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848B1 -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848B1
KR102011848B1 KR1020170058153A KR20170058153A KR102011848B1 KR 102011848 B1 KR102011848 B1 KR 102011848B1 KR 1020170058153 A KR1020170058153 A KR 1020170058153A KR 20170058153 A KR20170058153 A KR 20170058153A KR 102011848 B1 KR102011848 B1 KR 10201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unit
simulator
hook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874A (ko
Inventor
전건호
김옥현
Original Assignee
(주)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시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5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4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은 시뮬레이터본체와 클러치유닛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걸림돌부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시뮬레이터본체와 클러치유닛 중 다른 하나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후크부 및 걸림돌부와 걸림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걸림후크부의 설치 위치에서 걸림후크부를 탄성 지지하는 상태유지탄성부를 포함함으로써, 운전자의 탑승공간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를 선택하고, 운전자가 운전 연습 조건에 따라 하나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선택적으로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자동기어변속모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CLUTCH LOCKING UNIT AND SIMULATOR FOR PRACTICING DRIVING USING THIS}
본 발명은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운전 연습 조건에 따라 하나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선택적으로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자동기어변속모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연습을 위해 다양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는 수동기어방식과 자동기어방식으로 구분하고, 운전자가 기어의 변속을 통해 가상의 운전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는 수동기어방식과 자동기어방식 중 한 가지 방식만이 적용되므로, 운전자의 운전 연습 조건에 따라 수동기어방식의 시뮬레이터와 자동기어방식의 시뮬레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므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설치 공간 및 설치 비용에 제약을 받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547호(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수동변속기어 장치, 2015. 06. 2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운전 연습 조건에 따라 하나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선택적으로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자동기어변속모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은 운전자의 탑승공간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를 선택하는 클러치락킹유닛이고,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와 상기 클러치유닛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상기 걸림돌부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와 상기 클러치유닛 중 다른 하나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후크부; 및 상기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걸림후크부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걸림후크부를 탄성 지지하는 상태유지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은 상기 상태유지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걸림후크부를 회전시키는 설정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은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 결합되는 탄성실린더; 상기 설정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피스톤; 및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탄성피스톤에 결합되는 사용자파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은 상기 탄성실린더에서 상기 탄성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조작복귀탄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는 운전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공간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본체; 상기 탑승공간에서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하는 클러치유닛; 상기 운전석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유닛의 피벗 운동을 바탕으로 기어의 변속을 위한 수동기어부의 조작이 가능한 수동기어변속모듈; 상기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운전석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유닛의 조작없이도 기어의 변속을 위한 자동기어부의 조작이 가능한 자동기어변속모듈; 및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 상기 클러치유닛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상기 클러치유닛의 피벗 운동을 자유롭게 하는 클러치락킹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락킹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는 상기 클러치락킹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상기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 및 상기 상태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상기 자동기어변속모듈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변속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운전자가 운전 연습 조건에 따라 하나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선택적으로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자동기어변속모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시뮬레이터본체에서 클러치유닛의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걸림돌부와 걸림후크부 사이의 걸림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기어변속모듈이 안정되게 활성화되도록 한다.
셋째, 시뮬레이터본체에서 클러치유닛의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전하게 해제시킬 수 있고, 걸림돌부에서 걸림후크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수동기어변속모듈이 안정되게 활성화되도록 한다.
넷째, 탄성실린더에서 탄성피스톤을 간편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운전자의 조작을 최소화시켜 운전자의 운전 연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걸림후크부의 피벗 운동에 따라 걸림돌부가 걸림후크부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돌부와 걸림후크부의 걸림 결합 및 걸림돌부와 걸림후크부의 걸림 결합 해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여섯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설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충실한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유지 보수 및 이전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일곱째, 시뮬레이터본체에서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수동기어변속모듈 또는 자동기어변속모듈의 선택이 안정화되고, 변속모듈의 변경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클러치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클러치유닛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클러치락킹유닛의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클러치락킹유닛의 동작에 따른 걸림돌부의 자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락킹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사용되는 클러치락킹유닛(70)으로 설명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터본체(10)와, 클러치유닛(40)과, 수동기어변속모듈(50)과, 자동기어변속모듈(60)과, 클러치락킹유닛(70)을 포함하고, 상태감지부(80)와, 변속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본체(10)는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외관을 형성한다. 시뮬레이터본체(10)에는 운전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공간(11)이 형성된다. 탑승공간(11)에는 운전자의 착석을 위한 운전석(20)이 구비된다. 운전석(20)의 전방으로는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한 조향핸들(30)이 구비된다. 조향핸들(30)의 아래쪽으로는 차량의 가속을 위한 엑셀레이터(미도시)와, 차량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미도시)와, 기어의 변속을 위한 클러치유닛(40)이 구비된다. 엑셀레이터(미도시)와, 브레이크(미도시)와, 클러치유닛(40)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엑셀레이터(미도시)와, 브레이크(미도시)은 각각 탑승공간(11)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이 가능하다. 엑셀레이터(미도시) 또는 브레이크(미도시)의 피벗 운동에는 왕복 운동이 포함된다.
클러치유닛(40)은 탑승공간(11)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한다. 클러치유닛(40)의 피벗 운동에는 클러치유닛의 왕복 운동이 포함된다.
클러치유닛(40)은 클러치회동축(41a)을 매개로 시뮬레이터본체(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로드(41)와, 클러치로드(41)의 단부에 구비되는 클러치페달(42)과, 클러치로드(41)의 피벗 운동에 따라 클러치로드(4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복귀탄성부(43)를 포함한다.
클러치페달(42)은 시뮬레이터본체(10)로부터 페달높이만큼 이격되어 있다.
시뮬레이터본체(10)로부터 이격되어 페달높이에 위치한 클러치페달(42)이 시뮬레이터본체(10)로 이동되면, 클러치페달(42)은 유격구간과, 클러치구간과, 이격구간을 차례로 통과한다. 여기서, 유격구간은 클러치페달(42)이 아이들(idle) 이동되는 간격을 나타내고, 클러치작동구간은 유격구간을 지나 수동기어변속모듈(50)에 의한 기어 변속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을 나타내며, 이격구간은 클러치작동구간을 지나 클러치페달(42)과 시뮬레이터본체(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나타낸다.
이때, 클러치락킹유닛(70)은 이격구간에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클러치락킹유닛(70)의 동작이 클러치유닛(40)에 의한 기어의 변속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러치유닛(40)은 클러치로드(41)의 피벗 운동 상태를 수동기어변속모듈(50)로 전달하는 전달로드(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로드(44)는 클러치로드(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뮬레이터본체(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달로드(44)는 클러치페달(42)의 페달높이(또는 클러치로드(41)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달로드(44)는 유격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동기어변속모듈(50)은 운전석의 일측에 구비된다. 수동기어변속모듈(50)은 운전자의 조작을 위한 수동변속레버부(51)와, 클러치유닛(40)의 피벗 운동을 바탕으로 하는 수동변속레버부(51)의 동작에 따라 기어의 변속을 실시하는 수동기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수동기어변속모듈(50)은 클러치유닛(40)의 피벗 운동을 바탕으로 수동변속레버부(51)를 조작하면, 기어의 변속을 위한 수동기어부(52)의 조작이 가능하다.
자동기어변속모듈(60)은 수동기어변속모듈(50)과 이격된 상태로 운전석의 일측에 구비된다. 자동기어변속모듈(60)은 운전자의 조작을 위한 자동변속레버부(61)와, 클러치유닛(40)의 조작없이도 자동변속레버부(61)의 동작에 따라 기어의 변속을 실시하는 자동기어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자동기어변속모듈(60)은 클러치유닛(40)의 조작없이도 자동변속레버부(61)를 조작하면, 기어의 변속을 위한 자동기어부(62)의 조작이 가능하다.
클러치락킹유닛(70)은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클러치유닛(40)의 고정 여부를 선택한다. 다른 표현으로, 클러치락킹유닛(70)은 시뮬레이터본체(10)에 클러치유닛(40)을 고정시키거나,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피벗 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클러치락킹유닛(70)은 걸림돌부(71)와, 걸림후크부(72)와, 상태유지탄성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부(71)는 시뮬레이터본체(10)와 클러치유닛(40)(또는 클러치로드(41) 또는 클러치페달(42))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걸림후크부(72)는 걸림돌부(71)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시뮬레이터본체(10)와 클러치유닛(40) 중 다른 하나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후크부(7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회동축(71a)을 매개로 시뮬레이터본체(10)와 클러치유닛(40)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721)와, 회동결합부(721)에서 돌출 형성되는 연장날개부(722)와, 연장날개부(722)에서 돌출 형성되는 날개돌출부(723)와, 연장날개부(722)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날개돌출부(723)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가이드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연장날개부(722)와 날개돌출부(723)와 돌출가이드부(724)에 의해 걸림돌부(71)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부(725)를 형성하게 되고, 회동결합부(721)와 돌출가이드부(724) 사이에는 걸림돌부(71)가 이동되는 연통공간(726)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연통공간(726)은 지지홈부(725)와 연통된다.
여기서, 연장날개부(722)에는 후술하는 설정와이어(74)가 결합되는 와이어결합부(722a)가 형성된다. 와이어결합부(722a)는 날개돌출부(723) 또는 돌출가이드부(724)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와이어결합부(722a)는 걸림후크부(72)의 회전각에 대응하여 연장날개부(722)와, 날개돌출부(723)와, 돌출가이드부(724) 중 어느 하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날개돌출부(723)에는 연장날개부(722)의 단부로부터 돌출가이드부(724)를 향해 돌출경사부(723a)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경사부(723a)는 걸림후크부(72)로 이동되는 걸림돌부(71)를 돌출가이드부(724)의 외측면으로 안내한다.
또한, 돌출가이드부(724)에는 돌출가이드부(724)의 외측면으로부터 지지홈부(725)를 향해 탈착경사부(724a)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탈착경사부(724a)는 돌출가이드부(724)의 외측면으로 이동되는 걸림돌부(71)를 지지홈부(725)로 안내하거나, 지지홈부(725)에 지지되는 걸림돌부(71)가 지지홈부(725)에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클러치락킹유닛(70)은 설정와이어(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와이어(74)는 상태유지탄성부(73)가 탄성 변형되도록 걸림후크부(72)를 회전시킨다. 설정와이어(74)의 일단부는 와이어결합부(722a)를 매개로 걸림후크부(72)에 결합되고, 설정와이어(74)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탄성피스톤(76)에 결합된다.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와이어(74)를 잡아당기면, 걸림후크부(72)가 회전되고, 운전자의 조작에 다라 설정와이어(74)에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상태유지탄성부(7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후크부(72)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시뮬레이터본체(10)에는 설정와이어(74)가 관통 지지되는 경로변환부(74a)가 구비될 수 있다. 경로변환부(74a)는 운전자가 설정와이어(74)를 잡아당길 때, 설정와이어(74)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운전자가 파지하기 좋은 위치로 설정와이어(74)를 인출시킬 수 있고, 걸림후크부(72)의 회전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클러치락킹유닛(70)은 탄성실린더(75)와, 탄성피스톤(76)과, 사용자파지부(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실린더(75)는 시뮬레이터본체(10)에 결합된다. 탄성실린더(75)는 중공의 기둥 형상이고, 일측 단부에는 탄성피스톤(76)의 로드부가 통과하는 제1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설정와이어(74)가 통과하는 제2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탄성실린더(75)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파지부(78)의 일부가 끼움 결합되는 지지캡부(75a)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피스톤(76)은 설정와이어(74)가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실린더(7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탄성피스톤(76)은 설정와이어(74)가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실린더(75)에 삽입 지지되는 피스톤부와, 피스톤부에서 연장되어 제1구멍을 통과하는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파지부(78)는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돌출된 상태로 탄성피스톤(76)에 결합된다. 사용자파지부(78)는 제1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탄성피스톤(76)의 로드부에 결합되고, 사용자파지부(78)의 일부는 지지캡부(75a)에 삽입 가능하다.
클러치락킹유닛(70)은 조작복귀탄성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복귀탄성부(77)는 탄성실린더(75)에서 탄성피스톤(76)을 탄성 지지한다. 조작복귀탄성부(77)는 탄성실린더(75)의 일측 단부에 대하여 탄성피스톤(76)의 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79는 클러치로드(41)가 삽입 지지되도록 걸림후크부(72)에 함몰 형성되는 로드삽입홈부이다.
상태감지부(80)는 클러치락킹유닛(70)의 동작에 따라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태감지부(8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변속제어부(90)는 상태감지부(80)를 통해 감지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여부에 대응하여 수동기어변속모듈(50)과 자동기어변속모듈(6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킨다.
상태감지부(80)가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상태를 감지하면, 변속제어부(90)는 자동기어변속모듈(60)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어 변속을 위한 수단이 수동기어변속모듈(50)에서 자동기어변속모듈(60)로 전환된다. 그러면, 수동기어변속모듈(50)을 조작하더라도 수동기어변속모듈(5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차단되고, 자동기어변속모듈(6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가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적용된다.
또한, 상태감지부(80)가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해제 상태를 감지하면, 변속제어부(90)는 수동기어변속모듈(50)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어 변속을 위한 수단이 자동기어변속모듈(60)에서 수동기어변속모듈(50)로 전환된다. 그러면, 자동기어변속모듈(60)을 조작하더라도 자동기어변속모듈(6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차단되고, 수동기어변속모듈(5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가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적용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클러치락킹유닛(70)을 이용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및 클러치유닛(40)의 고정 해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클러치유닛(40)의 피벗 운동이 자유로우면, 수동기어변속모듈(50)이 활성화됨으로써, 수동기어변속모듈(5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가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적용된다. 여기서, 자동기어변속모듈(60)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클러치유닛(40)을 시뮬레이터본체(10)에 고정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후크부(72)는 초기 상태에서 시뮬레이터본체(10)에 직립한 상태(연장날개부(722)가 시뮬레이터본체(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클러치페달(42)을 밟으면, 클러치페달(42)은 이격구간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와이어(74)에 의해 걸림후크부(72)가 회전되도록 시뮬레이터본체(10)로부터 사용자파지부(78)를 돌출시킨다.
그러면,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부(72)는 대략 수평 상태를 나타내고, 걸림돌부(71)는 돌출경사부(723a)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42)을 밟으면, 걸림돌부(71)는 도 5의 (B)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탈착경사부(724a)로 이동되고, 걸림후크부(72)는 설정와이어(74)에 의해 회전된 상태이므로, 걸림후크부(72)는 도 5의 (A)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대략 수평 상태인 위치로 전환된다.
마지막으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42)의 밟음 상태를 해제하면, 클러치복귀탄성부(43)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로드(41)가 원위치로 복귀해야 하므로, 걸림돌부(71)는 도 5의 (C)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탈착경사부(724a)를 지나 지지홈부(725)에 삽입된다. 이때, 운전자가 사용자파지부(78)의 돌출 상태를 해제시키면, 상태유지탄성부(73)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파지부(7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걸림후크부(72)에서 걸림돌부(71)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상태감지부(80)는 걸림후크부(72)에서 걸림돌부(71)의 걸림 유지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변속제어부(90)는 자동기어변속모듈(60)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어 변속을 위한 수단이 수동기어변속모듈(50)에서 자동기어변속모듈(60)로 전환된다.
그리고 걸림후크부(72)에서 걸림돌부(71)가 걸림 유지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42)을 밟으면, 걸림돌부(71)는 지지홈부(725)에서 이탈되어 탈착경사부(724a)로 이동된다. 이때, 상태유지탄성부(7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후크부(72)는 직립 상태로 돌아가므로, 걸림돌부(71)는 연통공간(726)에서 이탈되고, 걸림후크부(72)와 걸림돌부(7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마지막으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42)의 밟음 상태를 해제하면, 클러치유닛(40)은 피벗 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태감지부(80)는 걸림후크부(72)에서 걸림돌부(71)의 걸림 해제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변속제어부(90)는 수동기어변속모듈(50)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어 변속을 위한 수단이 자동기어변속모듈(60)에서 수동기어변속모듈(50)로 전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초기 상태에서 걸림후크부(72)가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운전자가 이격구간으로 클러치페달(42)을 밟으면, 걸림후크부(72)는 걸림돌부(71)에 지지된 상태에서 피벗 운동되므로, 걸림후크부(72)는 걸림돌부(71)에 걸림 결합되고, 상태유지탄성부(73)에 의해 걸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후크부(72)에는 돌출가이드부(724)가 생략되고, 걸림후크부(72)의 날개돌출부(723)가 걸림돌부(71)와 걸림 결합됨으로써, 걸림후크부(72)와 걸림돌부(71)의 걸림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터본체(10)로부터 사용자파지부(78)를 돌출시키면, 설정와이어(74)에 의해 걸림후크부(72)가 회전되면서 걸림후크부(72)와 걸림돌부(71)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클러치페달(42)을 밝고 있음으로써, 클러치페달(42)이 클러치복귀탄성부(43)의 탄성력에 의해 운전자 측으로 튕겨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변속모듈 간의 전환 과정에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클러치락킹유닛와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운전자가 운전 연습 조건에 따라 하나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선택적으로 수동기어변속모듈(50)과 자동기어변속모듈(6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걸림돌부(71)와 걸림후크부(72) 사이의 걸림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기어변속모듈(60)이 안정되게 활성화되도록 한다.
셋째,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전하게 해제시킬 수 있고, 걸림돌부(71)에서 걸림후크부(72)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수동기어변속모듈(50)이 안정되게 활성화되도록 한다.
넷째, 탄성실린더(75)에서 탄성피스톤(76)을 간편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운전자의 조작을 최소화시켜 운전자의 운전 연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걸림후크부(72)의 피벗 운동에 따라 걸림돌부(71)가 걸림후크부(72)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돌부(71)와 걸림후크부(72)의 걸림 결합 및 걸림돌부(71)와 걸림후크부(72)의 걸림 결합 해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여섯째,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설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충실한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유지 보수 및 이전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일곱째, 시뮬레이터본체(10)에서 클러치유닛(40)의 고정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수동기어변속모듈(50) 또는 자동기어변속모듈(60)의 선택이 안정화되고, 변속모듈의 변경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시뮬레이터 11: 탑승공간 20: 운전석
30: 조향핸들 40: 클러치유닛 41: 클러치로드
41: 클러치회동축 42: 클러치페달 43: 클러치복귀탄성부
44: 전달로드 50: 수동기어변속모듈 51: 수동변속레버부
52: 수동기어부 60: 자동기어변속모듈 61: 자동변속레버부
62: 자동기어부 70: 클러치락킹유닛 71: 걸림돌부
72: 걸림후크부 721: 회동결합부 721a: 후크회동축
722: 연장날개부 722a: 와이어결합부 723: 날개돌출부
723a: 돌출경사부 724: 돌출가이드부 724a: 탈착경사부
725: 지지홈부 726: 연통공간 73: 상태유지탄성부
74: 설정와이어 74a: 경로변환부 75: 탄성실린더
75a: 지지캡부 76: 탄성피스톤 77: 조작복귀탄성부
78: 사용자파지부 79: 로드삽입홈부 80: 상태감지부
90: 변속제어부

Claims (7)

  1. 운전자의 탑승공간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를 선택하는 클러치락킹유닛이고,
    상기 클러치유닛은 클러치회동축을 매개로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로드, 상기 클러치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클러치페달, 상기 클러치로드의 피벗 운동에 따라 상기 클러치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복귀탄성부, 및 상기 클러치로드의 피벗 운동 상태를 수동기어변속모듈로 전달하는 전달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와 상기 클러치유닛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상기 걸림돌부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와 상기 클러치유닛 중 다른 하나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상기 회동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연장날개부, 상기 연장날개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날개돌출부, 및 상기 연장날개부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날개돌출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걸림후크부; 및
    상기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걸림후크부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걸림후크부를 탄성 지지하는 상태유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락킹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유지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걸림후크부를 회전시키는 설정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락킹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 결합되는 탄성실린더;
    상기 설정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피스톤; 및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탄성피스톤에 결합되는 사용자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락킹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실린더에서 상기 탄성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조작복귀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락킹유닛.
  5. 운전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공간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본체;
    상기 탑승공간에서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피벗 운동할 수 있도록 클러치회동축을 매개로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로드, 상기 클러치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클러치페달, 및 상기 클러치로드의 피벗 운동에 따라 상기 클러치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복귀탄성부를 포함하는 클러치유닛;
    상기 탑승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유닛의 피벗 운동을 바탕으로 기어의 변속을 위한 수동기어부의 조작이 가능한 수동기어변속모듈;
    상기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탑승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유닛의 조작없이도 기어의 변속을 위한 자동기어부의 조작이 가능한 자동기어변속모듈; 및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 상기 클러치유닛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상기 클러치유닛의 피벗 운동을 자유롭게 하는 클러치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클러치로드의 피벗 운동 상태를 상기 수동기어변속모듈로 전달하는 전달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락킹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본체에서 상기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 및
    상기 상태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클러치유닛의 고정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동기어변속모듈과 상기 자동기어변속모듈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변속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KR1020170058153A 2017-05-10 2017-05-10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KR10201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153A KR102011848B1 (ko) 2017-05-10 2017-05-10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153A KR102011848B1 (ko) 2017-05-10 2017-05-10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74A KR20180123874A (ko) 2018-11-20
KR102011848B1 true KR102011848B1 (ko) 2019-08-19

Family

ID=6456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153A KR102011848B1 (ko) 2017-05-10 2017-05-10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8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73U (ko) * 1993-09-14 1995-04-17 자동차용 코트후크
KR100380869B1 (ko) * 1998-05-15 2003-07-18 박승일 수동변속기장착용자동차의자동변속작동장치
KR100452484B1 (ko) * 2002-02-21 2004-10-15 박성철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KR200477547Y1 (ko) 2013-08-07 2015-06-23 그리드스페이스(주)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의 수동변속기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74A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5317B (zh) 電子控制自行車換檔器的方法和電子伺服輔助自行車換檔器
JP2004249978A (ja) 自転車用制御装置
CN106184338B (zh) 履带车辆转向及制动操纵机构
JP2004026107A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システム
KR102011848B1 (ko) 클러치락킹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운전연습용 시뮬레이터
US7444899B2 (en) Shif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JP201216219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19053775A (ja) 車両ペダル機構
JP2009067182A (ja) 自動二輪車用スタンド装置
EP2477830B1 (en) Manual device for controlling brake and accelerator of a vehicle
JP2008203950A (ja) 車両のペダル式操作装置
JP2008254690A (ja) 車両走行系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WO2018151269A1 (ja) フットレスト装置
JP2009045035A (ja) 乗用型水田作業機
US20110290064A1 (en) Parking brake system
JP5541580B2 (ja) 車両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KR100391645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US2793051A (e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stabilization of motor cycle with side car
KR10049478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매뉴얼모드 판단장치
US10933939B2 (en) J-Gate motorcycle clutch adapto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4705409B2 (ja) 移植機における前押え操作具
JP6894306B2 (ja) 変速機のレバー装置
JP2009035058A (ja) フットレスト装置
KR100365277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JP4456093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