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375B1 - 훅 장치 - Google Patents

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375B1
KR100448375B1 KR10-2002-0029042A KR20020029042A KR100448375B1 KR 100448375 B1 KR100448375 B1 KR 100448375B1 KR 20020029042 A KR20020029042 A KR 20020029042A KR 100448375 B1 KR100448375 B1 KR 10044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in
stopper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187A (ko
Inventor
정병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3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훅 핀이 훅 플레이트 상에서 분리하지 않도록 스프링과 스톱퍼를 통하여 훅 플레이트와 연결된 구성으로 훅 핀의 탈거 및 별도보관의 필요성이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훅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핀 홀을 갖는 제1, 제2훅 플레이트와 훅 핀으로 구성되는 훅 장치에서,
상기 제1훅 플레이트 상의 핀 홀 상,하부에 제1훅 플레이트와 상기 훅 핀의 헤드 사이에 구성되는 훅 핀 리턴수단; 상기 훅 핀의 끝단에 별도의 홈을 통하여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훅 플레이트의 핀 홀에 대하여 스톱퍼 기능을 하는 스톱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훅 장치{HOOK DEVICE}
본 발명은 훅(HOOK)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중, 훅 핀이훅 플레이트 상에서 분리하지 않도록 스프링과 스톱퍼를 통하여 훅 플레이트와 연결된 구성으로 훅 핀의 탈거 및 별도보관의 필요성이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중량물의 이송을 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크레인은 상기 중량물의 훅(HOOK)장치와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8은 일반적인 훅 장치가 적용된 중량물의 사시도로서, 이러한 훅 장치의 구성은 상기 중량물(91)의 일측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제2훅 플레이트 (93,95)에 핀 홀(97,99)을 각각 가공하여 상기 핀 홀(97,99)에 훅 핀(101)을 끼워 넣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훅 핀(101)은 원형의 환봉부재로 이루어져 그 일측 선단에 헤드(103)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측 선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의 링 홈(105)을 형성하며, 이 링 홈(105)에는 체결링(107)을 끼워넣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상기 훅 핀(101)을 상기 제1훅 플레이트(93)의 핀 홀(97)에 끼운 후, 상기 제1, 제2훅 플레이트(93,95) 사이의 공간부에서 상기 훅 핀(101)의 선단을 통하여 와이어(109)를 건다.
그 다음, 도 11에서와 같이, 먼저, 작업자가 상기 링 홈(105)에 끼워진 체결링(107)을 링 홈(105) 내 정위치시켜 링 홈(105)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그 선단을 상기 제2훅 플레이트(95) 상의 핀 홀(99)을 통하여 끼운 후, 도 12에서와 같이 완전히 밀어 넣으면, 상기 제1훅 플레이트(93)의 외측면과는 상기 헤드(103)에 의해 지지되고, 반대쪽 상기 제2훅 플레이트(95)의 외측면과는 상기 체결링(107)이 링 홈(105)으로부터 아래로 처져, 이 체결링(107)의 일부분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훅 핀에 의하면, 상기 체결링은 링 홈 내에서 단지 그 하중에 의해서만 처져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중량물의 이동 중, 상하유동에 의해 훅 플레이트와의 체결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훅 핀이 제1,제2훅 플레이트의 핀 홀로부터 이탈하는 등 대형사고의 소지가 다분하다.
또한, 상기 훅 핀은 사용한 후, 보관하기 위하여 훅 플레이트로부터 이를 분리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분실의 소지가 많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훅 핀이 훅 플레이트 상에서 분리하지 않도록 스프링과 스톱퍼를 통하여 훅 플레이트와 연결된 구성으로 훅 핀의 탈거 및 별도보관의 필요성이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의 제1장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의 제2장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의 제3장착 상태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훅 장치가 구성된 중량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 훅 장치용 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 훅 장치의 제1장착 상태도이다.
도 11은 종래 훅 장치의 제2장착 상태도이다.
도 12는 종래 훅 장치의 제3장착 상태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는 핀 홀을 갖는 제1, 제2훅 플레이트와 훅 핀으로 구성되는 훅 장치에서,
상기 제1훅 플레이트 상의 핀 홀 상,하부에 제1훅 플레이트와 상기 훅 핀의 헤드 사이에 구성되는 훅 핀 리턴수단; 상기 훅 핀의 끝단에 별도의 홈을 통하여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훅 플레이트의 핀 홀에 대하여 스톱퍼 기능을 하는 스톱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훅 핀 리턴수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 상의 핀 홀의 상,하부 각 일측을 관통하는 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각 스프링 삽입홀에 대응하여 훅 핀의 헤드의 상,하부 각 일측을 관통하는 스프링 설치홀과; 상기 스프링 삽입홀과 스프링 설치홀 내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의 외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훅 핀의 헤드 외부 일측에서 고정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훅 핀의 끝단 하부에, 내 단면이 직각으로 파여져 형성되는 스톱퍼 홈과; 상기 스톱퍼 홈의 일측에 대하여 훅 핀의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톱퍼 가이드 핀과; 상기 일측 하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 홈 내에서,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스톱퍼 가이드 핀에 끼워져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 작동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의 사시도로서, 먼저, 도 1을 통하여 훅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중량물(1)의 일측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제2훅 플레이트(3,5)에 핀 홀(7)을 각각 가공하여 상기 핀 홀(7)에 훅 핀(9)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훅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통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훅 플레이트(3) 상의 핀 홀(7)에 대하여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훅 플레이트(3)와 상기 훅 핀(9)의 헤드(11) 사이에 훅 핀 리턴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훅 핀(9)의 끝단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여 이 홈 내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제1훅 플레이트(3)의 핀 홀(7)에 대하여 스톱퍼 기능을 하도록 스톱퍼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훅 핀 리턴수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3) 상의 핀 홀(7)의 상부와 하부 에 각 일측을 관통하는 스프링 삽입홀(13)을 형성하고, 상기 각 스프링 삽입홀(13)에 대응하여 상기 훅 핀(9)의 헤드(11)에도 상부와 하부 각 일측을 관통하는 스프링 설치홀(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 스프링 삽입홀(13)과 각 스프링 설치홀(15) 내에는 리턴 스프링(17)을 삽입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17)의 일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3)의 외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훅 핀(9)의 헤드(11) 외부 일측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스프링(17)은, 도 3에서와 같이, 그 양단에 각각 원형의 걸이링(19)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3)의 스프링 삽입홀(13) 외부에서 상기 걸이링(19)에 걸이핀(21)을 끼워 고정하며, 그 타단은 상기 훅 핀(9) 헤드(11)의 스프링 설치홀(15) 외부 일측에서 상기 걸이링(19)에 걸이핀(21)을 끼워 고정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걸이핀(21)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3)의 스프링 삽입홀 (13)의 외측면과 상기 훅 핀(9) 헤드(11)의 스프링 설치홀(15) 외부면에 각각 걸이핀 홈(23)을 형성하여 이 걸이핀 홈(23)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수단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훅 핀(9)의 끝단 하부에, 내 단면이 직각으로 파여진 형상으로 스톱퍼 홈(25)을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 홈(25)의 일측을 횡방향으로 지나도록 상기 훅 핀(9)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스톱퍼 가이드 핀(2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 홈(25) 내에서, 일측 하부가 경사면(31)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슬롯(33)을 형성하는 스톱퍼(29)가 그 슬롯(33)을 통하여 상기 스톱퍼 가이드 핀(27)에 끼워져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쳐져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29)의 경사면(31)은 상기 제2훅 플레이트(5)의 핀 홀(7)에 대응하여 캠 작동을 이루며, 상기 스톱퍼의 경사면(31) 반대측 수직면(35)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3)의 핀 홀(7)에 대하여 자체 하중에 의한 하향 작동으로 걸림작동을 이룬다.
또한, 상기 훅 핀(9)은 그 헤드(11) 외부면에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된 손잡이(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이를 이용하여 훅 핀(9)을 당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훅 장치의 작동을, 도 5와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도 5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37)를 잡고 훅 핀(9)을 당기면, 상기 훅 핀(9)은 제1훅 플레이트(3)와의 사이에 리턴 스프링 (17)을 늘리면서, 작업자의 힘에 의해 훅 핀(9)이 제2훅 플레이트(5)로부터 탈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훅 핀(9)의 끝단에 구비되는 스톱퍼(29)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하여 쳐진 상태로 상기 훅 핀(9)이 제1훅 플레이트(3)의 핀 홀(7)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그 수직면(35)이 제1훅 플레이트(3)의 핀 홀(7)에 대하여 걸림작동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와이어(41)의 일측 고리를 상기 제1, 제2훅 플레이트(3,5) 사이에 배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7)를 통하여 훅 핀(9)을 당기던 힘을 제거하여 상기 리턴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훅 핀(9)이 와이어(41)의 고리를 건 상태로, 상기 제2훅 플레이트(5)의 핀 홀(7)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훅 핀(9)의 끝단에 구성된 스톱퍼(29)는 그 경사면(31)이 상기 제2훅 플레이트(5)의 핀 홀(7) 가장자리에 닿아 캠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슬롯(33)과 스톱퍼 가이드 핀(27)을 통하여 가이드 되어 스톱퍼(29)는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훅 핀(9)은, 도 7에서와 같이, 리턴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제2훅 플레이트(5)의 핀 홀(7)에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스톱퍼(29)는 완전히 상승한 상태로 그 경사면(31)의 하단이 상기 제2훅 플레이트(5)의 핀 홀(7)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상기 훅 핀(9)은 리턴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도 7에서와 같이, 제1, 제2훅 플레이트(3,5)의 핀 홀(7)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훅 장치에 의하면, 훅 핀이 훅 플레이트 상에서 분리하지 않도록 스프링과 스톱퍼를 통하여 훅 플레이트와 연결된 구성으로 중량물의 이동 중, 상하유동에 의해도 훅 플레이트와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훅 핀이 제1,제2훅 플레이트의 핀 홀로부터 이탈하는 등 대형사고의 소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훅 핀을 사용한 후, 훅 플레이트로부터 이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두어도 분실의 우려가 없다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핀 홀을 갖는 제1, 제2훅 플레이트와 훅 핀으로 구성되는 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훅 플레이트 상의 핀 홀의 상,하부 각 일측을 관통하는 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각 스프링 삽입홀에 대응하여 훅 핀의 헤드의 상,하부 각 일측을 관통하는 스프링 설치홀, 및 상기 스프링 삽입홀과 스프링 설치홀 내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의 외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훅 핀의 헤드 외부 일측에서 고정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훅 핀 리턴수단;
    상기 훅 핀의 끝단 하부에, 내 단면이 직각으로 파여져 형성되는 스톱퍼 홈과, 상기 스톱퍼 홈의 일측에 대하여 훅 핀의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톱퍼 가이드 핀, 및 상기 일측 하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 홈 내에서,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스톱퍼 가이드 핀에 끼워져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 작동하는 스톱퍼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훅 플레이트의 핀 홀에 대하여 스톱퍼 기능을 하는 스톱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양단에 각각 걸이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그 양단에 각각 원형의 걸이링이 형성되며, 각 단은 상기 제1훅 플레이트의 외부와, 상기 훅 핀의 헤드 외부 일측에서 각각의 걸이링에 걸이핀을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훅 핀은
    그 헤드 외부면에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장치.
KR10-2002-0029042A 2002-05-24 2002-05-24 훅 장치 KR10044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42A KR100448375B1 (ko) 2002-05-24 2002-05-24 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42A KR100448375B1 (ko) 2002-05-24 2002-05-24 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87A KR20030091187A (ko) 2003-12-03
KR100448375B1 true KR100448375B1 (ko) 2004-09-10

Family

ID=3238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042A KR100448375B1 (ko) 2002-05-24 2002-05-24 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69B1 (ko) * 2007-02-08 2008-03-24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셔츠 마무리기 및 인체모형 장착용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79A (ja) * 1993-07-13 1995-01-27 Sekisui House Ltd パネル吊り下げ具
JP2000272865A (ja) * 1999-03-23 2000-10-03 Nichiei Shoji:Kk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下げ金具
JP2002265182A (ja) * 2001-03-09 2002-09-18 Sankyu Inc 吊り具のフック掛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79A (ja) * 1993-07-13 1995-01-27 Sekisui House Ltd パネル吊り下げ具
JP2000272865A (ja) * 1999-03-23 2000-10-03 Nichiei Shoji:Kk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下げ金具
JP2002265182A (ja) * 2001-03-09 2002-09-18 Sankyu Inc 吊り具のフック掛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87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9942A1 (en) Molding and retainer assembly
EP2269774A3 (en) Fastener tool
US4119131A (en) Fastener with wire-form holdout
US5588188A (en) Swaged cable swivel hook assembly and swivel hook therefor
KR100448375B1 (ko) 훅 장치
KR100229702B1 (ko) 매트리스 손잡이 장치
KR20230032551A (ko)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JPH01212646A (ja) アウトリガ操作装置
KR200336673Y1 (ko) 수직 클램프
KR200497353Y1 (ko) 일체형 래치가 적용된 방수형 등기구
KR200495383Y1 (ko)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CN209838064U (zh) 车窗升降机的预挂扣件
US4231580A (en) Lost motion tool retainer
JPH0112933Y2 (ko)
KR20120051226A (ko) 조립 위치 설정을 위한 가이드 핀 및 가이드 핀을 이용한 어셈블리 조립 위치 설정 구조
JP4144081B2 (ja) ラフィングジブのシーブケース取付装置
KR20030005626A (ko) 호크용 핀
JP3516360B2 (ja) フックブロック格納装置
KR200242130Y1 (ko) 맨홀 뚜껑 개폐 공구
KR0119216Y1 (ko) 금형 다이의 리프팅용 걸쇠이탈방지구조
JPS62264192A (ja) 吊荷用治具
JP3116350U (ja) 挟持装置
KR20040033948A (ko) 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취부용 클립
JPH0615945Y2 (ja) 巻取りドラムの搭載構造
JP3008901U (ja) 曲線引・振止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