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551A -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2551A KR20230032551A KR1020210115519A KR20210115519A KR20230032551A KR 20230032551 A KR20230032551 A KR 20230032551A KR 1020210115519 A KR1020210115519 A KR 1020210115519A KR 20210115519 A KR20210115519 A KR 20210115519A KR 20230032551 A KR20230032551 A KR 20230032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pin
- hook pin
- fastened
- hook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면서 균일한 체결력을 가지면서, 체결력을 증대시켜 사용중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는, 도어패널(21)에 설치되고, 도어커튼이 걸려 고정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후크바디(11); 및 상기 후크바디(11)에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후크핀(12);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되면, 상기 관통공(21a) 내에서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후크바디(11)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는, 도어패널(21)에 설치되고, 도어커튼이 걸려 고정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후크바디(11); 및 상기 후크바디(11)에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후크핀(12);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되면, 상기 관통공(21a) 내에서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후크바디(11)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커튼을 고정하기 위한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면서 균일한 체결력을 가지면서, 체결력을 증대시켜 사용중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글래스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글래스를 가리도록 도어커튼(122)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커튼(122)은 채광의 조절이나, 탑승객의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데, 상기 도어커튼은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도어커튼(122)의 상단이 상기 도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전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도어커튼(122)은 상기 도어커튼(122)의 상단에 설치된 쉐이드바(122a)가 도어패널(121)에 설치된 후크 어셈블리(110)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후크 어셈블리(110)는 상기 도어커튼(122)이 고정되는 후크바디(111)와, 상기 도어(120)의 도어패널(121)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바디(111)가 체결되는 후크핀(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핀(112)은 상기 후크핀(112)에 형성된 베이스(112a)와 파지부(112b)에 의해 상기 도어패널(121)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바디(111)는 베이스(111a)와 상기 베이스(111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1d)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1a)의 하방에는 상기 도어커튼(122)이 고정되는 커튼고정부(111b)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핀(112)이 상기 도어패널(1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바디(111)는 상기 후크핀(112)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 넣어 가체결시킨다(도 3a 참조). 가체결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부(111d)의 상부가 상기 파지부(112b)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체결부(111d)의 하부가 상기 파지부(112b)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로서, 상기 파지부(112b)는 라인 L과 같이 상기 후크핀(112)의 베이스(112a)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후, 상기 후크바디(111)의 체결이 완료되면(도 3b 참조), 상기 체결부(111d)가 상기 파지부(112b)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후크바디(111)의 결합부(111c)와 상기 후크핀(112)의 결합부(112c)가 결합되며, 상기 파지부(112b)가 외측으로 각도 α 또는 각도 β 만큼 벌어져(라인 L' 참조) 상기 후크핀(112)이 상기 도어패널(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110)는 상기 도어패널(121)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사이즈와 상기 도어패널(121)의 두께 산포에 따라, 상기 후크핀(112)을 상기 도어패널(121)에 체결시키는 체결력이 불균일해진다.
또한, 상기 파지부(112b)가 벌어질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후크바디(111)를 상방으로 체결해야 하므로, 체결력이 과다하게 필요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상기 후크핀(112)에 체결력과 하중(도어커튼이 도어의 내부로 권취되도록 하는 힘)이 서로 반대방향이지만, 모두 상기 차량의 상하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력과 상기 하중에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후크 어셈블리(110)가 상기 도어패널(121)로부터 빠지거나, 상기 후크 어셈블리(11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체결방향과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리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패널에 형성되어 후크바디가 체결되는 관통공의 크기에 산포가 있더라도, 일정한 체결력으로 상기 패널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는, 도어패널에 설치되고, 도어커튼이 걸려 고정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후크바디; 및 상기 후크바디(11)에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후크핀;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되면, 상기 관통공 내에서 상기 후크바디를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후크바디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바디는, 상기 도어패널의 저면에 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의 체결완료시 상기 관통공의 내측둘레에 접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의 체결완료시 하부 둘레가 상기 도어패널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걸려 상기 후크바디가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후크바디를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접촉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은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그 후단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관통공의 리어접촉면에 접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단이 상기 관통공의 프런트접촉면 쪽으로 상기 후크바디가 이동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접촉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연장부의 전단이 상기 관통공의 프런트접촉면 쪽으로 상기 후크바디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핀은, 상기 후크핀을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하기 위해 눌려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에 형성된 후크핀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하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의 저면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되면, 상기 후크핀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핀의 후진을 저지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핀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되면, 상기 후크핀에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턱은,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될 때, 상기 스토퍼의 통과를 허용하는 경사면과,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된 후 후진을 저지하는 정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단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블록을 수용하는 지지블록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지지블록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블록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블록의 저면은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후크핀수용홈의 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핀수용홈의 입구에 상기 후크핀의 저면을 지지하는 후크핀서포트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체결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관통공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된 후, 상기 후크핀의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의 저면이 상기 관통공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핀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후크핀수용홈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턱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커튼의 상단이 걸려 고정되는 커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후크 어셈블리의 체결력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상기 후크 어셈블리에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은 상기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 어셈블리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체력력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작용하고 하중은 상기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사용중 상기 후크 어셈블리가 도어패널로부터 빠지거나, 파손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도어패널의 관통공이 가공시 산포가 있더라도, 상기 후크바디를 상기 관통공의 일측면으로 밀착시켜, 관통공 크기의 산포로 인한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도어에 도어커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가 도어에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가 도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해 패널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도 5c는 도 5b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서 후크핀을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도 6c는 도 6b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의 조립완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도 7c는 도 7b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의 상부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패널에 관통공이 정치수로 가공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패널에 관통공이 정치수보다 작게 가공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패널에 관통공이 정치수보다 크게 가공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가 도어에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가 도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해 패널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도 5c는 도 5b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서 후크핀을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도 6c는 도 6b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의 조립완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도 7c는 도 7b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의 상부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패널에 관통공이 정치수로 가공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패널에 관통공이 정치수보다 작게 가공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패널에 관통공이 정치수보다 크게 가공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는, 도어패널(21)에 설치되고, 도어커튼이 걸려 고정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10)에서, 상기 도어패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차량의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후크바디(11); 및 상기 후크바디(11)에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과 수직한 방향(차량의 폭방향)으로 체결되는 후크핀(12);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되면, 상기 관통공(21a) 내에서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후크바디(11)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에 밀착된다.
후크바디(11)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끼워진 후, 후술되는 후크핀(1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후크바디(11)는, 상기 도어패널(21)의 저면에 접하는 베이스(11a)와, 상기 베이스(11a)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a)의 내측둘레에 접하는 연장부(11d)와, 상기 연장부(11d)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둘레가 상기 도어패널(21)에서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에 걸려 상기 후크바디(11)가 상기 도어패널(21)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11e)와, 상기 연장부(11d)로부터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11h)를 포함한다.
베이스(11a)는 상기 도어패널(21)의 저면에 접한다. 상기 베이스(11a)는 상기 관통공(21a)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베이스(11a)는 상기 관통공(21a)을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저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커튼고정부(11b)는 상기 베이스(11a)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커튼의 상단을 고정한다. 상기 도어커튼의 상단에 설치된 쉐이드바가 상기 커튼고정부(11b)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커튼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부(11c)는 상기 베이스(11a)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c)는 상기 베이스(11a)에서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c)의 하단으로 차량의 실내측으로 연장되게 상기 커튼고정부(11b)가 형성된다.
연장부(11d)는 상기 베이스(11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1d)는 상기 후크 어셈블리(10)의 조립이 완료되면, 그 외측면이 상기 관통공(21a)의 내측둘레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a)은 상기 후크 어셈블리(10)의 조립방향, 즉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방향(도 4에서 L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연장부(11d)도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도, 도 9a을 보면, 상기 관통공(21a)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접촉면(21b)과 상기 연장부(11d)의 외측면은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L방향)과 정해진 각도(α)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11d)의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후크바디(11)가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견고히 상기 관통공(21a)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1e)는 상기 연장부(11d)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체결부(11e)는 상기 연장부(11d)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e)는 상기 후크 어셈블리(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부(11e)의 둘레 저면이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에 걸림으로써, 상기 후크바디(11)가 상기 도어패널(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1e)는 상기 관통공(21a)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관통공(21a)에 체결방향을 따라 그 폭이 감소되는 바, 상기 체결부(11e)도 체결방향을 따라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11e)는 일정구간에서는 상기 관통공(21a)을 통과하지만, 상기 체결부(11e)가 상기 관통공(21a)을 통과한 후 상기 후크핀(12)을 눌러 체결을 시작하면, 상기 체결부(11e)의 저면 둘레가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에 걸려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상기 후크바디(11)의 분리를 방지한다.
한편, 상기 체결부(11e)의 폭은 상기 연장부(11d) 보다 넓게 형성되는 바, 상기 연장부(11d)가 네크(neck)와 같은 형태를 갖고, 이를 통하여 상기 후크바디(11)를 비롯한 후크 어셈블리(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탄성부(11h)는 상기 연장부(11d)의 전단으로부터 후크핀(12)의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11h)는 외팔보의 형태로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관통공(21a)에 접합으로써,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11h)는 그 후단에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로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관통공(21a)의 리어접촉면(21d)에 접하는 탄성지지부(11h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1ha)가 상기 관통공(21a)에서 체결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리어접촉면(21d)에 접촉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1ha)의 상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11ha)가 상기 리어접촉면(21d)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11h)를 체결방향으로 전진시키려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부(11d)의 전단이 상기 관통공(21a)에서 체결방향의 전단에 형성된 프런트접촉면(21c) 쪽으로 상기 후크바디(11)가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특히, 탄성부(11h)는, 상기 연장부(11d)의 측면이 상기 관통공(21a)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접촉면(21b) 사이드접촉면(21b)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연장부(11d)의 전단이 상기 관통공(21a)의 프런트접촉면(21c) 쪽으로 상기 후크바디(11)를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관통공(21a)의 제조과정에서 산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후크바디(11)는 최대한 상기 관통공(21a)의 안쪽, 즉 상기 프런트접촉면(21c)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연장부(11d)의 외측면이 상기 사이드접촉면(21b)에 항상 접촉하게 됨으로써, 일정한 체결력을 가질뿐만 아니라, 체결력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체결력이 증대되므로, 종래의 후크 어셈블리 대비 후크 어셈블리를 도어패널로부터 분리해내는데 필요한 발거력도 높아져, 후크 어셈블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에 상기 후크핀(12)의 체결시 상기 후크핀(1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분리하는 방향으로는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턱(11hb)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11hb)에 의해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로 체결되면, 상기 후크핀(12)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후크핀(12)은 상기 후크바디(11)에 상기 차량의 폭방향(L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관통공(2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관통공(21a) 내에서 상기 후크바디(11)를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밀착시켜, 상기 후크바디(11)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21a)의 내측 둘레에 밀착된다. 즉, 상기 연장부(11d)의 외측면이 상기 관통공(21a)의 상기 사이드접촉면(21b)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크핀(12)은, 상기 후크핀(12)을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하기 위해 눌려지는 누름부(12a)와, 상기 누름부(12a)로부터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11)에 형성된 후크핀수용홈(11f)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더(12b)와, 상기 슬라이더(12b)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부(12a)를 향하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12c)를 포함한다.
누름부(12a)는 작업자가 눌려 상기 후크핀(12)을 상기 후크바디(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슬라이더(12b)는 상기 누름부(12a)로부터 체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바디(11)에는 상기 후크핀(12)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후크핀수용홈(11f)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12b)는 상기 후크핀수용홈(11f)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2b)가 체결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2b)의 전단에는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가체결되면, 상기 후크핀(12)의 후진을 저지하는 스토퍼(12b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턱(11hb)은,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로 체결될 때, 상기 스토퍼(12ba)의 통과를 허용하는 경사면(11hc)과,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된 후 후진을 저지하는 정지면(11h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2ba)는 체결방향으로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턱(11hb)을 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정지면(11hd)에 걸려 상기 고정턱(11hb)을 넘지 못하므로, 상기 후크핀(12)의 분리를 방지한다.
고정지지부(12c)는 상기 슬라이더(12b)의 전단으로부터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지지부(12c)는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로 체결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탄성부(11h)와 이격되어 상기 후크핀(1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을 탄성지지하여 견고히 체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지지부(12c)의 후단에 지지블록(12ca)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바디(11)에서 상기 베이스(11a)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블록(12ca)을 수용하는 지지블록(12c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록(12ca)은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지지블록(12ca)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후크핀(1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블록(12ca)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11h)를 상방으로 지지지한다. 상기 지지블록(12ca)의 저면은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핀수용홈(11f)의 저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고정지지부(12c)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상기 탄성부(11h)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후크핀(12)은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핀(12)의 저면이 상기 후크핀수용홈(11f)의 입구에 형성된 후크핀서포트홈(11g)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핀(12)이 후진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후크(12d)와 걸림턱(11aa)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핀(12)에서 상기 슬라이더(12b)의 양측에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후크(12d)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11)에서 상기 후크핀수용홈(11f)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후크(12d)에 체결되는 걸림턱(11a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후크(12d)와 상기 걸림턱(11aa)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크핀(12)의 분리를 저지한다.
도 5a 내지 도 7c에 상기 후크바디(11)와 상기 후크핀(12)의 체결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상기 후크 어셈블리(10)를 체결하기 위한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에 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바디(11)는 차량의 높이방향(H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1a)에 삽입된다. 상기 후크바디(11)에서 상기 체결부(11e)가 상기 관통공(21a)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후크바디(11)가 상기 도어패널(21)측에 체결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후크바디(11)에서 탄성지지부(11ha)는 상기 도어패널(21)의 저면에 눌려져 있고, 상기 후크핀(12)에서 지지블록(12ca)은 상기 지지블록(12ca)에 수용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후크핀(12)은 가체결된 상태로서, 상기 스토퍼(12ba)가 상기 고정턱(11hb)을 통과하였으므로, 상기 후크바디(11)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상기 후크바디(11)를 일부 전진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크바디(11)를 전진시키면, 상기 후크바디(11)가 전진하면서, 상기 연장부(11d)가 상기 사이드접촉면(21b)과 인접하게 된다. 상기 후크바디(11)에는 후크핀수용홈(11f)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후크핀수용홈(11f)이 체결작업시 상기 탄성지지부(11ha)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S)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후크바디(11)의 전진시 저항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1e)의 저면은, 도 6b에서 C1, C2로 도시된 영역과 같이, 상기 관통공(21a)의 둘레와 중첩되어, 상기 후크바디(11)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상기 후크 어셈블리(1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 후크핀(12)을 전진시키면, 상기 고정지지부(12c)가 전진하면서, 상기 지지블록(12ca)이 상기 지지블록수용홈(11ab)으로부터 이탈한다. 상기 지지블록(12ca)은 그 저면이 상기 후크핀수용홈(11f)에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블록(12ca)의 상부면은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11ha)는 상기 리어접촉면(21d)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탄성지지부(11ha)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계속해서 상기 후크바디(11)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탄성지지한다.
또한, 상기 후크 어셈블리(1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후크(12d)와 상기 걸림턱(11aa)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크핀(12)이 상기 후크바디(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한다(도 8 참조).
도 9a 내지 도 11b에는 상기 관통공(21a)이 산포에 따른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와 도 9b는 상기 관통공(21a)이 정치수로 가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a)의 길이(L0)가 정치수로 가공되면, 상기 연장부(11d)의 전단과 상기 프런트접촉면(21c) 사이에 적정한 갭(G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과 상기 지지블록(12ca) 사이에도 적정한 크기로 오버랩된다(h0).
도 10a와 도 10b에는 상기 관통공(21a)이 정치수보다 크게 가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a)의 길이(L(+))가 정치수보다 크게 가공되더라도, 상기 후크바디(11)는 상기 프런트접촉면(21c)쪽으로 탄성지지되므로, 일정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연장부(11d)의 전단과 상기 프런트접촉면(21c) 사이의 갭(G1)은 커지고,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과 상기 지지블록(12ca) 사이의 오버랩(h1)도 증가하지만, 상기 연장부(11d)의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접촉면(21b)에 접촉되어 공차를 흡수할 수 있고, 견고한 체결력은 유지된다.
한편, 도 11a와 도 11b에는 상기 관통공(21a)이 정치수보다 작게 가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a)의 길이(L(-))가 정치수보다 작게 가공되더라도, 상기 연장부(11d)의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접촉면(21b)에 접촉되어 공차를 흡수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11d)의 전단과 상기 프런트접촉면(21c) 사이의 갭(G2)은 작아지고,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과 상기 지지블록(12ca) 사이의 오버랩은 감소하거나 상기 탄성부(11h)의 저면과 상기 지지블록(12ca)이 접촉한 상태(도 11b의 C부분 참조)가 된다.
10 : 후크 어셈블리 11 : 후크바디
11a : 베이스 11aa : 걸림턱
11ab : 지지블록수용홈 11b : 커튼고정부
11c : 연결부 11d : 연장부
11e : 체결부 11f : 후크핀수용홈
11g : 후크핀서포트 11h : 탄성부
11ha : 탄성지지부 11hb : 고정턱
11hc : 경사면 11hd : 정지면
12 : 후크핀 12a : 누름부
12b : 슬라이더 12ba : 스토퍼
12c : 고정지지부 12ca : 경사면
12d : 걸림후크 21 : 도어패널
21a : 관통공 21b : 사이드접촉면
21c : 프런트접촉면 21d: 리어접촉면
110 : 후크 어셈블리 111 : 후크바디
111a : 베이스 111b : 커튼고정부
111c : 결합부 111d : 체결부
112 : 후크핀 112a : 베이스
112b : 파지부 112c : 결합부
120 : 도어 121 : 도어패널
122 : 도어커튼 122a : 쉐이드바
11a : 베이스 11aa : 걸림턱
11ab : 지지블록수용홈 11b : 커튼고정부
11c : 연결부 11d : 연장부
11e : 체결부 11f : 후크핀수용홈
11g : 후크핀서포트 11h : 탄성부
11ha : 탄성지지부 11hb : 고정턱
11hc : 경사면 11hd : 정지면
12 : 후크핀 12a : 누름부
12b : 슬라이더 12ba : 스토퍼
12c : 고정지지부 12ca : 경사면
12d : 걸림후크 21 : 도어패널
21a : 관통공 21b : 사이드접촉면
21c : 프런트접촉면 21d: 리어접촉면
110 : 후크 어셈블리 111 : 후크바디
111a : 베이스 111b : 커튼고정부
111c : 결합부 111d : 체결부
112 : 후크핀 112a : 베이스
112b : 파지부 112c : 결합부
120 : 도어 121 : 도어패널
122 : 도어커튼 122a : 쉐이드바
Claims (17)
- 도어패널에 설치되고, 도어커튼이 걸려 고정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후크바디; 및
상기 후크바디에 상기 도어커튼에 의한 하중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후크핀;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되면, 상기 관통공 내에서 상기 후크바디를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후크바디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바디는,
상기 도어패널의 저면에 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의 체결완료시 상기 관통공의 내측둘레에 접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의 체결완료시 하부 둘레가 상기 도어패널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걸려 상기 후크바디가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후크바디를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접촉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은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그 후단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관통공의 리어접촉면에 접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단이 상기 관통공의 프런트접촉면 쪽으로 상기 후크바디가 이동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접촉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연장부의 전단이 상기 관통공의 프런트접촉면 쪽으로 상기 후크바디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핀은,
상기 후크핀을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하기 위해 눌려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에 형성된 후크핀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하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저면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되면, 상기 후크핀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핀의 후진을 저지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핀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되면, 상기 후크핀에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은,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로 체결될 때, 상기 스토퍼의 통과를 허용하는 경사면과,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된 후 후진을 저지하는 정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단에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블록을 수용하는 지지블록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지지블록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블록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저면은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후크핀수용홈의 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핀수용홈의 입구에 상기 후크핀의 저면을 지지하는 후크핀서포트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체결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관통공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된 후, 상기 후크핀의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의 저면이 상기 관통공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핀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상기 후크핀의 체결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후크핀수용홈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핀이 상기 후크바디에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턱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커튼의 상단이 걸려 고정되는 커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519A KR20230032551A (ko) | 2021-08-31 | 2021-08-31 |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US17/571,673 US12030370B2 (en) | 2021-08-31 | 2022-01-10 | Hook assembly for door curtain of vehicle |
DE102022101314.6A DE102022101314A1 (de) | 2021-08-31 | 2022-01-20 | Hakenanordnung für einen Türvorhang eines Fahrzeuges |
CN202210094858.3A CN115723527A (zh) | 2021-08-31 | 2022-01-26 | 用于车辆的车门遮阳帘的挂钩组件 |
US17/898,668 US11837972B2 (en) | 2021-08-31 | 2022-08-30 | Soft robot using diamagnetic levi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519A KR20230032551A (ko) | 2021-08-31 | 2021-08-31 |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551A true KR20230032551A (ko) | 2023-03-07 |
Family
ID=8517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519A KR20230032551A (ko) | 2021-08-31 | 2021-08-31 |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2030370B2 (ko) |
KR (1) | KR20230032551A (ko) |
CN (1) | CN115723527A (ko) |
DE (1) | DE1020221013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9678A (ko) * | 2021-07-09 | 2023-01-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959B1 (ko) | 2013-01-21 | 2014-06-12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커튼 후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02539A (en) * | 1947-09-16 | 1950-04-04 | Tinnerman Products Inc | Fastening device |
US2775154A (en) * | 1953-11-20 | 1956-12-25 | Sr Noah C Leaphart | Coupling pin for separable parts having spring urged pivotal locking plate thereon |
US2858725A (en) * | 1954-12-24 | 1958-11-04 | Theodore F Thompson | Connecting pin having depressible abutment element |
US2997909A (en) * | 1959-06-08 | 1961-08-29 | Ames Wilfred | Safety coupling pin |
US3861267A (en) * | 1968-09-09 | 1975-01-21 | Frank C Collister | Key bolt |
JP5040137B2 (ja) * | 2006-03-27 | 2012-10-03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フック構造 |
US8579010B2 (en) * | 2011-03-08 | 2013-11-12 | Honda Motor Co., Ltd | Sunshade hook |
KR102644372B1 (ko) | 2019-01-24 | 2024-03-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
-
2021
- 2021-08-31 KR KR1020210115519A patent/KR2023003255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1-10 US US17/571,673 patent/US12030370B2/en active Active
- 2022-01-20 DE DE102022101314.6A patent/DE102022101314A1/de active Pending
- 2022-01-26 CN CN202210094858.3A patent/CN115723527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959B1 (ko) | 2013-01-21 | 2014-06-12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커튼 후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723527A (zh) | 2023-03-03 |
US20230069762A1 (en) | 2023-03-02 |
DE102022101314A1 (de) | 2023-03-02 |
US12030370B2 (en) | 202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95097B1 (en) | Fixing clip for interior part of vehicle | |
US4181333A (en) | Sash lock | |
CA3023351C (en) | Conduit clamp | |
US5992099A (en) | Device for joining a window pane to a window lifter | |
DE112013007557B4 (de) | Befestigungsklemme für einen Bezugstoff | |
KR20230032551A (ko) |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 |
JP4235755B2 (ja) | クリップ | |
US9397451B2 (en) | Connector device | |
KR20190094220A (ko) | 체결구 조립체 | |
US4646995A (en) | Cord bushing having falling off prevention feature | |
US20070099452A1 (en) | Apparatus of attaching part | |
KR100953996B1 (ko) |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 |
US6533374B2 (en) | Clips for restraining furniture doors from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during shipping and handling | |
US20150353147A1 (en) | Assembly for tensioning a cab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US6651388B1 (en) | Follower using pivoting retaining arms for retaining a window pane | |
KR200338334Y1 (ko) | 차량용 클립 | |
CN217353940U (zh) | 一种汽车侧碰防开启机构 | |
JPH0643309U (ja) | ワイヤハーネス等の保持具 | |
JP2002370573A (ja) | 車両用フック装置 | |
KR100490599B1 (ko) | 물품 장착용 클립 | |
JP2544193B2 (ja) | 絶縁トロリ線支持装置 | |
KR970004416Y1 (ko) | 차량의 윈도우 고정구조 | |
JP6836919B2 (ja) | 固定具 | |
JP2559532Y2 (ja) | フィルム状ワイヤーハーネスの取付構造 | |
KR100448375B1 (ko) | 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