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35Y1 - 목자재 대패장치 - Google Patents

목자재 대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35Y1
KR200446435Y1 KR2020090008785U KR20090008785U KR200446435Y1 KR 200446435 Y1 KR200446435 Y1 KR 200446435Y1 KR 2020090008785 U KR2020090008785 U KR 2020090008785U KR 20090008785 U KR20090008785 U KR 20090008785U KR 200446435 Y1 KR200446435 Y1 KR 200446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rame
guide
wood materia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진
Original Assignee
한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덕진 filed Critical 한덕진
Priority to KR2020090008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10Hand planes equipped with power-driven cutte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2Smoothing, i.e. working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4Thickness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간 가이드봉 및 횡간 가이드봉을 타고 이동하는 작동대에 전기대패를 설치하여 목자재의 표면을 다듬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누구나 손 쉽게 목자재 표면을 레벨 차이 없이 고르고 평활하게 다듬질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목자재의 길이 및 두께에 상관없이 다양한 길이와 두께로 절단 처리된 목자재의 절단면(표면)을 용이하게 다듬질할 수 있도록 한 목자재 대패장치를 제공한다.
목자재, 대패장치, 종간 및 횡간 가이드봉, 작동대, 전기대패, 조절수단

Description

목자재 대패장치{Planing device}
본 고안은 목자재 대패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자재 표면을 레벨 차이 없이 고르고 평활하게 다듬질할 수 있도록 한 목자재 대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에서 절단 처리된 목자재는 그 절단면이 매우 거친 관계로, 이를 고르게 다듬질하는 다듬질 공정을 필요로 하는 데,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목공구로서, 대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대패는 목재의 표면을 다듬기 위해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 소정 위치에 대패의 저면으로 대패날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대패로 목재의 표면을 다듬을 경우에는 작업자는 양손으로 대패를 잡은 상태에서 안쪽으로 대패(1)를 당겨가며 목재의 표면을 깎아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대패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목재를 깍아내야 함으로서 작업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대패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전기대패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로 구동하는 전동기, 그리고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회전날로 구성하여 목재의 표면을 자동으로 다듬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대패로 목재의 표면을 다듬질할 때에는 전기대패를 목재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기대패를 이동시켜가며 목재 표면을 다듬질하게 되는 데, 이러한 작업방식은 자칫 이동중에 목재 표면이 부분적으로 더 깊게 혹은 더 얇게 깍일 수 있음으로서, 숙련된 작업자 이외에는 목재의 표면을 레벨 차이 없이 평활하게 다듬질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자재 표면을 레벨 차이 없이 고르고 평활하게 다듬질할 수 있도록 한 목자재 대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자재의 길이에 맞추어 받침프레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자재 대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자재의 두께에 맞추어 받침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자재 대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목자재 대패장치에 있어서, 좌, 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수직프레임 상단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전, 후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목자재를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종간 가이드봉과, 상기 종간 가이드봉의 외경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종간 슬라이드와, 상기 종간 슬라이드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며 전, 후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한 쌍의 횡간 가이드봉과, 상기 횡간 가이드봉의 외경에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 는 횡간 슬라이드와, 상기 횡간 슬라이드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횡간 슬라이드를 타고 좌, 우로 이동하며, 상기 종간 슬라이드를 타고 전, 후로 이동 동작하는 작동대 및 상기 작동대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작동대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에 올려져 있는 목자재의 표면을 다듬질하는 전기대패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프레임 아래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장공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안내장공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끼워지며 선단은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되는 장축볼트와, 상기 장축볼트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장축볼트를 가이드프레임의 안내장공에 고정 및 고정 해지시키는 너트로 구성하여 받침프레임간의 사이 간격 및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자재 대패장치는 종간 가이드봉 및 횡간 가이드봉을 타고 이동하는 작동대에 전기대패를 설치하여 목자재의 표면을 다듬질하도록 함으로서, 누구나 손 쉽게 목자재 표면을 레벨 차이 없이 고르고 평활하게 다듬질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절수단을 통해 목자재의 크기(길이) 및 두께에 상관없이 다양한 길이와 두께로 절단 처리된 목자재의 절단면(표면)을 용이하게 다듬질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목자재 대패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목자재 대패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목자재 대패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자재 대패장치는 바닥 외곽틀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네 모서리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과, 좌, 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2) 위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4) 및 상기 수평프레임(14) 사이에 전, 후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목자재(W)를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16)으로 기초 뼈대를 구성한다.
상기한 기초 뼈대 위에는 목자재(W)의 표면을 레벨 차이 없이 평활하게 다듬질하는 대패수단이 좌, 우 및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한 대패수단은 기초 뼈대를 구성하는 수평프레임(14) 위에 브라켓(21)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 구성되는 한 쌍의 종간 가이드봉(20)을 포함한다.
상기 종간 가이드봉(20)에는 종간 슬라이드(22)가 각각 끼워지며, 상기 종간 슬라이드(22)는 상기 종간 가이드봉(2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며 후술하는 작동대(30)의 전, 후 이동 동작이 수평으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대(3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종간 슬라이드(22)의 상단에는 브라켓(24)이 용접 접합되며, 상기 브라켓(24) 사이에는 한 쌍의 횡간 가이드봉(26)이 전, 후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 구성된다.
상기 횡간 가이드봉(26)에는 횡간 슬라이드(28)가 각각 끼워지며, 상기 횡간 슬라이드(28)는 상기 횡간 가이드봉(26)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며 후술하는 작동대(30)의 좌, 우 이동 동작이 수평으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대(3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횡간 슬라이드(28)의 상단에는 사각틀 형태의 작동대(30)가 용접 접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작동대(30)는 종간 가이드봉(20) 및 횡간 가이드봉(26)을 타고 전, 후 그리고 좌, 우 수평 이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대(30)의 전, 후 및 좌, 후 이동 동작은 모터나 기타 기계적인 구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작동대를 수동으로 밀어가며 동작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작동대(30)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전기대패(32)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대패(32)는 작동대(30)의 동작에 따라 전, 후 그리고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받침프레임(16)에 올려져 있는 목자재(W)의 표면을 깍아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전기대패(32)를 지지하는 작동대(3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종간 슬라이드(22) 및 횡간 슬라이드(28)의 가이드 동작을 통해 수직으로 상, 하 요동하지 않고 수평으로 정확히 이동 동작하게 됨으로서 전기대패 역시 목자재(W) 표면을 깍는 과정에서 레벨 차이(즉, 깍아내는 깊이가 서로 달라 목자재 표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없이 목자재(W) 표면을 고르고 평활하게 다듬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받침프레임(16) 아래에는 목자재(W)의 길이 차이에 맞추어 받침프레임(16)들 간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고, 또한 목자재(W)의 두께 차이에 맞추어 받침프레임(16)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4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조절수단(4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각 받침프레임(16)들의 좌, 우 양측에 배치시켜 구성하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조절수단(40)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조절수단(40)은 전술한 수직프레임(12)에 지지되며 중앙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안내장공(44)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2)의 안내장공(44)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그 선단은 상기 받침프레임(16)의 하면에 결합 구성되는 장축볼트(46)와, 상기 장축볼트(46)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장축볼트(46)를 고정 및 고정 해지시키는 너트(48) 및 상기 너트(48)와 가이드프레임(42) 사이에 끼워지는 와샤(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조절수단(40)으로 받침프레임(16)들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때에는 한 곳의 받침프레임(16) 좌, 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조절수단(40)의 너트(48)를 풀어 장축볼트(46)의 고정을 해지한 다음, 해당 받침프레임(16)을 밀거나 당겨주면 상기 장축볼트(46)가 가이드프레임(42)의 안내장공(44)을 타고 이동하게 됨으로서 받침프레임(16)간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받침프레임(16)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각 받침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조절수단(40)의 너트(48)를 풀어 장축볼트(46)의 고정을 해지한 다음, 상기 장축볼트(46)를 상, 하로 이동시켜 받침프레임(16)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자재 대패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자재 대패장치(100)를 사용할 때에는 원목에서 절단 처리된 목자재(W)를 받침프레임(16) 위에 올려놓은 후, 목자재(W)의 표면(즉, 절단면)에 전기대패(32)를 접촉시킨 다음, 상기 전기대패(32)로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전기대패(32)를 지지하고 있는 작동대(30)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작동대(30)는 전진 이동하며 전기대패(32)를 앞쪽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기대패(32)에 접촉되어 있는 목자재(W)의 표면은 일정깊이 깍여 나가며 다듬질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전기대패(32)를 이동시키는 작동대(30)는 종간 가이드봉(2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종간 슬라이드(22)를 통해 상, 하 요동하지 않고 수평으로 정확히 이동 동작하게 됨으로서 전기대패(32)에 의해 깍여나가는 목자재(W)의 표면을 부분적인 레벨 차이 없이 평활하고 고르게 다듬질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전기대패(32)가 지나간 면의 목자재(W) 표면이 다듬질되고 나면 도 4에서와 같이 작동대(30)를 잡고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듬질이 되지 않은 목자재(W)의 표면에 전기대패(32)를 접촉시키도록 하고,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대(30)를 전진 이동시킴으로서 다듬질이 되지 않은 목자재(W)의 표면을 순차적으로 다듬질하도록 한다.
한편, 원목에서 절단 처리된 목자재(W)의 길이가 짧게 절단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목자재(W1)의 길이에 맞추어 받침프레임(16)간의 사이 간격을 좁혀주어야 하며, 이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한 곳의 받침프레임(16) 양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수단(40)의 너트(48)를 풀어주게 되면 장축볼트(46)의 고정이 해지되어 지며, 이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6)을 밀어줌으로서 길이가 짧게 절단 처리된 목자재(W)에 맞추어 받침프레임(16) 간의 사이 간격을 좁혀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목에서 절단 처리된 목자재(W)의 두께가 두껍게 절단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목자재(W2)의 두께에 맞추어 받침프레임(16)들의 높이를 낮춰주어야 목자재(W2)의 표면에 전기대패(32)를 간섭없이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각 받침프레임(16)들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조절수단(40)의 너트(48)를 풀어 장축볼트(46)의 고정을 해지한 다음, 상기 장축볼트(46)를 아래로 이동시켜 받침프레임(16)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서 목자재(W2)의 두께에 상관없이 전기대패(32)를 목자재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목자재 대패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기계대패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목자재의 길이에 맞추어 받침프레임들 간의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목자재의 두께에 맞추어 받침프레임들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수직프레임 20: 종간 가이드봉
22: 종간 슬라이드 26: 횡간 가이드봉
28: 횡간 슬라이드 30: 작동대
32: 전기대패 40: 조절수단
42: 가이드프레임 44: 안내장공
46: 조절볼트 48: 너트

Claims (2)

  1. 목자재 대패장치에 있어서,
    좌, 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수직프레임(12) 상단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수평프레임(14) 사이에 전, 후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목자재(W)를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16)과;
    상기 수평프레임(14) 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종간 가이드봉(20)과;
    상기 종간 가이드봉(20)의 외경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종간 슬라이드(22)와;
    상기 종간 슬라이드(2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24)과;
    상기 브라켓(24)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며 전, 후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한 쌍의 횡간 가이드봉(26)과;
    상기 횡간 가이드봉(26)의 외경에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횡간 슬라이드(28)와;
    상기 횡간 슬라이드(28)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횡간 슬라이드(28)를 타고 좌, 우로 이동하며, 상기 종간 슬라이드(22)를 타고 전, 후로 이동 동작하는 작동대(30) 및 ;
    상기 작동대(30)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작동 대(30)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받침프레임(16)에 올려져 있는 목자재(W)의 표면을 다듬질하는 전기대패(3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자재 대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6) 아래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2)에 연결 고정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장공(44)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2)의 안내장공(44)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끼워지며 그 선단은 상기 받침프레임(16)에 결합 고정되는 장축볼트(46)와;
    상기 장축볼트(46)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장축볼트(46)를 가이드프레임(42)의 안내장공(44)에 고정 및 고정 해지시키는 너트(48)로 구성하여 받침프레임(16)간의 사이 간격 및 상기 받침프레임(16)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조절수단(4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자재 대패장치.
KR2020090008785U 2009-07-08 2009-07-08 목자재 대패장치 KR200446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85U KR200446435Y1 (ko) 2009-07-08 2009-07-08 목자재 대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85U KR200446435Y1 (ko) 2009-07-08 2009-07-08 목자재 대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35Y1 true KR200446435Y1 (ko) 2009-10-28

Family

ID=4156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785U KR200446435Y1 (ko) 2009-07-08 2009-07-08 목자재 대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9257A (zh) * 2018-07-30 2018-12-21 衡东县万泉竹业有限公司 一种一次性筷子打坯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190A (ko) * 2001-04-26 2002-11-02 원명수 목공용 테이블
KR20030041290A (ko) * 2001-11-19 2003-05-27 유명숙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KR20030067336A (ko) * 2002-02-08 2003-08-14 이오희 목재의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190A (ko) * 2001-04-26 2002-11-02 원명수 목공용 테이블
KR20030041290A (ko) * 2001-11-19 2003-05-27 유명숙 목재곡면 가공용 가공장치
KR20030067336A (ko) * 2002-02-08 2003-08-14 이오희 목재의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9257A (zh) * 2018-07-30 2018-12-21 衡东县万泉竹业有限公司 一种一次性筷子打坯机
CN109049257B (zh) * 2018-07-30 2024-05-07 衡东县万泉竹业有限公司 一种一次性筷子打坯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5518B1 (en) Woodworking work table
CN103286831B (zh) 一种数控木工车床、雕刻多功能一体机
KR20120065559A (ko) 절단면 표면가공장치
CN109333656B (zh) 一种板材自动直线开槽机及其加工方法
KR101807278B1 (ko) 스티로폼 가공장치
KR20150039498A (ko) 브릿지형 석재 절단 장치
KR20120090437A (ko) 프레임 절단기
CN210789418U (zh) 一种刨槽机
CN113084884B (zh) 一种创意产品包装设计用切割装置
KR200446435Y1 (ko) 목자재 대패장치
US20200206976A1 (en) Combined cutting and bevelling machine for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KR200478122Y1 (ko) 확장형 테이블톱
KR101269066B1 (ko) 목재 절단기
CN110154160B (zh) 一种用于木材加工的平刨机
KR20070001092U (ko) 타일 절단장치
KR101362931B1 (ko) 절단기
CN214026083U (zh) 一种圆盘锯位置调节结构及其子母锯
KR101218142B1 (ko) 목재 가공용 가이드 장치
KR101369248B1 (ko) 가공물 고정장치
CN112207905A (zh) 一种板材切割装置
CN216181286U (zh) 一种强化地板加工用可自动调节切割长度的裁板锯
CN210115521U (zh) 一种铝材切割机的自动固定装置
KR101707914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트랙 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N210588345U (zh) 一种刨槽机的送料组件
JP3158755U (ja) 切断機取り付け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