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681B1 - 엘리베이터자동도어를개폐하는장치및도어커플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자동도어를개폐하는장치및도어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681B1
KR100440681B1 KR10-1998-0701901A KR19980701901A KR100440681B1 KR 100440681 B1 KR100440681 B1 KR 100440681B1 KR 19980701901 A KR19980701901 A KR 19980701901A KR 100440681 B1 KR100440681 B1 KR 10044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r
elevator car
landing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647A (ko
Inventor
플란츠 미테르마이르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9004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Abstract

엘리베이터 자동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커플러(20)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 장착되어 있다. 도어커플러(20)는 제1끝이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 피봇되고 제2끝이 도어커플러상에 피봇되는 레버(21)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를 개폐하는 동력은 그 제1끝(21a, 71a)과 제2끝(21b, 71b) 사이의 지점을 경유하여 레버(21, 71)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자동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도어커플러{ARRANGEMENT 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AUTOMATIC ELEVATOR DOORS, AND A DOOR COUPLER}
자동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 사이의 연결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 장착되고 그 파지요소에 의해서 랜딩도어상에 장착되는 대응부분과 맞물리는 도어커플러를 사용하여 통상 달성된다. 도어커플러와 대응부분이 서로 끼워져서 엘리베이터칸이 랜딩도어를 지나 이동하면, 랜딩도어상의 대응부분이 도어커플러의 파지요소 사이를 통과한다. 엘리베이터칸이 랜딩에 있고 엘리베이터칸 도어가 이동되면, 도어커플러는 대응부분과 맞물림상태로 있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연결된 동력수단에 의해서 이동될 때 랜딩도어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이동한다. 종종 파지요소는 도어커플러로부터 랜딩도어를 향하여 돌출하여 있고 랜딩도어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수직슬롯의 한 종류를 형성하는 금속베인이다.
종종 사용되는 대응부분은 랜딩도어상에 장착되고 도어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향하여 돌출하여 있는 롤러로 종종 이루어지며 롤러의 액슬은 도어의 평면에 수직인 위치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칸이 랜딩에서 정지하면, 통상 엘리베이터칸과 랜딩장치는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지만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는 랜딩에 있는 장치에 대한 이상적인 위치와 약간 다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어커플러와 대응부분 사이의 부적당한 정렬이 다양한 문제점의 주요인으로 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 사이의 연결에 있어의 문제점이 있다. 도어커플러가 랜딩도어상의 롤러와 적당하게 정렬되지 않으면, 이것은 소음, 신뢰상의 문제, 도어작동의 방해, 도어의 비상개방의 장애, 도어의 불완전한 개폐운동 등의 확실한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서 한정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장치 및 청구항 5의 서두에서 한정한 도어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지지빔의 끝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지빔과 함께 본 발명을 적용한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랜딩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랜딩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지지빔과 함께 본 발명을 적용한 카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 도어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랜딩방향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카도어의 지지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도어의 폐쇄운동의 상이한 단계로 도시되고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 다른 도어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 사이의 연결에 대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자동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도어커플러가 본 발명으로서 제시되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커플러는 다른 청구항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 이점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 사이에서의 확실한 연결 및 도어가 서로 오정렬되더라도 도어의 확실한 폐쇄를 보장한다.
잡소리 및 소음, 도어작동의 방해, 도어장애 등과 같은 불완전한 또는 부적당한 연결의 결점은 회피된다.
랜딩도어 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가 이미 완전하게 폐쇄될 때, 이것은 아직페쇄되지 않은 다른 도어의 폐쇄운동을 정지시키지 않는다.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중의 하나가 그 말단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하나가 개방 또는 폐쇄운동의 말단에 도달하더라도 그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는 서로 방해하지 않고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커플러는 랜딩도어상의 롤러용 도어커플러 베인 사이에 큰 간극을 제공할 수 있고, 그래서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가 서로 정밀하게 정렬되지 않아도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례의 도움에 의해서 기술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오버헤드 지지빔과 오버헤드 지지빔상의 도어패널(12, 13)의 서스펜션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빔의 끝방향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랜딩방향으로부터 즉 빠른 도어패널(12)의 측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도어패널을 지지하는 롤러(2)의 위치 및 지지빔(1)에 대한 그 대응롤러(3, 3a)의 위치뿐만 아니라 오버헤드 지지빔의 단면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또한 그 지지구조(101)와 함께 랜딩도어(112, 113)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커플러(20)는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지지빔(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롤러레이스(4, 5)이다. 상부 롤러레이스(4)에 현수되어 있는 것은 절첩식 도어의 빠른 도어패널(12)이며 느린 도어패널(13)은 하부 롤러레이스(5)상에 현수되어 있다. 느린 도어패널(13)의 지지판(9)에 부착된 대응롤러(3a)는 동기화 로프(32)가 통과하는 로프홈(31)을 구비하고 있다. 동기화 로프(32)는 한지점(33)에서 롤러레이스(5)에 확고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빔(1)에 대해 확고하게 고정되고 다른 지점(34)에서 빠른 도어패널(12)상의 고정구(35)에 고정되는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점(33, 34)은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루프의 부분에 부착되기 때문에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느린판(9)에 대해 양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지지판(8)을 구비한 빠른 도어패널(12)과 지지판(9)을 구비한 느린 도어패널(13)은 도어개방과 별개로 동시에 이동하고 개방하고 있는 도어를 폐쇄하기 위하여 뒤로 이동한다. 구동기어(11)는 로프(17)를 구동시키며 이것은 도어패널을 더 이동시킨다. 도어작동기구는, 구동기어, 로프풀리 및 구동기어에 의해서 구동되는 로프의 간단한 조합과 다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있다. 로프(17)는 제1끝(21a)과 제2끝(21b) 사이의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중간에서 레버(21)에 부착되어 있다. 로프(17)는 바람직하게 회전조인트(21c)로 레버(21)에 부착되어 있다. 레버의 제1끝(21a)은 도어패널(12)의 지지판(8)상에서 피봇되어 있으며 그 다른끝(21b)은 도어커플러(20)의 베이스판(19)상에 피벗되어 있다. 베이스판(19)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은 제1 베인(22)이다. 도어커플러(20)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운동의 방향에서의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어커플러(20)의 운동은 베이스판내에 있는 수평의 가늘고 긴 구멍(25)과 지지판(8)에 부착되고 상기 구멍내로 뻗어 있는 안내핀(26)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지지판상의 도어커플러의 운동은 구멍내의 안내핀(26)의 유극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2 도어커플러 베인(23)은 링크장치(24)를 경유하여 베이스판상에 장착된다. 베인(23, 22)은 링크장치(24)의 작용에 의해서 개폐되는 이들 사이에서의 갭을 형성한다. 링크장치는 상부링크(24a), 제2 베인(23)을 유지하는 하부링크(24b) 및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연결시키는 연결로드(24c)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로드(24c)는 링크(24a, 24b)를 유지하는 베인의 운동의 동기장치로서 작용한다. 갭이 폐쇄될 때, 도어커플러 베인(22, 23)은 이들 사이에 있는 랜딩도어 롤러(6a, 6b)를 가압하며 따라서 도어커플러는 랜딩도어와 연결된다. 갭이 개방될 때, 베인은 더 멀리 이동되어 롤러(6a, 6b)를 해제한다. 도어커플러상에서 피봇된 구속레버(27)의 하부끝(27b)은 갭이 너무 빨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지, 도어의 폐쇄운동이 거의 완료된 후에 구속레버는 구속레버의 상부끝(27a)과 맞물리는 정지블록(28)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된다. 정지블록은 예컨대 도어의 잠금기구내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정지블록과 만나면, 블록킹레버는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2 베인(23)을 베이스판에 연결한 링크장치(24)를 해제하여 제2 베인이 제1 베인(22)으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도록 한다. 도 3에는 회전후의 그 위치에 있는 블록킹레버(24)가 파단선으로 표시되었으며 마찬가지로 그 먼위치에 있는 제2 베인(23)이 파단선으로 표시되었다. 제2 베인(23)의 후퇴운동은 인장스프링(29)에 의해서 달성되고 도어의 폐쇄운동의 마지막 단계를 활용한다. 폐쇄운동의 끝에서, 랜딩도어에 대해 이동불가능한 롤러(6b)는 랜딩도어가 그 폐쇄운동의 끝에서 정지함에 따라 제2 베인(23)을 정지시킨다. 제1 베인은 폐쇄운동방향으로 연속운동한다. 도 3에 있어서, 폐쇄운동의 방향은 로프(17) 위에 있는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도어가 폐쇄되면, 도어커플러(20)의 베인(22, 23) 사이의 갭은 엘리베이터가 이동함에 따라 랜딩도어에 부착된 대응부분으로서 작용하는 롤러(6a, 6b)가 베인(22, 23) 사이에서 방해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개방된다. 엘리베이터가 랜딩에서 정지하면, 롤러(6a, 6b)는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베인(22, 23) 사이에서 가압되어 있게 된다. 롤러(6a, 6b)는 베인(22, 23) 사이에서 가압됨에 따라 서로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되며 랜딩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베인(22, 23)은 도어의 개폐운동을 통하여 롤러(6a. 6b)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 베인이 롤러에 대해 가압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어커플러는 도어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베인이 롤러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하는 블록킹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속레버(27), 베이스판(19)내에 형성된 구멍(18) 및 링크장치(24)로부터 구멍(18)으로 뻗어 있는 핀(16)은 작동이 구속레버에 대해 정지블록(28)의 형상의 운동에 의해서 제어되는 블록킹장치의 본질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블록킹장치 또는 다른 장치를 사용하면, 도어운동이 베인을 설정거리를 통하여 멀리 바람직하게 몇 밀리미터 이동하도록 한 후, 트리거링 작용이 블록킹장치내에서 발생하고 이것은 인장스프링(29)이 도어커플러 베인을 멀리 밀도록 제공된다. 이런 방식으로, 롤러와 베인 사이의 큰 간극은 달성된다.
도 4는 랜딩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련된 장치와 함께 본 발명을 적용한 엘리베이터칸 도어용 다른 지지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오버헤드 지지빔(1)상에 현수되어 있는 것은 도어패널(12, 13)이다. 도 4의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도어커플러(70)의 작동은 도 5 내지 도 7로 도시하였으며 여기에서 도어커플러는 도어의 폐쇄운동의 상이한 단계들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어가 개방되고 도어커플러(70)가 롤러(56a, 56b)를 파지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어커플러 베인이 멀리 이동하기 시작하여 롤러(56a, 56b)를 그 파지로부터 해제할 때 도어의 폐쇄운동의 끝에서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어는 완전하게 폐쇄되었으며 도어커플러(70)는 완전하게 롤러(56a, 56b)를 해제하였다.
지지빔(1)은 롤러(2, 3, 3a)용 롤러레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빠른 도어패널(12)은 상부 롤러레이스상에 현수되어 있고 느린 도어패널(13)은 하부 롤러레이스상에 현수되어 있다. 느린 도어패널(13)의 지지판(9)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대응롤러(3a)이다. 구동기어(61)는 순차로 도어패널을 이동시키는 벨트(67)를 구동시킨다. 벨트(67)는 레버의 제1끝(71a)과 제2끝(71b) 사이의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레버의 중간부분에서 레버(71)에 부착되어 있다. 벨트(67)는 회전가능한 조인트(71c)로 레버(71)에 부착되어 있다. 레버의 제1끝(71a)은 도어패널(12)의 지지판(8)에 부착된 귀형상부(99)상에서 피봇되어 있는 반면에 그 다른끝(71b)은 도어커플러(70)의 베이스판(69)상에서 피봇되어 있다. 베이스판(69)에 확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은 제1 베인(72)이다. 도어커플러(70)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운동방향으로의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어커플러(70)의 운동은 베이스판(69)내의 수평의 가늘고 긴 구멍(75)과 지지판(8)에 부착되고 상기 구멍(75)내로 뻗어 있는 안내핀(76)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지지판상의 도어커플러의 운동은 구멍내의 안내핀(76)의 유극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2 도어커플러 베인(73)은 링크(47a, 74b)를 경유하여 베이스판(69)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인(73, 72)은 이들 사이에서 베인유지링크(74a, 74b)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틈을 형성하고 있다. 갭이 폐쇄되면, 도어커플러 베인(72, 73)은 이들 사이에서 랜딩도어 롤러(56a, 56b)를 가압하며 따라서 도어커플러(70)는 랜딩도어와 연결된다. 갭이 개방되면, 베인은 더 멀리 이동되어 롤러(56a, 56b)를 해제시킨다. 도어커플러는 베인이 빠르게 멀리 이동되는 것들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어의 폐쇄운동이 거의 완료될때만, 도어커플러 베인은 멀리 이동된다.
폐쇄운동의 끝에서, 랜딩도어에 대해 이동가능하지 않은 롤러(56b)는 랜딩도어가 그 폐쇄운동의 끝에서 정지됨에 따라 제2 베인(73)을 정지시킨다. 제1 베인은 폐쇄운동의 방향으로 연속이동한다. 폐쇄운동의 방향은 벨트(67) 위의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어가 폐쇄되면, 도어커플러(70)의 베인(72, 73) 사이의 갭은엘리베이터가 이동됨에 따라 랜딩도어에 부착된 대응부분으로서 작용하는 롤러(56a, 56b)가 베인(72, 73) 사이에서 방해받지 않고 통과되도록 개방된다. 엘리베이터가 랜딩에서 정지되면, 롤러(56a, 56b)는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에 베인(72, 73) 사이에서 가압상태로 유지된다. 롤러(56a, 56b)는 베인(72, 73) 사이에서 가압됨에 따라 서로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고 랜딩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베인이 롤러에 대해 가압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도어커플러는 도어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베인이 롤러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하는 블록킹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블록킹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블록킹장치와는 상이할 수 있다. 블록킹장치와 함께 스프링, 추 등과 같이 베인(56a, 56b)을 도어의 폐쇄운동의 끝에서 완전하게 멀리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있다. 도어커플러는 스프링(95)을 사용함으로써 지지판(8)상의 소정의 위치중심에 놓여질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 사이의 어떤 오정렬의 보정을 위하여 도어통로의 각각의 끝에 설정보정여백을 남겨 놓는다. 보정여백은 구멍(75)과 핀(76)에 의해서 결정되는 유극의 절반과 동일하다. 스프링(95)은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지지판(8)에 부착된 한쌍의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커플러는 스프링 사이에 장착된다. 베인의 작동뿐만 아니라 랜딩도어와 엘리베이터칸 도어 사이의 운동의 동력은 핀과 구멍 사이의 마찰을 사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이라면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가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음에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도어커플러는 도어패널 또는 도어패널지지판상에 장착되는 것이통상이지만 도어커플러는 지지판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의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이라면, 가늘고 긴 구멍 대신에 도어커플러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한 도어커플러의 유극을 허용하도록 슬롯 또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자동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랜딩도어는 도어의 운동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제한된 운동만이 허용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의 개폐운동을 달성하는 동력은 동력을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는 지점(21a, 71a)이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운동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결되고 동력을 랜딩도어에 전달하는 지점(21b, 71b)이 랜딩도어의 운동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전달요소(21, 71)를 경유하여 도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달요소(21, 71)는 레버이며, 도어커플러(20, 70)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운동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커플러(20, 70)는 제1끝이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서 피봇되고 그 제2끝이 도어커플러상에 피봇되는 레버(21, 71)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동기어(11, 61)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은 그 제1끝(21a, 71a)과 제2끝(21b, 71b) 사이의 지점을 경유하여 레버(21, 71)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도어커플러(20, 70)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지지판(8)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기어(11, 61)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은 로프(17) 또는 벨트(67)와 같은 가요성요소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동력을 전달하는 가요성요소(17, 67)는 레버의 중간부분에 있는 지점을 경유하여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한 조인트(21c, 71c)를 사용하여 레버(21, 7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 장착되며 엘리베이터가 랜딩에서 정지되는 위치에서 랜딩도어상에 장착되는 대응요소(6a, 6b)를 파지하도록 설계된 파지요소(22, 23, 72, 73)를 구비한 도어커플러(20, 70)에 있어서, 도어커플러(20, 70)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커플러(20, 70)는 그 제2끝(21b, 71b)에 의해서 도어커플러에 그리고 제1끝(21a, 71a)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레버는 그 제1끝(21a, 71a)과 제2끝(21b, 71b) 사이의 지점에서 도어를 작동시키는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커플러.
  7. 제 6 항에 있어서, 도어커플러(20, 70)는 도어지지판(8)에 대해 이동가능하지 않은 안내피스(26, 76)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지지판(8)상에 바람직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피스는 지지판에 고정되고 도어커플러내의 가늘고 긴 구멍(25, 75) 또는 슬롯내로 뻗어 있는 핀으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커플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한 도어커플러의 유극은 구멍(25, 75) 또는 슬롯 및 핀(26, 126)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커플러.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도어커플러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서 도어커플러(20, 70)를 셋팅하도록 스프링(95)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커플러.
  10. 제 8 항에 있어서, 도어커플러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서 도어커플러(20, 70)를 셋팅하도록 스프링(95)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커플러.
KR10-1998-0701901A 1995-09-13 1996-09-13 엘리베이터자동도어를개폐하는장치및도어커플러 KR100440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4306 1995-09-13
FI954306A FI101284B1 (fi) 1995-09-13 1995-09-13 Järjestely hissin automaattiovien avaamisessa ja sulkemisessa ja mukaanottaj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647A KR19990044647A (ko) 1999-06-25
KR100440681B1 true KR100440681B1 (ko) 2004-10-14

Family

ID=854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901A KR100440681B1 (ko) 1995-09-13 1996-09-13 엘리베이터자동도어를개폐하는장치및도어커플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988320A (ko)
EP (1) EP0850188B1 (ko)
JP (1) JP3895383B2 (ko)
KR (1) KR100440681B1 (ko)
CN (1) CN1076005C (ko)
AU (1) AU717228B2 (ko)
BR (1) BR9610501A (ko)
CA (1) CA2230881C (ko)
DE (1) DE69633978T2 (ko)
ES (1) ES2229284T3 (ko)
FI (1) FI101284B1 (ko)
HK (1) HK1012503A1 (ko)
WO (1) WO1997010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784B1 (fi) * 1995-09-13 1998-08-31 Kone Corp Menetelmä hissin tasonoven liikuttamiseksi ja mukaanottaja
DE19900875C2 (de) * 1999-01-13 2001-05-17 Dorma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Türanlage
KR100336347B1 (ko) * 1999-07-29 2002-05-13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40316B1 (ko) * 1999-10-08 2002-06-12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US6508332B2 (en) * 2000-11-15 2003-01-21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ZA200406978B (en) *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WO2011072891A1 (de) * 2009-12-16 2011-06-23 Thyssenkrupp Elevator Ag Vorrichtung zur mitnahme einer schachttür durch eine fahrkorbtür
CH702569B1 (de) * 2010-05-07 2011-07-29 Henseler H Ag Liftschachttür-Entriegelung.
WO2012163940A1 (de) * 2011-05-31 2012-12-06 Inventio Ag Variierbare kabinentür-schachttür-kupplung
EP2794453B1 (de) * 2011-12-21 2015-05-20 Inventio AG Kabinentür-schachttür-kupplung
CN103552900B (zh) * 2013-11-18 2015-06-1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轿门锁开启辅助装置、电梯
DE202014102533U1 (de) * 2014-05-13 2015-08-20 Wittur Holding Gmbh Türkuppler mit einer ihre flexible Positionierung ermöglichenden Betätigung
DE202014102534U1 (de) * 2014-05-13 2015-08-18 Wittur Holding Gmbh Türkuppler mit flexibel positionierbaren Kupplerkufen
US10882720B2 (en) * 2015-08-04 2021-01-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US10710843B2 (en) 2015-08-04 2020-07-14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EP3566995B1 (en) 2018-05-09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coupling systems
WO2020049684A1 (ja) * 2018-09-06 2020-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6438A (en) * 1928-09-28 1932-09-06 Otis Elevator Co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elevator cars and landing gates
DE2735614A1 (de) * 1977-08-06 1979-02-15 Guenter Grigoleit Mitnahmevorrichtung fuer die schachtschiebetueren von personenaufzuegen o.ae.
CH663406A5 (de) * 1984-05-28 1987-12-15 Inventio Ag Tue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aufzuege.
ATE75458T1 (de) * 1988-03-18 1992-05-15 Inventio Ag Tue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aufzue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3978D1 (de) 2005-01-05
JPH11512372A (ja) 1999-10-26
CN1196028A (zh) 1998-10-14
EP0850188B1 (en) 2004-12-01
CA2230881A1 (en) 1997-03-20
KR19990044647A (ko) 1999-06-25
CN1076005C (zh) 2001-12-12
BR9610501A (pt) 1999-05-04
JP3895383B2 (ja) 2007-03-22
EP0850188A1 (en) 1998-07-01
US5988320A (en) 1999-11-23
WO1997010168A1 (en) 1997-03-20
CA2230881C (en) 2005-06-28
FI101284B (fi) 1998-05-29
FI954306A0 (fi) 1995-09-13
DE69633978T2 (de) 2005-04-07
AU6989396A (en) 1997-04-01
FI101284B1 (fi) 1998-05-29
HK1012503A1 (en) 1999-08-06
AU717228B2 (en) 2000-03-23
FI954306A (fi) 1997-03-14
ES2229284T3 (es)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681B1 (ko) 엘리베이터자동도어를개폐하는장치및도어커플러
KR960001526B1 (ko) 래치기구를 갖는 승강기문 구동장치
JP4544887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US5263280A (en) Device for moving a swinging and sliding door in a mass-transit car especially a car that travels along a track
JP504728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A1299785C (en) Door drive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for lifts
US4884831A (en) Auxiliary door lock for a powered garage door
JPH09110346A (ja) エレベータの階ドアの開閉方法およびドア連結装置
JPH08208161A (ja) エレベータカーのドアの鎖錠装置ならびにカードアの鎖錠および開錠方法
US6189658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US20050126861A1 (en) Elevator door drive device
JP2842513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CN112638813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EP0484170B1 (en) Door coupling device
WO2019211900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7465460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用係合装置
WO2023195124A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H02270793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H0611586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装置
WO1999011895A1 (en) A door panel
JPH0266093A (ja)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JPH0713796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