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123B1 -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123B1
KR101807123B1 KR1020120086919A KR20120086919A KR101807123B1 KR 101807123 B1 KR101807123 B1 KR 101807123B1 KR 1020120086919 A KR1020120086919 A KR 1020120086919A KR 20120086919 A KR20120086919 A KR 20120086919A KR 101807123 B1 KR101807123 B1 KR 10180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weather strip
door
clip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479A (ko
Inventor
유동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7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projections, grooves or chann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60J10/273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projections, grooves or chann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nclosing or housing devices for purposes other than sealing, e.g.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safety)이 확보됨과 동시에 플레임리스 도어에 장착이 가능한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는 도어 글라스를 포함하는 도어의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릴 수 있도록 커튼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로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글라스와의 접촉에 따라 변형되는 웨더 스트립;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웨더 스트립에 장착되는 후크; 및 상기 커튼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리도록 상기 후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커튼부의 일단에 장착된 걸림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된 상기 후크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DOOR CURTAIN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리스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커튼(door curtain)은 투명한 도어 글라스(door glass)를 통해 자동차의 내부로 들어오는 외부의 빛을 차단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된다.
도어커튼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 패널(door panel)과 도어 트림(door trim) 사이의 공간에는 롤(roll)이 배치되고, 도어 패널에 장착된 브래킷에 의해 롤의 양단이 지지된다. 또한, 커튼은 롤에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고, 커튼의 타단은 도어 트림의 상단에 형성된 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도어커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인출된 커튼의 타단은 도어 트림의 상단에 고정된다. 또한, 도어커튼을 사용하는 경우, 인출된 커튼의 타단은 커튼이 롤에서 풀림에 따라 더욱 인출되고 도어 프레임(door frame)에 고정된다. 나아가, 커튼의 타단을 도어 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도어 프레임에는 후크가 장착되고 커튼의 타단에는 후크에 걸리는 걸림부재가 장착된다.
하지만, 도어 글라스의 창틀 역할을 하는 도어 프레임이 생략된 프레임리스 도어(frameless type door)의 경우, 후크의 장착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후크가 장착되지 못하면 걸림부재를 고정할 수 없어 도어커튼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후크를 도어 글라스 상단의 차체에 장착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걸림부재가 도어 글라스 상단의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커튼이 파손되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safety)이 확보됨과 동시에 프레임리스 도어에 장착이 가능한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리스 도어의 열림 시 도어커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는 도어 글라스를 포함하는 도어의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릴 수 있도록 커튼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로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글라스와의 접촉에 따라 변형되는 웨더 스트립;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웨더 스트립에 장착되는 후크; 및 상기 커튼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리도록 상기 후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커튼부의 일단에 장착된 걸림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된 상기 후크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웨더 스트립에 접촉되고 상기 후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후크가 상기 웨더 스트립에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가 움직이도록 변형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의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웨더 스트립이 상기 도어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클립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로 회전하고,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도어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웨더 스트립 및 상기 클립이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웨더 스트립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슬릿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웨더 스트립과 결합되며,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레버 운동 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일단과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의 일단은 상기 웨더 스트립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웨더 스트립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된 후크 걸림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가 상기 웨더 스트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웨더 스트립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후크를 지지하고,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는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레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레버 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위치로 움직이거나 상기 걸림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웨더 스트립의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연장된 변형부: 및 상기 후크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변형부 사이의 절곡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후크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가 웨더 스트립에 장착됨으로써 플레임리스 도어를 구비한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열림 시 후크와 걸림부재의 결속이 해제됨으로써 도어커튼의 파손이 방지되고 고객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는 웨더 스트립(10), 후크(30), 클립(20) 및 커튼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웨더 스트립(10)은 외부의 공기나 소리가 들어오지 않도록 차체(60)에 설치되는 고무 패킹이다. 즉, 상기 웨더 스트립(10)은 도어(도시하지 않음)와 접촉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차체(6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웨더 스트립(10)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차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고무재질로 형성된 상기 웨더 스트립(10)은 탄성력을 지닌다.
상기 차체(60)에는 상기 웨더 스트립(10)을 장착하도록 장착 프레임(16)이 구비된다. 또한, 장착 프레임(16)은 핀(pin) 또는 볼트(bolt) 등의 결합부재(18)에 의해 상기 차체(60)와 결합된다. 이러한 웨더 스트립(10)의 장착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웨더 스트립(10)이 상기 도어의 도어 글라스(50)와 접촉된 것이 도시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상기 웨더 스트립(10)은 차체(60)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중 상기 도어의 상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이며, 도어 프레임(door frame)이 없는 프레임리스 도어(frameless type door)에서는 상기 도어 글라스(50)가 상기 웨더 스트립(10)과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창틀이다. 한편, 프레임리스 도어 및 이에 장착된 도어 글라스(door glass)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웨더 스트립(10)은 연장부(11), 글라스 접촉부(12) 및 슬릿(14)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1)는 상기 장착 프레임(16)에 고정된 상기 웨더 스트립(1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글라스 접촉부(12)는 상기 연장부(11)의 연장된 하단에서 상기 도어 글라스(50)를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된 부분이다. 또한, 상기 글라스 접촉부(12)는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도어 글라스(50)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글라스 접촉부(12)는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도어 글라스(50)와 밀착되어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도어 글라스(50)를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도 1에서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글라스 접촉부(12)가 상기 도어 글라스(50)에 의해 밀려 상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이 도시되었다.
상기 슬릿(14)은 상기 글라스 접촉부(12)에 형성되는 좁은 틈이다. 또한, 상기 슬릿(14)은 상기 글라스 접촉부(1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슬릿(14)은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연장부(11)로부터 상기 글라스 접촉부(12)의 돌출이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30)는 상기 슬릿(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웨더 스트립(10)과 결합한다. 즉, 상기 후크(30)의 일단은 상기 슬릿(1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14)을 관통한 상기 후크(30)의 일단은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연장부(11)와 글라스 접촉부(12)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후크(30)의 타단에는 갈고리 형상의 커튼 걸림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클립(20)은 상기 슬릿(14)을 관통한 상기 후크(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30)가 상기 웨더 스트립(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클립(20)은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연장부(11)와 글라스 접촉부(1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클립(20)은 상기 연장부(11) 및 상기 글라스 접촉부(12)에 접촉되고, 상기 후크(30)를 지지한다. 나아가, 상기 클립(20)은 상기 후크(30)에 탄성력을 공급한다. 즉, 상기 클립(20)은 탄성체일 수 있다.
상기 커튼부(40)는 도어 패널(도시하지 않음)과 도어 트림(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도어 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커튼부(40)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트림의 상단에 형성된 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도어 패널(door panel)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가공되어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판이고, 도어 트림(door trim)은 도어 패널을 감싸는 부재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도어 트림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커튼부(40)의 일부분이 도시되었다. 한편, 상기 도어 패널, 도어 트림 및 상기 커튼부(40)의 장착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튼부(40)의 일단에는 걸림부재(4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2)는 후크 걸림홀(44)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재(42)는 후크(30)의 타단에 형성된 커튼 걸림부(32)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 걸림홀(44)은 갈고리 형상의 상기 커튼 걸림부(32)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된 홀(hole)이다. 즉, 상기 걸림부재(42)는 도어 트림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커튼부(40)의 길이방향 끝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 걸림홀(44)은 상기 커튼부(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기 걸림부재(42)를 관통한다. 한편, 상기 커튼부(4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걸림부재(42)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단에 걸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부재(42)를 당김으로써 상기 커튼부(40)를 상기 도어의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42)와 상기 후크(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상기 클립(20) 및 상기 걸림부재(42)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20)은 지지부(22), 변형부(24) 및 결합부(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립(20)은 하나의 판을 적어도 두 번 이상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지지부(22), 변형부(24) 및 결합부(26)로 구분된다.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클립(20)이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글라스 접촉부(12)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평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열린 경우 상기 지지부(22)가 상기 웨더 스트립(10)에 밀착되는 면이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2)의 단면은 완곡한 곡선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클립(20)이 상기 웨더 스트립(10)에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24)는 상기 지지부(22)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변형부(24)가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글라스 접촉부(12)에 밀착된 상기 지지부(22)로부터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연장부(11)를 향하여 연장된 것이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변형부(24)의 연장된 일단은 상기 연장부(11)에 접촉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변형부(24)와 상기 지지부(22) 사이의 절곡된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변형부(24)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클립(20)의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클립(20)의 변형은 상기 도어 글라스(50)가 상기 글라스 접촉부(12)를 가압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변형된 클립(20)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지닌다. 즉,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변형부(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립(20)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한편, 상기 변형부(24)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연장부(11)에 접촉되는 변형부(24)의 일단은 하측으로 완곡하게 구부러진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클립(20)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변형부(24)의 형상 및 상기 클립(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클립(20)의 변형 및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용이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6)는 상기 슬릿(14)을 관통한 상기 후크(30)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22)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다. 즉, 상기 클립(20)은 일방향으로 두 번 절곡된 'U'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된 결합부(26)의 일면은 상기 글라스 접촉부(1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슬릿(14)에 대향한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26)에는 상기 클립(20)이 상기 후크(30)와 결합되도록 후크 결합홀(28)이 형성된다. 도 3에는 두 개의 후크 결합홀(28)이 형성된 상기 클립(20)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0)는 삽입부(34), 돌출부(36) 및 클립 안착홈(3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34)는 상기 후크(30)의 일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4)가 상기 슬릿(14) 및 상기 후크 결합홀(28)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후크(30)가 상기 웨더 스트립(10) 및 상기 클립(20)과 결합된다. 도 4에는 두 개의 상기 삽입부(34)가 형성된 상기 후크(3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삽입부(34)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릿(14) 및 상기 후크 결합홀(28)의 형상 및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6)는 상기 삽입부(34)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6)가 상기 결합부(26)의 타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후크(30)가 상기 클립(20)과 결속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6)는 상기 후크 결합홀(28)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34)가 상기 클립(20)의 결합부(2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돌출부(36)는 상기 슬릿(14) 및 상기 후크 결합홀(28)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34)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36)는 상기 슬릿(14) 및 상기 후크 결합홀(28)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안착홈(38)은 상기 돌출부(36)와 인접된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 안착홈(38)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상기 클립(20)의 후크 결합홀(28)이 형성된 부분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홈이다. 나아가, 상기 클립 안착홈(38)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클립(20)의 두께 및 상기 후크 결합홀(2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36)의 일단은 상기 클립(20)에 접촉되어 상기 후크 결합홀(28)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6)가 상기 후크 결합홀(28)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두 개의 삽입부(34)는 상기 클립(20)에 의해 상기 돌출부(36)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부러지는 상기 삽입부(34)는 탄성력을 지닌다. 즉, 상기 돌출부(36)가 상기 후크 결합홀(28)을 통과하면, 상기 두 개의 삽입부(34)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클립(20)의 상기 후크 결합홀(28)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클립 안착홈(38)에 안착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이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도 1과 같이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도어 글라스(50)가 자동차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글라스 접촉부(12)가 상기 도어 글라스(50)에 의해 자동차의 내측 방향으로 밀린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 접촉부(12)가 상측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클립(20)의 지지부(22)와 밀착되고,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연장부(11) 및 글라스 접촉부(12)는 상기 클립(20)을 양측에서 가압한다. 이 때, 상기 클립(20)의 변형부(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변형부(24)와 상기 지지부(22)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클립(20)의 형상이 변형된다. 상기 클립(20)의 변형에 의해 상기 클립(20)에 결속된 상기 후크(30)의 일단이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연장부(11)와 글라스 접촉부(12)의 사이에서 단단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후크(30)는 상기 커튼부(40)의 걸림부재를 걸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튼부(40)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되고, 탑승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도어 글라스(50)가 자동차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도어 글라스(50)와 상기 글라스 접촉부(12)의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웨더 스트립(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글라스 접촉부(1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클립(20)으로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 때, 상기 클립(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변형부(24)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글라스 접촉부(12)의 복원에 따라 상기 클립(20)의 지지부(22)는 상기 글라스 접촉부(12)에 접촉되어 이동하고, 상기 클립(20)의 결합부(26) 및 상기 후크(3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22)와 함께 이동된다. 한편, 상기 변형부(24)의 일단은 상기 연장부(11)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클립(20)이 상기 웨더 스트립(10)에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후크(30)는 상기 슬릿(14)을 중심으로 레버 운동한다. 즉, 상기 후크(30)의 일단이 자동차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후크(30)의 타단은 자동차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0)의 커튼 걸림부(32)는 상기 걸림부재(4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커튼 걸림부(32)와 상기 걸림부재(42)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커튼부(40)는 사용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도어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커튼부(40)의 복귀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30)가 웨더 스트립(10)에 장착됨으로써 프레임리스 도어를 구비한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열림 시 후크(30)와 걸림부재(42)의 결속이 해제됨으로써 도어커튼의 파손이 방지되고 고객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웨더 스트립 11: 연장부
12: 글라스 접촉부 14: 슬릿
16: 장착 프레임 18: 결합부재
20: 클립 22: 지지부
24: 변형부 26: 결합부
28: 후크 결합홀 30: 후크
32: 커튼 걸림부 34: 삽입부
36: 돌출부 38: 클립 안착홈
40: 커튼부 42: 걸림부재
44: 후크 걸림홀 50: 도어 글라스
60: 차체

Claims (12)

  1. 도어 글라스를 포함하는 도어의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릴 수 있도록 커튼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글라스와의 접촉에 따라 변형되는 웨더 스트립;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웨더 스트립에 장착되는 후크; 및
    상기 커튼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리도록 상기 후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커튼부의 일단에 장착된 걸림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된 상기 후크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 스트립에 접촉되고 상기 후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후크가 상기 웨더 스트립에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가 움직이도록 변형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웨더 스트립이 상기 도어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클립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로 회전하고,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도어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웨더 스트립 및 상기 클립이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 스트립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슬릿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웨더 스트립과 결합되며,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레버 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단과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의 일단은 상기 웨더 스트립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웨더 스트립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된 후크 걸림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웨더 스트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웨더 스트립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후크를 지지하고,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는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레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레버 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위치로 움직이거나 상기 걸림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움직이는 것을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웨더 스트립의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웨더 스트립의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연장된 변형부: 및
    상기 후크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 스트립의 변형에 따라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변형부 사이의 절곡된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후크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KR1020120086919A 2012-08-08 2012-08-08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KR10180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919A KR101807123B1 (ko) 2012-08-08 2012-08-08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919A KR101807123B1 (ko) 2012-08-08 2012-08-08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479A KR20140020479A (ko) 2014-02-19
KR101807123B1 true KR101807123B1 (ko) 2018-01-10

Family

ID=5026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919A KR101807123B1 (ko) 2012-08-08 2012-08-08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465B1 (ko) 2016-12-21 2022-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커튼
KR102397174B1 (ko) 2017-09-22 2022-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KR102529450B1 (ko) 2018-06-19 202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림량 가변 도어 커튼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72A (ja) 2002-07-11 2004-02-12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の上部取付部材
KR100872449B1 (ko) 2007-11-13 200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커튼 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72A (ja) 2002-07-11 2004-02-12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の上部取付部材
KR100872449B1 (ko) 2007-11-13 200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커튼 걸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479A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3969B2 (ja) ハーネスクリップ
US20120112490A1 (en) Mirror unit, and sun visor body having mirror unit
KR200481508Y1 (ko) 차양 어셈블리를 위한 당김 바 장치
CA2565462A1 (en) Head rail and support bracket
JP5605126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
KR101807123B1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US7703500B2 (en) Bracket and head rail assembly
KR101518908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JP3146520U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部品
US8123287B2 (en) Roof for a motor vehicle
JP6583243B2 (ja) ベルトモール取付構造
KR101756096B1 (ko) 차량용 도어트림과 도어커튼 하우징 조립 구조
KR20180066349A (ko) 자동차용 선루프 장착용 파스너
JP3827505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4861720B2 (ja) ドアモール用クリップ
JP5760737B2 (ja) ドアトリム
JP2008195267A (ja) 車両のトリ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544210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の締結装置
CN105539088A (zh) 用于车辆的车门窗帘
KR101845764B1 (ko)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JP6094417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6839612B2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
JP7406954B2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
KR102543632B1 (ko)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