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649B1 - 목재가공 지그 - Google Patents

목재가공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649B1
KR101444649B1 KR1020130083893A KR20130083893A KR101444649B1 KR 101444649 B1 KR101444649 B1 KR 101444649B1 KR 1020130083893 A KR1020130083893 A KR 1020130083893A KR 20130083893 A KR20130083893 A KR 20130083893A KR 101444649 B1 KR101444649 B1 KR 10144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wood
ji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수
서윤석
Original Assignee
임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수 filed Critical 임성수
Priority to KR102013008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 B27C3/06Dri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making dowel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5/00Boring or turning tools; Au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가공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공홀; 상기 가공홀과 교대로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측면 기준날개;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마련되는 정면 기준날개; 상기 본체부 측면에 마련되는 측면가공홀; 및 상기 측면가공홀에 접하여 다수로 형성되는 측면고정홀을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가공 지그에 의하면, 목재간의 접합을 위한 목심용 홀의 작업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와 구성에 의해 정밀하게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확장가이드를 이용하여 등간격의 드릴링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센터링 가이드에 의해 좁은 폭의 목재 면에서 쉽게 중심을 찾아 오차없이 드릴 작업을 할 수 있다. 가이드핀이 제공됨으로써 모서리에 고정시킬 수 없는 넓은 판면의 목재에 대해서도 쉽게 지그를 고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측면가공홀에 의해 드릴 작업시 발생하는 톱밥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드릴의 부하를 줄이고 목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성과 생산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경의 드릴 비트를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목재가공 지그{Jig for wood processing}
본 발명은 목재 가공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심용 구멍을 일정하게 가공할 수 있는 목재가공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작에 있어서 미관을 살리고 내구성을 높히기 위해 조인트 부위에 목심을 결합부재로 사용한다. 상기 목심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시키려는 양쪽 목재에 목심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공하고, 한쪽 구멍에 목심을 삽입한 후 다른 쪽 부재의 구멍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양쪽 목재를 접합하게 된다. 이때 양쪽 목재에 가공되는 구멍의 치수 및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으면 결합이 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영국 공개특허 제 0601420 호(발명자 : Peter Quinn)는 공작물의 결합을 위한 드릴링 템플릿에 있어서, 상기 결합을 위해 공작물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직선형 바; 상기 관통공을 통해 드릴링이 이뤄질 시 공작물에 대한 상기 템플릿의 위치를 잡아주는 위치고정수단; 상기 위치고정수단과 상기 바 사이를 띄워줌으로써 상기 공작물 상에 상기 관통공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은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다양한 형태의 목재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성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응용범위가 넓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다양한 직경의 드릴을 사용하기 어렵고, 드릴 사용 시 발생하는 톱밥의 배출을 위한 수단이 없으며, 작업 면의 중심을 측정하여 작업하거나 등간격으로 드릴 작업을 하기가 번거롭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드릴을 적용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드릴링 시의 톱밥 배출이 용이한 목재가공 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센터링 가이드 및 확장가이드를 활용하여 작업 면의 중심을 측정하거나 등간격 드릴링을 하기가 용이한 목재가공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측면이 목재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측면에서 몸체를 수직 관통하여 다수가 일렬로 형성되는 가공홀; 상기 본체부 상측면에서 몸체를 수직 관통하여 상기 가공홀과 교대로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측면 기준날개; 상기 본체부의 정면 내지 후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정면 기준날개; 상기 본체부 측면에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홀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측면가공홀; 및 상기 측면가공홀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측면고정홀을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 기준날개는, 동일한 형상의 기준날개가 다수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목재가공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가공홀을 관통하여 목재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고, 원통형의 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목재 면에 접하는 일측에 압침부가 마련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측면 기준날개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육각홈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잠금너트가 결합되는 잠금볼트를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가공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중심이 결합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바의 양단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측정핀이 마련되는 센터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가공홀 내지 측면고정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타 본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확장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가공 지그에 의하면, 목재간의 접합을 위한 목심용 홀의 작업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와 구성에 의해 정밀하게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확장가이드를 이용하여 등간격의 드릴링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센터링 가이드에 의해 좁은 폭의 목재 면에서 쉽게 중심을 찾아 오차없이 드릴 작업을 할 수 있다. 가이드핀이 제공됨으로써 모서리에 고정시킬 수 없는 넓은 판면의 목재에 대해서도 쉽게 지그를 고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측면가공홀에 의해 드릴 작업시 발생하는 톱밥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드릴의 부하를 줄이고 목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성과 생산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경의 드릴 비트를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적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측면 기준날개 사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센터링 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센터링 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확장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확장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가이드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적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측면 기준날개 사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센터링 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센터링 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확장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확장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목재가공 지그의 가이드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5, 도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10), 측면기준날개(120), 센터링 가이드(130), 확장가이드(140), 고정수단(150) 및 가이드핀(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측이 목재 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목재 가공을 위한 드릴링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드릴 날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10)는 바(bar) 형태의 직육면체로 제공될 수 있으나, 목재의 가공면에 평행하게 접하여 안착될 수 있는 면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바, 반드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작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가공홀(111)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측면에서 상기 본체부(110)의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다수가 일렬로 형성됨으로써 마련된다. 상기 가공홀(111)은 드릴비트(300)가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에 접해 있는 목재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6mm 가공홀(111a)이 추가로 마련되어 상기 가공홀(111)과 교차하여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공홀(111)은 상기 목재(200)에 일정한 깊이와 간격으로 목심 삽입용 홀(미도시)을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드릴비트(300)가 수직방향에서 상기 목재(300)를 관통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기 가공홀(111)은 상기 본체부(110) 상에 다수가 일렬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드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뿐만 아니라 하기될 고정수단(150)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측면기준날개(120)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홀(113)은 상기 가공홀(111)이 일렬로 배열되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공홀(111)과 동일하게 상기 본체부(110)의 상측면에서 몸체를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13)은 상기 본체부(110)를 상기 목재(300) 상에 고정할 시 둥근접시머리볼트(미도시) 등을 삽입하여 상기 본체부(110)가 상기 목재(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13)은 상기 가공홀(111)과 교대로 상기 몸체부(1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면 기준날개(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고정수단(15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가공홀(111)이 상기 목재(20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에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는 얇은 판형의 날개가 동일한 형상으로 여러 장 겹쳐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수단(150)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가공홀(111)이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측면 기준날개(120) 낱장이 일정한 두께로 마련되고,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목재(20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 정확히는 상기 가공홀(111)의 거리를 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는 기준날개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페이서(spacer)로서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는 상기 고정수단(150)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나 형태의 기준날개(12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의 폭은 상기 본체부(110)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마련되어야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가 상기 본체부(110) 쪽으로 접혔을 시 상기 본체부(110)의 저면과 상기 목재(200)의 작업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마련되는 측면가공홀(112) 내지 측면고정홀(114)에 상기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측면가공홀(112)은 상기 본체부(110) 측면에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홀(111)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측면가공홀(112)은 상기 가공홀(1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공홀(111)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가공홀(112)에 의해 상기 가공홀(111)의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측면가공홀(112)에 의해 양측면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가공홀(111)에 드릴이 삽입되어 상기 목재(200)를 가공할 시 발생하는 톱밥이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에 드릴링을 할 시 발생하는 톱밥, 즉 우드칩은 드릴의 골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끔 유도되나, 목재의 특성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톱밥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함으로 인해 드릴에 부하가 가중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부하로 인해 드릴에 무리가 가게 되고, 심할 경우 열이 발생하여 목재가 발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릴의 가공홀(111) 양측면이 상기 측면가공홀(112)에 의해 개방되게 되면, 드릴링에 의해 발생하는 톱밥이 상기 측면가공홀(112)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드릴의 부하가 줄어듦으로써 공구와 목재의 피로도가 감소하며,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측면고정홀(114)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육각홈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잠금너트(152)가 결합되는 잠금볼트(151)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잠금볼트(151)는 상기 다수로 마련되는 측면 기준날개(120) 및 상기 측면고정홀(114)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너트(152)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너트(152)를 조이거나 풂으로써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가 고정되거나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잠금너트(152) 및 상기 잠금볼트(151) 헤드부는 그 외경부가 서레이션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돌려서 잠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볼트(151)의 헤드부는 육각홈이 마련됨으로써 좀더 견고하게 기준날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고정홀(113)이나 가공홀(113)에 임의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잠금볼트(151)는 그 직경이 상기 고정홀(113)이나 가공홀(113)보다 작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측면가공홀(112)은 상기 가공홀(111)보다 작은 구경으로 마련됨으로써, 더 작은 직경의 드릴비트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공홀(111)은 8mm의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측면가공홀(112)은 6mm의 직경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직경의 드릴비트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잠금볼트(151)를 풀어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해체한 후, 상기 측면가공홀(112) 내지는 측면고정홀(114)에 다시 체결함으로써 6mm 드릴에 의한 목재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뿐만 아니라 정면 기준날개(121)를 잠그는 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면 기준날개(121)는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와 더불어 목재(200)의 모서리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면 기준날개(121)는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와 같이 다수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잠금볼트(151)와 상기 잠금너트(152)를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정면 기준날개(121)를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의 정면측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정면측 내지 후면측에는 상기 잠금볼트(151)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터링 가이드(13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터링 가이드(130)는 목재의 측면부 중앙에 구멍을 뚫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센터링 가이드(130)는 상기 가공홀(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131) 및 상기 회동축(131)에 중심이 결합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바(133)의 양단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측정핀(132)이 마련된다. 상기 센터링 가이드(130)의 회동축(131)을 상기 가공홀(111)에 장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200)의 측면이 상기 측정핀(132) 사이에 오도록 한 뒤 상기 측정핀(132)이 상기 목재(200)의 양측면에 닿도록 상기 회동축(131)을 이용하여 상기 바(133)를 회동시키면, 상기 가공홀(111)의 중심이 상기 목재(200)의 중심선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센터링 가이드(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조 이상을 이용하여야 상기 본체부(110)가 상기 목재(200)와 평행하게 중심선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확장가이드(14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확장가이드는 상기 측면가공홀(112) 내지 상기 측면고정홀(11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와 다른 본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는 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확장가이드(140)는 일측에 상기 본체부(110)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110)의 고정홀(113)에 둥근접시머리볼트를 끼워 작업 목재(200) 면에 고정시킨 후, 상기 확장가이드(140)의 타측에 다른 본체부를 끼워 이동시키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드릴링 작업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가이드(140)를 이용하면 등간격으로 드릴링 작업을 할 수 있는 확장형 지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장가이드(140)는 고정볼트(141)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141)는 헤드부에 육각홈이 마련되고, 외경측이 서레이션 처리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돌려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핀(16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160)은 상기 본체부(110)를 임시로 목재(200) 상에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가공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목재(200)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고, 원통형의 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목재(200) 면에 접하는 일측에 압침부(161)가 마련된다.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고정할 수 없는 작업상황,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 목재의 중앙 부분에 드릴링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상기 가이드핀(160)이 활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을 원하는 목재 상의 위치에 상기 본체부(110)를 놓은 후에 상기 가이드핀(160)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핀(160)을 눌러서 상기 압침부(161)가 상기 목재(200)에 박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가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60) 역시 2개가 1조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를 정확히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가공 지그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본체부(110)를 목재(200)의 가공면 상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잠금볼트(151)를 풀어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회동시켜 상기 가공홀(111)이 상기 목재(200) 상의 원하는 부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컨대 작업 부위를 상기 목재(200)의 모서리측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조정해야할 경우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모두 세워서 상기 목재(200)의 모서리 측면에 접하도록 한 후 잠금너트(152)를 돌려 잠근다. 좀더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상기 고정볼트(141)의 헤드부에 마련되는 육각홈을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 양쪽에 고정되도록 한 후에, 정면 기준날개(121)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목재(200)의 타 모서리측에 접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측면 및 정면 기준날개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가 조정되었더라도,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목재(200)에 완전히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드릴링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110)가 이동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홀(113)에 접시머리볼트 등을 박아 상기 본체부(110)를 상기 목재(200) 상에 임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원하는 직경의 드릴을 선택하여 상기 목재(200) 상에 드릴링을 할 수 있다. 예컨대 8mm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 상기 가공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목재(200) 상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또한 6mm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 6mm 가공홀(111a)을 이용하거나, 상기 본체부(110)을 측면으로 설치한 후 상기 측면가공홀(112)을 이용하여 드릴링을 할 수 있다.
만약 작업자가 판재형 목재(200)의 모서리측 중심선에 드릴 가공을 하고자 할 경우, 센터링 가이드(13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센터링 가이드(130)의 회동축(131)을 상기 본체부(110)의 가공홀(111) 저면에 삽입한다. 센터링 가이드(130)는 2개가 한 조를 이루어야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센터링 가이드(13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저면에 장착한다.
이후 상기 본체부(110)를 작업하려는 목재(200)의 모서리측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센터링 가이드(130)를 회동시켜 측정핀(132)가 상기 목재(200)의 양측면에 닿도록 조정하게 되면 상기 본체부(110)의 가공홀(111) 중심이 상기 목재(200)의 모서리 중심선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홀(113)에 접시머리볼트를 박아 상기 본체부(110)가 상기 목재(200) 상에 고정되도록 한 후 드릴(300)을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구멍을 가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넓은 판형의 목재(20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인 구멍을 작업해야 하는 경우, 확장가이드(140)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확장가이드(140) 및 2개의 본체부(110)를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한 후, 일측의 본체부(110)를 상기 확장가이드(14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드릴작업을 함으로써, 오차 없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목재(200)의 넓은 면 중앙 측에 구멍을 가공하고자 할 경우,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를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경우 가이드핀(160)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고정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160)은 일측에 압침부(161)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10)를 임시로 상기 목재(200) 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본체부 111 : 가공홀
111a : 6mm 가공홀 112 : 측면가공홀
113 : 고정홀 114 : 측면고정홀
115 : 고정볼트결합홈 120 : 측면기준날개
121 : 정면기준날개 130 : 센터링 가이드
131 : 회동축 132 : 측정핀
133 : 바 140 : 확장가이드
141 : 고정볼트 150 : 고정수단
151 : 잠금볼트 152 : 잠금너트
160 : 가이드핀 161 : 압침부
200 : 목재 300 : 드릴비트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측면이 목재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 상측면에서 몸체를 수직 관통하여 다수가 일렬로 형성되는 가공홀(111);
    상기 본체부(110) 상측면에서 몸체를 수직 관통하여 상기 가공홀(111)과 교대로 형성되는 고정홀(113);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고정수단(15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측면 기준날개(120);
    상기 본체부(110)의 정면 내지 후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정면 기준날개(121);
    상기 본체부(110) 측면에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홀(111)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측면가공홀(112); 및
    상기 측면가공홀(112)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3)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측면고정홀(114)을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는,
    동일한 형상의 기준날개가 다수로 상기 고정수단(150)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목재가공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홀(111)을 관통하여 목재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고, 원통형의 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목재 면에 접하는 일측에 압침부(161)가 마련되는 가이드핀(160)을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가공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상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측면 기준날개(12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육각홈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잠금너트(152)가 결합되는 잠금볼트(151)를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홀(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131); 및
    상기 회동축(131)에 중심이 결합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바의 양단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측정핀(132)이 마련되는 센터링 가이드(130)를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공홀(112) 내지 측면고정홀(11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와 타 본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확장가이드(140)를 더 포함하는 목재가공 지그.

KR1020130083893A 2013-07-17 2013-07-17 목재가공 지그 KR101444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893A KR101444649B1 (ko) 2013-07-17 2013-07-17 목재가공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893A KR101444649B1 (ko) 2013-07-17 2013-07-17 목재가공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649B1 true KR101444649B1 (ko) 2014-09-26

Family

ID=5176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893A KR101444649B1 (ko) 2013-07-17 2013-07-17 목재가공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6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846B1 (ko) * 2016-03-02 2017-12-05 임성수 드릴 작업용 센터링 가이드 지그
KR20200092553A (ko) * 2019-01-25 2020-08-0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에 크리센트 브래킷 설치용 프리드릴링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그
CN112692797A (zh) * 2020-12-16 2021-04-23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圆形风管法兰铆接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003U (ja) * 1993-02-02 1994-08-16 鹿島建設株式会社 被孔あけ部材固定治具
JPH0727804U (ja) * 1993-10-26 1995-05-23 株式会社蔵王工務店 ダボ孔明け治具
KR20030041290A (ko) * 2001-11-19 2003-05-27 유명숙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003U (ja) * 1993-02-02 1994-08-16 鹿島建設株式会社 被孔あけ部材固定治具
JPH0727804U (ja) * 1993-10-26 1995-05-23 株式会社蔵王工務店 ダボ孔明け治具
KR20030041290A (ko) * 2001-11-19 2003-05-27 유명숙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846B1 (ko) * 2016-03-02 2017-12-05 임성수 드릴 작업용 센터링 가이드 지그
KR20200092553A (ko) * 2019-01-25 2020-08-0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에 크리센트 브래킷 설치용 프리드릴링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그
KR102473860B1 (ko) * 2019-01-25 2022-12-06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에 크리센트 브래킷 설치용 프리드릴링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그
CN112692797A (zh) * 2020-12-16 2021-04-23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圆形风管法兰铆接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333B2 (en) Mechanical jig
JPS5850805B2 (ja) だぼによつて互いに結合される板等にだぼ孔を加工するための補助装置
US4137003A (en) Drill jig
WO2005105369A1 (en) Adjustable router guide template assembly
US6116826A (en) Drilling jig
KR101444649B1 (ko) 목재가공 지그
US20120098183A1 (en) Universal fence assemblies for power tool tables having multi-position stop assemblies
US47874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ortise and tenon joints
US6220796B1 (en) Multipurpose drilling jig
US8641333B2 (en) Cabinet assembly bore indexing tool and method
US6530302B1 (en) Cabinetmaking system
US114652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ortable drill
US4923340A (en) Doweling jig
KR101804846B1 (ko) 드릴 작업용 센터링 가이드 지그
US4492498A (en) Drill bit jig
US9707695B2 (en) Joint making jig
CA2281372C (en) A clamp-type doweling jig
GB2406534A (en) Drilling template
GB2386852A (en) Adjustable drill jig
US8534329B2 (en) Joint making jig
US11628588B2 (en) Adjustable woodworking squaring jig
US20030145705A1 (en) Fence
US20230294181A1 (en) Machining jig for creating compound angles
GB2541786A (en) Jig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30230359A1 (en) Mortise and tenon adapters for dovetail j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