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343B1 - 베니어 선반 - Google Patents

베니어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343B1
KR100449343B1 KR10-2000-0045725A KR20000045725A KR100449343B1 KR 100449343 B1 KR100449343 B1 KR 100449343B1 KR 20000045725 A KR20000045725 A KR 20000045725A KR 100449343 B1 KR100449343 B1 KR 100449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ood
veneer
end plate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008A (ko
Inventor
코이케마사루
Original Assignee
메이난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난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이난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5/00Manufacture of veneer ; Preparatory processing therefor
    • B27L5/02Cutting strips from a rotating trunk or piece; Veneer la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5/00Manufacture of veneer ; Preparatory processing therefor
    • B27L5/02Cutting strips from a rotating trunk or piece; Veneer lathes
    • B27L5/025Nose-bars;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05Tenderising, e.g. by incising, cru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Wood Vene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니어 선반에 관한 것으로, 압침롤 및 안내부재를 구비한 베니어 선반에서도 압침상처가 없는 단판을 얻을 수 있는 베니어 선반을 제공한다. 압침롤(27)의 압침체(27a)가 원목(3)의 외주를 압침하여 절삭하는 위치에서, 압침체(27a)의 선단과,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와의 간격이 단판(T1)의 두께보다 크게 되도록 제 3 회전축(25)을 상승시키고, 이어서 압침체(27a)가 원목(3)의 외주를 압침하지 않는 위치까지 제 3 회전축(25)을 원목(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원목(3)을 회전시켜 칼날(5)에 의하여 절삭한다.

Description

베니어 선반 {Veneer lathe}
본 발명은 회전하는 원목을 절삭용 칼날물에 의하여 절삭하여 베니어 단판(이하, '단판'이라고 한다)을 얻는 베니어 선반에 관한 것이다.
절삭용 칼날물, 절삭용 칼날물의 칼날 끝선과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고, 또한 주위에 다수의 압침체(突刺體)를 가진 구동부재를 축중심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한 압침롤, 및 상기 절삭용 칼날물에 의하여 절삭된 베니어 단판을 상기 구동부재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한 베니어 선반은, 미국특허 제 4,219,060호 공보, 미국특허 제 4,221,247호 공보, 일본특허 소화 59-45484호 공보 등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베니어 선반은 부분확대도인 도 13과 도 13의 일점쇄선 K-K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단판(111)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즉, 대패대(101)에 절삭용 칼날물(103)과, 절삭용 칼날물(103)의 칼끝선과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고, 또한 주위에 다수의 압침체(105a)를 가진 구동부재로서의 압침롤(105)을 구동원(도시생략)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7)의 축중심선 방향으로 링형상의 스페이서(106)를 통하여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한 압침롤이 설치되고, 그 압침롤(105)의 압침체(105a)가 절삭중에 있어서의 절삭용 칼날물(103)의 칼날 끝에 가까운 원목(109)의 외주와 절삭직후의 단판(111)을 압침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인근 압침롤(105) 사이의 공간에는 상단부를 대패대(101)의 일부에 고정시키고, 하단부에서 절삭용 칼날물(103)의 직전에서 원목(109)의 외주를 가압하는 노우즈바(1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노우즈바(113)에 대응하여 압침롤(105)의 압침체(105a)에 압침된 단판(111)을 압침체(105a)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박리면(115a)을 가진 박리부재(115)를 똑같이 대패대(101)에 고정시키고, 또한 절삭용 칼날물(103)에 의하여 절삭된 베니어 단판(111)을 압침롤(105)을 따라 안내하는 원호형상부(101a)나 안내부재(117)도 대패대(101)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판(111)을 박리부재(115)의 박리면(115a)에확실히 압접시켜 단판(111)의 표면, 즉 박리면(115a)쪽의 면에 균열(111a)을 형성하고, 단판을 평탄하게 하는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도 13에 있어서의 압침체(105a)의 선단과 원호형상부(101a)나 안내부재(117)와의 간격을 단판(111)의 두께보다 작게 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압침롤(105)을 회전시키고 또한 원목(109)을 스핀들(도시생략)에 의하여 원목(109)의 주속이 압침롤(105)의 주속과 항상 같게 되도록 동조기구(도시생략)로 조정하면서 회전시킨 상태로 원목(109)의 1회전당 예를들면 3.5mm의 비율로 대패대(1)를 이동시킨다.
그래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109)의 외주에 압침롤(105)의 압침체(105a)가 압침되고, 압침롤(105)에 의해서도 원목(109)은 회전력이 공급되며, 노우즈바(113)의 칩(113a)에 의하여 원목(109)의 둘레면이 가압되면서 칼날물(5)에 의하여 절삭되어 두께 3.5mm의 단판(111)을 얻을 수 있다.
단판(111)은 압침체(105a)에 의하여 압침되고 또한 원호형상부(101a)는 가이드부재(117) 등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하며, 박리부재(115)에 맞닿음으로써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판(111)은 압침체(105a)로부터 박리되고 또한 굽혀져서 균열(111a)이 형성된다. 그 결과, 단판이 원호형상으로 둥글게 되어버리는 이른바 컬현상이 거의 없어져서 평탄한 상태가 되어, 다음 공정에서의 단판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원호형상부(101a)나 가이드부재 (117) 및 박리부재(115)는 중요한 구성이지만, 얻어진 단판(111)의 표면쪽에는 압침롤(105)의 압침체(105a)에 의한 압침상처가 다수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예를들면 합판의 표면에 사용되는 표면판을 절삭할 때와 같이, 얻어지는 단판(111)의 표면쪽에 압침롤(105)의 압침체(105a)에 의한 압침상처가 형성되지 않고 평탄한 표면을 가진 베니어 단판이 절삭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위치에서 압침롤(105)의 회동축(107)을 원목(10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 13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침체(105a)가 원목(109)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하여도 상기 안내부재를 구성하는 원호형상부(101a)나 가이드부재(117)가 베니어 단판의 이송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압침롤(105)에 의한 압침상처가 베니어 단판(111)에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즉, 도 15에 도시한 위치관계에서는, 원목(109)에 대해서는 압침체(105a)가 압침되지 않으나, 압침롤(105)의 압침체(105a)의 선단과 원호형상부(101a)나 가이드부재(117)과의 간격이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원호형상부(101a)나 가이드부재(117)의 개소를 통과하는 단판(111)에 압침체(105a)가 압침되어 압침상처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압침롤(105)과 같은 구동부재 및 원호형상부(101a)나 가이드부재(117)와 같은 안내부재를 설치한 베니어 선반에서도 압침상처가 없는 단판을얻을 수 있는 베니어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절삭용 칼날물과, 그 절삭용 칼날물의 칼끝선과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고, 또한 주위에 다수의 압침체를 가진 구동부재를 축중심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배치된 압침롤과, 그 압침롤에 설치된 구동부재와, 상기 압침롤의 상기 구동부재 사이의 복수의 공간에서 원목외주를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된 프레셔부재와, 상기 절삭용칼날물에 의하여 절삭된 베니어 단판을 상기 구동부재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각각 대패대에 설치되며, 또한 원목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핀들과, 그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체를 설치한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상기 압침롤은 그 구동부재의 상기 압침체가 상기 절삭용 칼날물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외주 및 상기 절삭용 칼날물에 의하여 절삭된 베니어 단판이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할 때까지의 사이의 베니어 단판의 양쪽에 압침하고 있는 제 1의 위치와, 그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그 선단이 상기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에만 접촉하고 있는 제 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니어 선반에 의하면, 통상의 절삭작업시에는 압침롤을 그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고, 예컨대 합판의 표면에 사용되는 표면판을 절삭할 때와 같이, 평탄한 표면을 가진 베니어 단판을 절삭하는 것을 바라는 경우에는 압침롤을 그 제 1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이동시킨다. 그것에 의하여 절삭되는 베니어 단판에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삽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압침상처가 없는 단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압침롤을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또 고정시키는 수단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압침롤을 상기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절삭용 칼날물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를 압침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가 그 원목 외주로부터 떨어진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한 제 1왕복운동부재와, 상기 압침롤을 상기 절삭용 칼날물의 칼날끝 부근에 있어서의 원목주행방향으로서 그 압침롤의 압침체의 선단과 안내부재와의 간격이 절삭된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좁게 되는 위치와,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넓어지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한 제 2왕복운동부재에 의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왕복운동부재로서 압침롤을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절삭용 칼날물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외주를 압침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의 선단이 그 칼날끝 부근의 원목외주에 접촉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제 1왕복운동부재를 에어실린더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 2왕복운동부재를 편심캠으로 하고, 상기 압침롤은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안내부재에 근접한 위치와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아암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왕복운동부재로서 압침롤을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절삭용 칼날물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를 압침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의 선단이 그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에 접촉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가 그 원목 외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제 1왕복운동부재를 중간정지기능을 갖는 에어실린더로 하여도 좋다.
도 1은 베니어 선반의 측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원목(3)을 제외하고 일점쇄선 A-A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에서 대패대(1)의 우측단부위 부근을 도시한 부분정면설명도,
도 3은 도 2의 일점쇄선 B-B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4는 도 2의 일점쇄선 C-C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5는 도 2의 일점쇄선 D-D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6은 도 2의 일점쇄선 E-E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7은 도 3의 칼날물(3)의 칼날끝 주변의 부분확대도,
도 8은 도 7의 일점쇄선 F-F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의 측면설명도,
도 13은 종래 장치의 측면확대설명도,
도 14는 도 13의 일점쇄선 K-K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도,
도 15는 종래 장치의 측면확대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대패대 2 : 스핀들
3 : 원목 4 : 원호형상부
5 : 칼날물 6 : 가이드부재
8 : 박리부재 9 : 제 1축
17 : 제 2축 19 : 아암
27 : 압침롤 29 : 노우즈바
43 : 에어실린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베니어 선반의 대패대(1) 및 스핀들(2)의 측면설명도, 도 2는 도 1의 편의상 원목(3)을 제외하고 일점쇄선 A-A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대패대(1)의 우측단 부근을 도시한 부분정면설명도, 도 3은 도 2의 일점쇄선 B-B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4는 도 2의 일점쇄선 C-C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5는 도 2의 일점쇄선 D-D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 도 6은 도 2의 일점쇄선 E-E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설명도이다.
대패대(1)는 공지의 베니어 선반과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칼날물(5)에 의하여 절삭되어 얻어진 단판의 두께가 미리 설정된 일정값이 되도록 이동하며, 그 때문에 모터(2a)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핀들(2)로 지지된 원목(3)의 1회전에 대하여 단판의 두께와 같은 거리를 원목(3)쪽으로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대패대(1)에 설치된 암나사(도시 생략)에 모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회전되는 수나사(P)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대패대(1)에는 다음의 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노우즈바대(1a)의 상측설치대(10)에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로우형 축받이(7)가 고정되어 있고, 필로우형 축받이(7)에는 제 1회전축(9)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회전축(9)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켓(11)이 공지의 키(13) 및 키홈(13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스프로켓(11)에는 회전량을 검출하는 태코제너레이터(도시 생략)를 설치한 서보모터(14)의 회전이 체인(15)에 의하여 전달됨으로써 제 1회전축(9)을 0∼180도의 범위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회전축(9)의 단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회전축(9)과 동일축축 중심선이 되는 소직경부(9a)가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부(9a)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제 2회전축(17)이 다음과 같은 상태로 키 및 키홈(도시 생략)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즉, 제 2회전축(17)은 외경이 제 1회전축(9)보다 예컨대 1mm 작고, 또 소직경부(9a)의 외경과 같은 내경의 관통구멍이 상기와 같이 소직경부(9a)에 고정되었을때, 제 2회전축(17)의 외주가 제 1회전축(9)의 외주에 한점에서 접하도록 편심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1회전축(9)의 회전에 의하여 제 2회전축(17)의 외주의 최상부의 높이가 도 2 및 도 3의 상하방향으로 예를들면 최대 2mm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2회전축(17)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축받이(21)를 통하여 아암(19)의 상단이 지지되어 있어서, 아암(19)이 제 2회전축(1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17)의 하단에는 제 2축받이(23)를 통하여 제 3회전축(2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회전축(25)과 일체로 동일축 중심선을 가지며, 제 3회전축보다 직경이 큰 제 4회전축(26)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의 일예인 주위에 다수의 압침체(27a)를 가진 원반모양의 압침롤(27)이 제 4회전축(26)의 축중심선 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똑같이 키 및 키홈(도시 생략)에 의하여 다수 고정됨으로써 압침롤의 일예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압침롤(27)은 서보모터(14)에 의하여 제 1회전축(9)을 회전시켜 제 2회전축(17)의 외주의 최상부의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 즉 도3에 도시한 상태로 하면, 압침롤(27)이 최하위치에, 또한 도 3의 상태에서 서보모터(14)에 의하여 제 1회전축(9)을 180도 회전시켜 제 2회전축(17)의 외주의 최상부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 하면, 압침롤(27)이 최상위치에 각각 이동하여 대기한다.
또한, 제 4회전축(26)의 축중심선 방향에서 이웃하는 압침롤(27)의 각각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셔부재의 일예인 노우즈바(29)가 상단을 노우즈바대(1a)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우즈바(29)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칼날물(5)의 직전에서 원목(3)의 둘레면을 가압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칩(29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칼날물(5)의 칼날끝 주변의 부분확대도인 도 7 및 도 7의 일점쇄선 F-F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일부단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압침체(27a)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원과 교차하는 면(8a)을 가진 박리부재(8)를 서로 이웃한 압침롤(27) 각각의 사이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우즈바대(1a)에 설치한다. 그리고, 도 7에서는 편의상 노우즈바(29)를 생략하고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 3회전축(25)의 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켓(33)이 고정되어 있고, 노우즈바대(1a)상에 설치한 모터(35)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37), 모터(35)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켓(36), 소직경부(9a) 및 설치대(10)에 각각 축받이를 통하여 설치되며 종동회전이 가능한 스프로켓(39, 41)을 경유하여 걸쳐 걸려있다. 모터(35)의 스프로켓(36)은 화살표 방향으로 통상 회전됨으로써 스프로켓(33)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결과 압침롤(27)은 도 7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통상 회전된다.
또한, 압침롤(27)을 칼날물(5)의 칼날끝 부근에 있어서의 원목(3)에 맞닿거나 또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9)에 칼날물(5)과 반대쪽의 위치에 조인트부재(19a)를 설치한다. 또 종단부가 노우즈바대(1a)의 일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에어실린더(43)의 진퇴가능한 피스톤로드(43a)의 선단에 피스톤로드(43a)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43b)를 설치하여, 조인트부재(19a)와 플랜지(43b)를 핀(44)에 의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3)의 노우즈바대(1a)에의 부착은 피스톤로드(43a)가 에어실린더(43)의 본체로부터 전진하였을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회전축(26)에 설치한 압침롤(27)의 원목(3)쪽에 있는 압침체(27a)의 선단이 칼날물(5)에 의하여 절삭된다고 예상되는 절삭가상선, 즉 칼날물(5)의 칼날끝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이점쇄선 X-X와 일치하는 제 1위치에 이르러 대기하는 위치관계에서 부착한다. 또한, 피스톤로드(43a)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원통형상의 스토퍼(46)를 설치하여, 피스톤로드(43a)가 에어실린더(43) 본체내에 후퇴작동하였을때, 플랜지(43b)가 그 스토퍼(46)에 맞닿음으로써 위치결정되고, 압침롤(27)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위치로부터 10mm 우측으로 이동한 제 2위치에서 정지하여 대기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패대(1)의 하부의 칼날물 지지대(1b)에는 도 1에 도시한 모터(2a)에 의하여 스핀들(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원목(3)을 절삭하기 위한 칼날물(5)의 칼날끝을 윗쪽으로 향한 상태로 안칼날(5a) 등에 의하여 공지의 베니어 선반과 마찬가지로 끼워서 지지하여 설치한다.
칼날물 지지대(1b)의 압침롤(27)쪽의 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부(4)를 형성하고 또한 박리부재(8)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돌출된 상태의 가이드부재(6)가 그 압침롤(27)쪽의 면에 형성된 절결부(6a)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이들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는 안칼날(5a)과 함께 안내부재의 일예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압침롤(27)이 도 7의 상하방향에서는 최하위치이고 또한 좌우방향에서는 제 1위치에 있을때, 이들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의 압침롤(27)쪽의 각 면은 대략 압침롤(27)과 동심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또한 대응하는 압침체(27a)의 선단과의 간격이 2mm정도가 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우즈바대(1a)에 부착한 접속용부재(1d)와 칼날물 지지대(1b)에 부착한 접속용 부재(1c)가 접속체(1e)에 의하여 접속됨으로써 양대(1a, 1b)가 일체로 되어 대패대(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대패대(1)의 정면설명도로서 우측단부 부근만을 도시하였으나, 우측단부 부근은 도 2의 좌우대칭으로 똑같은 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예를들면 압침롤(27)이 도 7의 상하방향에서는 최상위치이고, 또한 좌우방향에서는 제 2위치에 있을때, 최초로 서보모터(14)를 회전시켜 제 1회전축(9)을 회전시켜 도 3에 도시한 상태 즉 압침롤(27)이 최하위치에 있는 상태로 대기시키고, 또한 압침롤(27)이 제 1위치에서 대기하도록 에어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를 원목(3)을 향하여 전진시키는 초기설정을 한다.
그 결과, 압침롤(27)은 도 7에 도시한 위치에 대기하고, 압침롤(27)의 압침체(27a)의 선단과 대응하는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와의 간격은 2mm 정도로 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모터(35)의 회전에 의하여 압침롤(27)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원목(3)을 스핀들(2)에 의하여 원목(3)의 주속이 압침롤(27)의 주속과 항상 같아지도록 동조기구(도시 생략)로 조정하면서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목(3)의 1회전당 3.5mm의 비율로 대패대(1)를 원목(3)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래서, 상기 종래장치에서 도 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원목(3)의 외주에 압침롤(27)의 압침체(27a)가 압침되고, 압침롤(27)에 의해서도 원목(3)은 회전하는 힘을 받아 노우즈바(29)의 칩(29a)에 의하여 원목(3)의 둘레면이 가압되면서 칼날물(5)에 의하여 절삭되어 두께 3.5mm의 단판(T)을 얻을 수 있다.
절삭된 단판(T)은 압침체(27a)의 선단과,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와의 간격이 상기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자중 등에 의하여 압침체(27a)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압침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의 곳을 통과하여 박리부재(8)에 맞닿음으로써 단판(T)은 압침체(27a)로부터 박리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해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단판(T)에는 압침롤(27)의 압침체(27a)에 의한 압침상처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 합판 등 적층재의 최외층의 표면판으로서 사용하는 단판 등과 같이, 압침상처와 같은 미관상의 결점이 없는 것이 요망되는 단판을 절삭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절삭을 개시하기 전에 도7에 도시한 각각의 부재의 위치관계에서 최초로 모터(14)를 회전시켜 제 1회전축(9)을 180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 1회전축(9)에 대한 제 2회전축(17)의 위치관계가 도 3의 상태에서 도 9의 상태로 되어, 제 2회전축(17)에 지지되어 있는 아암(19) 전체가 2mm 상승되고, 그 때문에 제 4회전축(26)에 고정되어 있는 압침롤(27)도 2mm 상승되어, 최상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그 다음, 에어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를 후퇴작동시켜 플랜지(43b)를스토퍼(46)에 맞닿게 함으로써 압침롤(27)을 제 1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그 결과, 압침롤(27)과 기타의 각각의 부재와의 위치관계를 도 7에 대응하는 확대도로 도시하면 도 10과 같이 되며, 압침체(27a)는 원목(3)으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압침체(27a)의 선단과 원호형상부(4)나 가이드부재(6)와의 간격이 약 2mm로 된다. 그리고 도 10에 있어서는 노우즈바(29) 및 칩(29a)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와 똑같이 압침롤(27)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스핀들(2)에 의하여 지지되고 주속이 압침롤(27)의 주속과 항상 같아지도록 회전되는 원목(3)을 향하여 원목(3)의 1회전당 1mm의 비율로 대패대(1)를 이동시킨다.
그래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3)의 외주에는 압침롤(27)의 압침체(27a)가 압침되지 않고, 스핀들(2)만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아 노우즈바(29)의 칩(29a)에 의하여 원목(3)의 둘레면이 가압되면서 칼날물(5)에 의하여 절삭되어 두께 1mm의 단판(T1을 얻을 수 있다.
단판(T1)은 압침체(27a)와 원호형상부(4)나 가이드부재(6) 등과의 사이를 이동하여, 박리부재(8)에 맞닿아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해 가는 것이다. 이들의 이동에 있어서, 압침체(27a)의 선단과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와의 간격이 약 2mm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개소를 통과할 때에도 단판(T1)에 압침체(27a)가 압침되는 일이 없어, 압침상처가 없는 단판(T1)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침상처가 없는 단판(T1)을 얻는 경우에는 압침롤(27)은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실시 가능하나, 압침롤(27)을 회전시켜 두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통상 원목의 절삭에서는 얻어진 단판이 원통형상으로 둥글게 말리는 컬현상이 생기기 쉬우나, 비록 단판(T1)이 박리부재(8)에 맞닿을때까지의 사이에 이동방향 아래쪽의 선단이 윗쪽으로 둥글게 말리는 컬현상이 생기더라도 단판(T1)의 그 선단이 회전하는 압침롤(27)의 압침체(27a)의 선단이 닿음으로써 박리부재(8) 쪽으로 유도되어, 단판(T1)이 압침롤(27)과 원호형상부(4)나 가이드부재(6) 등과의 사이에서 막혀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원목(3)과 노우즈바(29)와의 사이에 목재 부스러기가 막히면 쐐기작용으로 원목(3)이 목재 부스러기로부터 큰 미는 힘을 받아, 얻어진 단판에 연속적인 힘줄형상의 오목부가 생겨 결점이 되나, 이 경우라도 상기와 같이 회전시켜 두면 목재 부스러기에 회전하는 압침롤(27)의 압침체(27a)가 압침되어, 압침롤(27)의 회전력에 의하여 목재 부스러기가 칩(29a)과 원목(3)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박리부재(8)에 부딪힘으로써 목재 부스러기는 압침체(27a)로부터 박리되어, 그 통과시에 단판에 부분적으로는 오목부가 생겨도 연속적인 결점으로는 되지 않고 유효하다.
상기 합판 등 적층재의 최외층의 표면판으로서 사용하는 단판 등과 같이 미관상의 결점이 없는 것이 요망하는 단판을 절삭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절삭을 개시하기 전에 도 7에 도시한 각각의 부재의 위치관계에서,최초에 모터(14)의 회전으로 제 1회전축(9)을 180도 회전시켜, 압침롤(27)을 최상위치에서 대기시키는 것은 상기와 동일하지만, 에어실린더(43)를 작동시켜 압침롤(27)을 원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키는 위치를 다음과 같은 위치로 하는 것이다.
즉, 압침롤(27)이 피스톤로드(43a)의 진퇴방향에서 도 7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에어실린더(43)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43a)를 후퇴시켜 플랜지(43b)가 스토퍼(46)에 맞닿았을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침롤(27)의 원목(3)쪽에 있는 압침체(27a)의 선단과 전술한 절삭가상선 X-X와의 간격이 절삭하는 단판의 두께와 같아서, 예를들면 1mm 정도가 되는 위치에서 대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한 스토퍼(46)의 피스톤로드(43a)의 진퇴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여, 도 4의 상태에서 플랜지(43b)와 스토퍼(46)와의 간격이 1mm 정도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14)의 회전으로 압침롤(27)을 최상위치에서 대기시키고, 이어서 압침체(27a)의 선단과 절삭가상선 X-X와의 간격이 1mm 정도가 되는 위치에서 대기시킨 후, 압침롤(27)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스핀들(2)에 의하여 지지되고 주속이 압침롤(27)의 주속과 항상 같아지도록 회전되는 원목(3)을 향하여 원목(3)의 1회전당 1mm의 비율로 대패대(1)를 이동시킨다.
그래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원목(3)의 외주에 압침롤(27)의 압침체(27a)가 같은 속도로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절삭에 필요한 대부분의힘을 스핀들(2)로부터 공급되면서, 똑같이 노우즈바(29)의 칩(29a)에 의하여 가압되어 칼날물(5)에 의하여 절삭되어, 두께 1mm의 단판(T1)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단판의 표면에는 압침상처가 거의 없고, 더구나 상기와 같이 원목(3)과 노우즈바(29)와의 사이에 목재 부스러기가 막힌 경우에도 그 목재 부스러기에 압침체(27a)가 깊이 압침되도록 확실히 원목(3)과 칩(29a)과의 사이를 통과시켜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압침롤(27)을 원목(3)에 압침시켜 절삭하는 경우, 에어실린더(43)의 힘으로 원목(3)의 외주에 가압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원목(3)의 재질의 경연차 이에 따라 압침롤(27)의 원목(3)에 대한 압력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즉, 딱딱한 재질의 원목의 경우에는 칼날물(5)에 의한 절삭저항이 크나, 에어실린더(43)의 압력을 높게 하여 압침롤(27)의 압침체(27a)를 원목에 충분히 압침시키면, 압침롤(27)로부터 원목(3)에 주어지는 구동력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양호하게 절삭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연질의 원목의 경우에는 칼날물(5)에 의한 절삭저항이 작기 때문에 에어실린더(43)의 압력을 낮게 하여 압침롤(27)의 압침체(27a)를 원목에 얕게 압침시킴으로써 절삭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1. 압침롤(27)을 그 압침체(27a)가 도 7에 도시한 원목(3)에 압침시킨 위치에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한 원목(3)으로부터 떨어진 또는 접촉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 또는 반대로 압침체(27a)가 원목(3)으로부터 떨어진 또는 접촉한위치로부터 원목(3)에 압침시킨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원목(3)의 회전을 중단하지 않고 행하여도 좋다. 즉, 원목(3)의 회전을 중단하지 않고 대패대(1)의 원목(3)의 1회전당 이동량을 설정한 값으로 바꾸면서 서보모터(14) 및 에어실린더(43)를 작동시켜, 압침롤(27)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2.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침롤(27)의 압침체(27a)를 원목(3)에 압침시키는 깊이,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침체(27a)를 원목(3)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거리는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3. 에어실린더(43)를 실린더(43) 본체로부터 피스톤로드(43a)가 모두 전진한 위치 및 실린더(43) 본체내에 후퇴하여 플랜지(43b)가 스토퍼(46)에 맞닿은 위치에 더하여 상기 양위치의 중간의 임의 위치에서 피스톤로드(43a)에 제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정지가능한 중간정지기능을 갖는 에어실린더로 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도 좋다.
즉, 압침롤(27)을 그 에어실린더의 피스톤로드(43a)가 모두 전진한 상태에서 대기시켜 압침체(27a)가 도 7에 도시한 원목(3)에 파고 든 위치로 하고, 또한 그 위치로부터 피스톤로드(43a)를 약간 후퇴시켜 제동력을 작용시켜 정지대기시켜 도 11에 도시한 압침체(27a)가 원목(3)에 접촉하는 위치로 하고, 또한 그 제동력을 해제한 후 피스톤로드(43a)를 후퇴시켜 상기와 같이 플랜지(43b)가 원통형상의 스토퍼(46)에 맞닿음으로써 정지대기시켜 압침체(27a)가 도 10에 도시한 원목(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다.
4. 압침롤(27)을 압침체(27a)가 원목(3)의 외주에 압침하는 위치나 그 외주에 접촉 또는 이격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왕복운동부재, 또는 압침롤(27)을 압침체(27a)의 선단과 원호형상부나 가이드부재 등의 안내부재와의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제 2왕복운동부재로서는 캠을 사용하여도 좋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삭용 칼날에 의하여 절삭된 단판을 구동부재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부재의 일예로서 안칼날(5a), 원호형상부(4) 및 가이드부재(6)의 3개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1개 또는 수개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3)의 외주에 압침롤(27)의 압침체를 압침하여 절삭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절삭하여도 좋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2)에 의하여 지지된 원목(3)에 대하여 대패대(1)와 반대쪽에 스핀들(2)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수평가상선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소정 등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회전중심을 가진 평행한 한쌍의 종동회전이 가능한 롤(31, 33)을 원목 외주에 맞닿은 상태에서 대패대(1)와 같은 이동량으로 스핀들(2)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절삭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절삭에 있어서는 롤(31, 33)이 원목 외주에 맞닿은 후, 스핀들(2)을 원목(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핀들(2)을 원목(3)으로부터 이격시켜도 원목(3)을 지지할 수 있고, 절삭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력을 압침롤(27) 만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원목(3)을 스핀들(2)의 직경보다 작아질 때까지 절삭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목(3)의 절삭에 필요한 동력의 일부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들 롤(31, 33)의 적어도 1개를 회전구동시켜도 된다.
7. 박리부재(8)에도 칼날물(5)의 칼날 부근에 있어서의 원목(3)이 주행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패대에 압침롤과 같이 압침체를 가진 구동부재 및 그 구동부재에 단판을 따르게 하기 위하여 원호형상부나 가이드부재와 같은 안내부재를 구비한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압침체를 압침함으로써 원목의 절삭에 필요한 힘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침상처가 없는 또는 거의 없는 단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절삭용 칼날과, 그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선과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고 또한 주위에 다수의 압침체를 가진 구동부재를 축중심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압침롤과, 그 압침롤에 설치된 구동부재와, 상기 압침롤의 상기 구동부재 사이의 복수의 공간에 있어서 원목 외주를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된 프레셔부재와, 상기 절삭용 칼날에 의하여 절삭된 베니어 단판을 상기 구동부재를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각각 대패대에 설치되고, 또한 원목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핀들과, 그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체를 설치하며, 상기 압침롤은 그 구동부재의 상기 압침체가 상기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 및 상기 절삭용 칼날에 의하여 절삭된 베니어 단판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과할때까지의 사이의 베니어 단판의 양쪽에 압침하고 있는 제 1위치와, 그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그 선단이 상기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에만 접촉하는 제 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는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
    상기 압침롤의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의 이동 및 고정은,
    상기 압침롤을 상기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절삭용 칼날의 칼끝 부근의 원목 외주를 압침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가 그 원목 외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된 제 1왕복운동부재와,
    상기 압침롤을 상기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 부근에 있어서의 원목이 주행하는 방향으로서, 그 압침롤의 압침체의 선단과 가이드부재와의 간격이 절삭된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작게 되는 위치와,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크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한 제 2왕복운동부재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침롤의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의 이동 및 고정은,
    상기 압침롤을 상기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를 압침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의 선단이 그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에 접촉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된 제 1왕복운동부재와,
    상기 압침롤을 상기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 부근에 있어서의 원목이 주행하는 방향으로서, 그 압침롤의 압침체의 선단과 가이드부재와의 간격이 절삭된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작게 되는 위치와,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크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한 제 2왕복운동부재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왕복운동부재가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왕복운동부재는 편심캠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압침롤은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근접한 위치와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아암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침롤의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의 이동 및 고정은,
    상기 압침롤을 상기 구동부재의 압침체가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를 압침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의 선단이 그 칼날끝 부근의 원목 외주에 접촉하는 위치와, 그 압침체가 그 원목 외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된 제 1왕복운동부재와,
    상기 압침롤을 상기 절삭용 칼날의 칼날끝 부근에 있어서의 원목이 주행하는 방향으로서, 그 압침롤의 압침체의 선단과 가이드부재와의 간격이 절삭된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작게 되는 위치와, 베니어 단판의 두께보다 크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대패대에 설치한 제 2왕복운동부재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왕복운동부재는 중간정지기능을 갖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왕복운동부재는 편심캠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압침롤은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근접한 위치와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아암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KR10-2000-0045725A 1999-08-12 2000-08-07 베니어 선반 KR100449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85399 1999-08-12
JP?11-228853 1999-08-12
JP2000159557 2000-05-25
JP2000-159557 2000-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008A KR20010050008A (ko) 2001-06-15
KR100449343B1 true KR100449343B1 (ko) 2004-09-18

Family

ID=2652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725A KR100449343B1 (ko) 1999-08-12 2000-08-07 베니어 선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57496B1 (ko)
EP (1) EP1075913B1 (ko)
KR (1) KR100449343B1 (ko)
CN (1) CN1106250C (ko)
DE (1) DE60043279D1 (ko)
ID (1) ID26881A (ko)
MY (1) MY121460A (ko)
TW (1) TW452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21363A (en) * 2002-09-13 2003-05-30 Meinan Machinery Works Peripherally driven veneer lathe
DE602004011596T2 (de) * 2003-12-24 2009-01-29 Meinan Machinery Works, Inc., Obu Furnierschälmaschine und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Holzstückes mittels der Furnierschälmaschine
US7370680B2 (en) * 2006-03-03 2008-05-13 Carlos Alberto Fernando Fezer Lathe having movable spindles and method
CN102528871A (zh) * 2010-12-11 2012-07-04 绥宁县丰源竹木有限责任公司 一种旋切超短段圆木的方法
WO2021020001A1 (en) * 2019-08-01 2021-02-04 Meinan Machinery Works, Inc. A knife carriage, a rotary veneer lathe having the same, and a veneer slicer having the same
CN111702880B (zh) * 2020-07-12 2022-04-22 章志娟 一种基于数据分析的圆柱形木材加工设备
CN111844322B (zh) * 2020-07-23 2021-11-02 山东金轮机械制造有限公司 利用凸轮自动无级换挡变化旋切单板厚度的旋切机
CN114670303B (zh) * 2022-04-21 2023-04-28 福州三木三森机械有限公司 一种无卡轴旋切机定厚结构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505A (ja) * 1987-01-17 1987-07-17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レースに於ける原木の切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243A (en) * 1978-02-19 1981-05-26 Meinan Machinery Works, Inc. Veneer lathe
JPS5391499A (en) * 1977-01-21 1978-08-11 Meinan Machinery Works Veneer lathe
GB2025314B (en) * 1978-07-14 1982-11-24 Meinan Machinery Work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urling of veneer
US4263948A (en) * 1979-03-15 1981-04-28 Meinan Machinery Works, Inc. Veneer lathe
JPS5711010A (en) * 1981-03-31 1982-01-20 Uroko Seisakusho Co Ltd Veneer lathe
JPS59162011A (ja) * 1983-03-05 1984-09-12 株式会社 名南製作所 ベニヤレ−スの原木切削方法
JPS6424602A (en) 1987-07-21 1989-01-26 Oki Electric Ind Co Ltd Mounting method for chip type inductor
JPH071410A (ja) * 1993-06-11 1995-01-06 Meinan Mach Works Inc ベニヤ単板ガイド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505A (ja) * 1987-01-17 1987-07-17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レースに於ける原木の切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50C (zh) 2003-04-23
DE60043279D1 (de) 2009-12-24
US6357496B1 (en) 2002-03-19
KR20010050008A (ko) 2001-06-15
EP1075913A2 (en) 2001-02-14
TW452534B (en) 2001-09-01
EP1075913A3 (en) 2003-07-02
CN1284422A (zh) 2001-02-21
EP1075913B1 (en) 2009-11-11
MY121460A (en) 2006-01-28
ID26881A (id)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343B1 (ko) 베니어 선반
US20070074787A1 (en) Veneer lathe and method of cutting wood block by the veneer lathe
CN1056546C (zh) 带有可动模具的旋转装置
US57113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vertical grain wood strands
FI80229C (fi) Fanersvarv.
KR100730452B1 (ko) 베니어 레이스
JP4608058B2 (ja) ベニヤレース
JP4157623B2 (ja) ベニヤレース
JPS628281B2 (ko)
JPS62161505A (ja) ベニヤレースに於ける原木の切削方法
JPH0333483B2 (ko)
JPS6124964B2 (ko)
JPH0523282Y2 (ko)
JPS6232086B2 (ko)
JP3998946B2 (ja) ベニヤ単板のテンダーライジング加工装置
JPH0737840Y2 (ja) ミシン目加工用ペーパーカッター
KR830002074B1 (ko) 베니어판 선반
JPH01210301A (ja) 往復挽丸鋸盤の鋸角設定装置
SU954233A1 (ru) Лущильный станок
JPH0370606B2 (ko)
JPS6125526B2 (ko)
JPS5928444B2 (ja) 原木外周駆動型ベニヤレ−ス
JPS5894412A (ja) ベニア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