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205B1 -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205B1
KR100442205B1 KR10-2002-0011078A KR20020011078A KR100442205B1 KR 100442205 B1 KR100442205 B1 KR 100442205B1 KR 20020011078 A KR20020011078 A KR 20020011078A KR 100442205 B1 KR100442205 B1 KR 10044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flavone
present
glucosidase
bifidobacterium lactis
isoflav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396A (ko
Inventor
지근억
박명수
이선호
최연배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피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피도
Priority to KR10-2002-001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2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 및 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은 높은 역가의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기 때문에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 발효분은 현대인의 기호에 부응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 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 {Bifidobacterium lactis producing β- glucosidase and method for converting isoflavon into isoflavon agluc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 및 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소플라본(isoflavon)은 콩과식물, 칡 등의 식물 종에 존재하는 천연화합물로서, 여성호르몬의 일종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과 같은 생리적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소플라본은 C16H10O2의 분자식을 가진 화합물 군으로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및 이들의 글루코스 배당체, 나아가서는 아세틸화체(acetyl), 말로닐화체(malonyl) 등 합계 12종류가 천연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이성체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최근 연구들을 통해서 항암효과(Akiyamaet al., J. Biol. Chem., 262(2):5592, 1987; Molteniet al., J. Nurt., 125:751s, 1995), 골다공증 예방(Shinoet al., Life Sci., 42(11):1123, 1988), 만성질환 예방(Fotsiset al., Proc. Nat. Acad. Sci. USA., 90:2690, 1993), 항산화 효과(Naimet al., J. Agric. Food Chem., 24(6):1174, 1976) 등의 기능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이소플라본은 자연 상태에서는 대부분이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위산에 의해 분해되지 않아 체내에서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대장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후에 흡수되기 때문에 흡수율이 낮다(미국특허 제 5,506,211호). 반면에, 발효나 효소반응에 의해 전환된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체내에서 부가적인 변환이 없이 위와 소장에서 직접 흡수되고, 그 흡수속도가 현저히 빠르므로, 비발효식품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보다는 발효식품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가 이용성 측면에서는 매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비배당체로 전환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비배당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산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가수분해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산 가수분해 방법들은 공정 후 발생되는 폐수의 처리가 문제가 되며, 부가적인 정제공정 등의 번거로운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를 이용한 효소가수분해 방법이다. 미국특허 제 6,015,785호는 대두(soybean)를 물에 넣고 일정량의 β-글루코시다제를 가한 후 온도 40~60℃, pH 4~5에서 일정시간 반응시켜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특허 공개 제 11089589호에는 미생물에서 유래된 β-글루코시다제를 사용하여 콩배아의 이소플라본을 추출하지 않고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가수분해하는 미생물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us niger) 및 사카로폴리스포라 에리트라에아(Saccharopolyspora erythraea)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균들이다. 이외에도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비배당체로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높은 역가의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인간의 장내에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번식하면서 장내 세균총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장내 세균총의 조성과 활성은 인간 또는 동물의 건강뿐만 아니라 영양, 생체 기능, 약물의 효율, 노화, 면역 반응, 감염에 대한 저항성 및 신체에 대한 다른 스트레스에도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장내 세균총은 5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세균종을 포함하며, 위 및 상부 소장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세균이 존재하고 있고 세균수는 대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장내 세균총 중 특히 비피더스균을 비롯한 유산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는 장내 미생물들이 적당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균으로서, 인체에 해롭지 않아 식품 첨가물로 이용되는 식품용 미생물이다. 비피도박테리아의 발효 주요 산물은 아세테이트 및 락테이트로 이들은 3:2의 비율로 생산되며, DNA의 GC 함유율은 55 내지 64%이다. 비피도박테리움은 숙주균에 특이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람에서는 비피덤(B. bifidum), 롱검(B. longum), 브레베(B. breve), 인판티스(B. infantis) 및 아돌레센티스(B. adolescentis)가 발견되고 있으며, 상기 5종류의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란 인간이나 동물에 살아있는 미생물을 분말 또는 발효산물의 형태로 투여했을 때, 장내 미생물의 바람직한 균형 및 그들의 생리 특성을 증진시키며 숙주에게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 식품 강화제를의미한다(Fuller, R.,Journal of Applied Biotechnology, 66:365-378, 1989). 이러한 비피도박테리아는 숙주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암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Leeet al.,Biosci Biotechnol Biochem, 57:2127-2132, 1993).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소플라본 배당체는 인체에 섭취된 후 위산과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β-글루코시다제에 의해 비배당체 형태로 전환되어 장에서 흡수된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장내 서식하는 유산균 중에서 높은 역가의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유산균을 분리·동정하고, 상기 유산균을 이용하여 대두배아 내 이소플라본을 발효시킨 결과, 상기 유산균이 우수한 이소플라본의 전환능을 갖는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역가의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의 발효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된 여러 비피더스 균주들의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이용하여 발효된 대두배아 발효분말을 포함하는 정장제품의 섭취에 따른 분변횟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이용하여 발효된 대두배아 발효분말을 포함하는 정장제품의 섭취시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즈 균총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피더스균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비피더스균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의 발효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분으로부터 β-글루코시다제를 높은 수준으로 생산하는 신규의 비피더스균을 분리·동정하였다. 먼저, 자원자의 대변을 수집한 후, 상기 대변을 멸균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10배 씩 단계적으로 희석한 다음, 즉시 본 발명자가 개발한 선택배지인 TP 배지(트립티케이스(trypticase) 10g, 프로테오스 펩톤 No.3(proteose peptone No.3 ) 3.5g, 황산 암모늄(ammonium sulfate) 3g , KH2PO42 g, K2HPO41g, 시스테인·HCl(L-cystein·HCl·H2O) 0.5g , MgSO40.2g, 한천(agar) 15g, TOS 용액(transgalactoologosaccharide) 50㎖ 및 30% 프로피온산 나트륨 용액(sodium propionate) 50㎖에 증류수를 가하여 총 1ℓ가 되도록 함, pH 7.0 ; 한국특허 제 135780호 참조)에 도말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TP 배지에서 생성된 단일 콜로니들을 취하여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그램 염색과 F6PPK(fructose 6 phosphate phosphokeolase) 테스트 등을 수행한 결과 비피더스균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분리된 비피더스 균주들의 배양 및 보관에는 BHI 배지 또는 MRS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분리된 비피더스 균주들 중 β-글루코시다제를 높은 수준으로 생산하는 균주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균주들의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BHI 배지(BHI(Difco) 37g, 헤민(Hemin) 0.01g, L-시스테인 HCl 0.05g, 레사주린(resazurin) 0.001g 및 비타민 K 0.001g에 증류수를 가하여 총 lℓ가 되도록 함)에서 하룻밤 배양한 각 균주의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얻은 다음, 초음파처리를 하여 세포를 파쇄시켰다. 그리고 나서, 파쇄된 세포 추출물에 PNPG(p-nitrophenyl-β-D-glucopyranoside)를 기질로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유리된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의 양을 흡광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β-글루코시다제 1 유닛(unit)은 반응시간 1분 당 1 μmol의 p-니트로페놀을 생성하는 효소양으로 정의하였다. 상기와 같이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을 측정한 각 균주들 중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4개의 균주들을 공지의 유산균과 비교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분리된 균주들(GE1, IF2, IF65 및 SJ32)이 공지의 유산균인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또한 그 중에서 IF65가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IF6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으로 동정되었으며,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라 명명하여 2001년 12월 29일자로 한국 미생물 보존센타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CM-10347). 본 발명에서 분리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IF65의 균학적 특성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의 특성
형태 곤봉형 또는 Y자형
그램 염색 +
F6PPK +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는 높은 역가의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두배아를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대두배아 내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이소플라본 원(source)으로는 상기 대두배아 외에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체, 즉 대두, 칡, 토끼풀, 자주개자리, 검은 콩, 감초, 클로버(clover)류, 알팔파 및 석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대두배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체는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대두배아의 분말에 물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혼합액에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접종하여 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비피더스균을 이용하여 대두배아를 발효시키기 전에 대두배아를 단백질 분해효소로 전처리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효소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단백질 분해 효소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모드(promod), 알카라제(alkalase), 뉴트라제(neutrase)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는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제조공정에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으로는 정장제품, 기능성 초콜릿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피더스균은 원말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비피더스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의 발효분에 포함된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on-GMO 대두((주)정식품)에서 대두배아를 분리하여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 0.1mm로 분말화하였다. 상기 대두배아 분말에 증류수를 가하여 20%(w/v)가 되도록 완전히 혼합한 다음 121℃에서 45분간 고압 멸균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액을 37℃로 냉각한 다음 BHI배지에서 배양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IF65를 1.0×107cfu/㎖의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혐기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배양액 1㎖에 메탄올 10㎖와 1N HCl 200㎕를 가한 후, 균질기(IKA-Werk, Japan)로 1분 이상 균질화시켜 이소플라본을 추출한 다음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층액 2㎖를 취하여 질소가스로 휘발, 건조시킨 후 다시 80% 메탄올(v/v) 2㎖에 용해시켰다. 이 중 일정량을 취해 0.45㎛ 폴리프로필렌 필터(밀리포아, 미국)에 여과한 후 HPLC를 수행하여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소플라본 전환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접종하기 전에, 1㎖/L 프로모드(Gist 사)를 가하여 60℃에서 8시간 교반하는 전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대두배아 내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시켰으며, 이소플라본의 전환율을 조사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접종하기 전에, 1㎖/L 알카라제(Novo 사), 1㎖/L 뉴트라제(Novo 사) 및 0.2g/L 파파인(Sigma 사)을 가하여 60℃에서 8시간 교반하는 전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대두배아 내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시켰으며, 이소플라본의 전환율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효소처리 이소플라본 전환율(%)
비배당체(mg) 전체(mg)
대조구 - 240.08 6999.60 -
실시예 1 - 4904.45 7425.85 66.0
실시예 2 Pr 5812.50 7868.65 73.9
실시예 3 A+N+Pa 5615.30 7554.70 74.3
Pr: 프로모드, A: 알카라제, N: 뉴트라제, Pa: 파파인
상기 표 1에서 대조구는 대두배아 자체 내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함유량(mg)을 기재한 것으로, 전체 이소플라본에 대해 약 3.4%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이용하여 대두배아를 발효시킨 경우(실시예 1) 대두배아 내 이소플라본이 비배당체로 66% 정도 전환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가 높은 역가의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것에 기인하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제조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두배아를 발효시키기 전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전처리한 경우(실시예 2 및 3) 이소플라본의 전환율이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함으로써대두배아 속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이 배양액으로 용출되었고, 용출된 이소플라본이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에 의해 효율적으로 발효됨으로써 이소플라본의 전환율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대두배아 발효액을 -80℃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대두배아 발효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두배아 발효분말에 소량의 칼슘(로슈, 독일), 유산균 원말 및 비타민 D(로슈, 독일)와 혼합하여 정장제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은 대장에 존재하므로 소장과의 균형을 맞추어 정장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장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Lallemand, 캐나다) 원말을 소량 첨가하였다. 제조된 정장제품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가 2×109/g 정도 함유되어 있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는 2×108/g 함유되어 있다.
성 분 1포
대두배아 발효분말 84%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1%
비타민 D 5%
칼슘 10%
총 합계 100%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대두배아 발효분말이 함유된 정장제품을 제조하여 상기 정장제품의 정장효과를 60-70세의 노년기 여성 12인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품을 하루에 2포씩 10일간 투여하고 10일간 투여하기를 2회 반복하였다. 각 시험단계의 말일에 분변을 채취하여 균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두배아 발효분말이 함유된 정장제품의 섭취시 정장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피더스 균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반대로 유해균인 박테로이즈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fu/분변 1g
미생물 섭취전 1차 섭취 비섭취 2차 섭취 비섭취
비피더스 9.08±0.47 9.5±0.57 8.97±0.79 10.04±0.41 9.08±0.82
박테로이즈 9.62±0.41 8.66±1.49 10.1±0.40 9.92±0.34 9.87±0.5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두배아 발효분말이 함유된 정장제품 섭취에 따른 분변횟수를 조사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장제품을 1주일간 섭취했을 때의 분변횟수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이용한 대두배아 발효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 초콜릿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초콜릿을 제조하되,
(1) 코코아 원두(cocoa Bean)를 1차 가공하여 코코아매스(cocoa mass)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의 코코아매스에 전지분유와 코코아버터를 먼저 혼합기(mixer)에 넣고 40℃에서 10분간 충분히 혼합한 뒤, 정련기에 넣어 40℃에서 7시간동안 정련하였다.
(2) 상기 제 1공정과는 별도로 향료, 본 발명에 따른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에 의해 발효된 대두배아 발효분 및 코코아버터를 혼합기에 넣고 40℃에서 10분간 충분히 혼합한 후, 제 1공정에서 얻은 혼합물에 첨가 혼합하였다.
(3) 상기 제 2공정에서 얻은 혼합물을 롤러에 통과시켜 입도를 25∼30 ㎛ 크기로 미세화시켜, 후레이크를 제조하였다.
(4) 상기 제 3공정에서 제조된 후레이크에 쏘야 레시틴(soya lecithin)과 코코아버터를 첨가하여 40℃에서 60분간 충분히 혼합한 후 성형기에 부어넣어 몰딩 처리해서 초콜릿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코코아매스 35-40
밀크류 14.4
식물유 30
대두배아 발효분 10-15
유화제 0.5
향료 0.1
총계 100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우수한 능력을 갖는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F65를 인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은 높은 역가의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기 때문에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피더스균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 발효분은 현대인의 기호에 부응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β-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IF65(기탁번호: KCCM-10347).
  2. 제 1항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항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를 발효시킴으로써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는 대두, 칡, 토끼풀, 자주개자리, 검은 콩, 감초, 클로버(clover)류, 알팔파 및 석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를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프로모드(promod), 알카라제(alkalase), 뉴트라제(neutrase)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의 미생물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함유 식물체의 발효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정장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9. 제 7항에 있어서, 초콜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2002-0011078A 2002-02-28 2002-02-28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KR10044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78A KR100442205B1 (ko) 2002-02-28 2002-02-28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78A KR100442205B1 (ko) 2002-02-28 2002-02-28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96A KR20030071396A (ko) 2003-09-03
KR100442205B1 true KR100442205B1 (ko) 2004-07-30

Family

ID=3222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078A KR100442205B1 (ko) 2002-02-28 2002-02-28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64B1 (ko) * 2005-01-28 2006-08-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칡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10681B1 (ko) * 2011-11-21 2013-09-25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콩가공부산물을 미생물로 발효함으로써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20200071983A (ko) 2018-12-12 2020-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스베라트롤이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511B1 (ko) * 2009-12-31 2013-02-04 한국콜마주식회사 주름개선용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932969C (en) 2012-12-12 2021-11-23 Herrens Mark Aps Product comprising red clover extract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6053003A1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알엔에이 비배당체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589A (ja) * 1997-09-19 1999-04-06 Fuji Oil Co Ltd 大豆胚軸を原料としたイソフラボン化合物を含有する生成物の 製造法
US6015785A (en) * 1996-04-12 2000-01-1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glucone isof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extract and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KR20010023117A (ko) * 1997-08-21 2001-03-26 메리 더글라스 헤밀턴 면역을 향상시키는 젖산균
JP2001204486A (ja) * 2000-01-28 2001-07-31 Kikkoman Corp 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785A (en) * 1996-04-12 2000-01-1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glucone isof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extract and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KR20010023117A (ko) * 1997-08-21 2001-03-26 메리 더글라스 헤밀턴 면역을 향상시키는 젖산균
JPH1189589A (ja) * 1997-09-19 1999-04-06 Fuji Oil Co Ltd 大豆胚軸を原料としたイソフラボン化合物を含有する生成物の 製造法
JP2001204486A (ja) * 2000-01-28 2001-07-31 Kikkoman Corp 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베타-글루코시다제 보유, 비보유 Bifidobacterium의 배양[한국식품과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초록, 1995, 동일발명자) *
논문(베타-글루코시다제의 역가가 높은 Bifidobacterium sp. Int-57[생명공학연구소, 1992, 초록, 동일발명자)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64B1 (ko) * 2005-01-28 2006-08-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칡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10681B1 (ko) * 2011-11-21 2013-09-25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콩가공부산물을 미생물로 발효함으로써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20200071983A (ko) 2018-12-12 2020-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스베라트롤이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96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964B1 (ko) 사포닌분해물을 함유하는 발효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260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4371958A (zh) 一种屎肠球菌和枯草芽孢杆菌混合培养提高生物量的方法
KR10196824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44602B1 (ko) 가바, 공액리놀레산 및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이용되는 복합 생균제제 및 이 콩 발효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기능성식품
KR100442205B1 (ko) β- 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전환하는 방법
JP4183371B2 (ja) 発酵ウコンの製造法
KR100773059B1 (ko) 배당체 가수분해능을 가진 신규한 미생물, 이를 함유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3281529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KR20190018204A (ko) 위액산 내성과 담즙산 내성이 탁월하고 높은 가바 생산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cp02 균주, 이를 이용한 생균제제 및 발효식품
KR100543115B1 (ko)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과 감소능이 우수한 젖산균
KR20110081672A (ko)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KR20030075996A (ko) 고초균과 효모균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9779B1 (ko)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젖산균
KR100631857B1 (ko)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고생산성 균주인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오피케이-3
KR20080102773A (ko)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전환능력을 가진 신규한 식물 유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R100613764B1 (ko) 칡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KR100963684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cm-10839p 균주를 이용한분리대두단백발효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485267B1 (ko) 이소플라본이 완전히 가수분해된 두유 발효유 및 그 제조방법
TWI425087B (zh) 用於生產納豆菌和/或納豆激酶的方法以及由該方法所獲得的發酵產物
JP4794486B2 (ja) 培地兼用発酵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111112A (zh) 一種植物乳桿菌及其製備植物性凝態優格、改善腸道菌相的用途
CN112538439B (zh) 一种植物乳杆菌及其制备植物性凝态酸奶、改善肠道菌相的用途
KR20150088588A (ko) 신규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 고생산성 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cfm11 및 이의 용도
KR20180055710A (ko)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섬애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