때 제 5pnp형 트랜지스터(Q7)의 턴-온/턴-오프 여부에 관계없이 제 4pnp형 트랜지스터(Q6)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서지전압 및 서지전류가 입력되면 제 3노드점(n3)의 전압이 증가하여 제 2연상증폭기(33)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듀티비가 낮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서진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입력되는 경우와 릴레이(34)가 쇼트되는 경우에 제 2연산증폭기(33)의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기준전압레벨이 증가된다. 그러면 제 2연산증폭기(33)는 기준전압의 서지레벨이 서지전압에 따라 높아지는 만큼 하이 듀티(High duty)가 작은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2)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하이듀티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입력되는 경우와 릴레이가 쇼트되는 경우에 릴레이 구동 출력신호의 하이 듀티비를 줄임으로써 출력단의 pnp 트랜지스터(Q2)의 소모전력을 낮추고, 이에 따라 출력단 pnp 트랜지스터(Q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에 의하면 서지전압을 감지하고, 그 서지전압에 따라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신호의 하이 듀티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서지전압 또는 서지전류가 공급될 때 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서지전압 인가시 제너 다이오드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 작은 전압이 트랜지스터에 인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릴레이의 쇼트시에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신호의 발생을 중단하거나, 출력신호의 하이 듀티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는 릴레이의 쇼트시에 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상기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상기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서지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릴레이 구동부내에 포함되어 있는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소자 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가변 기준전압과 상기 삼각파를 비교하고, 상기 가변 기준전압보다 상기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스위칭소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전압원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접속되어 상기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상기 외부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보호부는 상기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2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는 제 3스위칭소자와,
    상기 외부전압원과 상기 제 3스위칭소자 사이의 베이스단자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저항과,
    상기 기저전압원과 상기 제 3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전압원으로부터 서지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 1스위칭소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제 3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2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4.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상기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 및 구형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상기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릴레이의 쇼트시에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는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구동신호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가변 기준전압과 상기 삼각파를 비교하고, 상기 가변 기준전압보다 상기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스위칭소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전압원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상기 외부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발진기로부터 구형파의 하이신호가 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3스위칭소자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자, 상기 제 3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 2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릴레이가 쇼트되었을 때 턴-온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출력신호를 상기 제 3스위칭소자를 경유하여 상기 기저전압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4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7.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압원과,
    상기 전압원에 따라 발진하여 삼각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상기 구동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가변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와,
    주변장치의 전원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가변기준전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릴레이의 쇼트시에 상기 가변기준전압의 전압값을 높이기 위한 소자 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가변 기준전압과 상기 삼각파를 비교하고, 상기 가변 기준전압보다 상기 삼각파의 전압레벨이 큰 기간에 하이논리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신호가입력될 때 턴-온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스위칭소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전압원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 1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상기 외부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스위칭소자와;
    상기 외부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보호부는 상기 제 2스위칭소자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의 쇼트시에 턴-온되는 제 3스위칭소자와,
    상기 기준전압 발생기와 상기 제 3스위칭소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 3스위칭소자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의 전압을 상기 기준전압 발생기로 공급하여 상기 가변기준전압의 전압값을 높이기 위한 제 4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스위칭소자 및 제 4스위칭소자가 상기 릴레이의 쇼트되지 않을경우 항상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전압원과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분압저항들 사이에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이미터단자가 기저전압원에 접속되는 제 5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5스위칭소자의 컬렉터단자에 자신의 컬렉터단자 및 베이스단자가 접속됨과 아울러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레귤레이터에 접속된 제 6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6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자에 자신의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자신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레귤레이터에 접속됨과 아울러 자신의 컬렉터단자가 상기 제 3스위칭소자의 이미터단자 및 제 4스위치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제 7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3스위칭소자의 이미터단자와 상기 제 7스위칭소자의 컬렉터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KR10-2002-0040413A 2002-07-11 2002-07-11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KR10045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413A KR100455780B1 (ko) 2002-07-11 2002-07-11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413A KR100455780B1 (ko) 2002-07-11 2002-07-11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826A KR20040007826A (ko) 2004-01-28
KR100455780B1 true KR100455780B1 (ko) 2004-11-06

Family

ID=3731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413A KR100455780B1 (ko) 2002-07-11 2002-07-11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7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809U (ko) * 1993-11-15 1995-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회로
KR970005992A (ko) * 1995-07-28 1997-02-19 김태구 와이퍼의 속도 조절 장치
KR980009844U (ko) * 1996-07-15 1998-04-30 이대원 로봇용 밧데리의 전압 감시 회로
JPH114890A (ja) * 1997-06-16 1999-01-12 Hiroshi Usui 点滴終了報知器
KR20010003625A (ko) * 1999-06-24 2001-01-15 심대민 자동식 소화기용 릴레이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030073633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 케이이씨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809U (ko) * 1993-11-15 1995-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회로
KR970005992A (ko) * 1995-07-28 1997-02-19 김태구 와이퍼의 속도 조절 장치
KR980009844U (ko) * 1996-07-15 1998-04-30 이대원 로봇용 밧데리의 전압 감시 회로
JPH114890A (ja) * 1997-06-16 1999-01-12 Hiroshi Usui 点滴終了報知器
KR20010003625A (ko) * 1999-06-24 2001-01-15 심대민 자동식 소화기용 릴레이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030073633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 케이이씨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826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276A (en) High-side-driver gate drive circuit
US6885225B2 (en) Drive circuit
KR100292903B1 (ko) 레귤레이터내장반도체집적회로
KR100720747B1 (ko) 부트스트랩 커패시터 리프레쉬 회로
US20190245534A1 (en) Gate driver circuit of power transistor, and motor driver circuit
JP3633522B2 (ja) 負荷駆動回路
JP4229656B2 (ja) 電流制限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出力回路
WO2005091358A1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479570B2 (ja) 保護機能付きスイッチング回路および保護回路
KR100455780B1 (ko)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JP2003078361A (ja) 電源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0436971B1 (ko)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방법
WO2006093204A1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17073657A (ja) 誤出力防止回路
JP2001308688A (ja) 出力回路
JP3561064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20040017168A1 (en) Motor driving device for supplying driving current to a three-phase motor through output transistors
US4400756A (en) Inductive load driver protection circuits having minimal power dissipation
JP2008016365A (ja) 放電管点灯装置
JP2682699B2 (ja) 駆動回路
JPH11307850A (ja)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JP2000297732A (ja) イグナイタ制御装置
KR101055016B1 (ko) 보호 회로
JP7257164B2 (ja) クランプ回路
JPH01255471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とランプ点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