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244A -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244A
KR19990040244A KR1019970060568A KR19970060568A KR19990040244A KR 19990040244 A KR19990040244 A KR 19990040244A KR 1019970060568 A KR1019970060568 A KR 1019970060568A KR 19970060568 A KR19970060568 A KR 19970060568A KR 19990040244 A KR19990040244 A KR 19990040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gear member
driver
gear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244A/ko
Publication of KR1999004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244A/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변속레버의 설치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춰 임의대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노브(1)를 장착하는 변속레버가 하단에 제1기어부재(5)를 구비하고서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중공부재(7)를 갖춘 상부부재(3)와, 상기 제1중공부재(7)의 제1기어부재(5)에 치합되는 원호형태의 제2기어부재(8)를 일체로 갖춘 하부부재(4)가 힌지축(2)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본 발명은 변속기용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레버의 위치를 운전자의 체형에 전후방향으로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이 향상되면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를 갖추고 있는 바,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가가 변속을 수동으로 행하도록 된 수동변속기와,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자동변속기로 크게 구분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는 통상 운전석의 우측으로 마련된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바, 종래 변속기의 변속레버는 그 설치각도가 가변적이지 못하는 획일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적 특성, 즉 앉은 키의 높이와 같은 체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였다.
따라서 신장이 평균보다 많이 크거나 작은 운전자의 경우에는 부득히 자신의 신체적 특성에 알맞는 변속레버를 구할 수 없어 주행중 변속을 실시할 때마다 불편함을 느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변속레버의 설치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춰 임의대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된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한 변속레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변속노브 2-힌지축
3-상부부재 4-하부부재
5-제1기어부재 6,6'-핀
7-제1중공부재 8-제2기어부재
9-압축스프링 10-부트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노브를 장착하는 변속레버가 하단에 제1기어부재를 구비하고서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중공부재를 갖춘 상부부재와, 상기 제1중공부재의 제1기어부재에 치합되는 원호형태의 제2기어부재를 일체로 갖춘 하부부재가 힌지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한 변속레버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시 운전자가 파지하도록 된 변속노브(1)를 상단에 장착하고 있는 변속레버가 하단에 위치한 힌지축(2)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호간의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부재(3)와 하부부재(4)로 이분되어 결합되고, 이 상부부재(3)의 외주에는 원통형상으로 하단에 제1기어부재(5)를 고정시키면서 상하로 이격되게 관통하는 핀(6)(6')을 매개로 상부부재(3)와 결합된 제1중공부재(7)가 끼워지며, 이 제1중공부재(7)의 제1기어부재(5)에는 상기 하부부재(4)에 일체로 접합된 원호형태의 제2기어부재(8)가 치합되는 한편, 상기 상부부재(3)와 제1중공부재(7)를 결합시키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핀(6')과 제1기어부재(5) 사이에는 압축스프링(9)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3)와 핀(6)(6')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1중공부재(7)에는 이와 부합되는 장공(7a)(7a')이 각기 마련되어 있어 상부부재(3)에 대해 제1중공부재(7)가 상방향으로 일정한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중공부재(7)의 상측 선단 외주면에는 부트(1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속레버는,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규격에 맞춰 변속레버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이를 가능하게 해 주는 바, 먼저 제1중공부재(7)를 잡아당겨 올리게 되면, 상기 제2기어부재(8)에 치합된 제1기어부재(5)가 상승하여 제2기어부재(8)과의 치합이 해제되므로, 상기 상부부재(3)의 선단에 장착된 변속노브(1)를 파지하고서 상부부재(3)를 하부부재(4)에 대해 힌지축(2)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꺾어 고정·설치각도를 변경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핀(6')과 제1기어부재(5) 사이에 있는 압축스프링(9)은 제1중공부재(7)의 상승에 따라 압축되므로, 상기 변속노브(1)를 전후방향으로 설치각도를 조절한 다음 상기 제1중공부재(7)를 다시 놓게 되면,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9)의 복원력으로 제1중공부재(7)가 하강하여 제1기어부재(5)와 제2기어부재(8)가 다시 치합되어 설치각도가 고정됨은 물론, 변속조작시 조작력이 상기 상부부재(3)를 거쳐 힌지축(2)을 매개로 결합된 하부부재(4)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어 통상적인 변속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중공부재(7)에 형성된 장공(7a)(7a')은 제1중공부재(7)의 상승시 제1중공부재(7)과 상부부재(3) 사이의 결합을 위해 상부부재(3)에 고정된 핀(6)(6')에 의해 제1중공부재(7)의 움직임이 제한받지 않도록 해 준다.
여기서 상기 제1중공부재(7)에 접합된 제1기어부재(5)와, 하부부재(4)에 접합된 제2기어부재(8) 사이의 치합방향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상부부재(3)가 회동될 수 있도록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운전자는 자신의 신체규격에 따라 변속레버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면, 변속시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사라지게 됨은 물론, 주차시 변속레버를 완전히 꺾어 두면 거주성의 제한을 덜 받게 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에 의하면, 변속레버의 설치각도가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하게 회동가능하게 되므로 변속시 운전자는 편리하게 변속레버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변속노브(1)를 장착하는 변속레버가 하단에 제1기어부재(5)를 구비하고서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중공부재(7)를 갖춘 상부부재(3)와, 상기 제1중공부재(7)의 제1기어부재(5)에 치합되는 원호형태의 제2기어부재(8)를 일체로 갖춘 하부부재(4)가 힌지축(2)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3)는 장공(7a)(7a')이 형성된 제1중공부재(7)와 핀(6)(6')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부부재(3)에 대해 제1중공부재(7)가 상방향으로 일정한도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되면서 상기 핀(6')과 제1기어부재(5) 사이에는 압축스프링(9)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KR1019970060568A 1997-11-17 1997-11-17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KR19990040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568A KR19990040244A (ko) 1997-11-17 1997-11-17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568A KR19990040244A (ko) 1997-11-17 1997-11-17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44A true KR19990040244A (ko) 1999-06-05

Family

ID=6609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568A KR19990040244A (ko) 1997-11-17 1997-11-17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2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748B2 (en) Automatic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140107864A (ko) 팝업식 변속레버
JPH069939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装置
KR19990040244A (ko) 변속레버의 각도조절구조
JPH1086690A (ja) ギア選択装置を一体化したハンドブレーキレバー
KR100522496B1 (ko) 차량 시트 리클라이너
KR100365277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JPH04282059A (ja) 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S63158621A (ja) 自動変速機用可倒式シフトレバ−装置
KR100398222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조정장치
KR0136700Y1 (ko) 체인지레버의 각도조절장치
JP6090339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KR19990023924U (ko) 차량용 모니터 장착 구조물
KR19980028466U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KR20014357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클러치 페달
KR200173183Y1 (ko) 자동차용 시프트 레버의 각도 조절장치
KR19980030388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기 레버
KR20021780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19980014446A (ko) 높이 조절 가능한 기어 시프트 레버
KR19990031970U (ko) 변속레버의 노브 위치가변장치
JP4041787B2 (ja) 車両用自動変速操作装置
KR200143620Y1 (ko) 전후 조정용 자동차의 변속 레버 보드 구조
JP6064983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H045800Y2 (ko)
KR19980057289A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