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267Y1 -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267Y1
KR950004267Y1 KR2019930001797U KR930001797U KR950004267Y1 KR 950004267 Y1 KR950004267 Y1 KR 950004267Y1 KR 2019930001797 U KR2019930001797 U KR 2019930001797U KR 930001797 U KR930001797 U KR 930001797U KR 950004267 Y1 KR950004267 Y1 KR 950004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area
data
name
song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253U (ko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1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267Y1/ko
Publication of KR940021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제1도는 종래의 광디스크 서브코드의 기록포맷.
제2도는 종래의 광디스크 재생동작의 흐름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인영역의 기록포멧.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다른 곡명표시동작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 20 : 픽업장치
30 : RF증폭기 40 : 신호처리부
50 : 시스템제어 프로세서 60 : 서보부
70 : 액츄에이터 구동부 80 : 슬레드모터 구동부
90 : 회전모터 구동부 100 : 디스크 회전모터
110 : 리드인영역검출부 120 : 데이터변환부
130 : 데이타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부
본 고안의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인 광디스크에 곡명을 기록하여 재생시 곡명을 표시할 수 있는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a)도∼제1(c)도는 종래의 광디스크 서브코드(Sub Code)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브코드는 디스크에 기록되는 또하나의 신호포맷으로써, 곡의 서두나 새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프로그램기능과 그래픽 디스플레이정보등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제1(a)도에서 서브코드는 98프레임(frame)이 모여 하나의 블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1프레임은 8비트로서 각각 1비트를 차지는 P, Q, R, S, T, U, V, W 채널이붙어 디스크에 기록된다. P와 Q채널은 곡의 선두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나머지 R∼W채널은 그래픽 디스플레이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제1(b)도는 제1(a)도의 서브코드중에서 Q채널에 대한 신호구성도이다. S0과 S1은 블럭의 첫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동기신호이다. 콘트롤은 오디오의 채널수와 앰퍼시스의 유무등을 나타내어 오디오회로동작의 콘트롤 신호로서 작용한다. 어드레스는 모드1(0001), 모드2(0010), 모드3(0011)로 부호화되는데 일반적으로 어드레스는 모드1을 사용한다. 데이타의 내용는 제1(c)도와 같다.
CRC(Cyclic Redundancy Code)는 오류검출부호로서 데이타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정하여 옳은 데이타만을 읽어내기 위한 것으로 사용한다.
제1(c)도는 제1(b)도의 Q채널 중에서 어드레스가 모드1로 부호화되어 있는 겅우 TNO(track Number)는 곡번호로서 몇 번째 곡인가를 표시하고, 인덱스는 TNO에서 표시된 한 곡에 대해 더욱 분할할때 사용한다. 각각 8비트의 Rmin, Rsec, Rframe은 한 곡에 대해 몇 분, 몇 초, 몇 프레임째인가를 표시한다. 75프레임은 1초에 해당한다. 다음의 8비트는 "0"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 8비트의 Amin, Asec, Aframe은 디스크 1매에서의 절대타임코드(Absolute Time Code)로서 전체 디스크의 기록된 곡에 대하여 몇 분, 몇 초, 몇 프레임째인가를 표시하며, "0"은 디스크의 가장 안쪽에 있는 원둘레로서 음악이 시작되는 곳이다.
제2도는 종래의 광디스크의 재생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0단계에서 기록매체인 광디스크로부터 광픽업을 한다. 다음 곡수와 시간정보를 갖고 있는 리드인영역(Read-In Area)을 검출한다(제20단계)
다음 사용자는 곡번호를 스킵하면서 원하는 곡을 선택한다(제30단계)
다음 시스템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곡번호에 따라 제어를 하고, 데이타를 서치하여 재생동작을 한다. (제40, 50단계).
그런데 종래의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곡을 재생할 대 사용자가 곡명을 모른채 재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곡명을 찾는데 불편한 점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시 확장된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곡명을 표시할 수 있는 곡명표시 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인 광디스크와 픽업장치와 RF증폭기와신호처리부와 시스템제어 프로세서와 서보부와 액츄에이터 구동부와 슬레드모더 구동부와 회전모터 구동부와 디스크 회전모터를 구비한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곡명과 곡수 및 시간 정보를 갖고 있는 리드인영역을 검출하는 리드인영역 검출부와; 상기 리드인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리드인영역의 곡명키워드를 곡명에 대한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타 변환부에서 출력하는 곡명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부와; 상기 데이타 저장부에 저장된 곡명 데이타를 상기 시스템제어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곡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인영역의 기록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에 있어서, 플래그영역과 곡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7비트의 텍스트영역과 나머지영역은 제1(c)도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플래그영역의 값이 "1"이면 다음 7비트의 텍스트영역에 곡명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0"이면 텍스트영역을 무시하고 종전방식대로 신호처리한다.
텍스트영역은 곡명에 대한 키코드(key Code)값이다. 곡명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폰트 파일(Font File)형식으로 내장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은 제4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10)에 기록된 정보를 픽업장치(20)에서 픽업하여 출력하면 RF증폭기(30)는 픽업장치(11)의 출력을 증폭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RR증폭기(30)에서 출력된 신호는 신호처리부(40)에 입력되어 동기신호검출과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신호복조처리 및 서브코드 검출동작이 수행된다.
서보부(60)는 RF증폭기(30)의 신호와 신호처리부(40)의 EFM파형정형신호를 입력하여 트래킹과 포커싱과 슬레드서보신호 및 디스크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액츄에이터(Actuator)구동부(70)는 서보부(60)의 트래킹 및 포커싱 서보신호를 입력하여 픽업장치(20)의 트래킹 및 포커싱 액츄에이터(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이때 트래킹 액츄에이터는 트래킹서보신호에 의해 픽업을 현재의 트랙에서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점프시킨다.
회전모터구동부(90)는 서보부(60)의 디스크모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하여 디스크회전모터(100)를 구동시키다. 디스크 회전모터(100)는 디스크(10)를 회전시킨다.
슬레드모터 구동부(80)는 슬레드 서보신호를 입력하여 픽업장치(20)의 슬레드모터(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구도시켜 픽업장치(20)를 이송시킨다. 즉 사용자가 희망하는 곡을 액세스하고자 할때 픽업장치(20)의 슬레드 모터(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키므로서 픽업장치(20)를 희망하는 곡의 시작점으로 이송시킨다. 트래킹 액츄에이터는 재생시 제한된 범위에서 트랙을 따라 픽업장치(20)를 이송시키지만 슬레드모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픽업장치(20)를 크게 또는 작게 이동시킨다.
시스템제어프로세서(5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선곡 및 재생시에 신호처리부(40)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선곡정보에 따라 서보부(60)와 신호처리부(40)를 제어한다.
리드인영역 검출부(110)는 신호처리부(40)에서 서브코드 검출작동이 일어날때 서브코드로부터 리드인영역을 검출한다.
데이타 변환부(120)는 리드인영역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리드인영역의 텍스트비트값을 곡명에 해당되는 데이타로 변환시킨다.
데이타 저장부(130)는 데이타 변환부(120)에서 변환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시스템제어 프로세서(50)의 제어를 받아 데이타 저장부(130)에 저정된 데이타, 즉 곡명을 표시한다. 초기 재생시에는 모든 곡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이후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곡명을 선택한 곡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를 곡명표시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0단계에서 기록매체인 광디스크로부터 광픽업을 한다. 다음 곡명과 곡수 및 시간정보를 갖고 있는 리드인영역(Read-In Area)을 검출한다(제20단계).
다음 리드인영역가운데 텍스트비트값을 곡명에 해당되는 데이타로 변환시킨다(제30단계).
변환된 데이타는 메모리에 저장하고 곡명 데이타를 처음 곡부터 끝 곡까지 자동적으로 표시한다(제40, 50단계)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하면 선택된 곡에 대한 데이트를 서치하여 재생동작을 하게 된다(제60∼80단계).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곡명표시장치는 곡 재생시에 곡명을 자동적으로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손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록매채인 광디스크(10)와 픽업장치(20)와 RF증폭기(30)와 신호처리부(40)와 시스템제어 프로세서(50)와 서보부(60)와 액츄에이터 구동부(70)와 슬레드모터(80)와 회전모더 구동부(90)와 디스크 회전모터(100)를 구비한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40)로부터 곡명과 곡수 및 시간정보를 갖고 있는 리드인영역을 검출하는 리드인영역 검출부(110)와; 상기 리드인영역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리드인영역의 곡명 키워드를 곡명에 대한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120)와; 상기 데이타 변환부(120)에서 출력하는 곡명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부(130)와; 상기 데이타 저장부(130)에 저장된 곡명 데이타를 상기 시스템제어 프로세서(50)의 제어를 받아 곡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10)의 Q채녈에 대한 신호포맷은 블럭의 첫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동기신호와 오디오의 채널수, 앰퍼시스의 유무를 나타내는 콘트롤코드와 어드레스코드와 곡명데이타 유무를 표시하는 플래그영역과 곡명에 대한 키위드(Key Word)정보를 갖는 텍스트영역과 데이타 오류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ode)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KR2019930001797U 1993-02-11 1993-02-11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KR950004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797U KR950004267Y1 (ko) 1993-02-11 1993-02-11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797U KR950004267Y1 (ko) 1993-02-11 1993-02-11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253U KR940021253U (ko) 1994-09-24
KR950004267Y1 true KR950004267Y1 (ko) 1995-05-24

Family

ID=1935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797U KR950004267Y1 (ko) 1993-02-11 1993-02-11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2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75B1 (ko) * 2006-10-19 2008-03-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캔 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253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596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707137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US4862439A (en) Recording device that identifies recordable areas of a disk record
US5245600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from a storage mediu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tored musical arrangement and for mixing voice data with music data
JP3484838B2 (ja) 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US5862107A (en) Disc player capable of automatically interchanging a plurality of loaded discs
KR100449929B1 (ko) 기록매체및그재생장치
US20010027509A1 (en)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H05205448A (ja) Cd再生装置
JP3915228B2 (ja) 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796944B2 (ja) 再生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6657938B1 (en) Disk having expanded elapsed time information
KR950004267Y1 (ko)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JP3787912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記録方法
JPH09128868A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3716514B2 (ja) 再生システム
JP4499497B2 (ja) 再生装置
JPH11120707A (ja) ディスク媒体、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再生方法
JP305846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0143279B1 (ko) 광디스크의 선곡정보 편집방법
JPH098203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7095289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11203770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
JPH07272446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945054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