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631B1 -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631B1
KR100444631B1 KR10-2002-0027251A KR20020027251A KR100444631B1 KR 100444631 B1 KR100444631 B1 KR 100444631B1 KR 20020027251 A KR20020027251 A KR 20020027251A KR 100444631 B1 KR100444631 B1 KR 100444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content
window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127A (ko
Inventor
박재완
홍성표
윤여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0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53Concurrent recording or playback of different streams or files
    • G11B2020/10962Concurrent recording or playback of different streams or files wherein both recording and playback take place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표시방법은, 더블데크의 어느 하나에 삽입된 기록매체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 때에, 상기 더블 데크에 각기 할당된 소정디지트 수의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사이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디지트를 갖는 경계창으로 구획되어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표시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등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경계창 모두를 통해 스크롤하면서 표시한다. 이로써, 각 데크에 대해, 영역구분된 표시창에서 구분가능하게 정보표시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속적인 스크롤에 의해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인식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Content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double-deck disk device}
본 발명은,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RW 등과 같은 기록가능 매체와, CD-ROM 등과 같은 재생전용 매체에 대해 각기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데크 메카니즘이 구비된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 각 데크에 대한 동작을 표시하도록 설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panel)을 통해,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컨텐츠(contents)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과 같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하나의 데크를 가진 디스크 플레이어는, 현재 시각( 또는 재생시각 )이나 플레이어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는 비동작 상태에서는 보통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고 있다가, 장착된 디스크에 수록된 음악 파일 등의 재생을 수행할 때는 그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곡제목, 가수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하고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의 표시후에는 재생하는 음악의 재생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폭이 넓지 않아, 글씨를 표현하는 디지트(digit) 표시자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곡제목이나 가수 등의 정보를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할 때는 좌에서 우로, 또는 그 역으로 스크롤(scroll)시키면서 전체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기록매체가 상용화되어 보편화 되면서,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와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크 메커니즘이 함께 구비된 더블 데크(double-deck) 디스크 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이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음은 물론, 재생하는 동안 재생되는 데이터를 또 하나의 데크에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도 있다. 물론, 기록용 데크에 재생전용 디스크를 삽입하여 그에 수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는 각 데크에 대해 독립적으로 디스크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각 데크에 대한 동작상태를 독립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필요하다. 하지만, 회로적으로 따로 구성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므로 통상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그 패널상에서 각 데크에 대한 상태 또는 현재 동작을 나타내는 표시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도 1은 이와 같이 사용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데크에 대한 상태 또는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디지트 표시자가 구비된 제 1및 제 2 표시창(101,102)과, 상기 제 1및 제 2표시창을 시각적으로 확연히 구분시키는 경계영역(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경계영역(103)은 각 표시창(101,102)의 영역 구획만을 위해서 확보되므로, 디지트 표시자가 패널(100)내에 구비되지 않는다. 설령, 구비되어 있더라도 그 디지트 표시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는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 구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더블데크 디스크장치도, 비동작상태에서 상기 표시창(101,102)중 어느 하나에 현재시각을 표시하고 있다가, 재생요청이 입력되어 디스크에 수록된 곡을 재생할 때 재생되는 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상에 표시한 후 다시 곡의 재생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 때 앞서 설명한 단일데크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구현된 표시방법을 채택하게 되면, 좌에서 우로 스크롤되는 중에 경계영역(103)에서 잠시 정보가 사라지게 되므로 스크롤이 자연스럽지 못하게 된다.
또한, 데크가 복수로 구비됨으로 인해, 디스크 장치에는 두 개의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는 데, 하나의 디스크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또 하나의 데크에 있는 디스크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어떤 데크에 있는 디스크가 재생되고 있는 지를 망각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단일데크의 디스크 플레이어가 채택하고 있는 정보 표시방법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전영역에 걸쳐 스크롤될 것이므로, 표시되고 있는 정보만으로는 현재 동작이 어떤 데크에 있는 디스크에 대해 수행되고 있는 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스크에 대해 이젝트키를 입력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곡이 중단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다시 삽입하여 해당 곡을 재개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복수의 데크 메카니즘이 구비된 디스크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영역 또는 부분적인 영역에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끊어짐이 없이 자연스럽게 스크롤되게 하는 표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더하여 현재 어느 데크에서 디스크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구분영역을 표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분창에 할당된 디지트 표시자와 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창에만 현재 시각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스크롤되는 컨텐츠 정보와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크를 가리키는 표시자가 함께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컨텐츠 정보가 최초 스크롤될 때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오디오시디에 오디오 곡이 곡에 대한 정보와 함께 기록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데크부 10, 20 : 광디스크
11, 21 : 광픽업 12 : 기록/재생신호 처리부
13, 23 : 제어부 14 : 키 입력부
15 : 신호 변환부 17, 25 : D/A 변환기
18 : A/D 변환기 19 : RTC (Real Time Clock)
22 : 재생신호 처리부 30 : 디스플레이 패널(panel)
30a, 30b : 표시창 30c : 경계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은, 더블데크의 어느 하나에 삽입된 기록매체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1단계; 상기 더블 데크에 각기 할당된, 소정디지트 수의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사이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디지트를 갖는 경계창으로 구획되어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표시하는 2단계; 및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경계창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표시창을 통해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의 표시장치는, 더블데크에 각기 할당된, 소정디지트 수의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사이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디지트를 갖는 경계창으로 구획되어진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더블데크의 어느 하나에 삽입된 기록매체에 대해 임의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컨텐츠 및/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크롤하면서 표시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기 경계창의 디지트를 활성화시켜 정보표시에 사용하고, 스크롤하지 않고 표시할 때는 상기 경계창의 디지트를 비활성시켜 사용치 않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디스크 장치는, 예를 들어 CD-RW 등과 같은 기록가능 매체를 재생 또는 기록하기 위한 제1 데크(1)와, CD-ROM 등과 같은 재생전용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데크(2)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제 1데크(1) 및 제 2데크(2)의 광디스크(10,20)에 기록된 신호를 독출하거나 또는 기록하기 위한 광픽업(11,21); 해당 광픽업(11,21)에서 독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로 복원하거나 또는 입력 신호를 기록에 적합한 신호로 변조처리하는 기록/재생신호 처리부(12)와, 독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로 복원하는 재생신호 처리부(22); 상기 기록/재생신호 처리부(12)에 의해 복원된 오디오 데이터가 고밀도 씨디(HD-CD: High-Density CD)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또는 MP3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이를 변환하여 PCM데이터로변환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15);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18); 입력되는 PCM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 출력하기 위한 D/A 변환기(16,17); 현재 날짜 및 시각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TC(Real Time Clock)(19); 제 1표시창(30a)과 제 2표시창(30b) 그리고 경계창(30c)로 구성되며, 각 창(30a,30b,30c)의 디지트 표시자에 대한 구동회로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30); 사용자의 키입력을 위한, 리모콘 등의 키입력부(14); 제 1데크(1)의 디스크 동작에 관련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 1제어부(13); 및 제 2데크(2)의 디스크 동작에 관련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키입력부(14)를 통한 키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표시동작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경계창(30c)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디지트 표시자(30c-1)가 할당되어 있으며, 경계창(30c)내의 각 표시자(30c-1)는 상기 제 2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해 모두 비활성되어 점멸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숫자 또는 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13)및 제 2제어부(23)는 필요한 경우 서로 현재의 상태 또는 특정동작에 대한 수행요청 및 수행결과를 상호 통신하여 공유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2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도 4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곡의 제목 및 가수 명 등과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TAG'후단에 포함하고 있는 MP3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수록된 디스크(20)가 제 2데크(2)에 삽입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동작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 대한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크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한쪽 창, 예를 들면 제 2표시창(30b)에 현재 시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 2제어부(23)는 상기 RTC(19)로부터 현재 시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제 2표시창(30b)의 구동회로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현재시각이 제 2표시창(30b)에만 표시된다(S10). 필요하다면 상기 RTC(19)로부터 얻어진 현재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 1표시창(30a)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각 (및 날짜)표시 상태에서는 상기 경계창(30c)의 디지트는 비활성상태로 결코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에 대한 비동작상태에서, 제 2데크(2)에 디스크(20)가 삽입되면(S11) 상기 제 2제어부(23)는 그 디스크에 대해 초기동작을 수행하여, 기록된 논리트랙의 앞에 있는 리드인 영역과 그 논리트랙의 선두부분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구조를 읽어내어 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리드인 영역의 정보로부터 그 논리트랙의 위치를 파악하여 기억한다. 만약, 논리트랙이 복수개이면 각 트랙에 대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각 트랙의 위치와 그 디스크에 수록된 모든 파일을 확인한다(S12). 그리고, 확인된 파일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다.
사용자가 재생할 곡에 대한 번호를 선정치 않고 상기 키입력부(13)를 통해 재생요청을 하게되면 첫번째, 즉 제 1번으로 부여된 곡을 재생하게 되고, 만약 사용자가 곡 선택을 위해, 상기 키입력부(13)상에서 업 또는 다운 키를 입력하게 되면, 그에 맞추어 숫자를 높이거나 낮추게 된다. 이 때 표시되는 숫자는 제 2데크(2)에 있는 디스크에 대한 것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서 제 2표시창(30b)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 2제어부(23)가 수행한다.
만약, 현재 제 2표시창(30b)에 현재 시각이 표시되어 있다면, 상기 선곡번호를 표시하기 위해서,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 1표시창(30a)으로 옮겨서 표시한다. 물론, 이때도 상기 경계창(30c)에 있는 디지트 표시자는 결코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곡번호가 정해지고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하면, 상기 제 2제어부(23)는 선정된 번호에 해당하는 곡이 어느 논리트랙에 속하는 지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확인하고, 그 논리트랙내에서 해당 곡파일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 하나의 논리트랙내에서의 해당곡의 위치확인은 그 곡파일 앞에 위치하고 있는 파일들의 크기정보를 합산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논리트랙의 위치와 그 논리트랙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확인되면, 선택된 파일에 대한 절대적인 위치를 확인한 것이므로, 상기 제 2제어부(23)는 상기 광픽업(21)을 해당 위치로 옮겨 기록신호를 읽어내게 한다(S13).
읽어내어진 신호는 상기 재생신호처리부(22)를 통해 데이터로 복원되고 이데이터는 메모리(미도시)에 버퍼링된다. 상기 제 2제어부(23)는 상기 버퍼링되는 파일 데이터를 분석하게 되는 데, 그 파일 데이터에서 후단의 'TAG'스트링을 찾고 그 스트링후단에 부가되어진 곡에 대한 정보를 읽어낸다.
상기 제 2제어부(23)는 읽어내어진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이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보다 하나 작은만큼의 선두부분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전영역(30a,30b,30c)에 걸쳐서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는 상기 경계창(30c)에 있는 디지트 표시자, 예를 들면 두 개의 표시자, 모두가 해당하는 문자에 맞게 점등된다(S14).
최대 표시가능 문자보다 하나 작게 표시하는 이유는 하나의 표시자에 대해서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가 어느쪽 데크에 있는 디스크의 곡파일인지를 표시하게 된다(S15). 도 5는 오른쪽이 제 2데크에 해당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위의 과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 표시된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예에서 '▶'마크(501)는 오른쪽의 제 2데크에 있는 디스크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왼쪽의 데 1데크에 있는 디스크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는 '◀'마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상의 제일 왼쪽 디지트 표시자에 표시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제어부(23)는 상기 표시된 정보를 왼쪽으로 하나씩 옮겨서 표시하고 빈 오른쪽 디지트에는 표시되지 않은 정보의 나머지 부분의 첫번째 문자를 표시하여 한칸 스크롤 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도 데크 식별자 디지트(501)의 표시문자는 옮겨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스크롤 동작은 상기 획득된 컨텐츠 정보가 모두 표시될 때까지 이루어지고(S16), 필요하다면 컨텐츠 정보를 상기와 같은 스크롤 동작에 의해 2회정도 반복해서 표시한다.
한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 표시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가능 문자수-1'만큼의 문자를 최초 표시하지 않고, 컨텐츠 정보의 최초 한문자만을 도 6과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그 이후의 문자는 앞서 설명한 방식에 의해 스크롤시킨다. 물론 이때도 상기 경계창(30c)에 있는 디지트 표시자도 활성화되어 스크롤되는 문자가 있을 때 점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표시동작 중에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포맷을 확인하고 그 포맷이 PCM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신호변환부(15)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변환부(15)는 입력된 데이터의 포맷을 확인하고 MP3포맷이면 그 포맷을 디코딩하는 알고리즘 로직을 사용하여 PCM데이터로 디코딩 출력한다. 상기 변환된 PCM데이터는 후단의 D/A변환기(17)에 의해 오디오 사운드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신호변환부(15)는 디코딩과정에서 현재 디코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간길이를 검출해서 상기 제 2제어부(23)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 2제어부(23)는 수신되는 시간길이를 더하면서 현재의 재생시간을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스크롤 표시 동작을 통해 컨텐츠 정보가 1회, 또는 소정회수 표시된 후에, 상기 파악된 현재의 재생시간을 상기 제 2표시창(30b)에만 표시한다(S17). 이 때도 데크 식별자 디지트(501)는 여전히 점등시켜두지만, 상기 경계창(30c)의 디지트는 모두 점멸시켜 사용하지 않는다. 즉, 해당 디지트를 모두 비활성상태로만든다.
제 1표시창(30a)에 대해서는 모두 점멸시켜둘 수도 있고 아니면 현재 시각정보를 표시해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재생되는 곡데이터의 재생시간이 어느 한쪽의 표시창(30a 또는 30b)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되고 있는 곡을 다시 확인하기 위해 리모콘 등에 구비된 '확인키'을 누르게 되면(S18), 이를 인지한 상기 제 2제어부(23)는 이전에 획득한 현재 곡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전영역에 걸쳐서 스크롤시키면서 1회 표시한다(S19). 이를 위해서 다시 상기 경계창(30c)의 구동회로에 구동전류를 인가하고, 1회 표시후에는 다시 재생시간 표시모드로 전환하여 어느 한쪽의 표시창(30a 또는 30b)에만 재생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경계창(30c)의 구동회로에 대해서는 전류를 차단시켜 비활성상태로 만든다(S20).
사용자의 '확인키' 요청에 의해 재생시간 표시모드에서 컨텐츠 정보 스크롤표시모드로 전환하는 대신, 재생동안에는 상기 제 2제어부(23)가 상기 RTC(19)로부터 확인되는 소정시간 경과시마다 이미 획득된 컨텐츠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전영역에 걸쳐서 스크롤시키면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면 사용자가 굳이 '확인키'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키입력부(14)상의 버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재생되는 곡데이터가 MP3파일인 것을 전제하였지만 디스크에 수록된 데이터가 CD-DA데이터인 경우에도 해당 곡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면 상기와 같은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디스크에 CD-DA데이터를 기록할 때, 도 7과 같이 구성되는 포맷의 sub-code블록의 sub R내지 W중 하나의 프레임들에 해당 트랙( 한곡에 해당 )의 컨텐츠 정보를 1회이상 기록해 둘 수 있다. 도 7의 기록예에서는, sub-T 열에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되, 정보의 시작을 알리는 헤더와, 정보의 종류, 예를 들면 타이틀, 뮤지션, 시간 등에 대한 코드, 그리고 그 정보의 길이와 정보의 내용으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만약, 하나의 정보가 다음 플레임까지 계속되면 그 프레임은 정보의 시작을 알리는 헤더를 선두에 갖지 않는다. 그리고, 마지막 프레임에 하나의 정보를 기록하고 남는 부분은 버리고 다음 프레임에 다음 정보를 시작 헤더와 함께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가 삽입되어 재생요청되면, 상기 제 1 (13) 또는 제 2제어부(23)는 상기 기록/재생신호처리부(12) 또는 재생신호처리부(22)로부터 복원되는 데이터에서 서브코드 블록의 해당 프레임에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전영역에 걸쳐서 스크롤하면서 표시한다.
이 때 상기 기록/재생신호처리부(12) 또는 재생신호처리부(22)에서 복원되는 데이터는 PCM데이터이므로 이 데이터는 바로 D/A변환기(17 또는 25)로 입력되어 아날로그 사운드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 1데크에 삽입된 디스크에 대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제 1제어부(13)가 추출하지만 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표시동작을 관장하는상기 제 2제어부(23)로 전달되어 상기 제 2제어부(23)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되면서 표시된다.
지금까지는 곡의 재생시에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영역에 걸쳐서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스크롤 영역을 부분적으로 제한시킬 수도 있다.
즉, 재생되는 데이터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제 1표시창(30a) 또는 제 2표시창(30b)에만 한정하여 스크롤하면서 표시하고 나머지 표시창(30b 또는 30a)에는 재생시간( 또는 현재 시각 )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가 스크롤되는 창에 근접된 데크측에 디스크가 있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이 때는 앞서 언급한 데크 식별자 디지트를 할당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계창(30c)도 상기 정보표시를 위한 스크롤영역에 할당하여 스크롤영역을 넓힌다.
이와 같이 부분적인 스크롤에 의한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은, 재생시외에도 다른 동작시에도 행할 수 있다. 즉, 재생전용 데크인 제 2데크(2)의 디스크에서 기록/재생 데크인 제 1데크(1)의 기록 디스크로 하나 이상의 트랙( 또는 파일 )을 복사하는 경우, 상기 제 2제어부(23)는 복사하기 위해 디스크(20)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정보가 있으면 그 컨텐츠 정보를 상기와 같이 제 2표시창(30b)( 또는 상기 경계창(30c)를 포함하여 )에 한정하여 스크롤시키면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머지 제 1표시창(30a)에는 현재 시각을 표시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복사동작이 복사 선택된 곡데이터를 재생출력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상기 제 2제어부(23)는 현재 재생되는 곡데이터의 재생시간을 획득하여, 예를 들면 재생데이터의 서브 Q코드에 있는 시간정보를 읽어서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의 나머지, 즉, 상기 제 1표시창(30a)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은, 더블 데크를 위해 보다 넓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각 데크에서의 디스크 동작상태를, 간격이 표시가능 문자간 간격보다 더 이격됨으로써 확연히 구분되는 각 표시창에서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면서도, 정보의 양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가능 문자수보다 많은 컨텐츠 정보를 문자 간격을 동일하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영역 또는 일부영역에서 스크롤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식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16)

  1. 기록매체를 복수개 수용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크 장치의 어느 하나에 삽입된 기록매체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1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크 장치에 각기 할당된, 소정디지트 수의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사이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디지트를 갖는 경계창으로 구획되어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표시하는 2단계; 및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경계창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표시창을 통해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전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경계창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표시창을 통해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상기 기록매체가 삽입된 디스크장치에 할당된 표시창내의 한 개의 디지트에는 기록매체가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시기호를 표시하며 이 표시기호는 스크롤시키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를 지시하기 위해 할당된 한 개의 디지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디지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한 요청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기 설정된 소정시간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경계창 모두를 통해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하나와 상기 경계창을 통해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컨텐츠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나머지 표시창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컨텐츠의 뮤지션(musicia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11. 기록매체를 복수개 수용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크 장치의 어느 하나에 삽입된 기록매체에 있는 컨텐츠의 선택을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스크 장치에 각기 할당된, 소정디지트 수의 복수의 표시창으로 구획되어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표시창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2단계; 및
    현재 시각 또는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시간을,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스크롤되지 않는 나머지 표시창을 통해 위치고정상태로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1내지 3단계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타 디스크장치의 기록매체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복사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표시창사이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디지트를 갖는 경계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창내의 디지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스크롤하여 표시할 때는 정보표시를 위해 사용되고, 스크롤하지 않고 표시할 때는 정보표시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15. 기록매체를 복수개 수용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 장치에 각기 할당된, 소정디지트 수의 복수의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사이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디지트를 갖는 경계창으로 구획되어진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복수의 디스크 장치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기록매체에 대해 임의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컨텐츠 및/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크롤하면서 표시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기 경계창의 디지트를 활성화시켜 정보표시에 사용하고, 스크롤하지 않고 표시할 때는 상기 경계창의 디지트를 비활성시켜 사용치 않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 정보 표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컨텐츠 및/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크롤하면서 표시할 때도,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양 끝단 중 한 개의 디지트에는, 상기 스크롤되는 정보와 관련된 기록매체가 삽입된 디스크 장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시기호를 고정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장치.
KR10-2002-0027251A 2001-05-17 2002-05-17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표시장치 KR10044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078 2001-05-17
KR20010027078 2001-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127A KR20030009127A (ko) 2003-01-29
KR100444631B1 true KR100444631B1 (ko) 2004-08-16

Family

ID=2770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251A KR100444631B1 (ko) 2001-05-17 2002-05-17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160B1 (ko) 2005-11-15 2011-12-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크컨텐츠 지정예약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106A (ko) * 1991-07-09 1993-02-24 강진구 더블테크vtr의테이프연속재생방법
KR940009995A (ko) * 1992-10-12 1994-05-24 배순훈 블랭크 테이프 판별방법
JPH06332427A (ja) * 1993-05-19 1994-12-02 Clarion Co Ltd 文字表示装置
KR970055933A (ko) * 1995-12-27 1997-07-31 유기범 개인통신용 단말기의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한 업링크 저속결합제어채널 스트로브신호 발생장치
KR19990042621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주행거리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106A (ko) * 1991-07-09 1993-02-24 강진구 더블테크vtr의테이프연속재생방법
KR940009995A (ko) * 1992-10-12 1994-05-24 배순훈 블랭크 테이프 판별방법
JPH06332427A (ja) * 1993-05-19 1994-12-02 Clarion Co Ltd 文字表示装置
KR970055933A (ko) * 1995-12-27 1997-07-31 유기범 개인통신용 단말기의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한 업링크 저속결합제어채널 스트로브신호 발생장치
KR19990042621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주행거리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160B1 (ko) 2005-11-15 2011-12-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크컨텐츠 지정예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127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5330B2 (ja) 情報再生装置
JP3899596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06162671A (ja) 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装置
JP3838605B2 (ja) テキスト表示方法及びテキスト表示装置
JP3886729B2 (ja) オーディオ装置、楽曲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楽曲再生方法
JP3915228B2 (ja) 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993058B2 (ja) Cd再生装置の文字表示回路
JP3796944B2 (ja) 再生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
KR100444631B1 (ko) 더블데크 디스크 장치에서의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및표시장치
KR100276782B1 (ko) 항목의 시간적 막대 표시기를 가진 매체 플레이어
RU209585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осителя данных,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 такого носителя
JP3716514B2 (ja) 再生システム
JPH0714163A (ja) 情報記録装置
JPH02193317A (ja) 光ディスク
KR970010142B1 (ko) 광자기디스크장치
JP2586603B2 (ja) 光ディスク
JP3591179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90007151A (ko) 사용자의 모국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재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3446762B2 (ja) 文字入力表示装置
JPH05217339A (ja) データ再生装置
JPH05159525A (ja) 情報記録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3296336B2 (ja) Cdの情報配置方法
KR950004267Y1 (ko)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JPH05217292A (ja) データ再生装置
JP355242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