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74B1 -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 Google Patents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74B1
KR102397174B1 KR1020170122367A KR20170122367A KR102397174B1 KR 102397174 B1 KR102397174 B1 KR 102397174B1 KR 1020170122367 A KR1020170122367 A KR 1020170122367A KR 20170122367 A KR20170122367 A KR 20170122367A KR 102397174 B1 KR102397174 B1 KR 10239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hook
glass run
door fram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778A (ko
Inventor
정두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separately inserted fastening means, e.g. using clips, bead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텐후크를 글라스런에 인서트시킴으로써, 커튼 후크에 의해 시계성 저하를 없애고, 또한 스틸 인서트 일체형 구조인한 강성확보와 후크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로, 상기 커튼후크(100)는 글라스런(20) 사출시 인서트되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인서트클립(110); 및 상기 외부로 노출형성된 인서트클립(110)에 삽입되어 커튼프레임(41)이 탈, 부착되는 후크부재(12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GLASS RUN STRUCTURE IN WHICH CURTAIN HOOD IS INSERTED}
본 발명은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커텐후크를 글라스런에 인서트시킴으로써, 커튼 후크에 의해 시계성 저하를 없애고, 또한 스틸 인서트 일체형 구조인한 강성확보와 후크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글라스런은 차량의 도어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글라스가 완전히 닫히면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에 밀착되어 기밀, 수밀성을 제공한다.
또한, 고급 차량의 경우 실내의 노출을 방지하거나 차광을 하기 위한 도어 커튼이 상기 글라스런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0)에 도어 글라스 런(20)이 설치하되, 상기 도어 글라스런(20)가 설치된 하측 도어프레임(10)에 커텐후크(30)를 고정하기 위한 홀(11)을 레이저 피어싱 공정을 통해 홀 가공한 후, 상기 홀(21)에 커텐후크(30)를 고정하였다.
그리고 블라인드(40)의 커튼프레임(41)에 형성한 걸림공(41a)을, 상기 커텐후크(30)에 걸어맞춤하여 햇볕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도 2는 종래 커텐후크의 설치 위치가 도어프레임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인너패널(50)에 홀 가공되고, 이 홀에 커텐후크(3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되
는 도 1 및 도 2에 설치되는 커텐후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도어 프레임 하단에 돌출형태로 별물로 설치됨으로서, 상품성이 저하된다.
둘째, 커텐후크 설치를 위해 도어 프레임에 홀 가공이 필요하며 좁은 면적의 도어프레임에 가공하기 위해 비싼 레이져 피어싱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공비용이 증가한다.
셋째, 홀 가공시 생기는 버(BURR)에 의한 이음 발생의 원인이 된다.
넷째, 커텐후크의 결합력으로만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커텐후크의 내구성 및 결합력 증대시키기 위해 걸림후크가 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사항이다.
다섯 번째, 상기와 같이, 결합후크의 증대는 실내 및 실외의 외관성 저하를 유발하며, 실내 내측에서의 시계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여섯 번째, 걸림후크의 방향이 실외측을 향하고 있어 사용자가 커텐을 거치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후쿠가 형성된 금속재 클립을 글라스런 내측에 인서트 가공함으로써, 후 가공에 따른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를 제안하게 되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4428호 (2005.06.01)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959호 (2014.06.02)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0479호 (2014. 02. 19)
따라서, 본 발명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후크를 글라스런에 인서트시킴으로써, 커튼 후크에 의해 시계성 저하를 없애고, 또한 스틸 인서트 일체형 구조인한 강성확보와 후크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글라스런에 커튼프레임과 블라인드로 구성된 커튼을 탈, 부착하는 커튼후크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튼후크는 글라스런 사출시 일부는 인서트되고, 일부 타측은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인서트클립; 및
상기 외부로 노출형성된 인서트클립에 삽입되어 커튼프레임이 탈, 부착되는 후크부재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차량용 글라스런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종래의 문제점인 커텐후크를 설치하기 위해 도어프레임이나 글라스런에 구멍을 뚫기 위한 레이져 피어싱 등이 필요하지 않어 가공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둘째, 종래와 같이 홀 가공을 하지 않음으로써, 홀에 생기는 버에 의한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셋째, 글라스런 내측에 금속제 인서트클립을 인서트시킴으로써, 결합력의 증대를 꾀할 수가 있다.
넷째, 후크 방향이 실내 측으로 향하고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커텐을 거치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다섯째, 글라스런에 일체로 인서트시킴으로써, 후크의 돌출 량이 크게 줄어들어 외관 상품 성 및 시계성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커텐후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 차량용 커텐후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텐후크 만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형성된 커텐후크가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커텐후크를 구성하는 인서트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인서트클립에 클립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는 차량용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글라스런(20)에 커튼프레임(41)과 블라인드(40)로 구성된 커튼을 손쉽게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튼을 탈부착할 수 있는 커튼후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런(20) 사출시 인서트되게 사출된다.
이때, 상기 커튼후크(100)를 구성하는 인서트클립(110)의 일부는 인서트되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후크부재(120)와 결합된다.
즉, 상기 외부로 노출형성된 인서트클립(110)의 일단에는 커튼프레임(41)이 탈, 부착되는 후크부재(12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클립(110)은 금속재이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클립(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철판을 여러 형태로 구부린 것으로, 즉, 대략 "U"자 형상 또는 "V"형상으로 구부려서 글라스런(20)을 도어프레임(10)에 대해 밀착고정하기 위한 탄성홈(111a)을 가지는 몸체(11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1)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꺾여져 있는 제1 굴곡부(11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1) 타측에는 클라스런 외부에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후크부재(120)가 삽입되기 제2 굴곡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굴곡부(112)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 내측에 돌출된 부분을 누르도록 대략 역 "V"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꺾여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굴곡부(112)와 탄성홈(111a)을 가지는 몸체(111)에 의해 도어프레임 내측부를 강건하게 잡아줄 수가 있다.
또한, 제2 굴곡부(113)는 상기 제1 굴곡부(112) 쪽으로 대략 "L" 형상으로 꺾여져 있다.
이는 후크부재(120)가 설치되었을 때 최대한 시야 확보를 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출 형성된 제2 굴곡부(113)에는 후크부재(120)가 삽입 고정되는데, 상기 후크부재(120)는 통상적인 튜브형상으로 하되,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막혀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재(120)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서트클립(110)을 글라스런(20) 사출시 인서트시켜 일체화함으로써, 후크 장착시 발생하는 공차(간격)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무엇보다도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제 인서트클립에 의해 글라스런을 도어프레임 내측에 견고하고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인서트클립에 의해 커텐후크로써 종래보다 강건하게 지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후크부재(120)가 실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커텐의 탈부착이 자유로우며, 글러스런(20) 하단 위쪽에 설치되어 시야확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도어프레임
20 : 글라스런
40 : 블라인드
41 : 커튼프레임
100 : 인서트클립
111 : 몸체
111a : 탄성홈
112 : 제1 굴곡부
113 : 제2 굴곡부
120 : 후크부재

Claims (3)

  1. 차량용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글라스런(20)에 커튼프레임(41)과 블라인드(40)로 구성된 커튼을 탈, 부착하는 커튼후크(100)는 글라스런(20) 사출시 일부는 인서트되고 일부 타측은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인서트클립(110); 및 상기 외부로 노출형성된 인서트클립(110)에 삽입되어 커튼프레임(41)이 탈, 부착되는 후크부재(120);로 구성된 커튼후크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클립(110)은 탄성력을 가지며 도어프레임(10)에 대해 글라스런(20)을 밀착고정하기 위한 탄성홈(111a)을 가지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꺾여져 있는 제1 굴곡부(112)와; 상기 몸체(111) 타측에 형성되며 클라스런 외부에 형성되어 후크부재(120)가 삽입되기 제2 굴곡부(1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70122367A 2017-09-22 2017-09-22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KR10239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67A KR102397174B1 (ko) 2017-09-22 2017-09-22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67A KR102397174B1 (ko) 2017-09-22 2017-09-22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78A KR20190033778A (ko) 2019-04-01
KR102397174B1 true KR102397174B1 (ko) 2022-05-13

Family

ID=6610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67A KR102397174B1 (ko) 2017-09-22 2017-09-22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49B1 (ko) 2007-11-13 200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커튼 걸이 장치
JP2010184672A (ja) * 2009-02-13 2010-08-26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サンシェードフックの取付け構造
JP2014004901A (ja) 2012-06-22 2014-01-16 Piolax Inc フ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428B1 (ko) 2003-09-16 2005-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싸이드 도어 커튼 걸이 구조
KR101807123B1 (ko) 2012-08-08 2018-0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KR101404959B1 (ko) 2013-01-21 2014-06-12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후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49B1 (ko) 2007-11-13 200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커튼 걸이 장치
JP2010184672A (ja) * 2009-02-13 2010-08-26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サンシェードフックの取付け構造
JP2014004901A (ja) 2012-06-22 2014-01-16 Piolax Inc フ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78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9474A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KR101518908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MX2014015330A (es) Sistema de sellado de cristales.
KR101724919B1 (ko) 분리 클립 방식 도어아웃벨트유닛과 이를 적용한 차량 도어
JP2018112207A (ja) クリップ及びドアトリムの取り付け構造
KR101518906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2397174B1 (ko)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CN111845299A (zh) 具有密封组件的车辆
CN205686250U (zh) 一种背门扣手盒及汽车
KR100821143B1 (ko) 물건을 적재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트림의 고정 장착구조
JP5908799B2 (ja) ベルトモール
JP5489273B2 (ja) 車両用内装部品
KR20070040487A (ko) 에스유브이 차량의 쿼터 글래스의 인캡설레이션 몰딩의장착구조
KR100820442B1 (ko)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KR10055905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1305117B1 (ko) 자동차용 쿼드런트 인너커버 체결 장치
CN211684935U (zh) 一种侧饰板铰链饰圈及汽车
KR102131014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KR101962295B1 (ko) 차량 측면 보호구
CN105818656A (zh) 一种汽车车门密封条的固定结构
KR20090000985A (ko) 프레임 도어의 웨더스트립 지지용 몰딩 구조
KR100928282B1 (ko) 자동차용 모듈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