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886Y1 -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886Y1
KR200426886Y1 KR2020060018228U KR20060018228U KR200426886Y1 KR 200426886 Y1 KR200426886 Y1 KR 200426886Y1 KR 2020060018228 U KR2020060018228 U KR 2020060018228U KR 20060018228 U KR20060018228 U KR 20060018228U KR 200426886 Y1 KR200426886 Y1 KR 200426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fixing member
window gla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해 이
Original Assignee
용 해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해 이 filed Critical 용 해 이
Priority to KR2020060018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창짝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 보강심의 고정 시, 상기 고정부재의 돌출을 방지함으로써,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창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는, 창유리 안착면을 통과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보강심을 고정시켜, 합성수지 재질의 창짝 프레임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안착면에는 길이방향의 고정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넓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창유리 안착면으로의 고정부재 머리부 돌출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창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틀 프레임, 창짝 프레임, 고정부재 안착홈, 창유리 안착면, 밀착편, 보강심, 지지편, 밀착편

Description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The Fastening Structure for Reinforcement Member of Window and Doors Frame}
도 1은 종래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3은 창유리 지지편과 보강심 및 창유리가 결합된 종래의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6은 창유리 지지편과 보강심 및 창유리가 결합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 프레임 10 : 창짝 프레임
10a : 고정부재 안착홈 12 : 창유리 지지벽
14 : 창유리 밀착편 결합홈 16 : 창유리 안착면
18 : 보강심 삽입공 20 : 고정부재
30 : 창유리 밀착편 50 : 보강심
60 : 창유리
본 고안은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창짝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 보강심의 고정 시, 고정부재의 돌출을 방지함으로써,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창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테두리가 되는 2개의 가로 창짝 프레임과 2개의 세로 창짝 프레임, 상기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구 및, 상기 테두리에 의해 보호되는 창유리로 구성되고, 상기 창짝 프레임 및 결합구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는 각각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심이 고정된다.
상기 보강심은 상기 창짝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창짝 프레임 보강심 고정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은 그 구조가 동일함에 따라 하나의 창짝 프레임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창짝 프레임(10)은, 상부 일측이 상향 돌출 고정된 창유리 지지벽(12)과, 상기 창유리 지지벽(12)의 반대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창유리 밀착편 결합홈(14)과, 상기 창유리 지지벽(12)과 상기 창유리 밀착편 결합홈(14) 사이에 형성된 창유리 안착면(16)과,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의 하단에 형성된 "┌┐" 형상의 보강심 삽입공(18)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창짝 프레임(10)에 있어서, 창유리 밀착편 결합홈(14)에는 창유리 밀착편(30)이 결합되고, 상기 "┌┐" 형상의 보강심 삽입공(18)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강심(50)이 삽입되며, 이어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상에 고정부재(20)를 관통시켜 상기 보강심(50)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심(5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임에 따라, 상기 창유리 안착면(16)과 보강심(50)에 전동드릴 등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20)를 직접 관통시킴으로써, 보강심(50)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3은 창유리 지지편과 보강심 및 창유리가 결합된 종래의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1)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짝 프레임(10)의 창유리 안착면(16)(도 1에 도시)에 안착된 창유리(60)는 창유리 지지벽(12)과 창유리 밀착편(30) 사이에서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어 상기 창유리 지지벽(12)과 창유리(60) 그리고 상기 창유리 밀착편(30)과 창유리(60) 사이의 접촉면에는 실리콘 등의 본딩재를 발라 상기 창유리(6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창유리(60)의 고정 시, 상기 창유리(60)의 바닥면은 보강심(50)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20)의 머리부에 접촉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0)가 창유리 안착면(16)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창유리(60)의 바닥면은 상기 고정부재(20)의 돌출된 머리부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창유리(60)가 고정부재(20)의 돌출된 머리부에 접촉됨에 따라 작은 충격에도 창유리(6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창유리 안착면(16)상에 고정부재(20)를 관통시켜 보강심(50)을 고정시킬 경우, 상기 고정부재(20)의 관통위치가 정해지지 않아 관통위치를 작업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고정부재(20)를 체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0)가 동일 선상에 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창짝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 보강심의 고정 시 고정부재의 돌출을 방지하여 창유리가 상기 창짝 프레임의 창유리 안착면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창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의 관통위치가 정해짐에 따라 고정부재가 항상 동일 선상에 체결되도록 한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는, 창유리 안착면을 통과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보강심을 고정시켜, 합성수지 재질의 창짝 프레임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안착면에는 길이방향의 고정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고정부재 안착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넓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창유리 안착면으로의 고정부재 머리부 돌출이 방지됨에 따라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창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에 창유리 지지편 및 보강심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은, 상부 일측이 상향 돌출 고정된 창유리 지지벽(12)과, 상기 창유리 지지벽(12)의 반대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창유리 밀착편 결합홈(14)과, 상기 창유리 지지벽(12)과 상기 창유리 밀착편 결합홈(14) 사이에 형성된 창유리 안착면(16)과,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의 하단에 형성된 "┌┐" 형상의 보강심 삽입공(18)이 구비된 창짝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부재 안착홈(1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10a)은 고정부재(20)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폭 및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서는,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상에 고정부재(20)를 관통시켜 상기 보강심(50)을 고정시킬 때, 상기 고정부재(20)가 창유리 안착면(16)에 형성된 고정부재 안착홈(10a)을 통해 관통되어 보강 심(5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의 머리부는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10a) 내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20)의 머리부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창유리 지지편과 보강심 및 창유리가 결합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1)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유리(60)는 종래와 동일하게 창유리 지지벽(12)과 창유리 밀착편(30) 사이에서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창유리(60)의 바닥면은 창유리 안착면(16)에 접촉된다. 즉, 고정부재(20)가 창유리 안착면(16)에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창유리(60)의 바닥면은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창유리(60)가 창유리 안착면(16)에 접촉됨에 따라, 창유리(60)의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창유리 안착면(16)상에 고정부재(20)를 관통시켜 보강심(50)을 고정시킬 경우, 상기 고정부재(20)가 상기 창유리 안착면(16)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고정부재 안착홈(10a)(도 4에 도시)을 따라 관통됨에 따라 고정부재(20)를 항상 동일 선상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는, 창짝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 보강심의 고정 시 고정부재의 돌출을 방지하여 창유리가 상기 창짝 프레임의 창유리 안착면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창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를 항상 동일 선상에 체결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업성을 형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창유리 안착면을 통과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보강심을 고정시켜, 합성수지 재질의 창짝 프레임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안착면에는 길이방향의 고정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넓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KR2020060018228U 2006-07-05 2006-07-05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KR200426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28U KR200426886Y1 (ko) 2006-07-05 2006-07-05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28U KR200426886Y1 (ko) 2006-07-05 2006-07-05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886Y1 true KR200426886Y1 (ko) 2006-09-20

Family

ID=4177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228U KR200426886Y1 (ko) 2006-07-05 2006-07-05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88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02B1 (ko) 2006-10-16 2008-01-28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용 유리고정테
KR101249140B1 (ko) * 2007-11-02 2013-03-29 (주)엘지하우시스 내풍압 강화구조를 갖는 창호
KR101566931B1 (ko) * 2013-12-30 2015-11-09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KR20170000096U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코스 유리창 고정 마감부재
KR200494240Y1 (ko) * 2020-10-26 2021-09-02 주식회사 톱스톡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창문 프레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02B1 (ko) 2006-10-16 2008-01-28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용 유리고정테
KR101249140B1 (ko) * 2007-11-02 2013-03-29 (주)엘지하우시스 내풍압 강화구조를 갖는 창호
KR101566931B1 (ko) * 2013-12-30 2015-11-09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KR20170000096U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코스 유리창 고정 마감부재
KR200483914Y1 (ko) * 2015-06-29 2017-07-10 주식회사 코스 유리창 고정 마감부재
KR200494240Y1 (ko) * 2020-10-26 2021-09-02 주식회사 톱스톡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창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886Y1 (ko) 창짝 프레임의 보강심 고정구조
JP5067175B2 (ja) 車載用の電気接続箱
JP4762696B2 (ja) 野縁取付具及び野縁取付装置
JP2005263164A (ja) ドアサッシュ補強構造
JP3144289U (ja) ドア枠
KR20090041608A (ko) 조립형 고정브라켓
JP5187136B2 (ja) スイッチを有する外装部品の組付方法及び組付構造
KR100723448B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JP4840065B2 (ja) 配電盤用化粧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盤
JP6497219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JP5516281B2 (ja) サイドバイザーの取付構造
JP4276236B2 (ja) 足場システム
JP2009220620A (ja) ベルトモール構造体
KR20080027652A (ko) 냉장고의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JP7448432B2 (ja) ふかし枠取付構造および建具
KR100571669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CN209769658U (zh) 滑轨安装组件
JP2003205188A (ja) シートバック
KR10060014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벨트부 보강 구조
JP2011038327A (ja) プレート部材の取付具
JP4622529B2 (ja)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の取り付け構造
JP4081334B2 (ja) 外装材固定金具
KR100270426B1 (ko) 승합차의 사이드 윈도 고정구조
JP543999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