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484B1 -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484B1
KR100452484B1 KR10-2002-0009352A KR20020009352A KR100452484B1 KR 100452484 B1 KR100452484 B1 KR 100452484B1 KR 20020009352 A KR20020009352 A KR 20020009352A KR 100452484 B1 KR100452484 B1 KR 10045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air
cylinder
control valv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504A (ko
Inventor
표봉환
박성철
Original Assignee
박성철
표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표봉환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10-2002-000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4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3/00Rotary fluid couplings or clutches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D33/06Rotary fluid couplings or clutches of the hydrokinetic type controlled by changing the amount of liquid in the working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025/081Hydraulic devices that initiate movement of pistons in slave cylinders for actuating clutches, i.e.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 상용차에 적용되는 수동 변속장치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클러치 페달의 수동조작 없이 전기력과 공압력을 이용한 원터치 작동으로 손쉽게 변속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16)에 작용되는 답력이 페달 레버(26)를 통하여 마스터실린더(15)에 전달되면 변속레버(20)를 이용한 변속동작이 가능한 클러치 기구에 있어서: 에어탱크(11) 및 전자 제어 밸브(12)를 개재하여 제공되는 공압으로 전후진 작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클러치 페달(16)의 페달 레버(26)와 병설되는 에어 실린더레버(24)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실린더(15)를 작동하는 에어실린더(14); 및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단속하여 에어실린더(14)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변속레버(20) 상에 설치되는 스위치(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Semi Automatic Clu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 상용차에 적용되는 수동 변속장치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클러치 페달의 수동조작 없이 전기력과 공압력을 이용한 원터치 작동으로 손쉽게 변속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은 운전자가 차속 변경 및 차량 정지시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하는 불편과 운전자의 운전 조작에 번거러움이 초래되며, 이와같은 상태로 정체 구간이나 장거리를 주행하게 될 때 운전자의 피로감은 대폭 증가하게 된다.
특히 5 Ton 이상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클러치 작동에 따른 하중이 과중함으로 인해 피로감은 더욱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유압을 이용한 클러치 작동장치가 보급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동력소모가 많은 구조이기 때문에 엔진출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불가피하게 고마력 엔진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차량 가격을 크게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다시말해,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인 변속기는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그리고 반자동변속기의 3가지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이중 반자동 변속기(semi-automatic transmission)는 대형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 대형 상용차의 변속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EPS(electro-pneumatic shift)변속기와, 유체토크컨버터 및 기계식 클러치를 조합한 토크컨버터 시프트 클러치(torqueconverter-shift clutch)로 구분되어 개발되고 있다.
EPS변속기란, 다단(6단 16단)변속이 가능하고 전달효율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유성기어장치에 비해 하중 부담능력이 큰 기어트래인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자동 변속기로서 변속레버와 변속기 본체를 연결하는 기계식 시프트 링키지를 전자.공압식으로 대체한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마그넷밸브와 서보실린더에 의해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변속시키면 제어 일렉트로닉에 의해 서보 실린더가 작동하여 변속을 행하게 된다.
한편, 토크컨버터 시프트 클러치는 토크컨버터와 기계식 변속기 사이에 마찰 클러치를 설치하여 시프트레버의 작동에 의해 클러치를 자동으로 단속하기 위한 전자석 컨트롤밸브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토크컨버터 시프트 클러치방식의 변속기는 클러치 페달 없이 시프트레버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마찰클러치를 단속하여 반자동의 변속이 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반자동 변속기는 수동변속기의 순발력과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의 편의성을 아울러 갖추고 있으며, 한편, 자동변속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염가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자동변속기에 비해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 승용차용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의 자동 또는 반자동의 변속기들은 추가 부담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엔진출력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상용차량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아니하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며, 따라서 안정된 출력유지를 위해 자동 또는 반자동 변속기의 설치를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이 현실이다.
다시말해, 이미 출고된 상용차량의 경우 이러한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출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어서, 운전 중 다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하면서도 클러치 제어작동의 정밀성이 보장되고 엔진의 출력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수동 및 원터치 반자동 겸용의 클러치 구성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전기력과 공압력을 이용한 원터치 작동으로 손쉽게 변속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수동변속기의 기계적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클러치 페달의 수동조작 없이 전기력과 공압력을 이용한 원터치 작동으로 손쉽게 변속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스위치의 구조에 에어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량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반클러치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초기 기동에서 부터 주행중의 변속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동작이 클러치 조작없이 반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작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량 조절기능을 갖는 스위치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연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에어탱크, 12, 22: 전자밸브, 13: 공압조절기, 14: 에어실린더, 15: 마스터실린더, 16: 클러치 페달, 20: 변속레버, 21: 스위치, 23: 엑추에이터, 24: 제 2 레버, 26: 제 1 레버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기어 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계합 및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실린더; 유체 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마스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체 실린더; 유로를 통해 상기 유체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탱크; 상기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실린더로의 유체 압력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밸브; 그리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를 ON 시켰을 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실린더로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를OFF 시켰을 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유로의 개방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체는 공기이며, 상기 유체 실린더는 에어 실린더, 상기 유체 탱크는 에어 탱크, 상기 유체 압력 조절기는 공압 조절기, 그리고 상기 유체 압력은 공기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형 스위치 몸체와, 푸쉬 버튼 형태로 상기 스위치 몸체 내에 삽입된 스위치 버튼과, 상기 스위치 버튼에 대해 상기 스위치 몸체의 바깥 방향으로의 편향력을 작용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의 저면과 상기 스위치 몸체의 내측 바닥면 각각에는 전기 접점이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 버튼이 눌러져 상기 전기 접점들이 서로 접할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가 작동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는 흡입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는, 상기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흡입 포트 각각에 연결된 제 1 공압 조절기와, 상기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배출 포트 각각에 연결된 제 2 공압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몸체의 내면과 상기 스위치 버튼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스위치 버튼의 작동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공압 조절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압 조절기는, 상기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공압 조절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 1 에어 유도관과, 상기 공압 조절 챔버와 상기 배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제 2 에어 유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는 수동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동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는 클러치 페달과 상기 클러치 페달에 일체로 연결된 페달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상기 페달 레버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클러치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작동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량 조절기능을 갖는 스위치의 구성 예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같은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16)에 작용되는 답력이 페달 레버(26)와 작동 로드(25)를 통하여 마스터실린더(15)에 전달되면 변속레버(20)를 이용한 변속동작과 동일한 역활을 수행하는 클러치 기구에 관련되며, 대형 차량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에어탱크(11)의 공압과 함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러치 페달(16)의 페달 레버(26)와 병설되는 에어 실린더 레버(24)를 통해, 상기 마스터실린더(15)를 작동하는 에어실린더(14)가 에어탱크(11) 및 전자 제어 밸브(12)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공압으로 전후진 작동력을 발생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는 에어탱크(11)의 공압을 왕복운동형 에어실린더(14)의 챔버로 보내어 그 작동간이 전후진하도록 한다. 전자 제어 밸브(12)는 솔레노이드로 작동되고 스프링력으로 복귀되는 형식을 사용한다. 이때, 에어실린더(14)의 작동간에 연결되는 에어 실린더 레버(24)는 클러치 페달(16)에 연결되는 페달 레버(26)처럼 회동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 체 피벗 핀(18)으로 고정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17은 마스터실린더(15)에 연통되는 오일탱크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단속하여 에어실린더(14)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변속레버(20)상에 스위치(21)가 설치된다. 스위치(21)는 푸시버튼처럼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력으로 복귀되는 형식을 사용하며, 변속조작과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변속레버(20)의 파지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21)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형 스위치 몸체(21a)와, 푸쉬 버튼 형태로 스위치 몸체(21a) 내에 삽입된 스위치 버튼(21b)과, 스위치 버튼(21b)에 대해 스위치 몸체(21a)의 바깥 방향으로의 편향력을 작용시키는 압축 스프링(21c)을 포함한다. 스위치 버튼(21b)의 저면과 스위치 몸체(21a)의 내측 바닥면 각각에는 전기 접점(P)이 구비되어, 스위치 버튼(21b)이 눌러져 전기 접점(P)들이 서로 접할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가 작동된다. 또한, 스위치 몸체(21a)의 내면과 스위치 버튼(21b)의 하면 사이에는 스위치 버튼(21b)의 작동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공압 조절 챔버(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자 제어 밸브(12)와 에어실린더(14) 사이에는 공압조절기(13)를 설치하게 된다. 이같은 공압조절기(13)는 상기 에어실린더(14)의 피스톤부재(14b)를 상승시키기 위한 흡입포트(141)와 배출포트(142)에 각각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배출포트(142)에 설치되는 공압조절기의 구조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위치 몸체(21a)와 연결되는 한쌍의 에어 유도관(12a)(14a) 및 이들의 개방된 면적을 가변시켜 공기의 량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저부에 접점(P)을 일체로 형성한 스위치 버튼(21b)의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통해 이른바 반클러치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접점(P)을 형성하고 있는 스위치(21) 상에, 전자 제어 밸브(12)를 거쳐 에어실린더(14)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 몸체(21a)의 마주보는 양측 벽면을 따라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 및 에어실린더(14)와 연통하는 한쌍의 에어 유도관(12a)(14a)을 각각 연설하는 한편, 스위치 몸체(21a)의 내측에는 저부에 또 하나의 접점(P)을 형성한 스위치 버튼(21b)이 설치된다. 이같은 스위치 버튼(21b)은 스위치 몸체(21a)로부터 무리하게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하단에 이탈방지용 핀(도시생략)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스위치 버튼(21b)이 눌러져 전기 접점(P)들이 서로 접할 때 전자 제어 밸브(12)가 작동되어 에어 탱크(11)로 부터 에어 실린더(14)로 공기압이 제공된다. 전기 접점(P)이 서로 떨어졌을 때 전자 제어 밸브(12)는 에어 탱크(11)로 부터 에어 실린더(14)로의 유로를 폐쇄하도록 편향 스프링력의 작용을 받는다.
한편, 마스터 실린더(15)는 오일 탱크(17)에 연결되어 오일 탱크(17)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내장한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15)는 마스터 실린더(15) 내를 왕복하며 오일탱크(17) 내의 오일에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23)를 통하여 클러치를 계합 및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는 작동 로드(25)를 포함한다. 에어 실린더(14)는 에어실린더(14) 내에서 에어 탱크(11)로부터 전자 제어 밸브(12)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부재(14b)를 포함하며, 작동 로드(25)는 피스톤 부재(14b)에 의해 작동된다.
에어 실린더(14)의 피스톤 부재(14b)는 에어 실린더 레버(24)에 연결되며, 에어 실린더 레버(24)는 피벗 핀(1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 부재(14b)가 작동될 때 에어 실린더 레버(24)가 피벗 핀(1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작동 로드(25)를 밀어 클러치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클러치 작동장치는 그 작동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16)을 밟아 페달 레버(26)가 회동되면 마스터실린더(15)가 작동하여 클러치를 이격시키는 수동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다. 만일 운전자가 장시간의 운전으로 인하여 다리의 피로를 느낀다면 변속레버(20)에 설치된 스위치 버튼(21b)을 누르는 순간 에어실린더(14)에 에어탱크(11)의 공압이 전달되어 에어 실린더 레버(24)가 회동되고 마스터실린더(15)가 작동하여 클러치가 이격된다.
한편, 변속레버(20)의 조작이 완료되어 스위치 버튼(21b)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위치(21)가 오프되고 전자 제어 밸브(12), 에어실린더(14) 및 마스터실린더(15)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이러한 스위치(21)를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공압조절기의 기능을 겸한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버튼(21b)을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클러치 클러치 페달(16)을 밟는 대체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눌렀던 스위치 버튼(21b)을 서서히 떼는 동작에 의해 스위치 몸체(21a)의 양측에 연설되어 있는 에어 유도관(12a)(14a)의 개방된 면적을 가변시켜 주어 공기의 량을 조절하여 줌으로서 반클러치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을 전혀 사용함이 없이도 초기 기동에서 시작하여 주행중의 변속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동작이 반자동으로 이루어 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실린더(14)의 작동력을 받는 마스터실린더(15)와, 양측 마스터실린더(15)의 작동압 중 택일하는 전자밸브(22)와, 선택된 작동압으로 클러치를 작동하는 엑추에이터(23)를 각각 추가로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클러치 페달(16)에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15) 외에 에어실린더(14)에 의해 작동되는 마스터실린더(15)가 추가된다.
양측 마스터실린더(15)의 유압은 전자밸브(22)에 의해 택일되는데, 전술한 전자 제어 밸브(12)가 공압용인 반면, 이때 전자밸브(22)는 유압용을 사용한다. 물론 전자밸브(22)의 작동은 변속레버(20)에 설치되는 스위치(21)를 이용한다.
엑추에이터(23)는 유압력을 링크작동을 위한 기구적인 힘으로 변환한다. 다시말해, 도 3의 클러치 작동장치는, 클러치 페달(16)을 밟아 마스터실린더(15)를 구동하면 전자밸브(22)를 통해 엑추에이터(23)에 유압력이 작용하여 기구적인 힘이 가해져 클러치 구동이 이루어 진다. 반면에 운전중 피로로 인해 변속레버(20)의 스위치 버튼(21b)을 이용하여 클러치를 조작하고자 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1)를 누르는 순간 에어실린더(14)에 에어탱크(11)의 공압이 전달되어 피스턴로드(24')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는 다시 마스터실린더(15)의 작동으로 이어져 클러치를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변속레버(20)의 조작이 완료되어 스위치 버튼(21b)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위치(21)가 오프되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12), 에어실린더(14) 및 마스터실린더(15)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도 3의 구성은 도 1에 비하여 다소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는 하지만, 도 1처럼 운전석에 에어 실린더 레버(2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운전석의 공간을 활용하거나 오작동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작동에 있어서 스위치(21)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변속이 용이한 점은 동일하다.
도 4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연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 레버(24)(26)는 일측이 타측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마스터 실린더(15)에 연결된다. 이는 도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도 1에서 에어 실린더 레버(24)(26)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는데 반해서, 도 3에서는 에어 실린더 레버(24)(26)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있음이 다를 뿐, 이들의 구성과 동작은 같다. 이 실시예 역시 각각의 에어 실린더 레버(24)(26)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분리된 구조를 택한다.
즉, 스위치(21)를 눌러 마스터실린더(15)를 작동시킬 때 에어 실린더 레버(24)가 회동하는 동안 클러치 페달(16)의 페달 레버(26)가 이에 연동되지 않고 제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안전운전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러치 기구는 기존의 변속 장치에 바로 직결 장착하여 반자동 원터치로 변속이 용이하다. 작동용 공압이나 전원은 차량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절한 배관 및 배선상에 곤란성도 크지 않다.
또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반자동을 선택하여 사용하므로 차량 운행에 따른 연료비가 그다지 크게 증가되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클러치 페달의 수동조작 없이 전기력과 공압력을 이용한 원터치 작동으로 손쉽게 변동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의 기어 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계합 및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실린더; 유체 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마스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체 실린더; 유로를 통해 상기 유체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탱크; 상기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실린더로의 유체 압력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밸브; 그리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를 ON 시켰을 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실린더로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를 OFF 시켰을 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유로의 개방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는, 상기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전자 제어 밸브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압력 조절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이며, 상기 유체 실린더는 에어 실린더, 상기 유체 탱크는 에어 탱크, 상기 유체 압력 조절기는 공압 조절기, 그리고 상기유체 압력은 공기압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형 스위치 몸체와, 푸쉬 버튼 형태로 상기 스위치 몸체 내에 삽입된 스위치 버튼과, 상기 스위치 버튼에 대해 상기 스위치 몸체의 바깥 방향으로의 편향력을 작용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의 저면과 상기 스위치 몸체의 내측 바닥면 각각에는 전기 접점이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 버튼이 눌러져 상기 전기 접점들이 서로 접할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스위치 버튼이 눌러져 상기 전기 접점들이 서로 접할 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가 작동되어 상기 에어 탱크로 부터 상기 에어 실린더로 공기압이 제공되도록하며, 상기 전기 접점이 서로 떨어졌을 때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의 편향 스프링력을 작용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흡입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는, 상기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흡입 포트 각각에 연결된 제 1 공압 조절기와, 상기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배출 포트 각각에 연결된 제 2 공압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몸체의 내면과 상기 스위치 버튼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스위치 버튼의 작동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공압 조절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압 조절기는, 상기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공압 조절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 1 에어 유도관과, 상기 공압 조절 챔버와 상기 배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제 2 에어 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오일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내장하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를 왕복하며 상기 오일에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를 계합 및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에어실린더 내에서 상기 에어 탱크로부터 상기 전자 제어 밸브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피스톤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부재는 에어 실린더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 레버는 피벗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 부재가 작동될 때 상기 에어 실린더 레버가 피벗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작동 로드를 밀어 상기 클러치를 해제 상태로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는 수동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동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는 클러치 페달과 상기 클러치 페달에 일체로 연결된 페달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상기 페달 레버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클러치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레버와 상기 에어 실린더 레버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는, 수동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며, 또한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각각은, 오일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내장하며, 상기 각각의 마스터 실린더 내를 왕복하며 상기 오일에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를 계합 및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에어실린더 내에서 상기 에어 탱크로부터 상기 전자 제어 밸브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부재와 상기 제 1 작동 로드는 서로 일체로 된 하나의 로드를이루며, 따라서 상기 공기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 부재가 작동될 때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제 1 작동 로드를 밀어 상기 클러치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며, 상기 수동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는 클러치 페달과 상기 클러치 페달에 일체로 연결된 페달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상기 페달 레버는 상기 제 2 마스터 실린더의 제 2 작동 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클러치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작동장치.
KR10-2002-0009352A 2002-02-21 2002-02-21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KR10045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52A KR100452484B1 (ko) 2002-02-21 2002-02-21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52A KR100452484B1 (ko) 2002-02-21 2002-02-21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921U Division KR200222859Y1 (ko) 2000-07-08 2000-10-26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504A KR20020035504A (ko) 2002-05-11
KR100452484B1 true KR100452484B1 (ko) 2004-10-15

Family

ID=1971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352A KR100452484B1 (ko) 2002-02-21 2002-02-21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57B1 (ko) * 2019-01-15 2020-07-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62B1 (ko) * 2007-12-14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웨이 밸브가 구비된 클러치 부스터
WO2016199950A1 (ko) * 2015-06-09 2016-12-15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CN105782424B (zh) * 2016-05-23 2017-12-29 武汉理工大学 拖拉机变速器电控气动换挡装置
KR102011848B1 (ko) * 2017-05-10 2019-08-19 (주)이노시뮬레이션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CN107199915B (zh) * 2017-05-25 2023-05-02 福建中青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纯电动车辆换挡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57B1 (ko) * 2019-01-15 2020-07-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KR102129354B1 (ko) * 2019-01-15 2020-07-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KR102129350B1 (ko) * 2019-01-15 2020-07-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WO2020149519A1 (ko) * 2019-01-15 2020-07-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504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812B1 (en) Simplified transfer case shift actuator
JP3598688B2 (ja) クラッチ断続装置
JP3531117B2 (ja) 機械式変速機用の流体作動式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
KR100452484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US7949450B2 (en) Control system for a torque transmitting device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GB2057607A (en) Arrangement for Blocking a Vehicle Clutch
US4168638A (en) Fluid pressure supply arrangement for fluid operated countershaft power transmission
KR200222859Y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CN1291948A (zh) 驱动设备
KR200289723Y1 (ko) 차량용 클러치 작동장치
JPH09269019A (ja) 車両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H09269021A (ja) 自動車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3386974B2 (ja) クラッチ倍力装置
JP3704757B2 (ja) 流体圧発生装置
KR960000196Y1 (ko) 지게차의 브레이크와 인칭연동장치
JPS62246631A (ja) クラツチ操作装置
JPH0925949A (ja) クラッチ断続装置
KR0142542B1 (ko) 자동 변속기의 전자식 모듈레이터 시스템
JPH04231771A (ja) インチングバルブ
JPS62424Y2 (ko)
WO2002035109A1 (en) Semi automatic system for actuating a clutch for an automobile
KR0151803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KR970010128B1 (ko) 자동 변속기의 에어 모듈레이터 시스템
JPH0953658A (ja) クラッチ断続装置
JPH10184724A (ja) クラッチ断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