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72B1 -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72B1
KR102644372B1 KR1020190009317A KR20190009317A KR102644372B1 KR 102644372 B1 KR102644372 B1 KR 102644372B1 KR 1020190009317 A KR1020190009317 A KR 1020190009317A KR 20190009317 A KR20190009317 A KR 20190009317A KR 102644372 B1 KR102644372 B1 KR 10264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hook
curtain
vehicle
frame mount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142A (ko
Inventor
김도원
유동근
이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72B1/ko
Priority to US16/675,491 priority patent/US11642945B2/en
Publication of KR2020009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는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 장착구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에 결합되는 커튼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 후크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와 결합되는 쐐기부와 커튼이 후킹되는 커튼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차광과 커튼 거치 갭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CURTAIN HOO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윈도우 커튼 상단의 차광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글래스는 투명하기 때문에 일부 대형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광을 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히 리어 도어에 커튼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도어커튼은 버튼 조작을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자동식과 탑승자가 손으로 들어올려 도어의 상측 프레임에 장착된 후크에 고정하는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도어 커튼은 고급 차종에만 적용되어 오던 리어 도어 커튼이 최근 상품성 향상을 목적으로 레져용 다목적 차량에도 장착을 위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커튼은 프레임에 장착을 해주는 쐐기부와 커튼 걸림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쐐기 삽입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상단에 차광 불가 영역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외부 삽입 커튼 걸림부의 경우에는 글라스런과 갭이 부족하여 커튼 거치가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2-0096235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어 커튼 상단의 차광부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 장착구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에 결합되는 커튼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 후크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와 결합되는 쐐기부와 커튼이 후킹되는 커튼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차광과 커튼 거치 갭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장착구는 프레임 장착구 본체;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의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후크의 쐐기부를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후크의 커튼 걸림부를 고정하는 연장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에는 상기 커튼 후크의 쐐기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커튼 후크와 결합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는 상기 커튼 후크의 쐐기부를 고정하도록 돌출부가 대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호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 고정부는 상기 커튼 걸림부의 측면의 후면과 고정되도록 고정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걸림턱의 끝점은 상측으로 치우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튼 후크는 커튼 후크 본체; 상기 커튼 후크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부 및 상기 커튼 후크 본체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커튼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튼 후크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와 결합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튼 걸림부의 측면의 후면에는 프레임 장착구의 고정 걸림턱에 고정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의 탄성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맞물리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는 커튼 거치 공간을 확보하면서 도어 커튼 상단의 차광부분을 극대화하여 상품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1000)는 차량(10)의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되는 프레임 장착구(100)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에 결합되는 커튼 후크(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 후크(200)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와 결합되는 쐐기부(220)와 커튼(도 6: 30)이 후킹되는 커튼 걸림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차광과 커튼 거치 갭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는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의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후크(200)의 쐐기부(220)를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120)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의 일측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후크(200)의 커튼 걸림부(230)를 고정하는 연장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에는 상기 커튼 후크(200)의 쐐기부(22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1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12)은 쐐기부(220)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의 측부에는 상기 커튼 후크(200)와 결합되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탄성 고정부(120)는 상기 커튼 후크(200)의 쐐기부(220)를 고정하도록 돌출부(122)가 대향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122)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이격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게 되어 상기 돌출부(122)와 상기 쐐기부(220)가 밀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튼 후크(200)는 커튼 후크 본체(210), 상기 커튼 후크 본체(21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부(220) 및 상기 커튼 후크 본체(21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커튼 걸림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튼 후크 본체(210)의 측부에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와 결합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114)에 상기 돌기(212)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쐐기부(220)는 몸체부(222), 상기 몸체부(222)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24) 및 상기 몸체부(222)의 상단에 위치하는 헤드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224)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의 탄성 고정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2)와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커튼 걸림부(230)의 일 측면, 즉 상기 커튼 후크 본체(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후면에는 프레임 장착구(100)의 고정 걸림턱(132)에 고정되는 단차부(도 5: 2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 고정부(130)는 상기 커튼 걸림부(230)의 측면의 후면과 고정되도록 고정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튼 걸림부(230)의 측면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글래스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튼 걸림부(230)의 단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커튼(도 6: 30)을 걸게 되는 구조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결합 관계를 기술하면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1000)는 차량(10)의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되는 프레임 장착구(100)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에 결합되는 커튼 후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를 상측 도어 프레임(20)에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에 천공되어 있는 관통구멍(112)에 상기 커튼 후크(200)의 쐐기부(220)를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삽입한다.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의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와 상기 커튼 후크(200)의 커튼 후크 본체(210)가 접촉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의 프레임 장착구 본체(11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114)과 상기 커튼 후크(200)의 커튼 후크 본체(210)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212)가 결합하면서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의 탄성 고정부(120)와 상기 커튼 후크(200)의쐐기부(220)의 오목부(224)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의 연장 고정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걸림턱(132)과 상기 커튼 후크(200)의 커튼 걸림부(230)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232)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장착구(100)와 상기 커튼 후크(200)가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 걸림턱(132)의 끝점은 상측으로 치우친 형상으로서, 이는 하중이 하방향을 향해 가해지기 때문이며 하나의 상기 고정 걸림턱(132)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상기 고정 걸림턱(132)의 끝점(C)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 걸림턱(132)의 상측 돌출 시작점(D)까지의 거리(d2)는 상기 고정 걸림턱(132)의 끝점(C)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 걸림턱(132)의 하측 돌출 시작점(E)까지의 거리(d3)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걸림턱(132)의 형상은 삼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커튼 후크(200)의 커튼 걸림부(230)의 단부에 커튼(30)을 걸어 고정시킨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40)와 커튼(30)을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은 B선을 기준으로 할 때 원천 차단되고, 또한 커튼(30)을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1000)에 걸 수 있는 공간(d1) 확보도 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는 커튼 거치 공간을 확보하면서 도어 커튼 상단의 차광부분을 극대화하여 상품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차량
20: 도어 프레임
30: 커튼
40: 윈도우 글라스
100: 프레임 장착구
110: 프레임 장착구 본체
112: 관통구멍
114: 오목홈
120: 탄성 고정부
122: 돌출부
130: 연장 고정부
132: 고정 걸림턱
200: 커튼 후크
210: 커튼 후크 본체
212: 돌기
220: 쐐기부
222: 몸체부
224: 오목부
226: 헤드부
230: 커튼 걸림부
1000: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Claims (13)

  1.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 장착구;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에 결합되는 커튼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장착구는, 프레임 장착구 본체;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의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후크의 쐐기부를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후크의 커튼 걸림부를 고정하는 연장 고정부; 상기 연장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튼 걸림부의 측면의 후면과 고정되는 고정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걸림턱의 끝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 걸림턱의 상측 돌출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고정 걸림턱의 끝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 걸림턱의 하측 돌출 시작점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커튼 후크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와 결합되는 쐐기부와 커튼이 후킹되는 커튼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튼 걸림부의 단부에 걸어 고정시킨 커튼에 의한 차광과 상기 커튼을 걸 수 있는 공간인 커튼 거치 갭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에는 상기 커튼 후크의 쐐기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착구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커튼 후크와 결합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부는 상기 커튼 후크의 쐐기부를 고정하도록 돌출부가 대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호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걸림턱의 끝점은 상측으로 치우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후크는,
    커튼 후크 본체;
    상기 커튼 후크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부; 및
    상기 커튼 후크 본체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커튼 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후크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와 결합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헤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걸림부의 측면의 후면에는 프레임 장착구의 고정 걸림턱에 고정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프레임 장착구의 탄성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KR1020190009317A 2019-01-24 2019-01-24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KR10264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17A KR102644372B1 (ko) 2019-01-24 2019-01-24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US16/675,491 US11642945B2 (en) 2019-01-24 2019-11-06 Door curtain hook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17A KR102644372B1 (ko) 2019-01-24 2019-01-24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42A KR20200092142A (ko) 2020-08-03
KR102644372B1 true KR102644372B1 (ko) 2024-03-07

Family

ID=7173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17A KR102644372B1 (ko) 2019-01-24 2019-01-24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42945B2 (ko)
KR (1) KR102644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78A (ko) 2021-07-09 2023-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커튼용 후크 어셈블리
KR20230129716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마바산업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721B1 (ko) 2001-06-19 2003-08-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0669A (en) * 1994-08-10 1996-10-01 Lear Corporation Fastenerless retainer assembly
US5560575A (en) * 1995-02-21 1996-10-01 Trw Inc. Support and releasable fastener assembly
FR2761127B1 (fr) * 1997-03-24 1999-06-04 Itw De France Article a fixer en aveugle et vehicule le comportant
DE19940028B4 (de) * 1999-08-24 2007-05-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hänge-Haken für ein Fensterrollo
JP3628945B2 (ja) * 2000-07-21 2005-03-16 株式会社ニフコ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JP2007147060A (ja) * 2005-11-01 2007-06-14 Piolax Inc 部品の取付装置
WO2009008185A1 (ja) * 2007-07-12 2009-01-15 Piolax Inc. 留め具
US8579010B2 (en) * 2011-03-08 2013-11-12 Honda Motor Co., Ltd Sunshade hook
JP5499122B2 (ja) * 2012-08-31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サッシ用フック部材及び同フック部材を備えている車両用ドアのドアサッシ
FR3001006B1 (fr) * 2013-01-17 2015-03-13 Illinois Tool Works Article a fixer en aveugle sur un support
US9789752B1 (en) * 2016-04-11 2017-10-17 Honda Motor Co., Ltd. Window shade hook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2529450B1 (ko) * 2018-06-19 202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림량 가변 도어 커튼 어셈블리
US11207954B2 (en) * 2019-09-23 2021-12-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ook assembl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721B1 (ko) 2001-06-19 2003-08-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8796A1 (en) 2020-07-30
US11642945B2 (en) 2023-05-09
KR20200092142A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372B1 (ko) 차량용 도어 커튼 후크 장치
CA2847333C (en) Slide lock for a roller blind fascia
CN1966309B (zh) 挂钩附接单元
US20100088964A1 (en) Snap-in glass retention for a vehicle door
KR200426886Y1 (ko)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US20140175821A1 (en) Motor vehicle luggage compartment covering device
KR101807123B1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KR100568745B1 (ko)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
KR20120000603A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벨트 고정용 클립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JP4321465B2 (ja) 外召し合せ框用振れ止め具
KR102355878B1 (ko) 쉐이드바의 이동으로 빛 차단 효과가 개선된 도어커튼
KR100946463B1 (ko) 도어 트림의 마운팅 구조
KR102645132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시 구조물
KR102254867B1 (ko) 차량도어용 보호패드의 고정장치
KR0179883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창 결합구조
KR102422652B1 (ko) 슬라이드 도어용 프레임 체결구
KR100946209B1 (ko) 대형 차량용 선바이저 어셈블리
KR0125312Y1 (ko) 자동차 윈도우그라스 정지구조
KR200149682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미러의 탈착구조
KR20070060802A (ko) 차량의 쿼드런트 인너 커버
KR910007994Y1 (ko) 자동차 창유리의 호울더
JP6592341B2 (ja) フック部材
KR960005092Y1 (ko) 자동차의 도어 내부 장식판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