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004B1 - 수력교점용3방향밸브 - Google Patents

수력교점용3방향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004B1
KR100449004B1 KR1019960041031A KR19960041031A KR100449004B1 KR 100449004 B1 KR100449004 B1 KR 100449004B1 KR 1019960041031 A KR1019960041031 A KR 1019960041031A KR 19960041031 A KR19960041031 A KR 19960041031A KR 100449004 B1 KR100449004 B1 KR 10044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ultidirectional
inlet
valve accord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443A (ko
Inventor
귄터 스트렐로우
토마스 마테르네
Original Assignee
빌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빌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06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5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 F16K11/16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only s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2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a multiple 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케이스 외표면에, 밀폐체에 의하여 교호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유입구와 유출구(12, 21)인 적어도 3개의 개구들이 제공되어 있는 다방향 밸브, 특히 3방향 밸브로서, 케이스에 저면(16, 19)이 제공되어 있고, 이 저면들이 하나의 편평한 전면(16)과 하나의 편평한 후면(19)을 형성하고, 개구들이 전면(16)과 후면(19) 내로 통하여 있는 3방향 밸브.

Description

수력 교점용 3방향 밸브{THREE-WAY VALVE FOR HYDRAULIC INTERFACE}
본 발명은 다방향 밸브, 특히 케이스 외표면에 유입구와 유출구인 적어도 3개의 개구가 있는 3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근대의 난방 설비에 있어서, 보일러와 난방 회로, 위생 회로용 열교환기 등에 의하여 더운 물을 공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2개의 회로 사이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때로는 하나의 이중 펌프 내에 합체시킬 수 있는 2개의 분리된 펌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간단한 특장 용도에 비교적 많은 비용을 지출할 필요가 없는 한, 서로 분리된 2개의 펌프 또는 하나의 이중 펌프의 사용은 불리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단일 펌프에 2개의 분리된 출구를 제공하고, 이 펌프가 그 회전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차단 밸브를 작동시키고, 이 차단 밸브가 출구 중 하나를 폐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들은 그 효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이를 장기간 운전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
비용면에서 매우 유리한 해결책으로서, 표준 펌프에 의하여 공급받는 회로 사이를 왕복 접속시키는 3방향 밸브를 보일러의 전방 또는 후방 경로에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별개의 다방향 또는 3방향 밸브의 사용은 2개의 펌프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관, 나사, 패킹 등과 같은 필요 부재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이를 설치할 때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해결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해결 방안들은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한다. 더구나, 몇 개의 부품들은 그 조립이나 교환이 까다롭고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물 순환로를 교호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모듈 구조를 지지하고, 적은 비용으로 간단히 다룰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한 다방향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밸브의 적당한 실시예들은 특허청구범위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밸브의 본질적인 장점은 케이스의 2개 저면들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간격이 적어서 조밀한 구성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공간의 분할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는 개구부들은 수력 교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저면내에 제공되어 있다. 유입구와 유출구는 그 중앙 수직선에 의하여 저면의 수직 중앙축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몇 개의 구성 요소들을 모듈 방식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3방향 밸브는 펌프를 그 효율을 저하시킴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한다.
3방향 밸브의 또 다른 장점은 한편으로는 별개의 구성 부품으로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듈 구조 내에 하나의 보일 및 펌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이때 보일러와 펌프에는 적당한 교점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모듈 콤비네이션은 비용면에서 매우 유리한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3방향 밸브와 형상에 따라 이를 보일러의 전면 경로 또는 후면 경로에 장착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3방향 밸브에는 하나의 유출구와 2개의 유입구, 또는 하나의 유입구와 2개의 유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도, 3방향 밸브의 또 다른 저면에 놓여있는 펌프의 압력 유니언 또는 흡입 유니언을 연결시키는 통로를 3방향 밸브에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펌프, 특히 원심식 펌프를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모듈 시스템내에 합체시킬 수 있다. 3방향 밸브를 보일러의 후방 경로내에 장착시키는 때에는 통로를 분산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출구를 통로와 같이, 중앙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한편, 유입구는 대향하여 있는 저면에 중앙으로 배치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 사이의 전환을 케이스내의 삽입물의 교환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의 위치는 각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폐쇄하여야 하는 개구의 밀폐는 내측에는 개구에 맞대어 폐쇄할 수 있는 밀폐체에 의하여 보장된다. 이때 3방향 밸브로서 형성함에 있어서, 밀폐체는 교호적으로 폐쇄될 개구의 앞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밀폐체는 밸브 시트에 맞대어 눌리는 댐퍼로서 형성되어 있다. 댐퍼로는 인장 댐퍼 또는 선회 댐퍼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축방향으로 밀려감으로써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댐퍼들은 하나의 공통 기어 장치를 거쳐 연결되어 있고, 이 기어 장치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양단에 각각 하나의 댐퍼가 부착되어 있는 레버에 의하여 조정된다. 이러한 레버는 조정 부재에 의하여 움직이고, 이 조정 부재는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향하여 있는 측벽을 통하여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조정 부재는 모터 또는 전기나 수압에 의하여 조종되는 자기 스위치 또는 다이아프램 스위치에 의하여 움직인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댐퍼가 펌프의 회전 방향을 짧은 시간 동안 변경시켜서 폐쇄시킨다. 조정 부재의 수동식 조작도 가능하다.
모듈 구조에 의하여 결함 있는 구성 부품을 신속히 교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관리상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방향 밸브가 결함이 있는 때에는 긴급 급수용 펌프를 보일러 위에 직접 장착시킬 수 있다. 3방향 밸브를 분리된 단위 장치로서 삽입하는 때에는 저면을 덮개판(블라인드 플랜지)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모듈 구조에 의하면, 가장 간단하기로는, 구성 부품들을 서로 나사로 죄어 붙여서 자동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3방향 밸브는 능동적으로 조정되고, 차동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몇 개의 순환로 사이에 누출이 없이, 저동력 펌프 또는 전자식으로 조절되는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3방향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특별한 케이스 내에 내장시킬 수 있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케이스는 밸브와 원심 펌프 사이의 어댑터를 형성한다. 시판되고 있는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더구나, 어댑터는간단히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시판되는 밸브를 완전히 어댑터 내에 내장시키거나, 어댑터를 밸브의 분배기로서 이용되도록 만들 수 있다.
밸브의 매우 유리한 실시예에는 펌프 매질의 배기용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 장치는 밸브 내에 내장되어 있거나, 밸브 곁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 내에 또는 밸브 곁에 펌프 매질을 여과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유리하다.
도 1은 2개의 순환로가 제공되어 있는 보일러의 배선도.
도 2는 3방향 밸브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3방향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3방향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3방향 밸브의 수평 단면도.
도 6은 3방향 밸브의 수평 단면도.
도 7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댐퍼가 달려있는 3방향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8은 선회할 수 있는 댐퍼가 달려있는 3방향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9는 시판되고 있는 통상의 밸브가 내장되어 있는 3방향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10은 펌프 옆에 통상적인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일러 2: 난방순환로
3: 위생 순환로 4: 펌프
5: 3방향 밸브 6: 접속 장치
7: 접속판 8: 천공
9: 유출공 10: 유입공
다방향 밸브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보일러(1)와 난방 순환로(2) 및 위생 순환로(3)와의 접속을 도시한 것이다. 2개의 순환로들은 보일러의 후방 경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펌프(4)에 의하여 물이 퍼올려진다. 2개의 순환로들 간의 전환은 3방향 밸브(5)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도 2는 보일러(도시 없음), 3방향 밸브(5) 및 펌프(4)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단위 장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보일러에는 하나의 접속 장치(6)와 하나의 접속판(7)이 제공되어 있다. 3방향 밸브(5)(이하 "밸브"라 한다)는 천공(8)을 거쳐 끼워 넣는 나사에 의하여 그 저면(16, 19)이 펌프(4)와 접속판(7) 사이에 고정된다. 접속판(7)에는 하나의 유출공(9)과 2개의 유입공(10)이 제공되어 있다. 유출공(9)은 조립된 상태에서 밸브(5)내로 도입되는 통로(11)내로 통하여 있고, 이 통로에 의하여 물은 방해 없이 펌프(4)의 흡입 유니언 내에 도달하게 된다.펌프(4)의 압력 유니언은 밸브의 유입구(12)내로 통하여 있다. 상기 유입구(12)를 거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밸브 케이스(13)의 내부 공간에는 교호적으로 폐쇄되는 2개의 유출구(도시 없음)가 제공되어 있다. 밸브(5)는 그 측면(15)에 부착되어 있는 모터(14)에 의하여 조종된다.
펌프(4) 대신에, 통로(11)와 유입구(12)를 단락시키는 블라인드 플랜지(17)를 배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밸브의 저면(19)상에 부착시킬 수 있다. 밸브는 이와같이 부착시킨 블라인드 플랜지(17)에 의하여 분리된 구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3은 펌프(5)의 수력 교점 상에 놓여있는 밸브(5)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수력 교점에는 중앙에 배치된 압력 유니언(18)이 있고, 펌프에서 나오는 물 흐름이 압력 유니언으로부터 유입구(12)를 거쳐 밸브(5)의 실(20)내로 유입된다. 실(20)에는 댐퍼(22)에 의하여 폐쇄할 수 있는 2개의 유출구(21)가 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저면(16)에 제공되어 있다. 댐퍼(22)는 비임(23)의 형태로 되어 있는 레버의 끝에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비임(23)은 저울대와 같이, 그 중앙에서 선회할 수 있게 링크(24)에 매달려 있다. 비임(23)의 위치에 따라 하나의 댐퍼(22)가 유출구(21)의 내측 연단을 에워싸는 패킹(25)에 맞대어 눌린다. 도시되지 아니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패킹을 유출구(21)의 연단을 내측과 외측에서 덮어 가릴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비임(23)의 조정은 2개의 암(26)이 달린 포크가 제공되어 있는 조정 부재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암(26)은 케이스 내에서, 펌프(4) 쪽으로 향하여 있는 저면(16)과 비임(23)의 레버 사이에, 유입구(12)의 양측면으로 밀려갈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암(26)은 이동 경로에 따라 그 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강도는 조정부재의 위치에 따라 암(26)이 비임(23)을 원추형 기어와 같이 움직일 수 있게 정하며, 여기에서 2개의 암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추형 기어들이 제공되어 있다. 비임이 링크(24)와 단부 사이에서 거의 중앙으로 비임(23) 아래로 밀려가기 때문에, 댐퍼(22)가 패킹(25)에 맞대어 눌리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서 취한 밸브(5)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27)에는 그 단부에 암(26)이 부착되어 있다. 조정 부재(27)는 스프링(28)에 의하여 인장되어 있다. 도시된 암(25)에는 하나의 작업 부재(29)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작업 부재가 방향(C)으로 밀려갈 때, 작업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비임(23)을 작동시킨다. 도 4는 물이 케이스(13)를 통하여 펌프의 흡입 유니언(30)까지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관류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통로(11)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절단부(C-C)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조정 부재는 도면의 왼쪽 반에서는 풀려 있는 위치에 있고, 오른쪽 반에서는 삽입되어 맞물린 위치에 있다. 풀려 있는 위치에서는 암(26a)이 그 구동 부재(29a)에 의하여 비임(23)을 지지한다. 맞물린 위치에서는 암(26b)이 그 구동 부재(29b)에 의하여 비임(23)을 지지한다. 이러한 암(26, 26a)은 유입구(12) 둘레에 빙둘러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밸브(5)의 부분 평면도이다. 케이스(13)는 그 측벽(15) 중 케이스 연단 내에 고정 나사가 안내되는 천공(8)이 뚫려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유출구(21) 중 하나와 통로(11)도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는 댐퍼(22)를 조종하기 위한 교호적 기어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비임(23)의 단부들이 공동 링크 내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레버(33)를 가진 크랭크 레버(31)를 작동시킨다. 비임(23)이 방향(C)으로 밀려감으로써 크랭크 레버(31)상에 가하여지는 압력은 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 힘에 의하여 댐퍼(22)가 패킹에 맞대어 유출구(21)에 눌리게 된다.
도 8은 밸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댐퍼(34)가 링크(35)에 선회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링크(35)가 케이스(13)의 측면(15)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34)는 측면을 마주하면서 선회한다. 댐퍼(34)와 유입구(12)에 대향하여 있는 저면(16)의 내측(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볼트(37)가 그 폐쇄 위치에서 들어올려지면, 유입구(12)에 압력이 가하여져서(화살표 방향 D) 댐퍼(34)가 개방된다. 볼트(37)는 폐쇄 위치에서는 저면(16) 상에 수직으로 서 있고, 댐퍼(34)를 내측에서 패킹(25)에 맞대어 누른다. 볼트(37)는 2개의 볼트(37)가 선회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38)에 의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볼트(37)의 자유 단부는 댐퍼(34)의 내측면에서 활동한다. 슬라이딩 부재(38)는 외부에서 접근하기 쉽고, 스위치(41)가 달린 조정 부재(40)를 거쳐 이동한다. 볼트(37)는, 하나의 볼트(37)가 폐쇄 위치, 즉 수직으로 서 있는 위치에 있고 다른 하나의 볼트가 개방 위치, 즉 기울어진 위치에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38)에 고정되어 있다.
도 9는 밸브의 몸체가 내장되어 있는 3방향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밸브 몸체는 2개의 케이스 덮개(4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2개의 케이스 덮개 중 하나에는 2개의 유입구(43)가 제공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하나의 유출구(48)가 제공되어 있다. 케이스 덮개(42)는 밸브 몸체의 케이스(50)에 마주하여 밀폐링(51)을 거쳐 밀폐된다. 유출구와 유입구는 그 배치와 크기에 있어서, 그 앞에 3방향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원심식 펌프의 배치 및 크기와 같다.
유입구(43)는 하나의 밸브실(44) 내로 통하여 있고, 이 밸브실에는 하나의 밀폐체(45)가 이동할 수 있게 들어 있다. 2개의 밀폐체(45)가 하나의 공통 축(47)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축(47)은 펌프 축 또는 유입구(43)에 대하여 수직으로 안내된다. 축(47)과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밀폐체(45)는 하나의 구동 장치(도시없음)를 거쳐 2개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2개의 밸브실(44)중 하나는 2개의 위치 중 한 위치에서, 교호적으로 유출구(48) 쪽으로 안내되는 중간실(46)에 맞대어 폐쇄된다. 유입구(43) 중 하나를 통하여 흐르는 펌프 매질의 양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중간 위치에서 계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밀폐체(45)가 이동되면, 구동 장치가 2개의 밸브실(44)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49)에 맞대어 눌린다.
도 10은 원심 펌프와 소비자, 특히 보일러 또는 난방 순환로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위하여 부착시킨 부재(52)가 전면에 있는 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부재는, 그 편평한 전면(16)과 후면(19)에 의하여, 원심 펌프(54)(점선 부분) 옆에 배치되어 있는 3방향 밸브(53)에 대한 어댑터(52)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52)와 3방향 밸브(53)는 하나의 공통 밸브 단위에 포함되어 있다. 3방향 밸브(53)는 하나의 구동 장치(55)(점선 부분)에 의하여 조종된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어댑터(52)에는 펌프 매질이 유출되는 통로(56)가 제공되어 있다. 어댑터(52) 내에는 벽면(59)에 의하여 범위가 한정되는 채널(57)(절단선 C-C)이 제공되어 있고, 이 채널은 펌프 매질을 2개의 유입구(58) 중 하나로부터 3방향 밸브(53)로 안내한다. 펌프 매질은 어댑터(5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벽면(59)에 의하여 형성되는 또 다른 채널(58)을 거쳐 원심식 펌프의 흡입 유니언으로 되돌아간다. 3방향 밸브의 내부에서의 펌프 매질은 밸브 몸체의 내부에 있는 채널 내에서 분할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밸브는, 케이스의 2개 저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간격이 적어서 조밀한 구성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공간의 분할을 유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밸브는 펌프의 효율을 저하시킴이 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운전 비용 및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1)

  1. 케이스 외표면에 유입구 및 유출구(12, 21)인 적어도 3개의 개구들이 제공되어 있는, 특히 3방향 밸브(5)와 같은 다방향 밸브에 있어서,
    - 케이스에 하나 편평한 전면(16)과 하나의 편평한 후면(19)을 형성하는 저면(16, 19)이 제공되어 있고,
    - 전면(16)과 후면(19)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 전면(16)과 후면(19) 사이의 간격이 케이스(13)의 높이 및 폭보다 작으며,
    - 전면(16)과 후면(19) 내에 개구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2) 또는 유출구(21)가 하나의 밀폐체(22)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저면에 하나의 유입구(12)가 제공되어 있고, 또 다른 저면에 밀폐체(22)에 의하여 교호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2개의 유출구(21)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저면에 하나의 유출구(21)가 제공되어 있고, 또 다른 저면에 밀폐체(22)에 의하여 교호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2개의 유입구(12)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3)에 2개의 저면(16, 19)을 서로 연결시키는 하나의 통로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입구(12)와 유출구(21)가 중앙 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입구(12)와 유출구(21)가 중앙 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밀폐체(22)가 조정 부재(27)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는 기어 장치를 거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27)가 케이스(13)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조정 부재가 케이스 측벽(15)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고, 모터, 자석 스위치 또는 다이아프램 스위치(14)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통로(11)가 압력 유니언(30)과 연결되고, 유입구가 흡입 유니언(18)과 연결되도록 원심식 펌프(4)를 저면(16)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통로(11)가 흡입 유니언(18)과 연결되고, 유입구가 압력 유니언(30)과 연결되도록 원심식 펌프(4)를 하나의 저면(16, 19)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3. 제1항에 있언서, 전면(16)이 보일러(1)의 접속면(7)에 바로 이어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저면(16, 19), 특히 후면(19) 위에 하나의 블라인드 플랜지(17)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5. 제1항에 있어서, 댐퍼(34)가 하나의 링크(35)에 선회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댐퍼(34)가 저면(16)상에 수직으로 서 있는 볼트(37)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압력(D)이 가해질 때, 패킹(24)에 맞대어 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7. 제1항에 있어서, 원심식 펌프와 소비자, 특히 보일러 난방 순환로 사이에 부착되어 있고, 편평한 전면(16)과 편평한 후면(19)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재(52)가 밸브에 직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52)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고 원심식 펌프와 3방향 밸브(53) 사이의 어댑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어댑터(52) 내에 채널(57, 61)이 존재하고, 펌프 매질은 상기 채널을 통해서 원심식 펌프와 밸브 사이를 왕복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20. 제19항에 있어서, 밸브 내에 또는 밸브 옆에 펌프 매질 배기용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21. 제19항에 있어서, 밸브 내에 또는 밸브 옆에 펌프 매질 여과용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밸브.
KR1019960041031A 1996-02-22 1996-09-20 수력교점용3방향밸브 KR10044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6431A DE19606431A1 (de) 1996-02-22 1996-02-22 Dreiwegeventil für hydraulische Schnittstelle
DE19606431.7 1996-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443A KR970062443A (ko) 1997-09-12
KR100449004B1 true KR100449004B1 (ko) 2004-11-20

Family

ID=778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031A KR100449004B1 (ko) 1996-02-22 1996-09-20 수력교점용3방향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791772B1 (ko)
KR (1) KR100449004B1 (ko)
DE (2) DE19606431A1 (ko)
DK (1) DK0791772T3 (ko)
ES (1) ES218293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0133A1 (de) * 2007-06-29 2009-01-02 Robert Bosch Gmbh Ventilanordnung
DE102009010131A1 (de) 2008-03-11 2009-09-1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Längsschieberventil
US8967199B2 (en) 2012-09-25 2015-03-03 General Compression, Inc. Electric actuated rotary valve
RU2537658C1 (ru) * 2013-10-10 2015-01-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епловодо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е технологии" (ЗАО "ТВЭСТ") Трехходовой клапан
CN104864122B (zh) * 2015-04-22 2017-03-08 张红 一种自动液位控制阀
CN111946867B (zh) * 2020-08-26 2022-03-04 无锡市星翼仪表科技有限公司 一种翘板式控制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590A (en) * 1982-08-30 1985-07-09 Eaton Corporation A.C. solenoid three way pilot valve
JPS60222603A (ja) * 1984-04-18 1985-11-07 Kayaba Ind Co Ltd 多連制御弁
US5040567A (en) * 1987-11-17 1991-08-20 Burkert Gmbh & Company Werk Ingelfingen Multi-way valve
KR930001035U (ko) * 1991-06-10 1993-01-21 김무성 가스보일러의 삼방변
KR940007407A (ko) * 1992-09-04 1994-04-27 배순훈 멀티 웨이 밸브
KR970045572A (ko) * 1995-12-13 1997-07-26 배순훈 삼방 밸브 기능을 가지는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6825A (en) * 1944-12-26 1949-11-01 Baufre William Lane De Nonreturn valve for low temperature
DE1116088B (de) * 1956-09-22 1961-10-26 Chausson Usines Sa Vierwegeventil fuer Fluessigkeiten, insbesondere fuer den Abzweig eines Nebenstroms aus dem Kuehlwasserkreislauf eines Kraftfahrzeugmotors zum Betrieb einer durch den Nebenstrom beheizten Heizanlage des Fahrzeugs
GB1122392A (en) * 1964-07-17 1968-08-07 John Harbidge Improvements in valves for controlling fluid under pressure
DE2826776A1 (de) * 1978-06-19 1980-01-03 Klaus Herrmann Regel- und einstell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niedrigtemperatur-heizsysteme
GB8421808D0 (en) * 1984-08-29 1984-10-03 Dowty Boulton Paul Ltd Fluid valve
DE3923030A1 (de) * 1988-07-19 1990-01-25 Vaillant Joh Gmbh & Co Steuerung eines umlaufwasserheizers
DE3828578A1 (de) * 1988-08-23 1990-03-08 Oplaender Wilo Werk Gmbh Pumpen fuer eine warmwasserheizungsanlage
IT1226450B (it) * 1988-12-19 1991-01-16 Thermomat Di Ragazzi P I Sante Valvola a tre vie per caldaia a gas
IT1240930B (it) * 1990-03-08 1993-12-27 Fugas Di Matelli L. E Fugazza G. Valvola a tre vie perfezionata
DE4143492C2 (de) * 1991-08-23 1995-08-03 Grundfos As Pumpenaggregat
IT1254266B (it) * 1992-03-12 1995-09-14 Gruppo idraulico perfezionato per impianti misti di riscaldamento e acqua sanitaria
DE4334387A1 (de) * 1993-08-26 1995-03-02 Landis & Gyr Business Support Umschaltventi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590A (en) * 1982-08-30 1985-07-09 Eaton Corporation A.C. solenoid three way pilot valve
JPS60222603A (ja) * 1984-04-18 1985-11-07 Kayaba Ind Co Ltd 多連制御弁
US5040567A (en) * 1987-11-17 1991-08-20 Burkert Gmbh & Company Werk Ingelfingen Multi-way valve
KR930001035U (ko) * 1991-06-10 1993-01-21 김무성 가스보일러의 삼방변
KR940007407A (ko) * 1992-09-04 1994-04-27 배순훈 멀티 웨이 밸브
KR970045572A (ko) * 1995-12-13 1997-07-26 배순훈 삼방 밸브 기능을 가지는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1772A2 (de) 1997-08-27
ES2182932T3 (es) 2003-03-16
KR970062443A (ko) 1997-09-12
DK0791772T3 (da) 2003-01-20
DE59609725D1 (de) 2002-10-31
DE19606431A1 (de) 1997-08-28
EP0791772A3 (de) 1998-03-11
EP0791772B1 (de) 200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9002B2 (ja)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JPS62261693A (ja) 選択型送出ポンプ
KR100449004B1 (ko) 수력교점용3방향밸브
CA2254336A1 (en) Fail-safe electric hydraulic actuator
CN100360845C (zh) 用于控制液体或气体介质流动的装置
US11953106B2 (en) Apparatus for handling fluid of an at least partially electrically driven vehicle
CA2170747A1 (en) Pump-protecting valve
JP3655155B2 (ja) マニホールド弁構造体
KR100541823B1 (ko)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CN1265095C (zh) 泵装置
EP0355260B1 (en) Screw type vacuum pump
EP3438454B1 (en) Hydraulic pump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a hydraulic pump unit
CN211501751U (zh) 双动力源复合控制装置
JPS63135250A (ja) 種々の液体の供給を制御する装置
WO2020049870A1 (ja) スプール弁
KR101684398B1 (ko) 매니폴드 일체형 유체 차단 모듈
CN219082326U (zh) 多路阀
JP7458637B2 (ja) 電気的駆動弁
TWI796502B (zh) 雙動力源複合控制裝置
CN220102162U (zh) 多路阀
KR200187904Y1 (ko) 솔레노이드밸브 유니트
KR100583402B1 (ko) 자동펌프
CN219452969U (zh) 多档位电控燃气阀
CN218935360U (zh) 一种船舶中央冷却器进行反冲洗用的双流向换向阀装置
EP3680524B1 (en) Actu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