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764B1 -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764B1
KR101845764B1 KR1020120081613A KR20120081613A KR101845764B1 KR 101845764 B1 KR101845764 B1 KR 101845764B1 KR 1020120081613 A KR1020120081613 A KR 1020120081613A KR 20120081613 A KR20120081613 A KR 20120081613A KR 101845764 B1 KR101845764 B1 KR 10184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bar
hook
shade
do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56A (ko
Inventor
유동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7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내에 수납된 커튼부의 상단으로 쉐이드바가 결합되고 상기 쉐이드바는 상측 고정지점에 위치하는 후크에 탈착가능한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진입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의 일측을 개통하도록 파단부가 형성된 쉐이드바; 및 상기 파단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쉐이드바에 결합된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에는 클립부가 거치되되, 상기 클립부는 쉐이드바의 이동시 후크에서 이탈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커튼은 도어 오픈시 커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쉐이드바가 이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상측프레임이 삭제된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서도 도어커튼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Structure of door-curtai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글라스 상단에 위치한 상측프레임이 없는 도어(프레임리스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는 바깥에서 차량 내부가 보이기 때문에 차종에 따라서 탑승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커튼이 추가적으로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도어커튼은 버튼 조작을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자동식과 탑승자가 손으로 들어올러 도어의 상측프레임에 장착된 후크에 고정하는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이중, 도 1a 를 참조하여 수동식 도어커튼을 살펴보면, 상기 수동식 도어커튼은, 윈도우글라스(5)와 인접하여 도어(1)의 트림에서 상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직물재로 구성된 커튼부(4);와 상기 커튼부(4)를 도어(1)의 상측프레임(1a)에 장착된 후크(2)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튼부(4)의 상단에 장착되며 끼움홀(3a)이 형성된 쉐이드바(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식 도어커튼은 탑승자가 차량 내부에서 쉐이드바(3)를 들어올린 후 도어(1)의 상측프레임(1a)에 결합된 후크(2)에 (쉐이드바에 형성된) 끼움홀(3a)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크(2)의 끝단은 차량의 흔들림에도 쉐이드바(3)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절곡된 모양의 걸림부(2a)가 형성된다.
하지만,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 에 도시된 도어와는 달리) 상측프레임이 없는 프레임리스 도어에는 상기 쉐이드바를 고정시킬 후크를 장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록, 윈도우글라스 안쪽 위치(X)에서 쉐이드바(3)와 커튼부(4)가 결합된 도어커튼을 부설하고, 차체의 상측 패널(루프 패널) 일측으로 소정의 위치(Y)에 후크(2)를 부설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서는 탑승자가 커튼부(4)를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열게될 경우, 상기 커튼부(4) 및/또는 후크(3)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윈도우글라스 위로 상측프레임이 삭제된 차량용 도어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차량용 도어 커튼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본 발명은 상측프레임의 유무와 상관없이 즉, 후크가 상측프레임 또는 차체 둘 중 어느 곳에 장착되더라도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내에 수납된 커튼부의 상단으로 쉐이드바가 결합되고 상기 쉐이드바는 상측의 고정지점(더 상세하게는 도 1b 의 Y 위치 또는 도어의 상측 프레임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는 후크에 탈착가능한 차량용 도어커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진입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의 일측을 개통하도록 파단부가 형성된 쉐이드바; 및 상기 파단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쉐이드바에 결합된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에는 클립부가 거치되되, 상기 클립부는 쉐이드바의 (내외측방향을 따라서 또는 상하측방향을 따라서) 이동시 후크에서 이탈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쉐이드바는 제1쉐이드바와 제2쉐이드바가 적층되도록 결합되며, 그 사이로 클립부가 끼워지져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는, 제1쉐이드바와 제2쉐이드바 사이로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후크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절곡된 탄성회동부; 및 상기 탄성회동부의 끝단에서 라운딩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쉐이드바가 내외측방향을 따라 이동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외측의 가로길이가 내측 가로길이 보다 더 짧게 형성된 판 모양이고, 상기 쉐이드바는 제2쉐이드바가 제1쉐이드바 보다 먼저 후크에 진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2쉐이드바는 후크에 거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클립부는, 쉐이드바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결합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커튼은 도어 오픈시 커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쉐이드바가 이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상측프레임이 있는 도어는 물론) 상측프레임이 삭제된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서도 도어커튼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쉐이드바는 두 개가 적층되도록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그 사이로 클립부는 물론 커튼부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쉐이드바가 후크에 거치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클립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는 상측프레임이 있는 도어에 종래 구조의 도어커튼이 장착된 모습 및 상기 도어커튼의 쉐이드바가 후크에 고정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및 단면 모습이 나타난 도면,
도 1b 는 상측프레임이 삭제된 프레임리스 도어의 사진이 나타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쉐이드바가 후크에 끼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표시된 A 부분의 투시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쉐이드바가 후크에 끼워진 모습을 윗쪽에서 바라본 도시한 이미지,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클립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바(10)는 도어 트림 내에서(가령, 도 1b 에 도시된 X 위치에서) 수납되는 커튼부(13)의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후크(30)는 프레임리스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 상단에서(가령, 도 1b 에 도시된 Y 위치에서) 장착된다.
도 2 내지 도 4 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30)는 판모양을 가지며 쉐이드바(10)와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차체 상단에 고정장착되되, (종래의 구조와 유사하도록) 상측으로 절곡된 걸림부(11)가 끝단에 형성된다.
(도 4 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0)는 걸림부(31)가 형성된 외측(차량의 바깥쪽)의 가로길이가 내측(차량의 실내쪽) 가로길이 보다 더 짧게 형성된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쉐이드바(10)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상기 후크(30)가 내외측 방향을 따라 진입하도록 끼움홀(1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11)의 상측을 개통하도록 파단부(1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쉐이드바(10)는 제1쉐이드바(10a)와 제2쉐이드바(10b)가 양면에서 서로 부착도록(적층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그 사이로, 하단에는 직물로 구성된 커튼부(13)가 끼워져 고정되고, 파단부(12)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마주하도록 클립부들(20: 20a, 20b)이 각각 끼워지져 고정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부(20)는 절곡된 모양을 갖되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즉, 상기 클립부(20)는 제1쉐이드바(10a)와 제2쉐이드바(10b) 사이로 끼워지는 지지부(23)와, 상기 지지부(23)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후크(30)의 걸림부(31)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절곡된 탄성회동부(21) 및 상기 탄성회동부(21)의 끝단에서 라운딩된 만곡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3)는 클립부(20)를 고정시키며, 상기 탄성회동부(21)는 (도어 커튼을 내리지 않고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함에 따라) 후크(30)의 걸림부(31)가 맞닿아 가압되면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22)는 걸림부(31)에 맞닿아 탄성회동부(21)의 탄성회전이 발생할 때 긁힘 또는 마찰력이 증가되지 않도록 절곡된 부분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커튼 구조에서, 상기 쉐이드바(10)는 클립부(20)가 후크(30)의 상측에 거치되도록 후크(30)와 결합되되, 상기 클립부(20)는 쉐이드바(10)가 내외측방향을 따라 이동시 걸림부(31)에서 이탈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회동된다.
아울러, 쉐이드바(10)의 이탈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쉐이드바에 가해진 하중이 클립부(20)로 편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본 발명의 쉐이드바(1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쉐이드바(10b)가 제1쉐이드바(10a) 보다 먼저 후크(30)에 진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2쉐이드바(10b)는 후크에 거치가능하다.
즉, 제1쉐이드바(10a)에 형성된 파단부의 길이(d1) 보다 제2쉐이드바(10b)에 형성된 파단부의 길이(d2)가 더 짧게 형성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0)는 내측의 가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모양을 가짐으로서 제2쉐이드바(10b)는 후크(30)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립부(20)는 판스프링 형태로서 소정의 압력에 따라 회동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토션스프링이 결합된 구성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립부는 제1쉐이드바(10a) 및/또는 제2쉐이드바(10b) 사이에 고정된 힌지축(42)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지지판(40) 및 상기 지지판(4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결합된 토션스프링(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쉐이드바
11 : 끼움홀
12 : 파단부
20 : 클립부
30 : 후크
31 : 걸림부

Claims (5)

  1. 후크가 진입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의 일측을 개통하도록 파단부가 형성된 쉐이드바; 및
    상기 파단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쉐이드바에 결합된 클립부; 및
    상기 후크에는 클립부가 거치되되, 상기 클립부는 쉐이드바의 이동시 후크에서 이탈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도어 내에 수납된 커튼부의 상단으로 쉐이드바가 결합되고 상기 쉐이드바는 상측의 고정지점에 위치하는 후크에 탈착가능한 차량용 도어커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쉐이드바는 제1쉐이드바와 제2쉐이드바가 적층되도록 결합되며, 그 사이로 클립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제1쉐이드바와 제2쉐이드바 사이로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후크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절곡된 탄성회동부; 및
    상기 탄성회동부의 끝단에서 라운딩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쉐이드바가 내외측방향을 따라 이동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외측의 가로길이가 내측 가로길이 보다 더 짧게 형성된 판 모양이고,
    상기 쉐이드바는 제2쉐이드바가 제1쉐이드바 보다 먼저 후크에 진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2쉐이드바는 후크에 거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쉐이드바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결합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KR1020120081613A 2012-07-26 2012-07-26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KR10184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13A KR101845764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13A KR101845764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56A KR20140014756A (ko) 2014-02-06
KR101845764B1 true KR101845764B1 (ko) 2018-04-05

Family

ID=5026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613A KR101845764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395B (zh) * 2015-05-29 2019-01-04 徐府实业股份有限公司 车用遮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5014A (ja) * 2005-12-06 2007-06-21 Calsonic Kansei Corp 部品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5014A (ja) * 2005-12-06 2007-06-21 Calsonic Kansei Corp 部品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56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8747C2 (ru) Двойной стеклопакет
JPWO2013062060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EP3453824A1 (en) Screen device
CN102057126A (zh) 隔离幕装置
KR20070014069A (ko) 윈도우 리프터의 창유리 유지용 조립체
EP2074273B1 (en) A method for securing a screening device to a window
ES2738586T3 (es) Sistema de seguridad anti-caídas para alas, puertas, puertas principales, puertas basculantes, ventanas, ventanas vasistas
KR101845764B1 (ko)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KR101807123B1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KR101713797B1 (ko) 자체 위치고정구조를 갖는 커튼 내장형 이중창호
JP683552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車両用ドア
JP6832333B2 (ja) カーテンレール装置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CN110612376B (zh) 用于窗户的铰链、包括一组这种铰链的窗户及安装这种窗户的方法
KR101756115B1 (ko) 창문 이탈방지용 판스프링
KR100985753B1 (ko)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US4438897A (en) Headrail installation bracket
CN212359504U (zh) 一种滑出窗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EP2231968B1 (en) Door latch
JP4860943B2 (ja) 扉装置
KR102631092B1 (ko) 블라인드 설치용 버튼브라켓
KR102355878B1 (ko) 쉐이드바의 이동으로 빛 차단 효과가 개선된 도어커튼
KR20100096321A (ko)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햇빛 가리개
JP5565638B2 (ja) 自動車用簡易カーテ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