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665B1 -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665B1
KR100452665B1 KR10-2001-0082184A KR20010082184A KR100452665B1 KR 100452665 B1 KR100452665 B1 KR 100452665B1 KR 20010082184 A KR20010082184 A KR 20010082184A KR 100452665 B1 KR100452665 B1 KR 10045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button
vending machine
ligh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177A (ko
Inventor
오가와아쯔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전방에의 돌출이 적고, 조작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수지 성형된 염가 부재 만의 파손으로 그치고, 고가이고 파손되면 수리가 번거로운 전기 회로 부분은 손상되지 않는 버튼 장치를 제공한다.
전면 패널(201)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막대 자석(22)을 구비하고 전면 패널 (201)에 붙여 고정하는 조작 버튼 본체부(10)와, 막대 자석(22)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리드 스위치(52)와, 조작 버튼 본체부(10)의 조작 버튼(20)을 조작하여 구입하는 상품의 가격을 표시하는 가격 표시부(53)와, 구입하는 상품의 정보, 예를 들면 핫/콜드의 구분 표시가 가능한 상품 표시부(54)를 구비하여 전면 패널(201)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기판(50)을 구비한 버튼 장치로서, 가격 표시부(53)와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조작 버튼 본체부(10)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 판매기{BUTTON DEVICE FOR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품 구입시에 조작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버튼 장치로서는, 자동 판매기의 전면 패널(201)의 전면측에 설치하는 조작 버튼(20)과, 그 배면측에 설치하는 기판(50)을 구비한, 도22에 도시한 구성의 버튼 장치가, 예를 들면 실용신안 공개 평 4-101178호에 제안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구성의 버튼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20)의 배면측 오목부에 막대 자석(22)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 버튼(20)이 도면 우방향으로 눌려지면,막대 자석(22)이 기판(50)에 접근하고, 기판(50)에 설치한 리드 스위치(52)가 폐로·도통하여, 조작 버튼(20)이 조작된 것이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종래의 버튼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20)과 막대 자석(22)을 전면 패널(201)의 전방에 배치한 구조였기 때문에, 조작 버튼(20)이 전면 패널 (201)로부터 전방으로 크게 튀어나와, 조작 버튼(20) 부분의 청소가 어려운, 디자인 상의 제약이 크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조작 버튼(20)에 기판(50)을 접근시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버튼(20) 부분이 파손되었을 때 등에는 버튼 장치의 고가의 전기 회로 부분도 동시에 파손되어, 수리에 수고와 비용 양쪽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청소하기 쉬운 동시에 디자인 상으로도 세련되고, 또한 조작 버튼 부근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플라스틱 성형된 비교적 염가인 조작 버튼 만의 파손으로 그치고, 복잡·고가이고 파손되면 수리가 번거로운 전기 회로 부분은 손상되지 않는 구조의 버튼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장치,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도1은 본 발명의 버튼 장치와 자동 판매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2는 조작 버튼 본체부의 분해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버튼 장치(대기 상태)의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버튼 장치(조작시)의 설명도.
도5는 피 검출 부재(막대 자석)의 회전 기구 설명도로서 (A)는 그 기본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B)는 그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6은 리드 스위치의 동작 설명도, (A)는 비도통시의 설명도, (B)는 도통시의 설명도.
도7은 자동 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자동 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9는 리드 스위치의 다른 동작 설명도, (A)는 비도통시의 설명도, (B)는 도통시의 설명도.
도10은 리드 스위치의 다른 동작 설명도, (A)는 비도통시의 설명도, (B)는 도통시의 설명도.
도11은 리드 스위치의 다른 동작 설명도, (A)는 비도통시의 설명도, (B)는도통시의 설명도.
도12는 수발광 수단을 이용한 조작 버튼의 조작 검출 기구 설명도, (A)는 비조작시의 설명도, (B)는 조작시의 설명도.
도13은 다른 수발광 수단을 이용한 조작 버튼의 조작 검출 기구 설명도, (A)는 비조작시의 설명도, (B)는 조작시의 설명도.
도14는 보정 회로의 설명도.
도15는 상품 정보 표시부의 설명도, (A)는 위에서 본 설명도, (B)는 COLD를 표시할 때의 설명도, (C)는 HOT을 표시할 때의 설명도.
도16은 상품 정보 표시부의 다른 설명도, (A)는 위에서 본 설명도, (B)는 COLD를 표시할 때의 설명도, (C)는 HOT을 표시할 때의 설명도, (C)는 COLD와 HOT을 동시에 표시할 때의 설명도.
도17은 일부를 자른 샘플대의 설명도.
도18은 부정 방지 회로의 설명도.
도19는 변형 실시 형태의 설명도, (A)는 대기 상태의 설명도, (B)는 조작시의 설명도.
도20은 다른 변형 실시 형태의 설명도, (A)는 정면에서 본 설명도, (B)는 단면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21은 다른 변형 실시 형태의 설명도, (A)는 단면 설명도, (B)는 (A)에 있어서의 X-X 단면 설명도, (C)는 (B)에서 통형부(29)를 회전 운동 시켰을 때의 설명도.
도22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작 버튼 본체부
11 : 표면 부재
12 : 이면 부재
13 : 통형부
14 : 돌출조
14A : 돌기
15 : 돌출조
16, 17 : 연장 돌출부
18 : 구멍
18A : 실 부재
19 : 원통부
20 : 조작 버튼
20a : 조작면
21 : 슬릿
22 : 막대 자석
23 : 막대형 가동 부재
24 : 배면판
25 : 구멍
26 : 돌기
27 : 스프링 고정체
28 : 코일 스프링
28A : 고무형 탄성체
29 : 통형부
30 : L자형 자성 부재
32 : 자기 차단 부재
33 : 발광 수단
34 : 수광 수단
35 : 광로 변경 수단
36 : 반사면
37 : 자기 저항 소자
38 : 직류 증폭기
39 : 마이크로 컴퓨터
40 : 커버 부재
41 : 오목부
50 : 기판
51 : 판형 부재
52 : 리드 스위치
52A,52B : 리드선
52C : 접점부
53 : 가격 표시부
54 : 상품 정보 표시부
55 : 투명부
56 : 개구부
57 : 창 부재
58 : 기어 모터
59 : 가동 인쇄 부재
60 : 고정 표시 부재
61 : 원판
62 : 스냅
63 : 크랭크 부재
64 : 긴 구멍
65 : 스냅
70 : 제1 코일
71 : 제2 코일
72 : 흡수 회로
73 : 발진 회로
74 : 버퍼 회로
75 : 정류 수단
67 : 컴퍼레이터
100 : 버튼 장치
200 : 자동 판매기
201 : 전면 패널
202 : 버튼 부착 구멍
210 : 상품 샘플
211 : 샘플대
212 : 라이트
213 : 투명부
SW : 도어 스위치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널 부재에 설치하는 조작 버튼과, 상기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를 상기 기판의 상기 조작버튼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패널 부재에 설치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과,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의 조작을 상기 조작 버튼과 비접촉상태에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는 1매의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조작 버튼과,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위하는 피 검출 부재와, 상기 피 검출 부재의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패널 부재에 설치하는 조작 버튼과, 상기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변위하는 피 검출 부재와, 상기 피 검출 부재의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츨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피 검출 부재를 상기 패널 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상기 제3 또는 제4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에 있어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 검출 부재가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위하고, 검출 수단이 상기 피 검출 부재의 변위에 따른 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상기 제5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에 있어서, 피 검출 부재가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검출 수단이 상기 피 검출 부재의 회전 운동에 따른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조작 버튼과,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극에 접근하여 설치 가능한 자성 부재와,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석과 상기 자성 부재의 거리가 변화했을 때의 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조작 버튼과, 자석과, 자기 차단 부재와,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기 차단 부재가 변위했을 때의 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상기 제1 또는 제2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에 있어서, 검출 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조작 버튼이 반사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빛의 상기 수광부에의 도달/비도달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변화 가능하게 상기 반사면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상기 제9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에 있어서, 반사면이, 조작 버튼의 비조작시에는 오목면을 나타내고,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시에 볼록면으로 변화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0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상기 제1 또는 제2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에 있어서, 검출 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조작 버튼이 빛의 통로가 되어 빛을 안내하는 광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빛의 상기 수광부에의 도달/비도달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변화 가능하게 상기 광 안내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1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와, 상기 제1 내지제11구성 중 어느 한 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의 조작 버튼이 상품을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상품을 수납하는 바구니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면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해 덮여진 상기 바구니의 전방부에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구성의 자동 판매기와, 상기 제1 내지 제11구성 중 어느 한 구성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의 조작 버튼이 상품을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상품을 수납하는 바구니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면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해 덮여진 상기 바구니의 전방부에 상품 샘플을 얹어놓는 샘플대가 설치되고, 상기 샘플대의 전방부에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구성의 자동 판매기와, 상기 제2구성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샘플대 밑에 조명 수단이 설치되고, 기판에 설치한 표시부를 그 배면측에서 상기 조명 수단이 투과광에 의해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구성의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이하, 단순히 버튼이라고 기록한다) (100)는,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200)의 투명한 전면 패널(201)에 붙여 고정되는 조작 버튼 본체부(10)와, 전면 패널(201) 및 조작 버튼 본체부(10)의 배면측(도면 우측, 이하 동일)에 설치되는 기판(5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 버튼 본체부(10)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 (201)에 그 전방(도면 좌측, 이하 동일)으로부터 붙여 고정되는 표면 부재(11)와, 그 표면 부재(11)의 배면측과 걸어 맞춤하여 전면 패널(201)의 배면에 설치되는 이면 부재(12)로 이루어진다.
즉, 표면 부재(11)와 전면 패널(201)에 개설된 버튼 부착 구멍(202)에 삽입 가능한 통형부(13)를 구비하고, 그 통형부(13)의 대략 중간 부분의 외주측에 돌출조 (14), 후방부의 내주측에 돌출조(15)가 설치되고, 통형부(13)의 전단부에서 불룩해져 나온 연장 돌출부(16)와 돌출조(14)로 전면 패널(201)의 버튼 부착 구멍 (202)을 둘러싸 형성하고 있는 개구 단부를 끼워서 전면 패널(201)에 표면 부재 (11)가 고정되고, 그 표면 부재(11)의 돌출조(15)에 의해 이면 부재(12)의 연장 돌출부 (17)가 감싸져서 이면 부재(12)가 표면 부재(11)의 배면측에 붙여 고정되고, 그것에 의해 이면 부재 (12)가 전면 패널(201)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면 부재(11)의 중앙 부분에는 구멍(18)이 개설되고, 그 구멍(18)에 헐겁게 관통되는 원통부(19)를 구비한 조작 버튼(20)이, 도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부(19)에는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각각 1/4 둘레에 걸친 나선형의 한 쌍의 슬릿(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18A는, 통형부(13)의 전단 내측과 조작 버튼(20)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있는 플렉시블한 내수성이 적은 실 부재이다.
한 쪽의 이면 부재(12)에는, 후단부에 피 검출 부재로서의 막대 자석(22)을 구비한 막대형 가동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막대형 가동 부재(23)는 배면판 (24)에 개설된 구멍(25)에, 막대 자석(22)을 배면판(24)의 배면측에 배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전후 방향(도면 좌우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하는 경우가없도록 설치되고, 그 막대형 가동 부재(23)의 전방측 부분에는 표면 부재(11)의 원통부(19)에 설치한 한 쌍의 나선형의 슬릿(21)에 헐겁게 끼움 가능한 한 쌍의 돌기 (26)와, 전후 방향으로 가동한 스프링 고정체(27)가 전방에의 누락 방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판(24)과 스프링 고정체(27) 사이에 코일 스프링(28)이 설치되고, 스프링 고정체(27)를 전방의 도시하지 않은 누락 방지 수단 쪽으로 밀어내도록 힘을 더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연장 돌출부(17)는, 배면판(24)의 외주부에서 전방으로 연달아 설치된 통형부(29)의 전단에 붙여 고정되고, 이면 부재(12)를 표면 부재 (11)에 맞붙이기 위한 기능과, 상기 실부재(18A)의 외주부를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버튼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20)에 도면 우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이면 부재(12)의 코일 스프링(28)에 의해 전방으로 힘이 더해지고,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스프링 고정체 (27)가 원통부(19)의 후단부에 맞닿아 조작 버튼(20)을 도면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막대형 가동 부재(23)에 설치한 한 쌍의 돌기(26)가 슬릿(21)의 후단측에 헐겁게 끼워지고, 조작 버튼(20)의 조작면(20a)이 손가락으로 눌려져서 조작 버튼 (20)에 도면 우향의 힘이 작용하면, 원통부(19)의 후단부가 스프링 고정체(27)를 도면 우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8)이 점점 줄어들고, 조작 버튼(20)이 도면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 조작 버튼(20)의 원통부(19)에는 1/4 둘레에 걸친 나선형의 한 쌍의 슬릿(21)이 있고, 그 슬릿(2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 있는막대형 가동 부재(23)에 설치한 한 쌍의 돌기(26)가 헐겁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슬릿 (21)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 돌기(26)가 나선형의 슬릿(21)에 안내되어 회전 운동하고, 조작 버튼(20)이 도면 우측으로 완전히 밀어 넣어진 싱태에서는 돌기(26)가 슬릿(21)의 도면 좌단 부분에 위치하고, 그것에 의해 막대형 가동 부재(23), 즉 막대 자석(22)도 정확히 90도만큼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면 부재(11)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고 가느다랗게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작 버튼(20)을 줄지어 설치하고, 그와 같이 형성한 표면 부재(11)를 자동 판매기(200)의 전면 패널(201)에 붙여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면 부재(12)도 표면 부재(11)와 마찬가지로 길고 가느다랗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 부재(11)에 줄지어 설치한 복수의 조작 버튼(20)에 대응하여 복수의 리드 스위치(52)가 줄지어 설치된 1매의 기판(50)이, 표면 부재(11)와 이면 부재(12)에 대응하여 전면 패널(201)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기판(50)은, 예를 들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판형 부재(51)와, 그 판형 부재(51) 상에 설치된 검출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리드 스위치(52)와, 가격 등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이하, 가격 표시부라고 한다) (53)와, 예를 들면 핫/콜드 등의 구분 표시가 가능한 복수의 상품 정보 표시부(54)와, 복수의 투명부(개구여도 좋다)(55)를 구비하고 있고, 자동 판매기(200)의 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상품 샘플(210)을 얹어놓는 샘플대(211)의 전면 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전면 패널(201)에 붙여 고정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 본체부(10)(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조작 버튼(20))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버튼 장치(100)의 가격 표시부(53)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조작 버튼(20)을 조작하여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의 가격이, LED, 액정 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샘플대(211)의 내측에는 조명수단으로서의 라이트(212)가 설치되어, 빛이 투과 가능하게 설치된 상품 샘플(210)을 내측에서 비추는 동시에, 투명부(55) 전방의 상품 정보 표시부(54)도 그 부분을 통과하는 라이트(212)의 빛으로 비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격 표시부(53)와 투명부(55)는, 전면 패널(201)의 전방에서 봐서, 조작 버튼 본체부(10)에 의해 감춰지지 않는 위치, 즉 조작 버튼 본체부(10)와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그와 같이 설치된 투명부(5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샘플대(211)의 전면 판부재에도 투명부 (213)가 설치되고, 전면 패널(201)의 전방에서 기판(50)의 가격 표시부(53), 상품 정보 표시부(54)를 투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 버튼(20)을 구비한 조작 버튼 본체부(10)와, 가격 표시부 (53) 및 상품 정보 표시부(54)를 구비한 기판(50)을 별개의 부재로 하고, 또한 조작 버튼 본체부(10)와, 가격 표시부(53) 및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버튼 본체부(10)도, 가격 표시부(53) 및 상품 정보 표시부(54)도 각각 제약되지 않고서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조 상의 자유도가 크고, 각각에 참신한 디자인을 채용하여, 다른 버튼 장치와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리드 스위치(52), 가격 표시부(53) 등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허네스를, 판형 부재(51)나 샘플대(211)의 전면 패널 등의 후방에 배치하여, 전면 패널 (201)의 전방에서는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 본체부(10)의 막대 자석(22)과 기판(50)의 리드 스위치 (52)는,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20)이 도면 우방향으로 눌려져 있지 않을 때에는 리드 스위치(52)는 도통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20)이 도면 우방향으로 눌려져서 막대 자석(22)이 90도 회전 운동했을 때에 리드 스위치(52)가 도통하여 전류가 흐르고, 스위치가 동작하여 자동 판매기(200)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상품의 판매기구가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자석(22)의 N, S극의 중간부와, 리드 스위치(52)의 접점부(52C)가 대향하고, 또한 막대 자석(22)의 축 방향과 리드 스위치(52)의 리드선 방향을 동일 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접근시켜 배치하면,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리드 스위치(52)의 리드선(52A)의 막대 자석(22)의 N극에 가까운 부분은 S극이 되고, 그 접점부(52C)측은 N극이 되고, 다른 쪽 리드선(52B)의 리드 스위치(52)의 S극에 가까운 부분은 N극이 되고, 그 접점부(52C)측은 S극이 되기 때문에, 리드선(52A)와 (52B)는 접점부(52C) 부분에서 서로 당겨, 도통한다.
그러나, 막대 자석(22) 또는 리드 스위치(52) 중 어느 한 쪽이 90도 회전하여 도6의 (A)와 같은 배치가 되면, 막대 자석(22)의 N극과 S극 양쪽이 리드 스위치 (52)의 접점부(52C)와 등거리가 되기 때문에, 리드선(52A)의 접점부(52C)측도 리드선(52B)의 접점부(52C)측도 명료하게는 분극하지 않고, 따라서 리드선(52A)와 (52B)는 접점부(52C) 부분에서 서로 당기지 않고, 도통하지 않는다.
또한, 리드 스위치(52)는 조작 버튼(20)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우방향으로 눌려져 있지 않을 때에 도통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우방향으로 눌려져 막대 자석(22)이 90도 회전 운동했을 때에 도통하지 않게 되도록 설치되고, 리드 스위치(52)의 도통이 없어졌을 때에 자동 판매기(200)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상품의 판매기구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피 검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자석(22)의 N극, S극에 접근시켜서 한 쌍의 L자형 자성 부재(30)를 대칭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리드 스위치(52)가 도통하도록 리드 스위치(52)와 한 쌍의 L자형 자성 부재 (30)의 타단을 접근시켜서 설치하고, 또한, 조작 버튼(20)을 누르는 조작의 유무에 따라 막대 자석(22)이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L자형 자성 부재 (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52)가 도통하거나, 도통하지 않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피 검출 수단으로서는, 리드 스위치(52)가 도통하도록 막대 자석(22)과 리드 스위치(52)를 예를 들면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시켜서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버튼(20)을 누르는 조작의 유무에 따라, 예를 들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자기 차단 부재(32)가 막대 자석(22)과 리드 스위치 (52)사이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게 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 (52)가 도통하거나, 도통하지 않게 되도록 검출 수단과 피 검출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자기 차단 부재(32)는, 예를 들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통형으로 설치하고, 그와 같이 형성한 자기 차단 부재(32)가, 조작 버튼(20)을 누르는 조작의 유무에 따라 회전 운동하고, 막대 자석(22)과 리드 스위치(52) 사이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게 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52)가 도통하거나, 도통하지 않게 되도록 검출 수단과 피 검출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52)에 대신하여 발광 수단 (33)과 수광 수단(34)을 판형 부재(51) 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발광 수단 (33)에서 나온 빛을 수광 수단(34)으로 향하게 하는 광로 변경 수단(35)을 발광 수단(33), 수광 수단(34)의 전방에 예를 들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그 광로 변경 수단(35)이 조작 버튼(20)의 조작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발광 수단(33)에서 나온 빛이 수광 수단(34)에 도달하거나, 도달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검출 수단과 피 검출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광로 변경 수단(35)은, 집광 수단, 산광 수단, 프리즘, 광 파이버 등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광로 변경 수단(35)은, 예를 들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면 (36)이 변형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버튼(20)의 조작에 의해 그 반사면 (36)이 형성되고, 발광 수단(33)에서 나온 빛이 수광 수단(34)에 도달하거나,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 검출 수단과 피 검출 부재로 할 수도 있다(반사면(36)에서 반사한 발광 수단(33)의 빛이 수광 수단(34)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광수단 (33)을 반사면(36)의 초점에 설치하는 것으로 가능. 한 편, 발광 수단(33)에서 나온 빛은, 반사면(36)이 볼록면으로 변화하면, 반사면(36)에서 넓은 범위로 반사되기 때문에, 그 전방(도면 우측)에 위치하는 수광 수단(34)에도 빛은 도달한다.).
또한, 피 검출 부재에 막대 자석(22) 등을 사용했을 때에는, 검출 수단으로서는 리드 스위치(52)에 대신하여 그것 자체는 종래 주지의 홀 효과를 이용한 홀 소자(홀IC), 자기 저항 소자(MR소자)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 자동 판매기(200)의 전면 패널(201)은 선팽창률이 철 등의 금속에 비해서 크고, 또 변형도 하기 쉬운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막대 자석(22) 등의 피검출 부재와, 검출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홀 소자, 자기 저항 소자 등의 거리는 변동하기 쉽고, 따라서 검출 수단의 홀 소자, 자기 저항 소자 등이 검출하는 값도 계절, 설치부의 요철, 판매하기 위해 보관하고 있는 상품의 양(중량) 등에 의해 크게 변동하는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저항 소자(37)에 직류 증폭기(38)을 접속하여, 그 직류 증폭기(38)로 증폭한 전압을 A/D 변환 입력 장치가 부착된 마이크로 컴퓨터(39)로 처리 가능하게 접속하고,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 (200)의 전면 패널(201)의 개폐가 있을 때에는, 전면 패널(201)이 폐쇄된 수초 후 (개방되었을 때의 진동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수초 후의 측정이 바람직하다. 또, 전면 패널(201)의 개폐는 도어 스위치SW에 의해 확인된다)의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의 전압을 검출하여, 동작 전압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의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은 0V가 바람직하지만, 막대 자석(22)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0V로는 되지 않고, 예를 들면 5mV이고,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었을 때의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이 예를 들면 25mV였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39)는 중간치를 취하여 15mV를 임계치로 하고 있는데, 전면 패널(201)이 폐쇄된 수초 후에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의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이 15mV,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었을 때의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이 예를 들면 35mV가 되었을 때에는,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라도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은 임계치인 15mV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정을 하지 않으면 오 동작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면 패널(201)이 폐쇄된 수초 후에 조작 버튼(20)이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의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이 15mV였을 때에는, 10mV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임계치를 25mV(15mV+10mV)로 보정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보정은 정기적으로 행해도 좋고, 자동 판매기(200)에 설치한 온도 검출 수단이 설정 온도(예를 들면 20℃)에서 소정 온도(예를 들면 10℃) 벗어난 온도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임계치는 보정하지 않고, 자기 저항 소자(37)의 출력 전압을 보정하여,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도록 해도 좋다.
이 때문에 온도, 설치부의 요철, 보관 상품의 양(중량) 등이 크게 변동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버튼 장치(100)는 오 동작하지 않고 정상으로 동작한다.
또한, 기판(50)의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예를 들면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개구부(56)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창 부재(57)를 전방측에 배치하고, 그 배면측에 도면 좌측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인쇄 등에 의해 COLD, HOT이라고 교대로 표시되고, 도면 우측단에 설치한 기어 모터 (58)에 의해 도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인쇄 부재(59)가 배치되고, 다시 그 배면측에서 도면 좌측단의 개구부(56)에 대향하는 부분에 인쇄 등에 의해 COLD라고 표시된 고정 표시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15에 있어서 61은 기어 모터(58)의 회전축에 고정된 수지제의 원판, 62는 그 원판(61)과 일체 성형되어 원판(61)의 한쪽 면에 편심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가 화살촉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2분할되어 있는 스냅, 63은 스냅(62)의 화살촉부가 끼워진 긴 구멍(64)을 구비한 T자형의 수지제 크랭크 부재, 65는 크랭크 부재(63)의 한쪽 면에 크랭크 부재(63)와 일체로 성형된 스냅이고, 그 스냅(65)이 가동 인쇄 부재(59)의 일단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끼워져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표시 부재(60)의 COLD 표시와, 가동 인쇄 부재(59)의 COLD, HOT 표시는,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모터(58)를 구동하여 그 회전축에 부착한 원판(61)의 스냅(62) 부분을 도면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 인쇄 부재(59)도 도면 우측으로 이동하고, 고정 표시 부재(60)의 COLD 표시가 창 부재(57)의 도면 좌측단의 개구부(56)에서 보이고, 가동 인쇄 부재(59)의 COLD 표시가 창 부재(57)의 다른 개구부(56)에서 보이고, 도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기어 모터(58)를 구동하여 그 회전축에 부착한 원판(61)의 스냅(62) 부분을 도면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 인쇄 부재(59)도 도면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 표시 부재(60)의 COLD 표시는 가동 인쇄 부재(59)의 도면 좌측의 HOT 표시 부분으로 덮여지고, 창 부재(57)의 개구부(56)에서는 가동 인쇄 부재(59)의 HOT 표시 만이 보인다.
이 때문에, 냉각하여 판매하고 있던 상품을 가열하여 판매하는 상품으로 교체했을 때 등에, 상품 정보 표시부(54)의 표시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버튼 장치 (100)가 전면 패널(201)에 복수단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어도, 스위치 조작 하나로 기어 모터(58)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해 두는 것으로 그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상품을 가열하여 판매할 때와, 냉각하여 판매할 때를 시각이나 온도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하거나, 혹은 통신 수단을 통해 판매 센터 등과 연락 가능하게 했을 때에는, 다음날의 온도 예보를 수신하여 야간에 자동적으로 전환하거나, 판매 센터 등으로부터의 적절한 지시에 따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가동 인쇄 부재(59)와 크랭크 부재(63)를 스냅(65)을 통해서 연결하도록 했기 때문에, 양자의 연결도, 분리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염가의 장치를 희망하는 고객에게는 기어 모터(58)를 설치하지 않고, 가동 인쇄 부재(59)를 수동으로 움직이게 하여 그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것으로 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단부측에 고정 표시 부재(60)를 설치했기 때문에, 표시를 전환하기 위해 가동 인쇄 부재(59)를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그 단부가 자동판매기(200)의 패널이나 프레임에 부딪치는 일이 없다.
또한,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기어 모터(58)와 가동 인쇄 부재(59) 부분을 예를 들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기어 모터(58)를 도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각각의 기어 모터(58)에 의해 좌우로 소정 거리만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그 표면측에 소정 간격으로 COLD, HOT(도면에는 머리 글자만을 표시)이 교대로 인쇄된 가동 인쇄 부재(59)를 부착하고, 도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의 가동 인쇄 부재(59)를 도면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도15에서 설명한 창 부재(57)의 개구 부(56)에서 COLD 표시가 보이고, 도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의 가동 인쇄 부재(59)를 도면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창 부재(57)의 개구부(56)에서 HOT 표시가 보이고, 도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가동 인쇄 부재(59)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도면 좌측의 가동 인쇄 부재(59)에서는 HOT 표시가 창 부재(57)의 개구부(56)에서 보이고, 도면 우측의 가동 인쇄 부재(59)에서는 COLD 표시가 창 부재(57)의 개구부(56)에서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샘플대(211)에 설치되어 있는 상품 샘플(210)이 무단으로 교체되었을 때에는, 그 상품에 대응하는 버튼 장치(100)의 조작 버튼(20)이 조작되더라도, 그 구입 조작 여부의 검출이 되지 않도록 하여, 새로 설치된 상품 샘플에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샘플대(211)에 설치해 둔 상품 샘플(210)의 저부에 소정의 제1코일(70)을 부착하고(도1, 도17 참조), 그 제1코일(70)이 접근시켜 제2코일(71)을 기판(50)의 판상 부재(51)에 설치하고, 또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코일 (70)은 콘덴서로 흡수 회로(72)를 형성하고, 제2코일(71)은 증폭기와 콘덴서로 발진 회로(73)를 형성한다.
그리고, 버퍼 회로(72), 정류 수단(75), 컴퍼레이터(76) 등을 접속하여, 발진 회로(73)에서의 발진 레벨에 따라 판매 정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흡수 회로(72)는, 제1코일(70)과 콘덴서로 정해지는 공진 주파수를 발진 회로(73)의 발진 주파수와 동일하게 해둠으로써, 제1코일(70)과 제2코일 (71)이 접근하면, 발진 회로(73)의 발진 에너지는 제2코일(71)로부터 제1코일(70)에 가해지는데, 흡수 회로(72)는 공진하여 임피던스가 제로에 가까워져 있기 때문에, 전 에너지가 흡수 회로(72)에 흡수되어 발진이 정지되어 버리므로, A부분에 나타나 있던 발진 주파수의 신호는 없어지고, B, C부분에도 신호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컴퍼레이터(76)가 소정 전압을 출력했을 때에는, 제1코일(70)과 제2코일(71)이 접근해 있지 않은, 바꿔 말하면 소정의 상품 샘플(210)이 샘플대 (211)에서 떼어내어져 있기 때문에, 그 때에는 그 상품에 대응하는 버튼 장치(100)의 조작 버튼(20)이 조작되더라도, 그 구입 조작 여부의 검출이 되지 않도록 하여, 샘플대 (211)에 현재 설치되어 있는 상품 샘플(210)에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 동작이 정지되도록, 자동 판매기(200)의 도시하지 않은 판매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진 회로(73)의 발진 진폭이 소정 폭보다 작아졌을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특정 상품을 판매할 목적으로 가게 앞에 설치시킨 자동 판매기(200)에서, 자동 판매기(200)를 빌려준 사람에게 무단으로 제 마음대로 판매 상품이 교체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28)에 대신하여,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형 탄성체(28A)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받이된 가동 인쇄 부재(59A)에 인쇄 등에 의해 소용의 표시(예를 들면 HOT, COLD)를 하고, 기계적(기어 구동, 벨트 구동) 또는 수동에 의해 표시를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상품 정보 표시부(54)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자석(22)을 덮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40)를 착탈 가능하게 이면 부재(12)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40)를 부착함으로써, 막대 자석(22)에 철분 등의 자성체 가루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구성의 조작 버튼 본체부(10)에 있어서는, 돌출조(14)의 높이를 낮게 하는, 돌출조(14)를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하는 등 하여, 표면 부재(11)와 이면 부재(12)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전면 패널(201)에 부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전면 패널(201)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장착 중에는 탈락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돌출조(14)에 대신하여 돌기(14A)를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돌기(14A)의 하측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는 통형부(29)의 외주부 둘레 방향으로 오목부(41)를 단속적으로 설치하고, 장착/탈착 조작시에는 통형부(13)의 돌기(14A)가 있는 부분에 통상부 (29)의 오목부(41)를 위치시켜서 통상부(13)를 버튼 부착 구멍(202)에 밀어 넣었을 때에, 돌기(14A)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통상부(13)가 통상부(29)의 오목부(41) 측으로 휘어서 전면 패널(201)의 개구 단부가 돌기(14A)를 타 넘기 쉽게 하고, 전면 패널(201)의 개구 단부가 돌기(14A)를 타 넘은 후에 통상부(29)를 회전시켜서 오목부(41)가 없는 부분의 통상부(29)를 돌출조(14)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통상부(13), 즉 조작 버튼 본체부(10)가 버튼 부착 구멍(202)으로부터 누락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원통부(19)에 설치하는 한 쌍의 슬릿(21)은,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의 각도γ를 크게 하고, 양 단부측의 각도 α와 β를 중간부의 각도γ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피아노의 건반을 누를 때의 감각, 즉 처음에는 가벼운 힘으로 누르고, 중간부에서는 그것보다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하고, 마지막에는 또 다시 가볍게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조작 버튼(20)을 조작한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고, 조작시의 감각도 뛰어난 것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는 기판의 조작 버튼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 표시부를 설치하도록 한 제1발명의버튼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의 크기·형상 등과는 관계없이 표시부를 크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조 상의 자유도가 크고, 각각에 참신한 디자인을 채용하여, 다른 버튼 장치와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패널 부재에 복수의 조작 버튼을 설치하고,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복수의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을 설치하고, 조작 버튼의 조작을 비접촉 상태에서 검출하도록 한 제2발명의 버튼 장치에 있어서는, 문짝 등의 패널 부재에 부착하는 부재에는 전력을 공급할 필요는 없고, 그 내측에 고정하는 기판에만 전력을 공급하면 되기 때문에, 허네스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회로가 짜 넣어진 기판은 문짝 등의 패널 부재와 거리를 두고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회로가 있는 기판까지 빗물이 도달하는 경우는 없고, 따라서 쉽게 고장나지 않는다. 또, 패널 부재가 파손되더라도 거기에는 수지 성형된 염가의 부재만이 장착되어 있고, 전기 회로가 짜 넣어진 고가의 기판은 패널 부재와는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의 부재는 파손되기 어렵다.
또,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위하는 피 검출 부재를 구비하도록 한 제3발명의 버튼 장치와, 그 피 검출 부재를 패널 부재와 기판 사이에 설치하도록 한 제4발명의 버튼 장치에서는, 전후 방향의 치수가 작은 버튼 장치를 만들 수 있다.

Claims (14)

  1. 패널 부재에 설치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과, 상기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를 상기 기판의 상기 조작 버튼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2. 삭제
  3. 조작 버튼과,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위하는 피 검출 부재와, 상기 피 검출 부재의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4. 패널 부재에 설치하는 조작 버튼과, 상기 패널 부재의 버튼을 조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변위하는 피 검출 부재와, 상기 피 검출 부재의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피 검출 부재를 상기 패널 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 검출 부재가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위하고, 검출 수단이 상기 피 검출 부재의 변위에 따른 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피 검출 부재가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검출 수단이 상기 피 검출 부재의 회전 운동에 따른 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7. 삭제
  8. 조작 버튼과, 자석과, 자기 차단 부재와,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기 차단 부재가 변위했을 때의 자계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을 검츨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조작 버튼이 반사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빛의 상기 수광부에의 도달/비도달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변화 가능하게 상기 반사면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반사면이, 조작 버튼의 비조작시에는 오목면을 나타내고,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시에 볼록면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조작 버튼의 빛의 통로가 되어 빛을 안내하는 광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빛의 상기 수광부에의 도달/비도달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변화 가능하게 상기 광 안내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12. 제1항, 제3항, 제4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의 조작 버튼이 상품을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상품을 수납하는 바구니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면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해 덮여진 상기 바구니의 전방부에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의 조작 버튼이 상품을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상품을 수납하는 바구니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면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해 덮여진 상기 바구니의 전방부에 상품 샘플을 얹어 놓는 샘플대가 설치되고, 상기 샘플대의 전방부에 검출 수단을 구비한 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샘플대 밑에 조명 수단이 설치되고, 기판에 설치한 표시부를 그 배면측에서 상기 조명 수단이 투과광에 의해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01-0082184A 2001-02-08 2001-12-21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 판매기 KR100452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1987 2001-02-08
JP2001031987A JP4370724B2 (ja) 2001-02-08 2001-02-08 自動販売機用ボタン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177A KR20020066177A (ko) 2002-08-14
KR100452665B1 true KR100452665B1 (ko) 2004-10-14

Family

ID=1889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184A KR100452665B1 (ko) 2001-02-08 2001-12-21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70724B2 (ko)
KR (1) KR100452665B1 (ko)
CN (1) CN11943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0862C (zh) * 2003-04-30 2008-01-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相框式空调机的显示装置
JP4707565B2 (ja) * 2006-01-13 2011-06-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6055796B2 (ja) * 2014-07-01 2016-12-27 大光電気株式会社 リードスイッチを使用した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1639344B1 (ko) * 2014-09-29 2016-07-14 (주)코텍 디스플레이용 버튼장치
WO2016163309A1 (ja) * 2015-04-10 2016-10-13 株式会社光波 自動販売機用選択スイッチ装置
JP6629149B2 (ja) * 2016-08-04 2020-01-15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ーの流量計測部
JP7256966B2 (ja) * 2020-08-28 2023-04-13 株式会社タツノ 給油装置のノズル掛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977A (ja) * 1996-10-08 1998-04-2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表示パネル保持装置
KR19980035122U (ko) * 1996-12-12 1998-09-15 최진호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냉.온음료 표시장치
KR19990054641A (ko) * 1997-12-26 1999-07-15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상품 선택 및 판매 장치와 그 방법
JPH11271129A (ja) * 1998-03-19 1999-10-05 Toho Gas Co Ltd 自動検針用ガスメーター
JP2000021478A (ja) * 1998-06-19 2000-01-21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238844Y1 (ko) * 1998-10-14 2001-12-01 심성보 방수용푸시버튼스위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977A (ja) * 1996-10-08 1998-04-2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表示パネル保持装置
KR19980035122U (ko) * 1996-12-12 1998-09-15 최진호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냉.온음료 표시장치
KR19990054641A (ko) * 1997-12-26 1999-07-15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상품 선택 및 판매 장치와 그 방법
JPH11271129A (ja) * 1998-03-19 1999-10-05 Toho Gas Co Ltd 自動検針用ガスメーター
JP2000021478A (ja) * 1998-06-19 2000-01-21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238844Y1 (ko) * 1998-10-14 2001-12-01 심성보 방수용푸시버튼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8747A (zh) 2002-09-11
JP4370724B2 (ja) 2009-11-25
CN1194362C (zh) 2005-03-23
JP2002236966A (ja) 2002-08-23
KR20020066177A (ko)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406B1 (en) Mirror device having automatic light device
US5903214A (en) Bicycle display apparatus
KR101356648B1 (ko) 컨트롤패널 및 이를 갖춘 세탁기
KR100452665B1 (ko) 자동 판매기용 버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 판매기
CN113661369B (zh) 具有布置在门中的摄像机的家用器具
US6590763B2 (en) Weatherproof switch assembly
DE50312450D1 (de) Bedieneinheit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US10852854B2 (en) Control system and device for use in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ical appliance
JP6242499B2 (ja) 蛍光時間表示の目盛り盤を有する腕時計
CA3080820C (en) Photosensitive pressure alarm device for electric cleaning care appliances
JPH03152474A (ja) 電子式エネルギ・メータ用の試験モード作動器および表示器
JP2020064632A (ja) 入力装置
JP4453561B2 (ja) タイマスイッチ
JP4936669B2 (ja) 遊技機用操作スイッチ
KR20060133763A (ko) 냉장고용 제어기의 설치구조
ATE275286T1 (de) Schaltstellungsanzeiger für installationsgeräte mit verschwenkbarem handbedienorgan und damit versehene geräte
TW473691B (en) Off-axis object detection system for a portable bar code scanner
JPH07122160A (ja) 断路器
KR200273026Y1 (ko) 계량기 숫자휠의 회전수 계수장치
JP2536777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選択用スイッチ
US7005806B2 (en) Light device having automatic control device
JP2560606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選択ボタン装置
JP3272951B2 (ja) 操作装置
KR200148562Y1 (ko) 냉장고 표시기능 제어장치
AU2003100495A4 (en) Tilt switch and mo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