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309B1 - 폴리실옥산광안정화제 - Google Patents

폴리실옥산광안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309B1
KR100449309B1 KR1019960023193A KR19960023193A KR100449309B1 KR 100449309 B1 KR100449309 B1 KR 100449309B1 KR 1019960023193 A KR1019960023193 A KR 1019960023193A KR 19960023193 A KR19960023193 A KR 19960023193A KR 100449309 B1 KR100449309 B1 KR 10044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hydrogen
phenyl
ter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420A (ko
Inventor
뮤리 로저
발레트 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ublication of KR97000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77/382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or silicon
    • C08G77/38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or silicon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77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nitrogen in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X가 일가 라디칼인 경우 하기 일반식(I)의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체성 실옥산이거나, 또는 X가 다가 라디칼이면 하기 일반식(I)의 상응하게 가교되고 그의 반복단위체가 랜덤하게 또는 블록으로 배열될 수 있는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식중에서,
n은 1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m은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고,
p는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합물이며 또 X는 히드록시페닐-디아릴-s-트리아진 유형의 발색단이고 또 다른 기호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 화합물은 광, 산소 및 열에 의한 손상으로 부터 유기물질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제로서, 특히 도료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실옥산 광 안정화제
본 발명은 히드록시페닐-디아릴-s-트리아진 유형의 한개 이상의 측쇄를 함유하는 올리고- 또는 폴리실옥산 및 유기물질에 대한 안정화제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광 안정화제의 특성은 활성 중심에 의해, 예컨대 자외선 흡수성 발색단의 스펙트럼 특성에 의해 측정된다. 특히 중요한 특성은 물질내에서 혼입과 이동의 용이성을 주로 결정하는 분자 단위이다.
특정 유형의 광 안정화제는 실리콘 함유 안정화제로 구성되며, 이들의 일반적인 특징은 이들이 단량체성 실란 또는 실옥산 단위체 형태 또는 올리고실옥산 또는 폴리실옥산 사슬 형태의 실리콘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o-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유형의 몇몇 자외선흡수제를 폴리실옥산과 커플링하는 것은 예컨대 US-A-4 859 759호, US-A-4 923 914호 및 US-A-5 102 707호에 기제되어 있다.
히드록시페닐-디아릴-s-트리아진 유형의 자외선흡수제와 Si-함유 아크릴레이트를 아크릴레이트 단위체를 이용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은 예컨대 US-A-5 198 498호및 US-A-5 356 995호에 기재되어 있다.
US-A-5 420 204호에는 히드록시페닐-디아릴-s-트리아진 유형의 소정의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를 디실옥산 측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커플링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오르가노실리콘 라디칼을 갖는 히드록시페닐-디아릴-s-트리아진 유형의 특정 단량체성 안정화제는 예컨대 US-A-5 185 445호, EP-A-530 135호, US-A-5 364 749호 및 US-A-5 300 414호에 제안되어 있다.
더구나, US-A-5 185 445호에는 각 실리콘 원자가 4-[2,4-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6-일]-3-히드록시페닐옥시프로필 유형의 측쇄를 갖고 또 상응하는 실릴 함유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되는 올리고실옥산이 기재되어 있다.
히드록시페닐-디아릴-s-트리아진 유형의 한개 이상의 측쇄를 함유하는 올리고실옥산 또는 폴리실옥산이 광 안정화제로서 아주 적합하다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이들 신규 화합물은 식중의 X가 일가 라디칼인 경우 하기 일반식(I)의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거나, 또는 X가 다가 라디칼이면 상용하게 가교된 화합물이다:
식중에서, 하기 일반식(Ia), (Ib) 및/또는 (Ic)의 단위체는 랜덤하게 또는 블록으로 배열될 수 있고,
n은 1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m은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고,
p는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A 및 B는, n + m + p의 합이 3 내지 10 범위의 수이고 또 m + p 의 합이 0 보다 클 때, 합쳐져서 직접결합일 수 있고,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은 서로 독립해서 C1-C18알킬, C5-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R4는 C1-C18알킬, 페닐, C2-C6히드록시알킬, C2-C6아미노알킬,
이고, 이때 r은 2 내지 6 범위의 수이고 또 s는 2 또는 3이며, X는 하기 일반식(II)의 일가- 또는 이가 라디칼이고,
이때, R5및 R7은 서로 독립해서 수소, C1-C12알킬, C3-C6알켄일, 할로겐 또는 CN이며,
R6은 수소, C1-C12알킬, C3-C6알켄일, 할로겐, CN, 시클로지방족, 5 내지 12개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페닐이거나, 또는
R5는 OH, C1-C18알콕시 또는 C3-C6알켄옥시이고, R7은 수소이며, 또 일가 라디칼로서 R6은 OH, C1-C18알콕시, C3-C6알켄옥시 또는 -O-CH2-CH(OR12)-CH2-O-R17이거나, 또는 R6은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에 부착된 일반식 -O-Z의 이가 라디칼이고,
R8은 R5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9는 R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또
R10은 R7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2는 수소 또는 C1-C18알킬이고,
R16은 수소, C1-C24알킬, C5-C12시클로알킬 또는 C7-C15페닐알킬이며,
R17은 C1-C18알킬이고,
-O-Z-는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고리에 부착된 이가 라디칼로서 일반식
R21은 C3-C12알킬렌 또는 시클로헥실렌이고, 또
R22는 C2-C12알킬렌이며,
q는 2 내지 4의 수이고, t는 3 내지 4의 수이며 또 w는 3 내지 12의 수임.
A 및 B가 합쳐져서 직접결합이면, 생성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고리상이다.
OH, 알콕시 또는 알켄옥시인 R5및/또는 R8은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고리에 대해 오르토이다.
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리고머이거나, 또는 이들 단위체의 동종중합체이며, 말단기는 각 경우에서 A 및 B에 의해 형성된다.
m 또는 p 또는 m 및 p가 0 이외의 수이면, 일반식(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a), (Ib) 및/또는 (Ic)의 단위체를 임의 순서로 포함하며,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가 가능하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에서 일반식(Ia), (Ib) 및/또는 (Ic)의 단위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X가 일가이면, 일반식(I)의 화합물은 선형이고; X가 다가 라디칼인 경우, 일반식(I)의 화합물은 가교된다.
X가 일가 또는 이가 라디칼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상응하는 가교된 화합물이 특히 공업적으로 중요하다.
1 내지 30개의 일반식(Ia)의 단위체, 0 내지 20개의 일반식(Ic)외 단위체 및 0 내지 20개, 특히 0 내지 10개의 일반식(Ib)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신규 화합물; 특히 n이 1 내지 30 범위의 수이고, m이 0 내지 20 범위, 특히 0 내지 10 범위의 수이며 또 p가 0 내지 20의 수인 일반식(I)의 선형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1 내지 100개의 일반식(Ia)의 단위체 및/또는 0 내지 100개의 일반식(Ic)의 단위체를 포함하고 일반식(Ia) 및 (Ic) 단위체의 합이 3 내지 100개이고 또 일반식(Ib)의 단위체중의 실리콘 원자의 총 갯수가 전체 분자에 존재하는 실리콘 원자의 5%를 초과하지 않는 신규 화합물이 특히 공업적으로 중요하고; 1 ≤n ≤100: 0 ≤m ≤0.05 (m+p); 0 ≤p ≤100 및 3 ≤n + p ≤100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일반식(I)의 화합물이 공업적으로 특히 중요하다.
m이 0인 일반식(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5 내지 12개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시클로지방족,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은 C5-C12시클로알킬 및 상응하는 탄소원자 갯수를 갖는 혼합된 시클로알킬/알킬 라디칼을 포함하며, 예컨대 알킬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 치환된 알킬, 및 시클로알킬을 중간에 포함하는 알킬이다.
R5및 R8은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고리에 대하여 오르토이다. R6및 R9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고리에 대하여 파라이다.
일반식(II)에서, R5, R6및 R7에 의해 또는 R8, R9및 R10에 의해 치환된 페닐 라디칼(이때, R5또는 R8은 OH, 알콕시 또는 알켄옥시임)은 바람직하게는 레조르시놀로 부터 유도되며 라디칼 R5및 R6또는 라디칼 R8및 R9는 서로 메타 위치에 있다. 일반식(II)의 라디칼에서, OH, 알콕시 및 알켄옥시중의 한개, 특히 OH인 치환기 R5및/또는 R8은 트리아진 고리에 대하여 오르토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치환기 R6및/또는 R9는 트리아진 고리에 대하여 파라 위치에 있다.
할로겐 치환기는 -F, -Cl, -Br 또는 -I이고; 바람직하게는 -Cl 또는 -F이며, 특히 -Cl이다.
상기 정의한 범위내에서 C1-C18알킬 라디칼 R1내지 R12, R16및 R17은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또는 옥타데실이다.
R16이 수소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이 동일한 화합물이 특히 공업적으로 중요하다.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은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특히 메틸이다.
C5-C12시클로알킬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그리고 시클로지방족 라디칼인 R6및 R9는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시클로노닐, 시클로데실, 시클로운데실 및 시클로도데실을 포함한다.
신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열린사슬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A 및 B는 트리알킬실릴옥시 또는 트리알킬실릴, 특히 트리메틸실릴옥시 또는 트리메틸실릴이다.
C2-C6히드록시알킬 또는 C2-C6아미노알킬 R4는 예컨대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또는 -헥실이다; 직쇄 라디칼, 특히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기가 말단에 있는 라디칼, 예컨대 3-히드록시프로필 또는 3-아미노프로필이바람직하다.
이다.
C3-C6알켄일 라디칼 R5내지 R10은 예컨대 프로펜일, 부텐일, 펜텐일 또는 헥센일이고; 알릴 (2-프로펜일)이 바람직하다.
X가 일반식(IIa)
의 라디칼인 일반식(I)의 신규 화합물 또는 상응하게 가교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중에서,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는 메틸이고,
R5및 R7은 서로 독립해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6은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며, 또는
R5는 OH 또는 C1-C6알콕시 또는 C3-C6알켄옥시이고, R7은 수소이며, 또
일가 라디칼인 R6은 OH, C1-C6알콕시 또는 -O-CH2-CH(OR12)-CH2-O-R17중의 하나이거나,
또는 R6은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고리에 부착된 일반식 -O-Z의 이가 라디칼이고,
R8은 R5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9는 R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또
R10은 R7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2는 수소 또는 C1-C8알킬이고,
R16은 수소이며,
R17은 C1-C18알킬이고, 또
-O-Z-는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고리에 부착된 라디칼로서 일반식
-O-CH2-CH(OR12)-CH2-O-(CH2)3-, -O-CO-(CH2)w이며, 이때 w는 3 내지 12의 수이거나, 또는 -O-C3-C6알킬렌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상응하는 가교된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이들중에서,
n이 1 내지 100의 수이고,
m이 0이며,
p는 0 내지 100의 수이고, 또
n + p의 합이 3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A는 트리메틸실릴옥시이고 또 B는 트리메틸실릴이거나; 또는 일반식(Ia) 및 (Ic)의 단위체의 합이 3 내지 7일 때 A 및 B가 합쳐져서 직접결합이며,
R1, R2및 R3는 메틸이고,
R5및 R7은 서로 독립해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6은 수소, 메틸 또는 페닐이며,
R8은 R5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9는 R6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0은 R7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6을 수소이며, 또
Z는 C3-C6알킬렌 또는 -O-CH2-CH(OH)-CH2-O-(CH2)3- 인 일반식(I)의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신규 화합물은 적합한 하기 일반식(IV)의 불포화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VI)의 Si-H 함유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CO-(CH2)w-2-CH=CH2또는 -CH(R12)-CO-O-(CH2)w-2-CH=CH2이거나 또는 C3-C18알켄일이며,
R23은 C3-C12알켄일 또는 시클로헥센일이고,
R24는 C2-C12알켄일이며, 또
s'는 0 또는 1이고, 또 다른 기호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VI)의 화합물 1몰당 일반식(IV)의 불포화 화합물 n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R4및 X를 상기 공정 단계에서 실옥산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n몰의 일반식(IV)의 불포화 화합물과 함께 C2-C18알켄, 특히 C3-C18알켄, C3-C6히드록시알켄, C3-C6아미노알켄,
부터 선정된 p몰의 일반식(VIII)의 불포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기호 r 및 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공정으로 부터 수득한 화합물 및/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Z'(일반식(IV))중 또는 일반식(VIII)의 화합물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위체는 말단에 존재하며; 예컨대 C8알켄인 일반식(VII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옥텐이다.
상기 반응은 백금 또는 로듐 촉매와 같은 귀금속 촉매, 예컨대 H2PtCl6또는 PtCl2(C6H5-CH=CH2)2등의 적합한 촉매 존재하에서 통상 실시된다. 이러한 촉매의 농도는 유리하게는 1 내지 1000 ppm (106당량의 Si-H에 대하여 1 내지 1000 당량)이다.
상기 반응은 적합한 비양성자성 유기용매중, 예컨대 THF(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톨루엔 또는 크실렌중에서 실시되거나, 또는 용매 부가없이 실시될 수 있다. 이 반응온도는 20 내지 150℃ 범위,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이다.
다르게는, 일반식(VI)의 화합물은 먼저 브릿지 멤버로 작용하는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과 반응될 수 있다:
일반식(IV), (VI) 및 (VII)의 출발 화합물은 EP-A-434 608호 또는 상술한 US-A-5 102 707호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들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공지 화합물이다. 이들 출발 화합물의 대부분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신규 화합물은 광, 산소 및 열에 의한 손상으로 유기물질, 특히 유기 중합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정화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물질에 한개 이상의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상응하는 가교된 화합물을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 산소 및 열에 의한 손상으로 부터 유기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광, 산소 및 열에 의한 손상으로 부터 유기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로서 이들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광, 산소 및/또는 열에 의한 손상에 민감한 유기물질, 특히 유기 중합체, 및
B) 안정화제로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상응하게 가교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중합성 물질, 즉 플라스틱, 고무, 도료 또는 접착제에서 용도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될 중합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과 디올레핀들의 중합체[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와 시클로올레핀의 중합체(예를들어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 폴리에틸렌(경우에 따라 가교결합될 수 있음)[예를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BLDPE)].
폴리올레핀, 즉 상기 단락에서 예로든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상이한 방법,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통상 고압 및 승온하에서의 라디칼 중합반응.
b) 주기율표의 IVb, Vb, VIb 또는 VIII족의 금속 한개 이상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한 촉매 중합반응. 이들 금속은 통상 한개 이상의 리간드, 전형적으로 π- 또는 σ-배위 결합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케닐 및/또는 아릴을 갖는다. 이들 금속 착물은 유리형태 또는 치환기, 전형적으로 활성화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III),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 용해성이거나 불용성일 수 있다. 이 촉매는 중합반응에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활성화제, 전형적으로 금속 알킬, 금속 히드리드,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옥사이드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의 Ia, IIa 및/또는 IIIa족의 원소이다. 활성화제는 보통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들 촉매계는 필립스, 스텐다드 오일 인디에나, 지글러(-나타), TNZ(듀퐁), 메탈로센 또는 단일 부위 촉매(SSC)로 명명된 것이다.
2. 상기 1)항에서 언급된 중합체들의 혼합물,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PP/HDPE 또는 PP/LDPE)과 상이한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 LDPE/HDPE).
3. 모노올레핀과 디올레핀 상호간 또는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그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외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일산화탄소와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과 같은 디엔과의 3중합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상호간 및 상기 1)항에서 언급한 중합체들과의 혼합물[예: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LLDPE/EAA 및 랜덤 또는 교대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뿐만아니라 이들과 그밖의 다른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미드와의 혼합물].
4. 탄화수소 수지(예: C5-C9)와 그 수소화 개질물(예:점착제수지) 및 폴리알킬렌과 녹말의 혼합물.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및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디엔류 또는 아크릴유도체의 공중합체 (예: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무수 말레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와 기타 중합체 (예: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로 부터 형성된 고충격 강도 혼합물;과 스티렌의 블럭 공중합체[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 폴리부타디엔 부착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부착 스티렌; 폴리부타디엔 부착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부착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부착 스티렌 및 무수 말레산; 폴리부타디엔 부착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무수 말레산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부착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부착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 부착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부착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닐;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부착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과 상기 6)항에 수록된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예: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 폴리클로로프렌, 염화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화 또는 술포염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동종-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로 부터 제조된 중합체 (예를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텐 플루오라이드 뿐만아니라 이들의 공중합체(예를들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 α, β-불포화산 및 그 유도체들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내충격성으로 재질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10. 9)항에서 언급된 단량체 상호간 또는 이 단량체와 기타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중합체].
11.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이들의 아실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아세탈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멜라민];와 이들과 상기 1)항에서 언급한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2. 고리상 에테르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예: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와의 공중합체].
13. 폴리아세탈 (예: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량체로서 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시킨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술피드, 및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15.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과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및 그 전구체.
16.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으로 부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예: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합으로 제조한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 또는/및 테레프탈산 및 경우에 따라 개질제로서 탄성 중합체를사용해서 제조된 폴리아미드[예: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라프트 결합된 탄성 중합체와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 (예: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와의 공중합체: 뿐만아니라 EPDM 또는 ABS로 개질시킨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처리기간 중 축합시킨 폴리아미드(RIM-폴리아미드 계).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르복시산과 디올로부터,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톤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히드록시 말단기를 갖고 있는 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블럭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폴리카르바메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20.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과 폴리에테르케톤.
21. 알데히드 및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 부터 유도되는 가교 중합체[예: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2. 건성 및 비건성 알키드 수지.
23.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과 가교결합제인 다가알코올과 비닐 화합물의 코폴리에스테르로 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와 인화성이 낮은 이들의 할로겐 함유 개질물.
24. 치환된 아크릴레이트로 부터 유도된 가교성 아크릴 수지 (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25.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가교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26.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헤테로시클릭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 부터 유도된 가교된 에폭시 수지, 예컨대 촉진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무수물 또는 아민과 같은 통상적인 경화제에 의해 가교된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7. 천연 중합체 (예: 셀룰로오스, 고무, 젤라틴)와 화학적으로 개질시킨 이들의 유도체(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와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등의 셀룰로오스 에테르); 뿐만 아니라 송진과 그 유도체.
28. 전술한 바와 같은 중합체 혼합물(폴리블랜드)[예: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폴리아미드/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본 발명에 따라 부가될 첨가제의 양은 각 성분 및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안정화될 중합체의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양이면 충분하고, 0.05 내지 3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0.01 내지 5중량%, 특히 0.05 내지 3 중량%의 한개 이상의 일반식(I)의 화합물 및/또는 상응하게 가교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특별한 경우, 본 발명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규 안정화제 이외에 추가의 안정화제 또는 기타 첨가제, 예컨대 산화방지제, 기타 광 안정화제, 금속 탈활성화제,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예는 이하 화합물류이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 -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측쇄가 직선 또는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컨대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컨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 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 -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 -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 α - 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컨대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에스테르,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1.18.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디아민,N,N'-디메틸-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도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 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 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인 [R-CH2CH2-COO(CH2)3]2.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릴-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염, 캐톡심(예 : 2-히드록시-4-메틸페닐운데실 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 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시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생성물 뿐만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 피페리딘(CAS Reg.No. [136504-96-6]);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 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2.7. 옥살아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살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 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5. 히드록실아민, 예컨대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된 우지아민으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컨대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된 우지아민으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 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제, 예컨대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8. 과산화물-제거제,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조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 염,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9.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배헨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리시놀레산나트륨 및 팔미트산칼륨, 피로카테콜산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주석.
11. 핵 생성제, 예를들어 활석과 같은 무기물질,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 마그네슘과같은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술페이트; 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과 같은 유기 화합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나트륨 또는 벤조산나트륨; 이온 공중합체(이오노머)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
12. 충전재 및 강화제,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벌브,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분말 및 기타 천연생성물, 합성섬유의 분말 또는 섬유.
13. 다른 첨가제, 예컨대 가소화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첨가제, 촉매, 유동조절제, 형광증백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
14.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US-A-4 325 863호, US-A-4 338 244호, US-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부가된 추가의 안정화제의 성질과 양은 안정화될 물질의 성질 및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서 다르다. 안정화될 물질을 기준하여 0.1 내지 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분 A 및 B 이외에, 신규 조성물은 성분 C로서 입체장애 아민,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및/또는 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정된 광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 안정화제의 예는 상기 목록 2.1, 2.6 및 2.8에 수록되어 있다.
광 안정성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목록 2.6에서 수록한 입체장애 아민을 부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성분 A 및 B 이외에 성분 C로서 입체장애 아민(HALS)류의 광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종류의 광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한개 이상의 하기 구조식의 기를 함유하는 2,2,6,6-테트라알킬피페리딘 유도체이다:
식중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특히 수소이다.
신규 화합물은 성분 A로서 유기중합체, 예컨대 합성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유기 중합체 또는 예컨대 표면코팅 또는 사진물질과 같은 코팅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가 코팅용 결합제일 때, 상술한 성분 C를 신규 조성물에 부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A)가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조성물이 또한 중요하다.
안정화될 유기물질, 예컨대 합성유기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로 혼입하는 것은 신규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첨가제를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부가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혼입은 성형하기전 또는 성형하는 동안 분쇄상 성분을 혼합하거나 또는 안정화제를 안정화될 물질의 용융물 또는 용액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 또는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된 화합물을 안정화될 물질에 도포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키거나 증발시킴없이 실시할 수 있다. 탄성 중합체의 경우, 이들은 라티스로 안정화될 수 있다. 신규 화합물을 중합체로 혼입하는 다른 방법은 상응하는 단량체를 중합하기 전 또는 중합하는 동안 및/또는 가교되기 전에 부가하는 것이다.
신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안정화될 중합체에 대하여 2.5 내지 25 중량%의 농도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마스터뱃치 형태로 부가될 수 있다.
신규 화합물의 혼입은 하기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 유제 또는 분산액(예컨대 라티스 또는 유제 중합체)으로서
- 추가의 성분 또는 중합체 혼합물을 혼합하는 동안 무수 혼합물로서
- 가공장치(예컨대 압출기, 내부 혼합기 등) 로 직접적으로 부가하는 것에 의해
- 용액 또는 용융물로.
생성한 안정화된 중합체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예컨대 고온압축, 스피닝, 압출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물품으로 전환될 수 있고, 이들 물품의 예는 섬유, 필름, 스트립, 플레이트, 샌드위치 플레이트, 용기, 파이프 및 기타 프로필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신규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도료 조성물, 예컨대 임의 유형의 도료물질에서 상기 신규 화합물의 안정화제로서의 용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에 따르면 유기물질이 도료 물질에 대한 결합제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료물질은 착색되거나 미착색 도료 또는 금속효과 도료일 수 있다. 이들은 유기용매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용매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수성 도료물질일 수 있다.
다중피복계에서 사용도 가능하며, 상도에서 신규 화합물(성분 B)의 농도는 고형의 결합제 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1 내지 15중량부의 B, 특히 3 내지 10 중량부의 B로 비교적 높다.
적합한 결합제(성분 A)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며 예컨대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A18, pp.368-426, VCH, Weinheim, 1991에 기재되어 있다. 결합제는 대체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 주로 열경화수성 수지를 기본한 필름 형성성 결합제이다. 이들의 예는 알키드,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페놀, 멜라민, 에폭시 및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성분 A는 냉각 경화성 또는 고온경화성 결합제일 수 있고, 이 경우 경화 촉매의 부가가 바람직할 수 있다. 결합제의 경화를 촉진하는 적합한 촉매는 예컨대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A18, pp.469,VCH, Verlagsgesellschaft, Weinheim 1991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도료 조성물은 성분 A가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결합제이다.
특정 결합제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경우에 따라 경화 촉매가 부가된 냉각 또는 고온 가교성 알키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또는 멜라민 수지 또는 이러한 수지의 혼합물을 기본한 도료;
2. 히드록시 함유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수지 및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한 2성분 폴리우레탄 도료;
3. 고온건조시키는 동안 블록킹 해제되는, 블록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한 1성분 폴리우레탄 도료;
4. (폴리)케티민 및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한 2성분 도료;
5. (폴리)케티민 및 불포화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아세토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메타크릴아미도글리콜레이트 메틸 에스테르를 기본한 2성분 도료;
6. 카르복시- 또는 아미노-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폭사이드를 기본한 2성분 도료;
7. 무수물 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히드록시 또는 폴리아미노 성분을 기본으로 하는 2성분 도료;
8. (폴리)옥사졸린 및 무수물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불포화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2성분 도료;
9. 불포화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말로네이트를 기본한 2성분 도료;
10. 열가소성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에테르화된 멜라민 수지와 조합된 외부적으로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기본한 열가소성 폴리아크릴레이트 도료;
11. 실옥산 변형된 아크렐레이트 수지를 기본한 도료계;
12. 플루오르 변형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기본한 도료계; 및
13.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를 기본한 도료계.
신규 도료 조성물은 복사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성 또는 올리고머성 화합물로 구성되며, 자외선 또는 전자 비임을 조사한 후 경화되며, 즉 고분자량의 가교된 형태로 전환된다.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유도체, 예컨대 α-히드록시시클로알킬 페닐 케톤, 디알콕시아세토페논, α-히드록시- 또는 α-아미노아세토페논, 4-아로일-1,3-디옥솔란, 벤조인 알킬 에테르 및 벤질 케탈, 모노아실포스핀 옥사이드, 비스아실포스핀 옥사이드, 페로센 또는 티타노센과 같은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합한 계는 상술한 문헌,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A18, pp.451-453에 기재되어 있다. 복사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에서 입체장애 아민을 부가하지 않고도 신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 B 및 경우에 따라 C 이외에, 도료 조성물은 기타의 성분, 예컨대 용매, 안료, 염료, 가소제, 안정화제, 요변성제, 건조 촉매 및/또는 균염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예는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A18, pp.429-471, VCH, Weinheim 1991에 기재되어 있다.
건조촉매 또는 경화 촉매의 예는 유기 금속 화합물, 아민, 아미노-함유 수지 및/또는 포스핀이다. 유기 금속 화합물의 예는 금속 카르복시레이트, 특히 금속 Pb, Mn, Co, Zn, Zr 또는 Cu의 카르복시레이트, 또는 금속 킬레이트, 특히 금속 Al, Ti 또는 Zr의 킬레이트, 또는 유기금속성 화합물, 예컨대 유기주석 화합물이다.
금속 카르복시레이트의 예는 Pb, Mn 또는 Zn의 스테아레이트, Co, Zn 또는 Cu의 옥토에이트, Mn 및 Co의 나프테네이트 또는 상응하는 리놀레에이트, 레지네이트 또는 탈레이트이다.
금속 킬레이트의 예는 아세틸아세톤, 에틸 아세틸아세테이트, 살리실알데히드, 살리실알독심, o-히드록시아세토페논 또는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세테이트의 알루미늄, 티탄 또는 지르콘 킬레이트 또는 상기 금속의 알콕사이드이다.
유기주석 화합물의 예는 디부틸주석 옥사이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또는 디부틸 주석 디옥토에이트이다.
아민의 예는 삼차 아민, 예컨대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디메틸에탄올아민, N-에틸모르폴린, N-메틸모르폴린 또는 디아자비시클로옥탄(트리에틸렌디아민) 및 이들의 염이다. 다른 예는 4차 암모늄염, 예컨대 트리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이다.
아미노 함유 수지는 동시에 결합제 및 경화 촉매이다. 이들의 예는 아미노 함유 아크레이트 공중합체이다.
경화 촉매로서 포스핀, 예컨대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할 수 있다.
신규 도료 조성물은 소망하는 임의 기질, 예컨대 금속, 나무,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물질에 도포될 수 있다. 이들은 자동차 마무리에서 상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도가 2개 코팅으로 구성되고 그중 하부 코팅이 착색되고 상부 코팅은 착색되지 않은 경우, 신규 도료 조성물은 상부 코팅 또는 하부 코팅 또는 이들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부 코팅이 바람직하다.
신규 도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 예컨대 솔질, 분무, 유동피복, 침지 또는 전기영동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A18, pp.491-500 참조.
결합제계에 따라서, 코팅은 실온에서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경화되며 분말 코팅은 보다 높은 온도에서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득된 코팅은 광, 산소 및 열에 의한 손상에 대한 탁월한 내성을 나타내며; 생성한 코팅, 예컨대 표면코팅물질의 양호한 광 안정성 및 내후성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량의 신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황, 산소 및 열에 의한 영향으로 부터 안정화된 코팅, 특히 표면코팅에도 관한 것이다. 이 표면코팅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상도이다.
도료는 1층 도료 또는 2층 도료로 도포될 수 있고, 신규 안정화제는 미착색된 최상도에 부가될 수 있다.
도료는 통상의 방법, 예컨대 솔질, 분무, 붓기, 침지 또는 전기영동법에 의해 기판(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에 도포될 수 있다.
도료 조성물은 결합제가 용해성인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료 조성물은 수성 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일 수 있다. 전색제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용매는 고 고형분 도료이거나 또는 용매를 갖지 않는 분말 도료일 수 있다.
안료는 무기, 유기 또는 금속성 안료일 수 있다. 신규 도료 조성물은 안료를 함유하지 않고 또 투명코팅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에서,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기준이다. 사용된 약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MW 분자량(분자질량; g/물)=Mn;
Mn수평균 분자량;
Mw질량평균 분자량; 및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적인 구조식만이 제시될 수 있는 생성물의 경우, 원소분석에서 산출 %는1H-NMR 데이타로 부터 유도된 구조식에 기본한다.
A) 출발 화합물의 제조
A1) 폴리메틸 (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의 제조
100℃, 질소하에서 유지된 11.4 g(100 밀리몰)의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및 20 mg(0.05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의 혼합물에 4.0 g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400g/몰)을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유지시키면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및 톨루엔으로 희석시킨 후, 용액을 실리카겔을 통하여 여과함으로써 용액을 정제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 무색 액체인 하기 실험식의 화합물 4.1 g을 수득하였다;
에폭사이드가: 계산치 4.64 몰/kg; 실측치 4.47 몰/kg.
A2) 메틸옥틸 (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 공중합체의 제조
100℃, 질소하에서 유지된 11.4 g(100 밀리몰)의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및5mg(0.013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의 혼합물에 20.0 g(0.05몰)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400 g/몰)을 교반하면서 2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유지시키면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1.2 g(0.1 몰)의 1-옥텐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00℃에서 20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킨 후, 용액을 실리카겔을 통하여 여과함으로써 용액을 정제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 무색 액체인 하기 평균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 25.8 g을 수득하였다;
에폭사이드가: 계산치 1.52 몰/kg; 실측치 1.60 몰/kg.
A3) A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그리고 상응하게 보정된 양의 출발 화합물을 사용하여, 하기 평균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무색 액체로 수득하였다:
B) 신규 실옥산 화합물의 제조
B1) 100℃, 질소하에서 유지된 70 ml의 톨루엔중의 15.0 g(37.9 밀리몰)의 2-(2-히드록시-4-부텐일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및 2.5 mg(0.0067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의 혼합물에 3.0 g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400 g/몰)을 교반하면서 2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시켰다.
이어 20 g(178 밀리몰)의 1-옥텐을 부가하고 환류하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6:4 석유 에테르/톨루엔 내지 4:1 톨루엔/아세트산으로 부터 구배)에 의해 정제시켰다. 4.4 g의 하기 구조식(평균 조성은1H-NMR 기준함)의 화합물을 황색 수지로 수득하였다:
분자량 Mn=2,400 g/몰 (GPC).
B2) 10 ml의 크실렌중의 1.0 g(1.16 밀리몰)의 폴리메틸(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 (A1으로 부터의 화합물), 0.8 g(2.32 밀리몰)의 2-(2,4-디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및 40 mg(0.124 밀리몰)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의 용액을 질소하 120℃에서 24시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시켰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톨루엔/아세트산 에틸로 부터의 구배)에 의해 정제시켰다. 0.9 g의 하기 구조식(평균 조성은1H-NMR 기준함)의 화합물을 황색 수지로 수득하였다:
B3) 100℃의 질소하에서 유지되는 50 ml의 톨루엔중에 13.1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및 3 mg(0.008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이 용해된 용액에 8.0 g(20 밀리몰)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400 g/몰)을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시켰다. 이어 30 g(267 밀리몰)의 1-옥텐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20 내지 25℃로 냉각시킨후 표백토제조)를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농축함으로써 황색수지 형태인 22.9 g의 하기 평균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1,350 g/몰, Mw=2,100 g/몰; GPC에 의해 측정)
B4) 80℃, 질소하에서 유지되는 50 ml의 톨루엔중에 13.1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및 3 mg(0.008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이 용해된 용액에 4.5 g(3 밀리몰)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1,500 g/몰)을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시켰다. 이어 30 g(267 밀리몰)의 1-옥텐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80℃에서 10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20 내지 25℃로 냉각시킨 후표백토제조)를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석출시킴으로써 황색수지 형태인 3.5 g의 하기 평균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4,875 g/몰, Mw=10,100 g/몰; GPC에 의해 측정)
B5) 100℃의 질소하에서 유지되는 50 ml의 톨루엔중에 11.4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및 3 mg(0.008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이 용해된 용액에 8.0 g(20 밀리몰)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400 g/몰)을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시켰다. 이어 30 g(267 밀리몰)의 1-옥텐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20 내지 25℃로 냉각시킨 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톨루엔 1: 1 톨루엔/아세트산 에틸 구배)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수지인 6.8 g의 하기 평균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1,650 g/몰, Mw=2,470 g/몰; GPC에 의해 측정)
B6) 40 ml의 크실렌중에 3.0 g(1.16 밀리몰)의 폴리메틸(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 (A1으로 부터의 화합물), 4.77 g(13.96 밀리몰)의 2-(2,4-디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및 1.13 g(3.5 밀리몰)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질소하에서 교반하면서 120℃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그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톨루엔 대 아세트산 에틸 구배)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수지인 3.0 g의 하기 구조식(평균조성1H-NMR 기준)의화합물을 수득하였다:
B7) 50 ml의 톨루엔중에 11.4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및 3 mg(0.008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이 용해되어 100℃로 유지되는 용액에 5.8 g(60 밀리몰)의 폴리메틸히드리도디메틸실옥산 공중합체(MW=950 g/몰)를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20 내지 25℃로 냉각시킨 후 농축시키고 그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석출시킴으로써 정제시켜 황색 고체인 8.3 g 의 하기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5,850 g/몰, Mw=10,760 g/몰; GPC에 의해 측정)
B8) 80 ml의 크실렌중에 5.46 g(16 밀리몰)의 2-(2,4-디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10 g(11. 7 밀리몰)의 메틸옥틸메틸(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 (A3으로 부터의 화합물) 및 0.5 g (1.5 밀리몰)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환류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질소하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95:5 톨루엔/아세트산 에틸)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수지인 1.8 g의 하기 통계 구조식(평균 조성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2,270 g/몰, Mw=3,600 g/몰; GPC에 의해 측정)
B9) 3.6 g(9 밀리몰)의 폴리메틸히드리도실옥산(MW=400 g/몰)을 실시예 B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13.1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및 30 g(267 밀리몰)의 1-옥텐과 반응시켰다. 20 내지 25℃로 냉각시킨 다음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1 톨루엔/헥산 대 톨루엔 구배)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수지인10.7 g의 하기 평균 구조식(1H-NMR 기준)을 갖는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w=1,200 g/몰, Mw=1,750 g/몰; GPC에 의해 측정).
B10) 6.36 g(16 밀리몰)의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을 사용하여 B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여 황색 수지인 3 g의 하기 통계적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2,300 g/몰, Mw=3,700 g/몰; GPC에 의해 측정).
B11) 80 ml의 크실렌에 4.6 g(11.6 밀리몰)의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5 g(5.8 밀리몰)의 폴리메틸(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 (A1으로 부터의 화합물) 및 0.37 g(1.1 밀리몰)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환류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질소하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그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95:5 톨루엔/아세트산 에틸)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수지인7.8 g의 하기 통계적 구조식(평균 조성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1,290 g/몰, Mw=1,950 g/몰; GPC에 의해 측정).
에폭사이드가 1.21 몰/kg (계산치); 1.09 몰/kg (실측치).
B12) 50 ml의 크실렌중에 4.6 g(11.6 밀리몰)의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5 g(2.9 밀리몰)의 폴리메틸(3-글리시딜옥시프로필)실옥산(A1으로 부터의 화합물) 및 0.2 g(0.6 밀리몰)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환류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질소하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그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95:5 톨루엔/아세트산 에틸)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수지인6.9 g의 하기 통계적 구조식(평균 조성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1,350 g/몰, Mw=2,200 g/몰; GPC에 의해 측정).
B13) 50 ml의 톨루엔에 11.4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및 3 mg(0.008 밀리몰)의 PtCl2(스티렌) 착물이 용해된 용액에 3.6 g(15 밀리몰)의 테트라메틸시클로실옥산을 100℃에서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부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 10 g(89 밀리몰)의 1-옥텐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20 내지 25℃로 냉각시킨 후 그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톨루엔)시켜 황색수직인 6.7 g의 하기 평균 통계적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900 g/몰, Mw=1,380 g/몰; GPC에 의해 측정).
B14)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대신 13.1 g(30 밀리몰)의 2-(4-알릴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B13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였다. 황색수지인 6.5 g의 하기 평균 통계적 구조식(1H-NMR 기준)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n=1,000 g/몰, Mw=2,640 g/몰; GPC에 의해 측정).
C) 용도 실시예
C1) 2층 금속 도료의 안정화
시험할 화합물을 20 내지 25 g의에 용해시키고 하기 조성의 투명 도료에서 시험하였다:
1) 훽스트 아게로 부터 구입한 아크릴레이트 수지; 26:9 크실렌/부탄올중의 65% 용액
2) 훽스트 아게로 부터 구입한 아크릴레이트 수지;중의 75% 용액
3) 훽스트 아게로 부터 구입한 맬라민 수지; 이소부탄올중의 55% 용액
4) 방향족 탄화수소 혼합물, 비점범위 182-203℃또는 161-178℃제조자: ESSO
5) 지방족 탄화수소 혼합물, 비점 145-200℃; 제조자: Shell
6)제조자: 바이에르 아게
도료의 고형분 함량을 기준하여 시험 화합물 1.5%를 투명도료에 부가한다. 사용된 대조 물질은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투명도료이다.
투명도료를을 사용하여 분무 점도로 희석시키고 제조된 알루미늄 판넬에 분무 도포(코일 피막, 충전제, 은 금속성 하도)하고 생성한 피막을 130℃에서 30분간 고온건조시켜 40 내지 50 ㎛ 건조 필름 두께를 갖는 투명피막을 수득하였다.
이 샘플을 아트라스 코포레이숀으로 부터 구입한노화장치중에서 70℃에서 8시간의 자외선 노출시키는 주기로 노화시킨 다음 50℃에서 4시간 농축시켰다.
일정 기간 동안, 샘플의 표면광택(DIN 67530에 따른 20˚광택)을 측정하고 샘플에 대해 균열이 있는지 조사한다. 결과를 하기 표 C1에 수록한다.
[표 C1]: 균열이 생길 때 까지의 노화기간 및 지시된 노화기간후의 20˚광택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샘플은 안정화되지 않은 샘플 보다 훨씬 우수한 노화 안정성을 갖는다.

Claims (8)

  1. 하기 일반식(I)의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체성 화합물:
    식 중에서, 하기 일반식(Ia), (Ib) 및/또는 (Ic)의 단위체는 랜덤하게 또는 블록으로 배열되어있고,
    n은 1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m은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고,
    p는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A 및 B는, n + m + p의 합이 3 내지 10 범위의 수이고 또 m + p의 합이 0 보다 클 때, 합쳐져서 직접결합일 수 있고,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는 서로 독립해서 C1-C18알킬, C5-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R4는 C1-C18알킬, 페닐, C2-C6히드록시알킬, C2-C6아미노알킬,
    이때, R5및 R7은 서로 독립해서 수소, C1-C12알킬, C3-C6알켄일, 할로겐 또는 CN이며,
    R6은 수소, C1-C12알킬, C3-C6알켄일, 할로겐, CN, 시클로지방족, 5 내지 12개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페닐이거나, 또는
    R5는 OH, C1-C18알콕시 또는 C3-C6알켄옥시이고, R7은 수소이며, 또 일가 라디칼로서 R6은 OH, C1-C18알콕시, C3-C6알켄옥시 또는 -O-CH2-CH(OR12)-CH2-O-R17이거나, 또는 R6은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에 부착된 일반식 -O-Z의 이가 라디칼이고,
    R8은 R5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9는 R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또
    R10은 R7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2는 수소 또는 C1-C18알킬이고,
    R16은 수소, C1-C24알킬, C5-C12시클로알킬 또는 C7-C15페닐알킬이며,
    R17은 C1-C18알킬이고,
    -O-Z-는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고리에 부착된 이가 라디칼로서 일반식
    -O-CO-(CH2)w- 또는 -O-CH(R12)-CO-O-(CH2)w- , 또는 -O-C3-C18알킬렌이며,
    R21은 C3-C12알킬렌 또는 시클로헥실렌이고, 또
    R22는 C2-C12알킬렌이며,
    q는 2 내지 4의 수이고, t는 3 내지 4의 수이며 또 w는 3 내지 12의 수임.
  2. 제 1항에 있어서,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는 메틸이고,
    R5및 R7은 서로 독립해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6은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며; 또는
    R5는 OH 또는 C1-C6알콕시 또는 C3-C6알켄옥시이고, R7은 수소이며, 또
    일가 라디칼인 R6은 OH, C1-C6알콕시 또는 -O-CH2-CH(OR12)-CH2-O-R17중의 하나이거나,
    또는 R6은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에 부착된 일반식 -O-Z의 이가 라디칼이고,
    R8은 R5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9는 R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또
    R10은 R7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2는 수소 또는 C1-C8알킬이고,
    R16은 수소이며,
    R17은 C1-C18알킬이고, 또
    -O-Z-는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고리에 부착된 라디칼로서 일반식
    -O-CH2-CH(OR12)-CH2-O-(CH2)3-, -O-CO-(CH2)w이며, 이때 w는 3 내지 12의 수이거나, 또는 -O-C3-C6알킬렌인 일반식(I)의 화합물.
  3. A) 광, 산소 및/또는 열에 의한 손상에 민감한 유기물질 및
    B) 안정화제로서 제1항에 따른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식 중에서, 하기 일반식(Ia), (Ib) 및/또는 (Ic)의 단위체는 랜덤하게 또는 블록으로 배열되어 있고,
    n은 1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m은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고,
    p는 0 내지 100 범위의 수이며,
    A 및 B는, n + m + p의 합이 3 내지 10 범위의 수이고 또 m + p 의 합이 0 보다 클 때, 합쳐져서 직접결합일 수 있고,
    R1, R1', R1", R11, R11', R11", R2및 R3는 서로 독립해서 C1-C18알킬, C5-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R4는 C1-C18알킬, 페닐, C2-C6히드록시알킬, C2-C6아미노알킬,
    이때, R5및 R7은 서로 독립해서 수소, C1-C12알킬, C3-C6알켄일, 할로겐 또는 CN이며,
    R6은 수소, C1-C12알킬, C3-C6알켄일, 할로겐, CN, 시클로지방족, 5 내지 12개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페닐이거나, 또는
    R5는 OH C1-C18알콕시 또는 C3-C6알켄옥시이고, R7은 수소이며, 또 일가 라디칼로서 R6은 OH, C1-C18알콕시, C3-C6알켄옥시 또는 -O-CH2-CH(OR12)-CH2-O-R17이거나, 또는 R6은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에 부착된 일반식 -O-Z의 이가 라디칼이고,
    R8은 R5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9는 R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또
    R10은 R7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2는 수소 또는 C1-C18알킬이고,
    R16은 수소, C1-C24알킬, C5-C12시클로알킬 또는 C7-C15페닐알킬이며,
    R17은 C1-C18알킬이고,
    -O-Z-는 산소원자에 의해 페닐고리에 부착된 이가 라디칼로서 일반식
    -O-CO-(CH2)w- 또는 -O-CH(R12)-CO-O-(CH2)w-, 또는 -O-C3-C18알킬렌이며,
    R21은 C3-C12알킬렌 또는 시클로헥실렌이고, 또
    R22는 C2-C12알킬렌이며,
    q는 2 내지 4의 수이고, t는 3 내지 4의 수이며 또 w는 3 내지 12의 수임.
  4. 제 3항에 있어서, 추가의 성분으로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안정화제 및/또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추가의 성분으로서 입체장애 아민,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및/또는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정된 광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유기물질이 유기중합체 또는 도료용 결합제인 안정화된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성분 A의 중량을 기준하여 0.01 내지 5중량%이 성분 B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조성물.
  8. 유기물질에 제 1항에 따른 한개 이상의 일반식(I)의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 산소 및 열에 의한 손상으로 부터 유기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KR1019960023193A 1995-06-23 1996-06-19 폴리실옥산광안정화제 KR100449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85495 1995-06-23
CH95/1854 199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420A KR970001420A (ko) 1997-01-24
KR100449309B1 true KR100449309B1 (ko) 2004-12-08

Family

ID=422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193A KR100449309B1 (ko) 1995-06-23 1996-06-19 폴리실옥산광안정화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37792A (ko)
EP (1) EP0750011B1 (ko)
JP (1) JP3700066B2 (ko)
KR (1) KR100449309B1 (ko)
CA (1) CA2179697A1 (ko)
DE (1) DE59608106D1 (ko)
TW (1) TW325490B (ko)
ZA (1) ZA9652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8017A1 (de) * 1996-07-11 1998-01-15 Wacker Chemie Gmbh Permanente Organosiliciumverbindung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FR2752582B1 (fr) * 1996-08-21 2003-06-13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s a base de polyorganosiloxanes a groupements fonctionnels reticulables et leur utilisation pour la realisation de revetements anti-adherents
DE60120178T2 (de) 2000-08-03 2007-04-26 Ciba Speciality Chemicals Holding Inc. Photostabile, silylierte benzotriazol uv-absorber und zusammensetzungen, die mit diesen stabilisiert werden
US6861458B2 (en) * 2001-11-15 2005-03-01 Xerox Corporation Photoprotective and lightfastness-enhancing siloxanes
US6803395B2 (en) * 2001-11-15 2004-10-12 Xerox Corporation Photoprotective and lightfastness-enhancing siloxanes
EP1581272B1 (en) * 2003-01-09 2006-06-14 Alcon, Inc. Dual function uv-absorbers for ophthalmic lens materials
US20050188773A1 (en) * 2004-02-27 2005-09-01 Fox Richard B. High volume air sampler
JP4882261B2 (ja) * 2004-03-31 2012-02-22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錯体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WO2005108491A1 (ja) * 2004-05-07 2005-11-17 Kaneka Corporation 硬化性組成物
DE102005004706A1 (de) * 2005-02-02 2006-08-10 Goldschmidt Gmbh UV-Licht absorbierende quaternäre Polysiloxane
US20090059369A1 (en) * 2005-03-31 2009-03-05 Nippon Shokubai Co., Ltd.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4875314B2 (ja) * 2005-03-31 2012-02-15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有機変性シリコーンの製造方法
JP4730886B2 (ja) * 2005-06-01 2011-07-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紫外線吸収性基含有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該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及び該ポリシロキサンを配合してなる処理剤
KR101416030B1 (ko) * 2006-12-22 2014-07-0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73621B1 (ko) 2009-01-19 2017-08-31 바스프 에스이 유기 흑색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51062B2 (ja) * 2014-02-27 2018-07-04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硬化性エポキシ組成物、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プリプレグ、積層体、硬化物、及び複合体
TWI688609B (zh) * 2014-11-13 2020-03-21 美商道康寧公司 含硫聚有機矽氧烷組成物及相關態樣
JP6497697B2 (ja) * 2015-01-30 2019-04-10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常温硬化性の耐候性塗料組成物
MX2019011564A (es) * 2017-03-29 2020-02-13 Elkem Silicones France Sas Composición de silicón de entrelazamiento por poliadición que es útil para el sobremoldeo de pieza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4272B (en) 1979-02-05 1983-03-16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US4859759A (en) * 1988-04-14 1989-08-22 Kimberly-Clark Corporation Siloxane containing benzotriazolyl/tetraalkylpiperidyl substituent
US4923914A (en) * 1988-04-14 1990-05-08 Kimberly-Clark Corporation Surface-segregatable, melt-extrud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FR2635780B1 (fr) * 1988-08-04 1990-12-14 Rhone Poulenc Chimie Diorganopolysiloxane a fonction benzotriazole
JPH02243695A (ja) * 1989-03-16 1990-09-27 Shin Etsu Chem Co Ltd 有機ケイ素化合物
US5175312A (en)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DE69030362T2 (de) 1989-12-05 1997-10-23 Ciba Geigy Ag Stabilisiertes organisches Material
US5198498A (en) * 1990-02-06 1993-03-30 Ciba-Geigy Corporation Light-stabilized binders for coating compositions
ES2083136T3 (es) * 1991-03-05 1996-04-01 Ciba Geigy Ag 2-(2-hidroxifenil)-4,6-diaril-1,3,5-triazinas sililadas.
EP0530135A1 (de) * 1991-06-03 1993-03-03 Ciba-Geigy Ag UV-Absorber enthaltendes photographisches Material
DE59208921D1 (de) * 1991-06-03 1997-10-30 Ciba Geigy Ag UV-Absorber enthaltendes photographisches Material
TW206220B (ko) 1991-07-01 1993-05-21 Ciba Geigy Ag
US5252643A (en)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DE59203814D1 (de) * 1991-07-29 1995-11-02 Ciba Geigy Ag Lichtstabilisierte Copolymer-Zusammensetzungen als Bindemittel für Lacke.
EP0531258B1 (de) * 1991-09-05 1997-09-10 Ciba SC Holding AG UV-Absorber enthaltendes photographisches Material
GB2267490B (en)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TW260686B (ko)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MX9305489A (es)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TW255902B (ko)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8106D1 (de) 2001-12-13
JPH0912725A (ja) 1997-01-14
US5837792A (en) 1998-11-17
JP3700066B2 (ja) 2005-09-28
EP0750011A1 (de) 1996-12-27
EP0750011B1 (de) 2001-11-07
ZA965278B (en) 1996-12-23
CA2179697A1 (en) 1996-12-24
TW325490B (en) 1998-01-21
KR970001420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309B1 (ko) 폴리실옥산광안정화제
CA2241495C (en) N,n',n'''-tris{2,4-bis[(1-hydrocarbyloxy-2,2,6,6-tetramethylpiperidin-4-yl)alkylamino]-s-triazin-6-yl}-3,3'-ethylenediiminodipropylamines, their isomers and bridged derivatives and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US5668200A (en) Stabilizer combination
EP0782994A1 (en) Block oligomers containing 2,2,6,6-tetramethyl-4-piperidyl groups as stabilizers for organic materials
EP0704437A2 (en) Red-shifted tris-aryl-s-triazines and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KR19980024436A (ko) 안정화제 혼합물
AU724746B2 (en) Mixtures of polyalkylpiperidin-4-yl dicarboxylic acid esters as stabilizers for organic materials
US6265473B1 (en) Block oligomers containing 1-hydrocarbyloxy-2,2,6,6-tetramethyl-4-piperidyl groups as stabilizers for organic materials
GB2295620A (en) Siloxanes containing piperidine and substituted alkyl groups as stabilisers
AU725011B2 (en) Stabilizer composition
KR19980087355A (ko)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기를 함유하는 트리아진 유도체
CA2196266C (en) Synergistic mixture consisting of a 2,4-dimethyl-6-s-alkylphenol and a sterically hindered phenol
US5589529A (en) Dimeric benzotriazoles as UV absorbers
CA2209008A1 (en) Oxazoline compounds as stabilizers
GB2280434A (en) Novel derivatives of 2,2,6,6-tetramethyl-4-piperidinol for use as light stabilizers, heat stabilizers and oxidation stabilizers for organic materials
US6001905A (en) Polyalkylene glycol group-containing hindered amines
US6441166B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 compounds
US6762226B2 (en) Compositions stabilized by dioxopiperazinyl derivatives
US6177491B1 (en) Block oligomers containing 1-Hydrocarbyloxy-2,2,6,6-Tetramethyl-4-piperidyl groups as stabilizers for organic materials
CA2201183A1 (en) Polytriazine derivatives containing polyalkylpiperidinyloxy or polyalkylpiperidinylamino groups
US5710240A (en) Condensates of butyne-linked hindered amines
KR19980032996A (ko) 에폭시드기를 함유하는 입체 장애 아민 및 아민 또는 암모니아의 부가 생성물
EP0858449A1 (en) Thermally stable hindered amines as stabilizers
GB2377703A (en) Sterically hindered amine compounds
MXPA98004183A (en) Derivatives of triazine containing groups 2,2,6,6-tetrametil-4-pipe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