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894B1 -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894B1
KR100453894B1 KR10-2001-0072003A KR20010072003A KR100453894B1 KR 100453894 B1 KR100453894 B1 KR 100453894B1 KR 20010072003 A KR20010072003 A KR 20010072003A KR 100453894 B1 KR100453894 B1 KR 10045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rocessing
curved surface
curved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290A (ko
Inventor
유명숙
Original Assignee
유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숙 filed Critical 유명숙
Priority to KR10-2001-007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8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현장이나 가구공장등에서 필요로로 하는 목재의 곡면 가공을 안전하고 신속하면서 편리하게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진공홀을 상부에 뚫은 진공쳄버를 호스로 진공콤푸레셔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목재의 곡면 가공을 위해 일정 곡률과 길이로 형성되어 교환 가능하게 수직자세로 체결되는 곡면가공지그와,
상기 곡면가공지그를 이동하여 목재의 표면을 커팅하여 곡면으로 가공하게 되는 커터부와,
상기 커터부의 왕복운동, 동력 전달, 가공목재의 고정을 도모하게 테이블 상부의 프레임에 배치되어 레일을 이동하게 설치된 이동구동부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모터 동력에 의한 이동구동부의 전,후진과 진공콤푸레셔를 제어 구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APPARATUS FOR FORMING A ROUND SURFACE OF WOOD}
본 발명은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현장이나 가구공장에서 목재 표면의 곡면 가공시 곡면 가공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이나 가구공장에서 목재의 표면을 곡면 가공하고자 할때 각각의 목재를 대패작업이나 사포작업으로 표면을 곡면 가공한 후 부착 또는 조립하여 제작하고 있다.
또는 합판이나 목판을 프레스 등으로 가열 가압하여 곡면 가공을 하고 있으며, 이를 건축현장이나, 가구제작시 적용하여 실내 장식이나 가구의 면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목재의 곡면 가공은 공정이 복잡하고 장시간의 가공시간을 필요로 하는 등 가공에 따른 고비용의 발생으로 원가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구나 건축현장에서 소요되는 목재의 곡면 가공시 제대로 질감을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재료와 정성을 들여야 하는 등 많은 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 상승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현장이나 가구공장등에서 필요로로 하는 목재의 곡면 가공을 안전하고 신속하면서 편리하게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홀을 상부에 뚫은 진공쳄버를 호스로 진공콤푸레셔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목재의 곡면 가공을 위해 일정 곡률과 길이로 형성되어 교환 가능하게 수직자세로 체결되는 곡면가공지그와,
상기 곡면가공지그를 이동하여 목재의 표면을 커팅하여 곡면으로 가공하게 되는 커터부와,
상기 커터부의 왕복운동, 동력 전달, 가공목재의 고정을 도모하게 테이블 상부의 프레임에 배치되어 레일을 이동하게 설치된 이동구동부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모터 동력에 의한 이동구동부의 전,후진과 진공콤푸레셔를 제어 구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일측에 목재를 곡면 가공하고자 한 곡률을 형성한 곡면가공지그를 체결하고, 일측에 가공할 목재를 곡면가공지그에 맞춰 병렬로 배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박스의 전원스위치를 온시키면 구동하는 이동구동부가 전진하게 되고, 이동구동부에 연동하여 커터부도 곡면가공지그를 따라서 전진하게 된다.
상기 커터부가 곡면가공지그를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가공할 목재의 표면은 곡면가공지그와 같은 곡면으로 커팅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톱밥등은 테이블의 진공홀을 통해 진공쳄버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한곳에 모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터부에 의해 목재의 곡면 가공이 끝나면 이동구동부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후퇴하게 되며, 이 신호를 인식한 컨트롤박스에 의해 커터부는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후퇴하여 복귀하게 되므로서 가공장치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곡면가공지그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곡면가공지그를 적용시 A-A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의 커터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곡면가공지그가 체결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4:테이블
6:곡면가공지그 8:커터부
10:이동구동부 12:컨트롤박스
14:목재 16:진공홀
18:진공쳄버 20:진공호스
22:진공콤푸레셔 24:지지측판
26:제1구동모타 28:감속기
32:체결공 33:장착공
34:곡면부 35:직선부
36:커터날 38:커터축
40:커터커버 42:거동로드
44:가이드축 46:구동벨트
48:풀리 50:레일
52:프레임 54:롤러
56:이동부재 58:체인
60:힌지축 62:제2구동모터
64:베이스플레이트 66:액츄에이터
68:가압롤러 70:스프링프레셔
72,74:제1,2리미트스위치 76,77:감지로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곡면가공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곡면가공지그를 적용시 A-A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의 커터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에 곡면가공지그가 체결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2)는 테이블(4), 곡면가공지그(6), 커터부(8), 이동구동부(10), 컨트롤박스(1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테이블(4)은 가공목재(14)가 위치하는 상부 표면에 진공홀(16)을 뚫은 진공쳄버(18)를 형성하고 여기에 진공호스(20)로 진공콤푸레셔(22)와 연결 설치하여 목재의 곡면 가공시 발생하는 톱밥 등의 흡입과 수집을 도모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테이블(4)은 일측에 지지측판(24)을 형성하여 곡면가공지그(6)를 볼트로 체결하여 목재의 곡면을 여러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테이블(4)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12)에 의해 제어되는 제1구동모타(26)를 설치하여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여 감속기(28)를 작동하게 하고 있다.
곡면가공지그(6)는 수직자세로 지지측판(24)에 체결공(32)으로 체결되며 가공용도에 따라 일정 곡률로 곡면부(34)를 다수 형성하고 있으며, 또, 곡면부(34)간의 사이에 직선부(35)를 일정 길이 두어 다양하게 하여 형성할 수 있거나 곡면부(34)를 계속 연속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렇게 형성한 곡면가공지그(6)는 테이블(4)의 일측 지지측판(24)의 체결공(32)에 장착공(33)을 통해 체결되고 있다.
곡면가공지그(6)는 목재의 곡면 가공을 설계에 따라 곡면, 각을 갖는 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양산할 수 있게 구비되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곡면가공지그(6)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커터부(8)의 커터날(36) 외경의 대소에 따라 가공목재의 곡면 곡률을 조정할 수 있으며, 곡면 뿐 만 아니라 각을 갖는 형상도 가공 가능하다.
커터부(8)는 테이블(4)에 체결된 곡면가공지그(6)상을 이동하면서 목재(14)의 표면을 커팅하여 곡면으로 가공하게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커터부(8)는 자중이 작용하게 일정 중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정길이와 외경으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커터날(36)을 형성한 커터축(38)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커터축(38)의 외측에는 톱밥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커터커버(40)를 설치하고 있으며, 커터축(38)은 거동로드(42)로 양측이 연결되어 가공후 커터부(8)를 가공목재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복귀가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상기한 커터축(38)의 일측에는 곡면가공지그(6)를 따라 미끄러지거나 이동하게 가이드축(44)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일측에는 커터축(38)에 동력을 부여하게 구동벨트(46)로 연결되는 풀리(4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구동부(10)는 커터부(8)에 동력을 전달하면서 목재의 곡면가공과 복귀가 레일(50)상을 이동하여 이루어지게 테이블(4) 상부에 설치되고 있다.
이동구동부(10)는 테이블(4)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된 프레임(52)에 설치된 레일(50)상을 이동하게 롤러(54)를 설치한 이동부재(56)와, 이 이동부재(56)를 전,후진시키게 저면에 설치된 체인(58)과, 상기 이동부재(56)의 이동 거리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감속된 동력을 작용하게 감속기(28)에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56)의 양측에는 힌지축(60)으로 거동로드(42)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거동로드(42)하단에는 커터부(8)를, 상단은 제2구동모터(62)를 설치하여커터축(38)의 풀리(48)와 구동벨트(46)로 연결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62)를 탑재하면서 거동로드(42)의 상단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64)와, 이 베이스플레이트(64)에는 힌지축(6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컨트롤박스(12)의 제어에 의해 에어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66)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이동부재(56)에 하향으로 수직 설치되어 가공목재를 누르면서 이동하게 커터부(8)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전진 전면에 가압롤러(68)를 구비한 스프링프레셔(7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이동부재(56)의 전, 후 일측에는 전,후 이동을 제어하는 제1,2리미트스위치(72)(74)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1,2리미트스위치(72)(74)에 의한 이동거리를 세팅하게 프레임(52)의 좌,우 양측면에 조절 가능한 감지로드(77)(76)를 설치하고 있다.
컨트롤박스(12)는 제1구동모타(26), 이동구동부(10)의 제2구동모타(62), 진공콤푸레셔(22), 제1,2리미트스위치(72)(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고 있다.
컨트롤박스(12)는 목재의 곡면 가공장치(2)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 및 에어를 컨트롤하여 원할히 동작할 수 있게 통상의 기술로 제어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테이블(4)의 일측에 가공할 목재(14)의 곡률에 맞게 가공할 곡률이 형성된 곡면가공지그(6)를 체결하고, 일측에 가공할 목재를 곡면가공지그(6)와 배치한 후 컨트롤박스(12)를 수동조작하여 스프링프레셔(70)로 하여금 목재를 눌러 고정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박스(12)의 전원스위치를 온시키면 제1,2구동모터 (26)(62)가 구동하게 됨에 따라 이동구동부(10)가 감속기(28)에 연결되면서 이동부재(56)의 하단에 연결 설치된 체인(58)에 의해 프레임(52)상의 레일(50)을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구동부(10)의 이동부재(56) 하측에 거동로드(42)로 설치된 커터부(8)도 동시에 전진 이동하면서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62)를 통해 벨트(46)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커터축(38)이 회전하게 되면서 커터날(36)은 목재를 가공하게 된다.
이때 동시에 커터축(38)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축(44)이 곡면가공지그(6)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서 커터날(36)은 목재를 곡면으로 가공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상기 커터부(4)가 곡면가공지그(6)를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가공할 목재의 표면은 곡면가공지그(6)와 같은 곡면으로 커팅하게 되는데, 이는 다양하게 곡면가공지그(6)를 구비하면 여기에 맞춰 목재를 곡면으로 가공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톱밥등은 테이블(4)상에 다양한 크기로 뚫린 진공홀(16)을 통해 진공쳄버(18)로 흡입되고, 진공콤푸레셔(2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한곳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터부(8)에 의해 목재의 곡면 가공이 끝나면 커터부(8)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설치된 이동구동부(10)의 이동부재(56)의 전진측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74)가 감지로드(76)에 접촉하면서 이를 감지한 컨트롤박스(12)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1구동모터(26)가 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발생한 역회전력은 감속기(28)를 통해 체인(58)에 전달되어 이동부재(56)를 후퇴시키게 된다.
상기한 이동부재(56)가 레일(50)을 통해 이동하게 되면 후진측의 리미트스위치(72)가 좌측에 설치된 감지로드(77)와 접촉하며 이를 인지한 컨트롤박스(12)에 의해 멈추게 되어 다음 목재 가공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한 이동부재(56)의 후퇴시 컨트롤박스(12)의 신호로 공급받는 에어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66)가 베이스플레이트(64)를 밀어 거동로드(42)로 하여금 커터부(8)를 목재상에서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후퇴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목재의 곡면을 가공을 곡면가공지그를 이용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곡면가공지그를 여러 형태로 다양화할 수 있어 여기에 맞는 곡면으로 목재를 가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목재의 곡면 가공시 작업자가 힘들게 작업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목재 곡면 가공시 발생하는 톱밥등을 테이블의 진공홀을 통해 진공쳄버로 간단하게 흡입하여 모으게 되므로서 가공작업에 방해를 주지않으면서 정밀한 곡면 가공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목재의 곡면 가공이 곡면가공지그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동일 형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목재가공산업, 가구산업, 인테리어 산업등에 기여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진공홀(16)을 상부에 뚫은 진공쳄버(18)를 진공호스(20)로 진공콤푸레셔(22)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테이블(4)과,
    상기 테이블(4)의 일측에 목재(14)의 곡면 가공을 위해 일정 곡률과 각을 갖는 각도로 다양하게 형성되면서 교환 가능하게 수직자세로 체결되는 곡면가공지그(6)와,
    상기 곡면가공지그(6)를 이동하면서 목재(14)의 표면을 커팅하여 곡면으로 가공하게 테이블(4)상에 커터커버(40)로 보호되게 배치 설치되는 커터부(8)와,
    상기 커터부(8)가 테이블(4) 상에서 왕복운동하게 프레임(52)의 레일(50)상에 제1구동모터(26)와 감속기(28)를 통해 체인(58)으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재(56)를 설치하고, 이동부재(56)의 베이스플레이트(64)를 푸쉬하는 액츄에이터(66)를 설치하여 리턴시 커터부(8)를 회동시키게 설치된 거동로드(42) 및 구동벨트(46)에 의해 풀리(48)를 통해 커터부(8)에 동력을 전달하게 설치된 제2구동모터(62)로 구성되는 이동구동부(10)와,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모터 동력에 의한 이동구동부(10)의 전,후진과 진공콤푸레셔(22)를 제어 구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박스(1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KR10-2001-0072003A 2001-11-19 2001-11-19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KR10045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003A KR100453894B1 (ko) 2001-11-19 2001-11-19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003A KR100453894B1 (ko) 2001-11-19 2001-11-19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90A KR20030041290A (ko) 2003-05-27
KR100453894B1 true KR100453894B1 (ko) 2004-10-26

Family

ID=2957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003A KR100453894B1 (ko) 2001-11-19 2001-11-19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60B1 (ko) * 2018-06-29 2019-02-14 김상수 작업 효율과 절단 정밀도가 개선된 목재 절단장치
KR101949221B1 (ko) * 2018-06-29 2019-02-18 김상수 생산성과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목질 판재 가공장치
KR102011106B1 (ko) * 2018-12-03 2019-10-21 박희삼 엠디에프 패널 절단장치
CN112077948A (zh) * 2020-09-02 2020-12-15 衡东振好木制品有限公司 一种台式木材切割装置的安全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35Y1 (ko) * 2009-07-08 2009-10-28 한덕진 목자재 대패장치
KR101444649B1 (ko) * 2013-07-17 2014-09-26 임성수 목재가공 지그
CN105751319B (zh) * 2016-03-29 2018-05-11 南通江海港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矩形木板自动截割装置
KR102295073B1 (ko) 2019-10-29 2021-08-27 (유)명진테크 자동 사면 대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670Y1 (ko) * 1988-01-29 1990-05-25 금양무역상사 주식회사 칼갈이 기구
KR950013668A (ko) * 1993-11-02 1995-06-15 김장진 석재용 곡면 절단장치
KR20000014819A (ko) * 1998-08-25 2000-03-15 박성수 판재의 곡면변부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670Y1 (ko) * 1988-01-29 1990-05-25 금양무역상사 주식회사 칼갈이 기구
KR950013668A (ko) * 1993-11-02 1995-06-15 김장진 석재용 곡면 절단장치
KR20000014819A (ko) * 1998-08-25 2000-03-15 박성수 판재의 곡면변부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60B1 (ko) * 2018-06-29 2019-02-14 김상수 작업 효율과 절단 정밀도가 개선된 목재 절단장치
KR101949221B1 (ko) * 2018-06-29 2019-02-18 김상수 생산성과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목질 판재 가공장치
KR102011106B1 (ko) * 2018-12-03 2019-10-21 박희삼 엠디에프 패널 절단장치
CN112077948A (zh) * 2020-09-02 2020-12-15 衡东振好木制品有限公司 一种台式木材切割装置的安全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90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7335B (zh) 一种全自动锯片切割机
EP0690029A1 (en) Glass plate cutting device
KR100453894B1 (ko)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US20020043145A1 (en) Device for cutting large-format tiles
CN109352728A (zh) 一种保险杠的冲孔机
CN112196279A (zh) 一种建筑室内装饰用幕墙干挂石材施工设备及施工工艺
KR100744775B1 (ko)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KR20170022032A (ko) 쪽대의 절곡부 브이 커팅장치
KR20110077873A (ko) 건축용 패널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용 패널
CN106863047A (zh) 自动拉丝机
CA2475250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nibbling a sheet metal in coil form
CN111975921A (zh) 一种木床原料自动化打磨切割生产线
JP2503765B2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切断装置
CN209335765U (zh) 一种保险杠的冲孔机
CN206855175U (zh) 自动拉丝机
CN112622075A (zh) 一种用于石料翻面的切割设备及操作方法
CN219786217U (zh) 一种栏杆加工冲床
CN218946486U (zh) 一种剪板机送料机
CN2576455Y (zh) 多用桥式切石机
CN110202637B (zh) 一种橡塑保温板下料机器人
US6666367B1 (en) Component processing center
CN210333934U (zh) 一种铝合金窗型材的冲孔设备
CN212671092U (zh) 一种清缝机
US6135003A (en) Machine for cutting fasteners to disassemble pallets
CN220784122U (zh) 一种汽车内饰板材裁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