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452B1 - 베니어 레이스 - Google Patents

베니어 레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452B1
KR100730452B1 KR1020020006392A KR20020006392A KR100730452B1 KR 100730452 B1 KR100730452 B1 KR 100730452B1 KR 1020020006392 A KR1020020006392 A KR 1020020006392A KR 20020006392 A KR20020006392 A KR 20020006392A KR 100730452 B1 KR100730452 B1 KR 10073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ar
wood
circumferential surface
lin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380A (ko
Inventor
와타나베켄조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6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5/00Manufacture of veneer ; Preparatory processing therefor
    • B27L5/02Cutting strips from a rotating trunk or piece; Veneer lathes
    • B27L5/04Cutting strips from a rotating trunk or piece; Veneer lathes the trunk being rotated about an axis lying outside it or about an axis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axis of the tru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5/00Manufacture of veneer ; Preparatory processing therefor
    • B27L5/02Cutting strips from a rotating trunk or piece; Veneer lathes
    • B27L5/025Nose-bars; Back-up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e Of Wood Vene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을 절삭하여 얻는 단판을 합판의 표면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처가 거의 없는 상태로 구동시키는 베니어 레이스(veneer lathe)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패대(plane stand)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원목을 절삭하는 칼날의 원목 회전방향 위쪽측에서 원목의 둘레면을 가압하면서 구동시키며, 둘레면에 다수 형성된 홈을 갖는 롤러바(3)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홈(5a)의 형상은, 롤러바 회전방향 위쪽측에서, 롤러바(3)의 외주의 선(3d)과 롤러바(3)의 축 중심선측에서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선(3b)으로 구성되는 각부(角部)(3e)에 있어서의 접선과,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선(3b)이 이루는 각도가 130 내지 160도인 베니어 레이스를 구성한다.
원목, 칼날, 롤러바, 대패대, 지지부재

Description

베니어 레이스{VENEER LATHE}
도 1은 실시 형태의 측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일점쇄선 E-E에 있어서의 화살표방향에서 원목(1)을 제거한 상태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 설명도.
도 3은 도 2의 우측 단부 부근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 설명도.
도 4는 롤러바 단부의 부분 확대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일점쇄선 B-B에 있어서의 단면의 확대 설명도.
도 6은 지지부재(8)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일점쇄선 F-F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8은 도 1의 일점쇄선 H-H에 있어서의 화살표방향에서 원목(1)을 제거한 상태로 일부를 확대한 정면 설명도.
도 9는 도 8의 일점쇄선 K-K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10은 도 1의 칼날(2) 및 롤러바(3) 부근의 부분 확대측면 설명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롤러바(3)의 축 중심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원목으로부터 스핀들을 분리하였을 때의 절삭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롤러바의 둘레면에 형성하는 홈의 변경예의 부분 확대 설명도.
도 14는 롤러바의 둘레면에 형성하는 홈의 변경예의 부분 확대 설명도.
도 15는 미끄럼 베어링의 배치상태의 변경예의 정면 설명도.
도 16은 미끄럼 베어링의 변경예의 사시도.
도 17은 롤러바의 종래 예의 부분 정면 설명도.
도 18은 도 17의 원(59)으로 둘러싼 개소의 확대 설명도.
도 19는 도 18의 일점쇄선 P-P에 있어서의 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목 2 : 칼날
3 : 롤러바 4 : 대패대
5a, 5b : 홈 6 : 매끄러운 둘레면
8 : 지지부재 9 : 미끄럼 베어링
본 발명은, 베니어 단판(이하 단판이라고 칭함)을 원목으로부터 절삭하기 위한, 롤러바를 구비한 베니어 레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앞서 일본 특허공개 평11-99507호 공보에 기재된 베니어 레이스를 제안하였다, 이 베니어 레이스는, 롤러바의 둘레면에, 롤러바의 둘레면에서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마련된 다수의 볼록부와, 대패대에 고정되어 롤러바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형상이 원목측으로 개구한 원호 형상이고, 롤러바를 중심으로 하여 원목과 반대측에서 또한 원목에 마주 대하여 구비된 미끄럼 베어링과, 해당 미끄럼 베어링에 지지된 롤러바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러바에 의해, 원목을 절삭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적어도 일부를 원목에 전달하는 동시에 프레셔바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니어 레이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바(56)의 둘레면에 축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15도로 서로 교차하는 나선 형상의 깊이 0.5mm로서 폭 0.5mm인 홈(57)을 회전 방향으로 3mm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서, 표면은 매끄러운 둘레면(58a)인 마름모형의 볼록부(58)를 마련한다.
도 17에 있어서 원(59)으로 둘러싼 개소의 확대도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도 18의 일점쇄선 P-P에서 화살표방향을 본 부분 단면도는 도 19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그 결과, 롤러바(56)의 원목에 당접된 측에서는 볼록부(58)가 원목의 둘레면에 먹혀들어가서, 볼록부(58)의 단연(端緣) 즉, 도 18에서 위에서 밑으로 향해 롤러바(56)가 회전 한다면 각 볼록부의 회전방향 아래측의 단연(58b)이 원목의 둘레면에 걸린 상태로 되어, 전술한 경우와 같이 큰 힘을 원목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니어 레이스에서는, 원목의 수종(樹種)에 따라서는 절삭된 단판의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상처가 형성되어버려, 합판의 표면판과 같이 거의 상처가 없는 것이 요구되는 단판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롤러바를 사용한 베니어 레이스의 경우, 절삭하여 얻어진 단판 표면의 상기 상처는 작게 되지만, 합판의 표면판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롤러바의 홈 속에 분리된 목재의 섬유가 들어가 막히면 이탈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절삭을 계속함으로써 홈 속 전체에 섬유가 막혀버려,롤러바는 상기 원목의 둘레면에 걸린 상태로 되지 못하여 큰 힘을 원목에 전달할 수 없게 되어버리는 것이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것은 하기와 같다.
제 1항에 관한 발명은, 대패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원목을 절삭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원목 회전방향 위쪽측에서 원목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둘레면에 다수 형성된 홈을 갖는 롤러바와, 대패대에 고정되어 롤러바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형상이 원목측으로 개구한 원호 형상이고, 롤러바를 중심으로하여 원목과 반대측에서 또한 원목에 마주 대하여 구비된 미끄럼 베어링과, 해당 미끄럼 베어링에 지지된 롤러바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 이루어지는 베니어 레이스에 있어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홈 형상은,
롤러바 회전방향 위쪽측에서, 롤러바의 외주의 선과 롤러바의 축 중심선측에서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제 1선으로 구성되는 각부에 있어서의 접선과, 제 1선이 이루는 각도가 130내지 160도인 베니어 레이스이다. 이로써, 회전하는 롤러바의 홈의 회전방향 위쪽측 각부가 원목의 둘레면에 먹혀들어가 걸린 상태로 되어, 원목 절삭시 충분한 힘을 전달시키는 한편, 당접한 원목 둘레면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처는 거의 남지 않는다.
제 2항에 관한 발명은, 베니어 레이스에 있어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홈 형상은,
롤러바 회전방향 위쪽측에서, 롤러바의 외주의 선과 롤러바의 축 중심선측에서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제 1선으로 구성되는 각부에 있어서의 접선과, 제 1선이 이루는 각도가 130 내지 160도이며, 또한, 롤러바 회전방향 아랫쪽에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측에서 외측으로 향해 신장되는 제 2선과 제 1선이 이루는 각도가 70도 이상이며, 또한, 롤러바의 외둘레면에서 홈의 바닥부까지의 깊이가 0.05mm 이상인 베니어 레이스이다. 이로써, 원목으로부터 분리된 목재의 섬유가, 롤러바의 홈 속에 들어가더라도 자중 등에 의해 홈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며, 또한 목재의 섬유에 대하여 홈의 각부가 달라붙는 원목에 안정되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3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홈이,롤러바의 둘레면에 축 중심선에 대하여 나선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베니어 레이스는, 원목의 섬유에 대하여, 롤러바의 홈의 회전방향 위쪽측 각부가 교차한 상태로 압접되기 때문에, 절삭되어 얻어진 단판의 표면의 상처가 보다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제 4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홈이, 롤러바의 둘레면에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는 베니어 레이스는, 원목의 섬유에 대하여 홈이 적절히 대응하여 달라붙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확실히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5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롤러바는, 축 중심선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개소와 매끄러운 둘레면을, 해당 축 중심선 방향으로 교대로 마련되어 있는 베니어 레이스는, 지지부재의 내둘레면에 의해 안정하게 설정된 위치에 지지된다.
제 6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나열하여 다수 분할 형상으로 배치된 미끄럼 베어링인 베니어 레이스는, 부분적으로 결손이 생긴 베어링만의 교환이나 베어링 자체의 제작이 용이하다.
제 7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미끄럼 베어링인 베니어 레이스는, 제 6항의 효과와 더불어, 부품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제 8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미끄럼 베어링이, 한 단이 대패대에 편측지지 상태로 고정된 지지체의 다른단에 마련되어 있는 베니어 레이스는, 롤러바와 원목 사이에 커다란 나무 부스러기가 들어갔을 때, 미끄럼 베어링이 원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기 쉬워 원목 및 미끄럼 베어링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원목이 파괴되거나 미끄럼 베어링이 파손되거나 하는 일이 적다.
제 9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롤러바의 직경이 20mm 이하인 베니어 레이스는, 칼날에 가까운 위치에서 원목을 가압할 수 있어, 뒷면 갈라짐이 적은 단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롤러바의 직경은, 절삭하여 가늘게 된 원목이 압력으로 반경방향으 로 위축되지 않을 정도의 12mm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제 10항에 관한 발명과 같이 칼날과 상대하는 위치에, 절삭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원목의 둘레면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백업롤을 구비한 베니어 레이스는, 원목을 절삭하여 가늘게 된 상태에서도 휘지 않도록 적절한 가압력으로 원목에 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롤러바의 축 중심선이란, 롤러바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 즉, 롤러바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각 단면에서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가리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의 측면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1)의 축심 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롭게 구비된 1쌍의 스핀들(S)과, 해당 스핀들(S)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원목(1)을 절삭하는 칼날(2)과 롤러바(3)를 구비한 대패대(4)를 마련하여 베니어 레이스가 구성된다.
도 1에서 일점쇄선 E-E에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경우, 원목(1)을 제외한 상태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 설명도인 도 2 및 도 2의 오른쪽 부근의 부분 확대도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바(3)를 칼날(2)의 칼끝과 평행하게 마련한다. 롤러바(3)는 직경 16mm의 환봉으로서, 그 둘레면에 홈(5a, 5b)을, 도 3, 도 3에 있어서 롤러바(3)의 단부의 부분 정면 설명도인 도 4 및 도 4에서 홈(5)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일점쇄선 B-B에서 화살표의 방향을 본 부분 단면도의 확대 설명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한다.
즉, 홈(5a)은 도 5에서 도시한 2개의 제 1선에 상당하는 선(3b) 및 제 2선에 상당하는 선(3c)으로 구성되고, 깊이(L2)가 0.15mm, 직선(3b 및 3c)이 이루는 바닥부의 각도(θ2)가 90도로 되어 있다. 이 홈(5a)은, 롤러바(3)의 회전방향의 간격(L1)이 2mm이고, 도 5의 종이면의 속 방향인 롤러바(3)의 축 중심선과 평행한 선 A-A에 대한 각도(θ1)가 7.5도가 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25개, YAG 레이저에 의해 형성한다. 그 결과, 도 5에 있어서의 직선(3b)과, 롤러바(3)의 외주선(3d)으로 구성되는 각부(3e)에 있어서의 접선(근사적으로는 외주선(3d)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이 이루는 각도(θ3)는 135도가 된다.
또한, 홈(5a)과 도 4에서의 선 A-A에 대한 각도만이 다른, 즉 θ4가 7.5도가 되는 홈(5b)을 마찬가지로 25개 형성한다. 또한, 롤러바(3)의 회전방향에서의 홈(5a)에 대한 홈(5b)을 형성하는 위치는, 임의로 결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러바(3)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한 지지부재(8)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도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대패대(4)와 일체로 구성된 프레셔바 대(臺)(7)에 상단부가 편측지지 상태로 고정되고, 칼날(2)의 칼끝과 평행하게 소정 폭(예를 들면, 35mm)으로 다수 배치된 각 지지부재(8)의 하단부를 원호 형상으로 깎아낸다. 그리고, 깎아낸 개소에, 사시도인 도 6 및 도 3의 일점쇄선 F-F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 설명도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베어링(9)을 각각 삽입 하여 고정한다.
미끄럼 베어링(9)은 내경을 롤러바(3)를 거의 빈틈없게 지지하는 값 즉. 16mm부터 최대로도 0.1mm 정도 큰 값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미끄럼 베어링(9)은, 롤러바(3)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형상이 원목측 즉, 도 7에서는 좌측으로 개구한 원호 형상이다. 또한, 미끄럼 베어링(9)에는, 지지된 롤러바(3)가 자중 등의 힘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9) 내로부터 튀어나가지 않도록, 롤러바(3)의 반주(半周)보다 길게 덮는 내둘레면(11)으로 함으로써 홈(9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내둘레면(11)에는 후술하는 물(水) 공급용 통로(13)가 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부재(8)는, 서로 이웃하는 미끄럼 베어링(9)의 홈(9a)이 도 7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서 일치하는 상태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2)의 칼끝과 평행하게 절삭하는 원목의 길이에 따라서 다수 나열하여 대패대(4)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롤러바(3)를 도 6의 오른쪽에서 홈(9a)에 삽입하는데, 삽입된 롤러바(3)의 칼날(2)에 대한 위치가, 후술하는 위치가 되도록 대패대(4)에 고정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롤러바(3)의 칼날(2)에 대한 위치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공구각(tool angle) 22도, 여유각(angle of relief) 1도로 설정된 칼날(2)에 있어서, 미리 칼날(2)의 칼끝(2a)이 스핀들(S)의 회전 중심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대패대(4)에 고정해 둔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두께 2mm의 단판을 절삭하는 경우, 칼날(2)에 의해 절삭된다고 예상되는 절삭 가상선, 즉 도 7에서 칼끝(2a)에서 수직 윗쪽으로 신장되는 점선과 롤러바(3)의 둘레면과의 간격(X)을 2mm의 80%인 1.6mm의 거리로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롤러바(3)의 회전 중심을 3b라 하였을 때, 도 7에서 칼끝(2a)에서 수평으로 신장되는 점선(이하, 칼끝수평선이라 한다)과 3b와의 간격(Y)을, 3.8mm의 거리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롤러바(3)는, 상기 두께 2mm의 단판을 절삭하는 경우에 설정한 상기 롤러바(3)의 위치에 있어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3b)을 통하여 칼끝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11도 30분이 되는 기울어진 2점쇄선을 상정하고, 해당 2점쇄선상을 해당 회전 중심(3b)이 이동하도록 마련한다. 이 때문에 지지부재(8)를 대패대(4)에 대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지만, 공지의 베니어 레이스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마련함에 의해, 단판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롤러바(3)의 칼끝(2a)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는, 간격(X)이 희망하는 거리가 되도록 롤러바(3)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켜 고정하면 좋다. 즉, 예를 들어 두께 6mm의 단판을 얻는 경우, 롤러바(3)를, 도 7에서 간격(X)이 6mm의 80%인 4.8mm로 될 때까지 상기한 조건으로 오른쪽 윗쪽으로 이동시키면 좋다.
한편 롤러바(3)의 양 단부의 약간 직경이 작은 축(3a)의 부분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미끄럼 베어링(9)을 갖는 지지부재(8)와 같이 형성되고, 프레셔바대(7)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2개의 홀더(10) 로 해당 축(3a)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해당 2개의 홀더(10) 사이의 축(3a)에 스프로킷(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한다. 해당 스프로킷에는, 전달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토크 리미터를 갖는 모터(18)에 의해 구동 주행시키는 체인(12)을 걸어서, 롤러바(3)를 예를 들어 원주속도가 1분당 60m가 되도록 항상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8)에는, 배면으로부터 홈(9a)의 롤러바(3)의 내둘레면(11)에 도달하는 물 공급용 통로(이하 통로라 한다)(13)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각 통로(13)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4)를 연결하고, 각 튜브(14)는 칼날(2)의 칼끝과 평행하게 지지부재(8) 전체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로 연속되고 양 단이 막혀진 관(15)에 연결된다. 관(15)에는, 윗쪽에 마련되고 물로 채워진 탱크(16)와 튜브(17)를 연결함으로서, 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항상 홈(9a)에 물이 공급된다.
또한, 대패대(4)에는, 제1 이동기구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패대(4)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소의 암나사(19a)를 고정하고, 각 암나사(19a)에는 숫나사(19b)를 삽통하여 구비한다. 또한, 원목의 반경을 검출하는 원목 지름 검출기구로서, 숫나사(19b)에는, 검출기(20)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기(20)는, 숫나사(19b)의 회전수를 계측함으로써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숫나사(19b)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변속 구동원(21)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어기구(22)의 제어에 의거하여 양 숫나사(19b)가 가변속 구동원(21)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대패대(4)는 임의 속도 또는 소정 속도로서 원목 절삭시에는 도 1의 왼쪽 방향으로, 절삭이 종료되어 원 위치로 되돌아가는 때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된다.
1쌍의 스핀들(S)은 스핀들 작동기구로서의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원목(1)에 대하여 왕복운동이 자유롭게 하고, 해당 스핀들(S)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계측기(23), 가변속 구동원(24) 등에 의해 구성한 센터 구동장치를 마련한다. 그 중에서, 회전 계측기(23)는, 스핀들(S)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를 계측하기 위한 회전수 계측기구로서의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지고, 가변속 구동원(24)은 스핀들(S)을 회전 구동시키는 직류 전동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서 스핀들(S)은, 대패대(4)가 원목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칼날(2)에 의해 절삭되는 원목(1)의 직경이 감소하더라도, 항상 같은 원주속도로 원목(1)이 회전하여 칼날(2)로 절삭되어져 단판(T)이 얻어지도록 제어기구(22)에 의해 제어된다. 즉, 검출기(20)로부터의 신호를 받은 후술하는 제어기구(22)에 의해,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과의 거리에 관련되어 회전수가 증대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스핀들(S)은, 원목 축심부(軸芯部)에 원목(1)의 절삭에 필요한 동력의 일부를 공급한다. 또한, 이 원주속도는, 상기 롤러바(3)의 원주속도에 대하여 약간 작게(예를 들면, 1분당 58m) 되도록 설정한다.
한편 스핀들(S)을 중심으로 하여 대패대(4)와 반대측에서 숫나사(19b)와 상대하는 위치에는, 제2 이동기구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대패대(4)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숫나사(30b)를 배치 한다.
해당 2개의 숫나사(30b)에는, 숫나사(30b)와 결합되는 암나사(30a)가 고정된 지지대(31)를 각각 배치한다. 각 지지대(31)는, 도 1에 있어서 일점쇄선 H-H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경우 원목(1)을 제외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한 기대(32)에 있는 홈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직선적으로 수평 이동되면 즉, 도 1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각 숫나사(30b)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목(1)의 회전 중심과 후술하는 롤(37, 38)의 둘레면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기(33), 서보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변속 구동원(34)을 마련한다. 한편, 양 지지대(31) 사이에는, 도 8 및 도 8의 일점쇄선 K-K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부분 단면도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각주체(角柱體)인 설치대(35)를 배치하고, 해당 설치대(35)의 양 단부를 각각 지지대(31)에 고정한다. 설치대(35)에는, 도 9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측면의 형상이 L형이고 또한 지지대(3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설치대(35)보다 짧은 지지대(36)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체인(41) 및 타이밍 벨트(43)의 주행이 방해되지 않도록, 양 지지대(31) 사이의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한다.
지지대(36)에는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 방향의 길이가 절삭하는 원목(1)보다 약간 길고 직경이 115mm이며 각 회전 중심의 간격을 145mm로 하여 2개의 롤(37, 38)의 양 단을, 도 9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원목(1)의 회전 중 심을 지나는 가상수평선 H-H가 수직방향에서 롤(37, 38)의 중앙에 위치하는 위치에서, 베어링(39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판(39)을 고정한다.
지지대(36)의 상면에는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0)를 고정하고, 해당 모터(40)의 회전을 체인(41)(도 9에서는 2점쇄선으로 도시한다)에 의해 롤(37)에 전달하고, 롤(37)의 원주속도가 롤러바(3)의 원주속도보다 약간 빠른 원주속도(예를 들면, 1분당 62m)로 화살표 방향으로 항상 회전시키도록 설정한다.
또한, 설치대(35)의 하면에는, 회전수 계측기구로서, 축이 회전됨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를 카운트하는 펄스 계수기(42)를 고정하고, 펄스 계수기(42)의 축과 롤(38)의 축에 각각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한다. 이 양 기어에 타이밍 벨트(43)(도 9에서는 2점쇄선으로 도시한다)를 걸어, 롤(38)의 회전을 펄스 계수기(42)에 전달한다.
펄스 계수기(42)에 전달된 롤(38)의 회전 신호는 제어기구(22)에 전달되고, 검출기(20)로부터의 신호도 이용함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목(1)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또한, 이들 구성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어기구(22)의 제어에 의거하여 양 나사(30)가 가변속 구동원(34)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지지대(31)에 구비한 롤(37, 38)은 임의 속도와 또는 소정 속도로 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제어기구(22)는 이하와 같이 각 부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원목(1)의 절삭 시작시에는, 숫나사(30b)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를 원목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시켜 롤러(37, 38)를 원목(1)으로부터 분리하고, 스핀들(S)만을 원목(1)에 당접시켜 또한 회전 구동시킨다.
이 회전으로 회전 계측기(23)에 의해 산출된 스핀들(S) 즉, 원목(1)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의 신호를 받아, 제어기구(22)는, 이 신호를 기초로 절삭되는 단판의 두께를 희망하는 일정한 값, 예를 들면 2mm가 되도록, 즉, 원목(1)의 1회전당 대패대(4)가 원목(1)을 향해 2mm의 비율로 이동하도록, 가변속 구동원(21)에 작동 신호(이하, 제1 작동신호라 칭함)를 전달하여 대패대(4)를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어기구(22)는, 절삭되어 원목(1)으로부터 연속띠 형상의 단판이 절삭되도록 되면, 운전자의 손 입력에 의한 신호를 받아, 가변속 구동원(34)을 작동시켜 지지대(31)를 원목(1)을 향해 대패대(4)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시킨다.
이어서, 검출기(33)로부터 얻어지는 원목(1)의 회전 중심과 롤(37, 38)의 둘레면 사이의 거리가, 검출기(20)로부터 얻어지는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 위치 사이의 거리와 같은 위치(엄밀하게는 단판의 두께를 고려한 아르키메데스의 스파이럴 곡선상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후는 대패대(4)와 같은 속도로 원목(1)으로 향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가변속 구동원(34)에 출력한다.
그 결과, 롤(37, 38)은 절삭됨에 따라서 그 직경이 감소하는 원목(1)의 둘레면에 항상 압접된 상태로, 원목(1)의 회전 중심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원목(1)에 압접된 롤(38)은 원목(1)의 회전에 의해 종동(從動) 회전되 고, 이 롤(38)의 회전 즉, 원목(1)의 원주속도가 타이밍 벨트(43)에 의해 펄스 계수기(42)에 전해진다. 이 신호와 검출기(20)로부터 얻어져 차례로 변화되는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의 위치 사이의 거리의 신호에 의해, 제어기구(22)에서 미리 설정된 미소 시간마다 원목(1)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를 산출하고, 이 회전수에 있어서 원목(1)의 1회전당 대패대(4)가 원목(1)을 향해 이동하는 양이 2mm가 되는 신호(이하 제2 작동신호라 칭함)를 산출한다. 단, 이 시점에서는, 아직 제1 작동신호가 가변속 구동원(21)에 발신되고 있고, 제2 작동신호는 가변속 구동원(21)에 발신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기구(22)는, 상기 상태로부터 절삭이 진행하고, 원목의 반경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검출기(20)로부터 얻어지는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 위치 사이의 거리가, 스핀들(S)의 반경보다 약간 큰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면, 60mm(이하 제1 거리라 칭함)가 된 것을 검출한 신호에 의해, 최초에 대패대(4)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하고 있었던 가변속 구동원(21)으로의 제1 작동신호를 제2 작동신호로 전환하여 마찬가지로 대패대(4)의 이동을 계속한다. 다음에 해당 전환을 행한 후에 스핀들(S)을 후퇴시켜 원목(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기구(22)는 절삭이 진행되고, 검출기(20)로부터 얻어지는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이하 제2 거리라 칭함) 예를 들면, 40mm 정도가 되면 가변속 구동원(21) 및 가변속 구동원(34)에 작동 정지신호를 보내어, 대패대(4) 및 롤(37, 38)의 원목(1)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이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비하는 것으로, 그 작용은 아래와 같이 된다.
절삭 시작시는, 롤(37, 38)은 원목(1)으로부터 분리되고 스핀들(S)만을 원목(1)에 당접시키고 또한 회전 구동시킨다. 그리고, 회전 계측기(23)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제어기구(22)는, 절삭되는 단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도록 가변속 구동원(21)에 제1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대패대(4)를 이동시킨다. 또한, 스핀들(S)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과의 거리에 관련되어 회전수가 증대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대패대(4)가 원목(1)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서 차례로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가 증대해 나간다.
이윽고 롤러바(3)의 둘레면이 원목(1)의 둘레면에 압압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바(3)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에 토크 리미터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롤러바(3)의 원주속도가 원목(1)에 의해 작게 되고 거의 원목의 원주속도와 동일하게 되고, 롤러바(3)로부터의 동력과 스핀들(S)에서의 동력이 공급되고, 칼날(2)에 의해 단판(T)의 절삭이 시작된다.
이 절삭은, 도 7과 같은 위치 관계로 원목(1)을 절삭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롤러바(3)의 주위를 설명한 도면인 도 10과 같이 행하여져 단판(T)이 얻어진다.
이 절삭에 있어서, 도 10에 있어서의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주요부 확대도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도 7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리(X)를 절삭하는 단판(T) 두께의 80%의 거리로 설정하여 롤러바(3)에 의해 원목을 압축 변형시키고 있기 때문에,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바(3)의 예를 들면, 홈(5a)의 각부(3e)가 원목(1)의 둘레면(1a)에 먹혀들어가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롤러바(3)로부터 원목(1)에 힘을 충분히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각부(3e)의 각도(θ3)는 상기와 같이 135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 둘레면에 남는 상처는 육안으로서는 거의 확인할 수 없고, 절삭하여 얻어진 단판(T)을 상기 원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θ3)는 홈(5a)이 연속되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의 각도이며,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 즉, 도 4의 일점쇄선 C-C에 있어서의 단면에서의 도 11에 있어서의 롤러바 회전방향 위쪽측 θ4의 각도(이하, 직교단면의 각도라 한다)는, 전술한 각도(θ3)의 135도보다 약간 커진다.
직교단면의 각도는, 그 값을 크게 하면 단판(T)에 나타나는 상처는 작게 되지만 각부(3e)가 원목(1)의 둘레면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원목(1)에 전달할 수 있는 힘이 작게 된다. 또한, 반대로 값을 작게 하면 각부(3e)가 원목(1)의 둘레면(1a)에 걸리기 쉽게 되어 원목(1)에 전달할 수 있는 힘은 커지지만, 단판(T)에 나타나는 상처가 커지게 된다.
비교적 상처가 나타나기 쉬운 수종인 부나(beech)와 카바(birch)를 절삭하는 단판의 두께 1 내지 3mm의 범위로 직교단면의 각도를 바꿔 실험을 행한 바, 단판에 나타나는 상처의 상태와 롤러바로부터 전달할 수 있는 힘의 크기는 이하와 같이 되 었다.
Figure 112002003708622-pat00001
이들로부터, 직교단면의 각도가 130 내지 160도이면 사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1에서 θ4에 상대하는 롤러바 회전방향 아랫쪽의 θ5의 각도는, 원목(1)에 전달하는 힘으로서는 거의 영향이 없고 단판(T)에 나타나는 상처가 문제없는 정도로 θ4와 다른 각도, 예를 들어 작은 각도로 하면 좋다. 이로 인해, 홈이 원목에 당접하여 먹혀들어가 걸린 상태의 후에, 롤러바가 회전방향 위쪽측의 각부에서 당접한 채로 아랫쪽 각부쪽이 일찌기 홈 내부를 해제할 때, θ5가 작을 수록 보다 빠르게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막혀 있는 섬유 찌꺼기가 배제되기 쉽다. 또한, θ4과 같게 하면, 정확히는 도 5에 있어서의 각도(θ3)와, 각도(θ3)에 상대하는 롤러바 회전방향 아랫쪽 각도를 같게 하면, 홈을 형성할 때에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바닥부 각도(θ6)는 90도보다 넓게 되어 롤러바가 회전하여 홈이 아래쪽으로 개구한 상태로 되면 자중에 의해 섬유 찌꺼기가 배제되고, 롤러바로부터 양 호하게 원목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목재와 강재와의 마찰계수의 관계로 θ6가 70도보다 크면, 홈 내에 섬유 찌꺼기가 막히는 일이 거의 없고 마찬가지로 배제된다. 하기에, θ4에 대한 2조의 θ5, θ6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03708622-pat00002
또한, 롤러바(3)의 직경을 16mm 정도로 하였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바(3)의 홈(5a, 5b) 이외 부분의 매끄러운 둘레면(6)에 의해, 칼날(2)의 바로 앞의 위치에서 원목을 압압할 수 있어, 뒷면 갈라짐이 적은 단판(T)이 얻어진다.
한편, 롤러바(3) 전체로서는 해당 매끄러운 둘레면(6)이 지지부재(8)의 내둘레면(11)에 의해 최초에 설정한 위치에 계속 지지되어 희망하는 조건으로 양호한 단판(T)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탱크(16)로부터 항상 홈(9a)에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된 물이 롤러바(3)의 회전에 의해, 롤러바(3)의 홈(5a, 5b) 내로 들어와 내둘레면(11) 전체에도 부착된다. 또한, 롤러바(3)의 둘레면 전체에도 부착됨으로서, 내둘레면(11)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롤러바(3)가 회전하는 경우의 윤활 및 냉각의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절삭이 계속되어 원목(1)으로부터 연속 띠상태의 단판이 절삭되도록 된 것을 육안으로 운전자가 확인하면, 손 입력으로 제어기구(22)에 신호를 보내고, 해당 신호를 받은 제어기구(22)는, 다음과 같이 각 부재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내어 각각 작동시킨다.
즉, 가변속 구동원(34)을 작동시켜 지지대(31)를 원목(1)을 향해 대패대(4)의 이동 속도보다 빨리 이동시키고, 원목(1)의 회전 중심과 롤(37, 38)의 둘레면 사이의 거리가,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의 위치 사이의 거리와 같게 되어 원목(1)의 둘레면에 압접된 것을 검출기(33) 및 검출기(20)에 의해 확인하면, 이후는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롤(37, 38)을 대패대(4)와 같은 속도로 원목(1)의 둘레면에 압접된 상태로 원목(1)의 회전 중심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 롤(37, 38)의 압접에 의해, 절삭이 계속되어 원목(1)의 직경이 작게 되더라도, 칼날(2) 등의 원목(1)으로의 수평방향의 힘에 의해 원목(1)이 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롤(37)의 원주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롤(37)은 원목의 둘레면과 슬립되면서 원목(1)에 회전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절삭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의 일부를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절삭이 진행되며,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로 되었다는 신호를 검출기(20)로부터 받아, 제어기구(22)는 최초에 대패대(4)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하였던 가변속 구동원(21)으로의 상기 제1 작동신호를, 상기 제2 작동신호로 전환하고, 마찬가지로 대패대(4)의 이동을 계속한다. 이어서 제어기구(22)로부터의 작동신호에 의해, 스핀들(S)을 후퇴시켜 원목(1)으로부터 분리한다.
스핀들(S)이 후퇴하더라도 원목(1)에는 부분 확대도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38)로부터 원목(1)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비스듬히 윗쪽으로의 힘(F1)이 작용하고 있어, 이 힘(F1)의 수직방향의 성분의 힘(F2)을 주된 힘으로 하여, 원목(1)은 낙하되는 일 없이 롤(3)과 롤(37, 38)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 구동되어 칼날(2)에 의한 절삭이 계속하여 행해진다.
더욱이, 절삭이 진행되어 원목(1)의 회전 중심과 칼날(2)의 칼끝 위치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로 된 것이 검출기(20)로부터 얻어지면, 제어기구(22)로부터의 작동신호에 의해 숫나사(19b) 및 숫나사(30b)의 회전을 정지시켜 대패대(4) 및 지지대(31)의 원목(1)으로의 이동을 정지한다. 이어서 숫나사(19b) 및 숫나사(30b)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대패대(4) 및 지지대(31)를 원목(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남은 박심(剝芯)이라고 불리는 환봉 형상의 원목(1)은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상 동작의 반복으로 원목의 절삭을 행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1. 롤러바의 둘레면에 형성하는 홈(5a, 5b)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바(3)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홈(5a, 5b)이 형성된 개소와, 홈(5a, 5b)이 형성되지 않은 매끄러운 둘레면(3f)을 각각 일정 폭으로 교대로 마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면, 롤러바의 원목에 전달되는 힘은 작게 되지만, 상기 둘레면(3f)이 지지부재(8)의 내둘레면(11)에 의해 보다 안정하게 설정한 위치에 유지되기 쉽게 된다.
2. 롤러바의 둘레면에 형성하는 홈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바(3)의 축 중심선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홈(5c)이라도 좋다. 또한, 이 때 도 13에 도시한 예와 같이, 롤러바(3)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홈(5c)이 형성된 개소와, 홈(5c)이 형성되지 않은 매끄러운 둘레면(3f)을 각각 일정 폭으로 교대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형태1, 2는 홈이 형성된 개소와, 매끄러운 둘레면(3f)이 교대로 마련되어 있지만, 홈 깊이를 2종류 이상으로 한 홈을 형성한 개소를 2개소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롤러바의 직경을 16mm로 하였지만, 직경이 12mm 이상이고 20mm 이하이면, 롤러바는 칼날의 직전 위치에서 원목을 보다 유효하게 가압하여 프레셔바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원목에 의해 유효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절삭하는 단판의 두께를, 이미 기술한 3mm보다 크게 하는 경우, 롤러바의 직경을 더욱 크게 예를 들면, 30mm 정도로 하여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재(8)에 구비한 롤러바의 미끄럼 베어링(9)을,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2)의 칼끝과 평행하게 빈틈없게 나열하여 마련하였지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지부재(8)의 사이를 빈틈(60)을 두고 마련함으로써 미끄럼 베어링(9)을 간격을 두고 마련하여도 좋다.
5. 이상 설명한 지지부재는, 한 단을 대패대(4)에 고정한 바 형상의 다른단에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형성하여 좋다.
즉, 도 16의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지지부재(63)로 하고, 해당 지지부재(63)의 한쪽 측 측면을 원호 형상으로 깎고, 깎아낸 개소에 미끄럼 베어링(9)과 마찬가지로 구성한 미끄럼 베어링(64)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 미끄럼 베어링(64)에 전술한 여러가지의 롤러바를 적절히 선택하여 삽입하면 좋다.
6.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의 길이는, 도 2 및 도 15에서는 1개의 롤을 이용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면의 좌우방향의 중앙에서 분할된 상태로 각각 미끄럼 베어링(9)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칼날과 상대하는 위치에 절삭에 따라서 직경이 작게 되는 원목의 둘레면을 추종하여 이동하는 백업롤로서 결합되는 암나사(30a) 및 숫나사(30b)의 작용에 의해 롤(37, 38)을 이동시키도록 구비하였지만, 마찬가지로 구성한 롤(37, 38)을 공지의 유압 또는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이동시켜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항에 기재된 베니어 레이스에 의하면, 원목을 절삭하여 얻어진 단판을, 합판의 표면판과 같이 상처가 거의 없는 것이 요구되는 단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항에 기재된 베니어 레이스에 의하면, 원목의 분리한 목재의 섬유가 롤러바의 홈 속에 막히는 일 없이 원목에 안정되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0)

  1. 대패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원목을 절삭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원목 회전방향 윗쪽측에서 원목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둘레면에 다수 형성된 홈을 갖는 롤러바와,
    대패대에 고정되어 롤러바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롤러바의 축 중심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형상이 원목측으로 개구한 원호 형상이고, 롤러바를 중심으로 하여 원목과 반대측에서 또한 원목에 상대하여 구비된 미끄럼 베어링과,
    해당 미끄럼 베어링에 지지된 롤러바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 이루어지는 베니어 레이스(veneer lathe)에 있어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홈 형상은,
    롤러바 회전방향 윗쪽측에서 롤러바의 외주의 선과 롤러바의 축 중심선측에서부터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제 1선으로 구성되는 각부(角部)에 있어서의 접선과, 제 1선이 이루는 각도가 130 내지 1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2. 대패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원목을 절삭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원목 회전방향 윗쪽측에서 원목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둘레면에 다수 형성된 홈을 갖는 롤러바와,
    대패대에 고정되어 롤러바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형상이 원목측으로 개구한 원호 형상이고, 롤러바를 중심 으로 하여 원목과 반대측에서 또한 원목에 마주 대하여 구비된 미끄럼 베어링과,
    해당 미끄럼 베어링에 지지된 롤러바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 이루어지는 베니어 레이스에 있어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홈 형상은,
    롤러바 회전방향 윗쪽측에서 롤러바의 외주의 선과 롤러바의 축 중심선측에서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제 1선으로 구성되는 각부에 있어서의 접선과, 제 1선이 이루는 각도가 130 내지 160도이며, 또한, 롤러바 회전방향 아래쪽측에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측에서 외측을 향해 신장되는 제 2선과 제 1선이 이루는 각도가 70도 이상이고, 또한, 롤러바 외주면으로부터 홈의 바닥부까지의 깊이가 0.0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홈이 롤러바의 둘레면에서 나선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홈이 롤러바의 둘레면에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롤러바는, 축 중심선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개소와 매끄러운 둘레면을 해당 축 중심선 방향으로 교대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나열하여 다수 분할 형상으로 배치된 미끄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롤러바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미끄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미끄럼 베어링이, 한 단이 대패대에 편측지지 상태로 고정된 지지체의 다른단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롤러바의 직경이 2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칼날과 상대하는 위치에, 절삭에 따라 직경이 작게 되는 원목의 둘레면에 따라서 이동하는 백업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레이스.
KR1020020006392A 2001-02-06 2002-02-05 베니어 레이스 KR100730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0150 2001-02-06
JP2001030150 2001-02-06
JPJP-P-2001-00382112 2001-12-14
JP2001382112 2001-12-14
JPJP-P-2002-00022430 2002-01-30
JP2002022430 2002-01-30
JP2002027099A JP4080757B2 (ja) 2001-02-06 2002-02-04 ベニヤレース
JPJP-P-2002-00027099 2002-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380A KR20020065380A (ko) 2002-08-13
KR100730452B1 true KR100730452B1 (ko) 2007-06-19

Family

ID=2748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392A KR100730452B1 (ko) 2001-02-06 2002-02-05 베니어 레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48036B2 (ko)
EP (1) EP1228847B1 (ko)
JP (1) JP4080757B2 (ko)
KR (1) KR100730452B1 (ko)
CN (1) CN1321786C (ko)
CA (1) CA2370608C (ko)
DE (1) DE60208451T2 (ko)
MY (1) MY122934A (ko)
NZ (1) NZ517052A (ko)
TW (1) TW5314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0680B2 (en) * 2006-03-03 2008-05-13 Carlos Alberto Fernando Fezer Lathe having movable spindles and method
JP5554657B2 (ja) * 2009-11-19 2014-07-23 株式会社名南製作所 原木の切削方法及びベニヤレース
FI123331B (fi) * 2011-02-09 2013-02-28 Raute Oyj Viilujen sorvauslaite
CN105599076A (zh) * 2016-01-21 2016-05-25 侯如升 一种麦秆旋切用刀环
CN106003268B (zh) * 2016-07-13 2018-08-17 贾乔岚 一种智能单板无人操控生产线
CN108356947B (zh) * 2017-01-27 2021-03-02 株式会社名南制作所 组合刀具
CN109304783B (zh) * 2018-11-15 2020-11-20 王天宇 一种多功能毛坯木材整形装置
CN113696276B (zh) * 2021-08-02 2022-11-01 宁波天工巨星工具有限公司 一种防卡屑多装夹位刨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526A (ko) * 1983-08-25 1985-03-30 구보다 미부미 분말상 섬유소 글리코올 칼슘의 제조법
KR870000033A (ko) * 1985-06-05 1987-02-16 신윤철 담배갑
US4790360A (en) * 1987-10-26 1988-12-13 Forintek Canada Corp. Wood tenderiz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83509B1 (ko) * 1997-07-29 2001-05-02 하세가와 가쓰지 베니어선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169A (en) * 1976-08-02 1977-12-06 Meinan Machinery Works, Inc. Apparatus for cutting off a thickness of wood or veneer from logs
GB2025314B (en) * 1978-07-14 1982-11-24 Meinan Machinery Work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urling of veneer
US4602663A (en) * 1984-08-07 1986-07-29 The Coe Manufacturing Co. Veneer lathe with powered nose bar roll of large diameter
CN2036092U (zh) * 1988-09-29 1989-04-19 韩庆忠 加工薄木片的旋切机
JP2805170B2 (ja) * 1990-07-06 1998-09-30 株式会社名南製作所 可センターレス式ベニヤレースの歩送り方法
JPH08132411A (ja) * 1994-11-07 1996-05-28 Meinan Mach Works Inc 可センターレス式ベニヤレースに於ける歩送りの切上げ方法
US5787949A (en) * 1995-07-07 1998-08-04 Meinan Machinery Works, Inc. Method of controlling feed in a spindleless veneer lathe and apparatus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JP3676535B2 (ja) * 1996-04-22 2005-07-27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レースにおけるバックアップロールの歩送り制御方法及びベニヤレースにおけるバックアップロール装置
US5715879A (en) * 1996-07-15 1998-02-10 Jones; William F. Nose bar and drive assembly
JP3665162B2 (ja) * 1996-12-20 2005-06-29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レース
CN1067624C (zh) * 1997-12-19 2001-06-27 北京奥体宏天科技开发公司 毛竹旋切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526A (ko) * 1983-08-25 1985-03-30 구보다 미부미 분말상 섬유소 글리코올 칼슘의 제조법
KR870000033A (ko) * 1985-06-05 1987-02-16 신윤철 담배갑
US4790360A (en) * 1987-10-26 1988-12-13 Forintek Canada Corp. Wood tenderiz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83509B1 (ko) * 1997-07-29 2001-05-02 하세가와 가쓰지 베니어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8451D1 (de) 2006-03-30
DE60208451T2 (de) 2006-07-20
NZ517052A (en) 2003-01-31
US6648036B2 (en) 2003-11-18
KR20020065380A (ko) 2002-08-13
JP2003291111A (ja) 2003-10-14
CN1375385A (zh) 2002-10-23
EP1228847B1 (en) 2006-01-04
CA2370608A1 (en) 2002-08-06
EP1228847A3 (en) 2003-07-02
MY122934A (en) 2006-05-31
JP4080757B2 (ja) 2008-04-23
CA2370608C (en) 2007-09-04
EP1228847A2 (en) 2002-08-07
TW531485B (en) 2003-05-11
US20020148531A1 (en) 2002-10-17
CN1321786C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6613B (zh) Cutting methods of logs and planing machines
CN109227687A (zh) 一种旋转离心式多刀片切割机
KR100730452B1 (ko) 베니어 레이스
KR100276942B1 (ko) 베니어선반
KR101482643B1 (ko) 파이프 절단기의 면취장치
KR100283509B1 (ko) 베니어선반
US4697626A (en) Log chipping and flaking apparatus and method
EP1547740B1 (en) Veneer lathe and method of cutting wood block by the veneer lathe
FI80229B (fi) Fanersvarv.
RU2351461C2 (ru) Дере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станок
JP4197769B2 (ja) ベニヤレース
JPS6233046B2 (ko)
RU2283219C2 (ru) Станок для срезания листов древесины с бревна
CN216177685U (zh) 一种激光切管机
RU2040389C1 (ru) Оцилиндровочный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ревянных деталей сруба
FI129117B (fi) Profiloiva sahalinja, profiloivan sahalinjan teräpääyksikkö sekä menetelmä tukin profiloimiseksi
JP4077550B2 (ja) ベニヤレースにおける罫引装置
PL244635B1 (pl) Urządzenie do korowania kłód drewna
SU12797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роблени стружки
JPH0333483B2 (ko)
JPH0370606B2 (ko)
JPS5928444B2 (ja) 原木外周駆動型ベニヤレ−ス
JPS6124964B2 (ko)
JPS5894412A (ja) ベニアレ−ス
JPH04365510A (ja) 切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