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277B1 -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277B1
KR100365277B1 KR1020000023394A KR20000023394A KR100365277B1 KR 100365277 B1 KR100365277 B1 KR 100365277B1 KR 1020000023394 A KR1020000023394 A KR 1020000023394A KR 20000023394 A KR20000023394 A KR 20000023394A KR 100365277 B1 KR100365277 B1 KR 10036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ift lever
shift
driv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403A (ko
Inventor
박병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27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277B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변속레버가 상호 힌지체결된 상부레버(1)와 하부레버(2)로 이루어지고, 상부레버(1)에는 고정핀(9)이 형성된 승강바아(7)와 이 승강바아(7)를 아래쪽으로 작동시키는 버튼(6)이 설치되고, 하부레버(2)에는 상기 승강바아(7)의 고정핀(9)이 걸려지는 걸림홈(10a)들이 형성된 걸림부재(1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하부레버(2)에 대하여 상부레버(1)를 소정각 경사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셀페달, 브레이크페달 등의 페달류 조작이 편리하도록 운전석 시트를 조정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이 어렵게 된 경우에 변속레버 손잡이(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자세로 변속레버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a transmission change leve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레버의 손잡이를 조작하기 가장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켜 변속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조작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엔진의 출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증감하여 구동축에 전달하는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변속기의 변속단 변경을 위하여 운전석의 측부에 변속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변속레버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직선형 봉(20)의 상단에 쥐기에 편리하도록 손잡이(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클러치를 밟은 상태에서 손잡이(30) 상면에 표시된 방향으로 변속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운전자의 운전자세는 운전석의 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바, 운전자들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운전석을 전후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위치를 고정한후 운전에 임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액셀페달, 브레이크페달, 클러치페달 등의 페달류 조작이 용이하도록 시트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 페달의 조작은 용이하나 변속레버의 시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어 신체조건에 따라 변속레버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변속레버는 몸체가 하나의 봉(20)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준위치(중립단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시트의 위치조정에 의해 변속레버조작이 불편한 자세가 되어도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변속레버의 조작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페달조작이 불편해지는 것을 감수해야만 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변속레버의 손잡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페달조작이 용이하도록 시트의 전후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도 손잡이의 위치를 변경하여 변속레버 조작을 편한 자세에서 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개략도와 이의 사용상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변속레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레버, 2 : 하부레버,
2a : 확장단부, 3 : 힌지핀,
4 : 손잡이, 5 : 스프링,
6 : 버튼, 6a : 경사면,
7 : 승강바아, 7a : 경사면,
8 : 스프링, 9 : 고정핀,
10 : 걸림부재, 10a : 걸림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몸체가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로 이루어지고, 이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는 힌지연결되며, 손잡이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으로 상부레버에 내장된 승강바아의 고정핀이 하부레버에 구비된 걸림부재의 걸림홈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레버를 임의의 위치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부레버에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개략도와 이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은 조작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해 콘트롤로드에 연결된 하부레버(2)에 상부레버(1)가 힌지핀(3)을 매개로 힌지연결되고, 이 상부레버(1)의 상단에는 운전자가 쥐기 편리하도록 손잡이(4)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버(1)에는 하단이 스프링(8)에 탄지되고 이 하단부로부터 소정높이 위에 수평으로 돌출된 고정핀(9)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경사면(7a)이 형성된 승강바아(7)가 내장되고, 이 승강바아(7)의 위쪽에 손잡이(4)의 대략 하단 측면부로 돌출되는 버튼(6)이 구비되며, 이 버튼(6)은 뒤쪽부분이 스프링(5)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하부의 돌출단에는 상기 승강바아(7)의 경사면(7a)에 대응되는 경사면(6a)이 형성되며, 이 두 경사면(6a,7a)은 서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버(1)의 하단은 하부레버(2)에 형성된 확장단부(2a)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3)을 매개로 고정된 것이며, 상기 확장단부(2a)에는 호형의 걸림부재(10)가 구비되되, 이 걸림부재(10)의 하면에는 다수의 걸림홈(10a)이 연이어 형성되어 이 걸림홈(10a)들 중 하나에 상기 승강바아(7)의 고정핀(9)이 걸려져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버튼(6)을 누르면 버튼(6)의 경사면(6a)이 승강바아(7)의 경사면(7a)을 아래쪽으로 밀게 되어 승강바아(7)가 하강하고, 이때 걸림홈(10a)에서 고정핀(9)이 이탈되므로 상부레버(1)를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적당한 위치로 상부레버(1)를 회동시킨 뒤 누르고 있던 버튼(6)을 놓으면 5번 스프링에 의해 버튼(6)은 원위치되고 8번 스프링에 의해 승강바아(7)가 상승되어 고정핀(9)이 해당 걸림홈(10a)에 걸림으로써 손잡이(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부레버(1)와 하부레버(2)를 상호 고정하여 변속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페달을 조작하기 편한 거리로 운전석 시트를 이동한 뒤에도 상기와 같이 상부레버(1)를 회동시켜 손잡이(4)를 조작편리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페달조작과 변속레버조작을 모두 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변속레버조작력을 받아들이는 부분인 손잡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의 위치조정과 더불어 사용할 경우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운전자에게 최적의 운전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부레버와 상부레버가 힌지연결되어 양측 레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버(2)의 확장단부(2a)에 상부레버(1)의 하단이 삽입되어 힌지핀(3)을 매개로 힌지연결되고, 상기 상부레버(1)에는 하단이 스프링(8)으로 탄지되고 상단에 경사면(7a)이 형성되며 하측에 고정핀(9)이 돌출 형성된 승강바아(7)가 내장되며, 이 승강바아(7)의 경사면(7a)에 대응되는 경사면(6a)이 형성되고 뒤쪽이 스프링(5)으로 탄지되며 앞쪽이 손잡이(4)의 측면부로 돌출되는 버튼(6)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레버(2)의 확장단부(2a)에는 호형의 걸림부재(10)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재(10)에는 다수의 걸림홈(10a)들이 형성되어, 이 걸림홈(10a)들중 하나의 걸림홈에 상기 승강바아(7)의 고정핀(9)이 걸리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KR1020000023394A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KR10036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94A KR100365277B1 (ko)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94A KR100365277B1 (ko)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403A KR20010100403A (ko) 2001-11-14
KR100365277B1 true KR100365277B1 (ko) 2002-12-18

Family

ID=4578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394A KR100365277B1 (ko)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172A (ko) * 2001-10-18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용 변속레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388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기 레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388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기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403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868B2 (en) Transmission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100059304A1 (en) Handle switch of motorcycle
JP5530582B2 (ja) シフトロック組立体
JPH07191773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KR100365277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JPH0610781B2 (ja) 前後調節可能な足踏み式ペダル
JP6171756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2008203950A (ja) 車両のペダル式操作装置
US7062988B2 (en) Locking of a control device with a margin for adjustment
KR100391645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JPS63158621A (ja) 自動変速機用可倒式シフトレバ−装置
JPH0232925Y2 (ko)
JPH04282059A (ja) 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30033172A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변속레버
US10871220B2 (en) Shifter mechanism with manual shift function
KR20220136014A (ko) 콘솔 일체형 조향 장치
JPH045800Y2 (ko)
KR20030006777A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KR960009931Y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
KR19990040244A (ko)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JP2576558B2 (ja) 自動変速機のリバース装置
KR20220136013A (ko) 팝업형 조향 장치
JPH10217792A (ja) 可変式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14357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클러치 페달
JPH0239216A (ja) 前後調節可能な足踏み式ペダ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