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297B1 - 곤포기 - Google Patents

곤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297B1
KR100439297B1 KR10-2001-0036145A KR20010036145A KR100439297B1 KR 100439297 B1 KR100439297 B1 KR 100439297B1 KR 20010036145 A KR20010036145 A KR 20010036145A KR 100439297 B1 KR100439297 B1 KR 10043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uide
main body
input side
b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579A (ko
Inventor
카와이오사토미
토비타에이지
코야마세이이치로
Original Assignee
스트라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트라팩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8Single guide or carrier for the free end of material movable part-away around articles from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팰릿(pallet)에 올려놓은 곤포물에 종래의 곤포기로 밴드를 걸기 위해서는 팰릿에 올려놓은 곤포물을 아치가이드 틀내에 올려놓아야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곤포기 본체내에 밴드이송기구와, 밴드접착기구와, 밴드절단기구를 구비하고, 팰릿 등에 올려놓은 곤포물에 정렬되는 수직테이블(3)과, 이 수직테이블(3)의 아래쪽에서 수평방향으로 출몰가능하도록 한 밴드가이드(7)와, 이 밴드가이드(7)를 본체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본체에 배치한 차륜(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가이드(7)는 차륜(17)의 접지면 보다도 위쪽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곤포기{BALING MACHINE}
본 발명은 곤포물에 밴드를 거는 곤포기 특히 팰릿(pallet)등에 올려놓은 곤포물을 팰릿마다 밴드를 거는 곤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팰릿(50) 위에 곤포물(w)을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팰릿(50)은 윗판(51)과, 밑판(53)과, 윗판(51)과 밑판(53)을 접속하는 수직판(5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은 각 팰릿마다 밴드를 걸게되며, 그 밴드를 거는 데 이용하는 종래의 곤포기를 도시하는 것이 도 18이다.
도 18에 도시한 상기 종래의 곤포기는 본체(100)에 밴드(B)의 조임, 접착 및 밴드의 절단 등을 행하는 실링(sealing) 유닛(101)과, 밴드(B)를 고정하는 릴유닛(102)을 배치하고 있다.
또 본체(100)에 인접하여 아치가이드(103)를 실링유닛(101)과 받침대(104)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18의 쇄선은 하측가이드(105)로서 통상은 본체(100)에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하측가이드(105)를 수평방향으로 출입하는 기구를 본체(100)에 구비하고 있다.
밴드를 걸 때에는 하측가이드(105)가 개폐구(106)로부터 도 18에 있어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치가이드(103)의 접속구(107)에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측가이드(105)가 정확하게 접속구(107)에 접속하도록 본체(100)와 아치가이드(103)를 건물 바닥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종래의 곤포기를 이용하여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에 밴드를 걸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우선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을 상기 실링유닛(101)의 측면에 정렬시켜 받침대(104)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본체(100)의 조작보턴을 누르면 하측가이드(105)가 도 18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구(106)로부터 팰릿(50)의 윗판(51)과 밑판(53)사이를 지나 아치가이드(103)에 접속한다.
다음 본체(100)의 릴유닛(102)으로부터 풀어낸 밴드(B)는 실링유닛(101), 하측가이드(105), 접속구(107)를 경유하여 아치가이드(103)에 이른다. 밴드(B)는 아치가이드(103)내를 지나 실링유닛(101)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밴드(B)의 선단이 실링유닛(101)내로 복귀하면 실링유닛(101)에서는 밴드(B)를 단단히 죄여 접착 및 절단한다. 그 후 하측가이드(105)를 본체(100)내에 수납한다.
이와같이 하여 곤포물(w)에 팰릿(50)마다 밴드(B)를 걸었다.
상기와 같이 한 종래의 곤포기에는 아치가이드(103)를 구비하였다. 그 때문에 포크리프트로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을 아치가이드(103)의 틀내에 놓았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을 아치가이드(103)의 틀내에 놓았을 때 팰릿(50)을 받침대(104)에 올려놓기 위해 받침대(104)의 전후에 콘베이어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즉 팰릿(50)위의 곤포물(w)은 무겁기 때문에 포크리프트를 조작하여 우선 콘베이어 위에 팰릿(50)을 올려놓고 그 후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을 받침대(104) 위에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곤포기본체(100)와 아치가이드(103)를 건물 바닥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아치가이드(103)의 틀 위치에 팰릿(50)과 곤포물(w)을 작업자가 운반해야 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팰릿에 올려놓은 곤포물을 간단하게 밴드로 걸 수 있는 곤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 1발명은 본체 내에서 곤포물이 위치하는 곳으로 밴드를 이동시키는 밴드이송기구와, 곤포물에 감기는 밴드를 잡아 접착하는 밴드접착기구와, 필요에 따라 밴드를 절단하는 밴드절단기를 구비한 곤포기에 있어서, 팰릿(pallet) 등에 올려놓은 곤포물에 정렬하는 수직테이블과, 이 수직테이블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밴드이송기구로부터 나오는 밴드를 안내하는 밴드가이드와, 이 밴드가이드를 본체 내에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본체에 설치한 차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가이드는 차륜의 설치면 보다도 위쪽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제 2의 발명은 상기 밴드가이드를 본체측에 배치한 지지기구로만 지지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의 발명은 상기 지지기구는 밴드가이드 선단을 차륜의 설치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기 위한 누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의 발명은 상기 지지기구는 밴드가이드의 출몰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정지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의 발명은 본체내에 밴드조임기구를 배치하고, 이 밴드조임기구는 모터 등의 동력원의 출력축에 연결한 입력측 부재와, 밴드를 잡아당기는 텐션롤러에 연결한 출력측 부재와, 이들 입력측 부재와 출력측 부재를 잇거나, 해방하는 파우더 클러치를 구비하고, 파우더 클러치의 여자전류에 따라 입력측 부재에서 출력측 부재로의 전달토오크를 가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곤포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곤포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밴드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밴드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클램프레버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 7은 제 2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뒤쪽에서 본 도면.
도 8은 제 2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위에서 본 도면.
도 9는 제 3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10은 제 3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뒤쪽에서 본 도면.
도11은 제 4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12는 제 5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13은 제 5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위에서 본 도면.
도14는 제 6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본 도면.
도15는 제 7실시예의 밴드가이드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본 도면.
도16은 밴드조임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파우더 클러치의 절반 단면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종래의 곤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팰릿 위에 곤포물을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3: 수직테이블, 7: 밴드가이드
17: 차륜, 60: 밴드조임기구, 64: 텐션롤러
73: 모터, 74: 파우더 클러치, 75: 축부(출력측 부재)
77: 로터부(입력측 부재)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본체(1)에 릴유닛(2)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이 본체(1)의 일측면을 수직테이블(3)로 하고 있다.
또 이 수직테이블(3)의 내측에는 밴드이송기구(도 16에서의 피드롤러(61)와 보조롤러(62)로 구성됨), 밴드조임기구, 밴드접착기구 및 밴드절단기구가 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도면 중 부호 60은 밴드조임기구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각 기구는 수직테이블(3)을 따라 배치한 반면 종래의 각 기구는 수평으로된 테이블을 따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밴드조임기구(60)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하지만 상기 밴드접착기구 및 밴드절단기구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각 기구를 통과한 밴드(B)는 도 2와 같이 고정가이드(4) 및 이 고정가이드(4)에 연속시킨 원호형 가이드(5)에 인도되어 본체(1)의 저부에 이른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저부에는 오목형상으로 한 고정부(6)를 배치하고 있다. 즉 이 고정부(6)는 그 저면(6a)의 양측에 측벽(6b)(6b)을 배치한 것이다. 이 고정부(6)내에 밴드가이드(7)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지만 그 단면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즉 이 밴드가이드(7)는 그 저면(7a)에 한쌍의 가이드편(7b)(7b)을 소정의 간극을 두고 기립시키고 있다. 또한 이 가이드편(7b)(7b)의 대향면에는 도입가이드편(7c)(7c)을 밖으로 내밀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7b)(7b)의 상단에는 수평편(7d)(7d)을 외측으로 내밀고 있다.
또한 저면(7a), 가이드편(7b), 도입가이드편(7c) 및 수평편(7d)의 각각은 밴드가이드(7)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한 밴드가이드(7)는 본체(1)에 배치한 지지기구로 지지된다. 이 지지기구는 도 3과 같이 저판지지부재(8), 측면지지부재(9) 및 본 발명의 누름부재(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 각 부재에 의해 밴드가이드(7)의 주위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둘러싸고 있다. 즉 상기 저판지지부재(8)에는 밴드가이드(7)의 저판(7a)이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올려놓여짐과 동시에 저판(7a)과 수평편(7d)의 폭방향 양측부를 측면 지지부재(9)로 눌러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평편(7d)은 누름부재(10)로 눌려 그것이 솟아올라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밴드가이드(7)는 지지기구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 하도록 지지되면서 그것이 덜컹거리지 않는다. 단 완전히 덜컹거리지 않는 다는 것은 아니고 밴드가이드로서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이다.
또 이 밴드가이드(7)는 상기 지지기구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 하도록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도 1과 같이 본체(1)로부터 바깥쪽으로 꺼낼 수 있다. 이와같이 밴드가이드(7)를 꺼낸 상태에 있어서도 밴드가이드(7)는 지지기구에 지지되고, 그 선단이 접지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밴드가이드(7)의 인출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정지기구(S)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정지기구(S)는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부(6)의 측벽(6b)(6b)에 관통시킨 로드(11)를 주요소로 하고 있다. 즉 이 로드(11)의 한쪽의 관통단부에 넛트(12)를 고정하고, 다른쪽의 관통단부에 구멍(13)을 형성하며, 이 구멍(13)에 배치한 축(14)에 조작부재(15)를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재(15)는 도 5와 같이 레버(15a)의 선단부분에 캠(15b)을 형성하고, 이 캠(15b)을 회동함으로써 한쪽의 측벽(6b)에 접촉시키거나 떨어뜨리거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조작부재(15)가 도 5의 실선위에 있을 때 캠(15b)은 측벽(6b)에서 멀어진다. 그리고 레버(15a)를 회동하여 조작부재(15)를 쇄선위치로 유지하면 캠(15b)이 한쪽의 측벽(6b)에 접촉하여 그것을 밀며 또한 그 압착력의 반력으로 로드(11)를 잡아당긴다. 이 로드(11)의 인장력으로 이번에는 다른쪽의 측벽(6b)도 끌어당기게 된다.
즉 조작부재(15)를 도 5의 실선위치로 유지할 때에는 한쌍의 측벽(6b)(6b)의 대향간격이 노멀상태로 유지되지만 조작부재(15)를 쇄선위치로 유지함으로써 한쌍의 측벽(6b)(6b)의 대향간격을 좁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한쌍의 측벽(6b)(6b)의 대향간격이 좁아지면 그 만큼 밴드가이드(7)가 측면지지부재(9)에 끼워지게 된다. 이 측면지지부재(9)의 끼우는 힘으로 밴드가이드(7)를 소정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밴드가이드(7)의 저판(7a)위에서의 가이드편(7b)(7b)사이의 간격(L1)에 대해 도입가이드편(7c)(7c)사이의 간격(L2)을 충분히 작게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간격(L2)은 밴드(B)의 간격보다도 약간 넓게함과 동시에 이 간격(L2)내에 상기한 원호형 가이드(5)를 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원호형 가이드(5)를 따라 이끌린 밴드(B)는 도입가이드편(7c)(7c)을 경유하여 가이드편(7b)(7b)사이로 이끌리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가이드편(7b)(7b)사이로 이끌린 밴드(B)는 간격이 좁은 도입가이드편(7c)(7c)에서 눌려 밴드가이드(7)로 부터 떠오르는 경우가 없다.
또한 밴드가이드(7)는 도 1과 같이 본체(1)로부터 최대로 나왔을 때에도 도 4와 같이 그 일부가 예를들면 그 1/5~1/6의 길이가 본체(1)내의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밴드가이드(7)를 최대로 꺼내었을 때 누름부재(10)가 밴드가이드(7)의 수평편(7d)에 접촉하여 그것을 누르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밴드가이드(7)의 선단에는 유도편(16)을 배치하고 있다. 이 유도편(16)은 선단을 위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한 것으로 밴드가이드(7)로부터 꺼내진 밴드(B)를 위쪽으로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밴드가이드(7)를 조립한 본체(1)에는 4개의 차륜(17)을 배치하고 있다. 이 차륜(17)은 본체(1)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밴드가이드(7)는 차륜(17)의 접지면 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지지기구로 지지된다. 즉 밴드가이드(7)를 꺼낼 때 그것이 지면이나 바닥보다도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본체(1)로부터 나온 밴드가이드(7)가 팰릿(50)의 밑판(53)과 윗판(51)사이에 삽입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팰릿의 치수 등은 모두 JIS규격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치수에 맞추어 밴드가이드의 위치를 특정하고 있다.
다음 이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밴드가이드(7)를 본체(1)에서 손으로 최대로 꺼내는 한편 거기서 정지기구를 조작하여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차륜(17)을 배치한 본체(1)를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의 위치까지 이동시킴과 동시에 본체(1)에 배치한 수직테이블(3)을 곤포물(w)에 정렬시킨다. 이 때 상기 밴드가이드(7)를 팰릿(50)의 밑판(53)과 윗판(51)사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1)에 배치한 밴드이송기구를 동작시켜 릴유닛(2)에서 밴드(B)를 꺼낸다. 릴유닛(2)에서 꺼내어진 밴드는 고정가이드(4) 및 원호형 가이드(5)를 경유하여 밴드가이드(7)로 이끌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밴드가이드(7)로 이끌린 밴드(B)는 밴드가이드(7)를 경유하여 팰릿(50) 내를 통과함과 동시에 곤포에 필요한 길이 만큼 유도편(16)에 가이드되어 위쪽으로 밀려나온다.
상기와 같이 밴드(B)는 유도편(16)에 안내되어 위쪽으로 밀려나오므로 뒤에 계속하는 밴드가 선행하는 밴드 위에 겹치게 된다. 따라서 밴드가 너덜너덜하게 되어 헝클어지는 경우도 없어진다.
이와같이 밴드가이드(7)에서 밴드(B)를 도출하면 그 밴드의 선단을 잡아 곤포물(w)에 걸어 감음과 동시에 그 선단을 밴드접착기구에 삽입한다.
이와같이 밴드의 선단을 밴드접착기구에 삽입한 후는 밴드조임기구(60)에 의해 밴드를 조인다. 그 후 종래의 곤포기와 같은 처리를 기초로 접착 및 절단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차륜(17)을 본체(1)에 배치했기 때문에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의 위치에 본체(1)를 이동시켜 밴드를 걸수 있다. 즉 바닥면에 놓인 팰릿(50)상의 곤포물(w)에 본체(1)를 다가가게 하여 밴드를 걸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팰릿(50)에 올려놓은 곤포물(w)을 놓은 곳에 본체(1)를 이동시키고, 본체(1)에 배치한 수직테이블(3)이 곤포물(w)에 정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본체(1)에 배치한 수직테이블(3)을 곤포물(w)에 정렬시킬 때 포크리프트의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6 ~ 도 8에 도시한 제 2실시에는 활차를 이용하여 밴드가이드(7)를 출입하도록 한 것이다. 즉 밴드가이드(7)를 지지기구인 가이드부재(18)에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 하도록 고정시킴과 동시에 밴드가이드(7)의 전후에서 서로 반대측면에 핀(19)(20)을 세우고 있다. 그리고 이 핀(19)(20)사이에 여러개의 활차(21~24)를 통해 와이어(25)를 걸치도록 하고 있다.
즉 밴드가이드(7)의 선단에 세운 핀(19)에서 밴드가이드(7)의 뒤쪽에 배치한 제 1활차(21)에 와이어(25)를 걸쳐놓음과 동시에 이 제 1활차(21)로 와이어(25)의 방향을 변환하여 위쪽으로 이끌고, 그것을 구동치차(22)에 감고 있다. 그리고 이 구동활차(22)에 감은 와이어를 아래쪽으로 이끔과 동시에 제 2활차(23)로 방향을 변환하여 밴드가이드의 선단방향에 배치한 제 3활차(24)에 감고 있다. 또한 이 제 3활차(24)로 와이어(25)를 U턴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을 상기 핀(20)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활차(22)에는 핸들(26)을 배치하여 이 핸들(26)을 수동으로 돌림으로써 구동활차(22)를 돌리도록 하고 있다.
또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부호 27은 스케일로 와이어(25)에 고정한 지시부(28)의 이동량 즉 밴드가이드(7)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도 8의 상태에서 핸들(26)을 돌리고 구동활차(22)를 돌려 와이어(25)를 도 8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밴드가이드(7)는 앞쪽으로 나온다. 한편 핸들(26)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이번에는 밴드가이드(7)가 끌려들어간다. 그리고 이 밴드가이드(7)의 이동량은 스케일(27)과 지시부(28)와의 상대이동량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제 3실시예는 제 2실시예의 핸들(26)을 대신하여 견인기구를 배치한 것으로 그 이상은 제 2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실시예와같은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제 1활차(21) 및 제 2활차(23)의 위쪽에는 활차(29)(30)를 배치하고, 이 활차(29)(30)로 뒤집은 와이어(25)의 선단에 잡는 부(31)(32)를 매달고 있다. 이 잡는 부(31)(32)와 활차(29)(30)사이에 원웨이 클러치(33)(34)를 배치하고 있다. 즉 잡는 부(31)(32)를 잡아당기고 잡는 부(31)(32)를 떼면 원웨이 클러치(33)(34)가 기능하여 그 인장위치를 유지한다. 또 원웨이 클러치(33)(34)를 해제하면 와이어(25)를 역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잡는 부(31) 또는 (32) 중 어느 한쪽을 잡아당기면 그 잡아당기는 양에 비례하여 밴드가이드(7)가 이동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한 제 4실시예는 밴드가이드(7)를 가이드부재(18)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대해 제 2,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단 이 제 4실시예에서는 밴드가이드(7)를 전동모니터(35)에 배치한 마찰력이 큰 회전체(36)로 이동시키도록 한 점이 다르다. 그리고 이 제 4실시예에서는 밴드가이드(7)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37)(38)를 배치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제 5실시예에는 상기 제 4실시예의 회전체(36)를 대신하여 랙 앤드 피니온기구를 이용한 것이다. 즉 밴드가이드(7)의 측면에 랙(39)을 배치함과 동시에 전동모니터(35)의 회전축에 피니온(40)을 배치한 것이다.
또한 이 제 5실시예에서는 밴드가이드(7)의 측면에 레일(41)을 배치하고, 이 레일(41)에 본체(1)측에 배치한 차륜(42)을 맞물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레일(41)과 차륜(42)으로 본 발명의 지지기구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4실시예와 같다.
도 14에 도시한 제 6실시예는 제 5실시예의 랙앤드 피니온기구를 대신하여 스크류 샤프트(43)를 이용한 것이다.
또 도 15에 도시한 제 7실시예는 스크류 샤프트(43)를 대신하여 유압실린더(44)를 이용한 것이다.
도 16은 도 2에 도시한 밴드조임기구(6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화살표의 위치에서 릴유닛(2)으로부터 내보내지는 밴드를 피드롤러(61)와 보조롤러(62)사이를 지나게 한다. 피드롤러(61)와 보조롤러(62)사이에 밴드의 선단이 들어가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보조롤러(62)가 피드롤러(61)측으로 이동한다. 보조롤러(62)가 피드롤러(61)측으로 이동하고 보조롤러(62)와 피드롤러(61)가 밴드를 끼우면 피드롤러(61)가 회전한다. 피드롤러(61)의 회전에 의해 피드롤러(61)와 보조롤러(62) 사이를 지난 밴드를 커브가이드(63)로 보낸다. 따라서, 피드롤러(16)와 보조롤러(62)는 밴드이송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피드롤러(61)의 밴드의 송출에 의해 커브가이드(63)를 지난 밴드를 강한 조임을 행하기 위한 텐션롤러(64)와 텐션보조롤러(65)사이를 지나게 한다. 또한 이 밴드를 텐션롤러(64)와 텐션플레이트(66)사이를 지나게 한다.
계속해서 피드롤러(61)의 밴드의 송출에 의해 상기 텐션롤러(64)와 텐션플레이트(66) 사이를 지난 밴드를 리니어가이드(67)를 지나게 한다. 그리고 이 리니어 가이드(67) 중간에 배치한 리턴롤러(68)와 보조롤러(69) 사이에 밴드를 지나게 한다. 또한 이 리턴롤러(68)는 뒤에 설명하는 밴드를 되감기 위한 롤러이다.
또한 리턴롤러(68)와 보조롤러(69) 사이를 지난 밴드를 수직테이블(3)을 따라 보내어 도시하지 않은 밴드누름기구를 지나게 한다. 밴드누름기구를 지난 밴드를 상기한 고정가이드(4)에 도달시킨다. 그리고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정가이드(4)를 지난 밴드를 밴드가이드(7)로 보낸다. 밴드가이드(7)의 선단에서 곤포에 필요한 길이분까지 밴드를 내밀면 피드롤러(61)의 회전은 정지한다.
이와같이 밴드를 내 보낸 후 상기 제 1실시예의 작용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작업자가 곤포물에 밴드를 걸고, 밴드의 선단을 밴드접착기구에 삽입하면 도시하지 않은 밴드스토퍼의 센서가 온한다.
밴드스토퍼의 센서가 온하면 보조롤러(69)가 리턴롤러(68)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보조롤러(69)와 리턴롤러(68)가 밴드를 끼우고, 리턴롤러(68)가 회전한다. 이 리턴롤러(68)의 회전에 의해 곤포물에 걸쳐진 밴드 중 여분 길이의 밴드를 릴유닛(2)측으로 되돌린다. 곤포물에 걸친 밴드가 정확히 곤포물에 닿게 되면 리턴롤러(68)의 회전이 정지한다.
다음 텐션 솔레노이드(70)가 작동하고, 보조롤러암(72)이 축핀(71)을 중심으로 도 16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보조롤러암(72)이 회동하면 텐션보조롤러(65)가 텐션롤러(64)측으로 이동하고, 텐션롤러(64)에 밴드를 강하게 밀어부친다. 이 상태에서 동력원인 모터(73)의 출력축의 회전이 텐션롤러(64)에 전해지고, 도 16의 시계방향으로 텐션롤러(64)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텐션롤러(64)와 텐션보조롤러(65)에서 끼워진 밴드를 릴유닛(2)측으로 강하게 조인다.
상기 모터(73)의 출력축의 회전은 파우더 클러치(74)를 통해 텐션롤러(64)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이 파우더 클러치(74)의 구성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도 17의 반단면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파우더 클러치(74)의 로터부(77)는 벨트(76)를 통해 모터(73)의 출력축에 연결하고 있다. 이와같이 벨트(76)로 연결하여 모터(73)의 출력축의 회전을 로터부(77)에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 텐션롤러(64)를 파우더 클러치(74)의 축부(75)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터부(77)는 베어링부(78)를 통해 축부(75)를 외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 이 로터부(77)를 파우더 클러치(74)의 기체(84)가 베어링부(79)를 통해 외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즉 축부(75)와 로터부(77)는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터부(77)가 본 발명의 입력측 부재이고, 상기 축부(75)가 본 발명의 출력측 부재이다.
또한 도 17과 같이 축부(75)와 로터부(77)사이에 축부(75)에 부착된 링부(80)를 배치하고, 이 링부(80)의 주위를 자성분체(81)가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자성분체(81)의 외주에 있는 기체(84)에 코일(82)을 배치하고 있다. 이 코일(82)에 접속한 리드선(83)에 여자전류를 흐르게 하면 코일(82)의 둘레에 자장이 발생한다. 이 발생한 자장에 의해 자성분체(81) 서로가 강고하게 묶인다. 자성분체(81)가 묶이면 상기 로터부(77)와 상기 축부(75)의 링부(80)가 고착한다.
그리고 코일(82)에 흐르는 여자전류를 크게 하면 코일(82)의 둘레에 발생하는 자장의 강도가 커진다. 자장의 강도가 커지면 축부(75)와 로터부(77)와의 고착도가 강해지고 로터부(77)와 축부(75)가 연결되어 로터부(77)의 토오크가 축부(75)에 그대로 전해진다. 즉 코일(82)에 흐르는 여자전류를 크게 하면 로터부(77)에서 축부(75)로의 전달토오크가 커진다.
반대로 코일(82)에 흐르는 여자전류를 작게하면 코일(82)의 둘레에 발생하는 자장의 강도가 작아진다. 자장의 강도가 작아지면 로터부(77)와 축부(75)의 고착도가 약해져 로터부(77)의 토오크의 일부밖에 축부(75)에 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코일(82)에 흐르는 여자전류를 작게하면 로터부(77)와 축부(75)가 해방되어 로터부(77)에서 축부(75)로의 전달토오크가 작아진다.
이와같이 하여 코일(82)에 흐르는 여자전류를 변화시켜 로터부(77)와 축부(75)와의 고착도를 변화시키고, 로터부(77)로부터 축부(75)로의 전달토오크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밴드조임기구(60)는 파우더 클러치(74)의 코일(82)에 흐르는 여자전류의 크기에 따라 로터부(77)로부터 축부(75)로의 전달토오크를 가변으로 하여 밴드의 조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차륜을 본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팰릿 등에 올려놓은 곤포물의 위치까지 본체를 이동하여 본체에 배치한 수직테이블을 곤포물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에 배치한 수직테이블을 곤포물에 정렬시키면 밴드가이드를 팰릿 등의 밑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밴드가이드에 이끌린 밴드를 팰릿 등의 밑을 지나게할 수 있다. 따라서 팰릿에 올려놓은 곤포물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팰릿 등의 밑에 밴드를 지나게 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밴드가이드를 본체측에 배치한 지지기구로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밴드가이드를 본체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지지되게 된다.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밴드가이드를 본체로부터 인출해도 밴드가이드의 선단부분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가 없다.
제 4의 발명에 의하면 밴드가이드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팰릿 등의 크기에 맞추어 밴드가이드의 인출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제 5의 발명에 의하면 밴드조임기구에 파우더 클러치를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밴드조임기구는 파우더 클러치의 코일에 흐르는 여자전류의 크기에 따라 로터부와 축부의 고착도를 변화시키고, 로터부로부터 축부로의 전달토오크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로터부로부터 축부로의 전달토오크를 가변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밴드의 조임력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9)

  1. 본체(1) 내에서 곤포물(W)이 위치하는 곳으로 밴드를 이동시키는 밴드이송기구(61, 62)와, 곤포물에 감기는 밴드를 잡아 접착하는 밴드접착기구와, 필요에 따라 밴드를 절단하는 밴드절단기를 구비한 곤포기에 있어서,
    팰릿(pallet)(50) 등에 올려놓은 곤포물에 정렬하는 수직테이블(3)과, 이 수직테이블(3)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밴드이송기구로부터 나오는 밴드를 안내하는 밴드가이드(7)와, 이 밴드가이드(7)를 본체(1) 내에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기구(8, 9 10)와, 본체(1)에 설치한 차륜(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가이드(7)는 차륜의 설치면 보다도 위쪽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이드(7)를 본체측에 설치한 지지기구(8, 9, 10)로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8, 9, 10)는 밴드가이드(7) 선단이 차륜(17)의 설치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누름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8, 9, 10)에는 밴드가이드(7)의 출몰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화하는 정지기구(S)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 내에 밴드조임기구(60)를 설치하고, 이 밴드조임기구(60)는 모터(73) 등의 동력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입력측부재(77)와, 밴드(B)를 잡아당기는 텐션롤러(64)에 연결한 출력측 부재(75)와, 이들 입력측부재(77)와 출력측부재(75)를 연결하거나 개방하는 파우더 클러치(74)를 구비하고, 파우더 클러치(74)의 여자전류에 따라서 입력측부재(77)로부터 출력측부재(75)로의 전달토크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8, 9, 10)에는 밴드가이드(7)의 출몰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정지기구(S)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7. 제3항에 있어서,
    본체(1) 내에 밴드조임기구(60)를 설치하고, 이 밴드조임기구(60)는 모터(73) 등의 동력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입력측부재(77)와, 밴드(B)를 잡아당기는 텐션롤러(64)에 연결한 출력측 부재(75)와, 이들 입력측부재(77)와 출력측부재(75)를 연결하거나 개방하는 파우더 클러치(74)를 구비하고, 파우더 클러치(74)의 여자전류에 따라서 입력측부재(77)로부터 출력측부재(75)로의 전달토크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8. 제4항에 있어서,
    본체(1) 내에 밴드조임기구(60)를 설치하고, 이 밴드조임기구(60)는 모터(73) 등의 동력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입력측부재(77)와, 밴드(B)를 잡아당기는 텐션롤러(64)에 연결한 출력측 부재(75)와, 이들 입력측부재(77)와 출력측부재(75)를 연결하거나 개방하는 파우더 클러치(74)를 구비하고, 파우더 클러치(74)의 여자전류에 따라서 입력측부재(77)로부터 출력측부재(75)로의 전달토크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9. 제6항에 있어서,
    본체(1) 내에 밴드조임기구(60)를 설치하고, 이 밴드조임기구(60)는 모터(73) 등의 동력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입력측부재(77)와, 밴드(B)를 잡아당기는 텐션롤러(64)에 연결한 출력측 부재(75)와, 이들 입력측부재(77)와 출력측부재(75)를 연결하거나 개방하는 파우더 클러치(74)를 구비하고, 파우더 클러치(74)의 여자전류에 따라서 입력측부재(77)로부터 출력측부재(75)로의 전달토크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
KR10-2001-0036145A 2000-06-28 2001-06-25 곤포기 KR100439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4010 2000-06-28
JP2000-194010 2000-06-28
JP2000-370972 2000-12-06
JP2000370972A JP2002080010A (ja) 2000-06-28 2000-12-06 梱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79A KR20020001579A (ko) 2002-01-09
KR100439297B1 true KR100439297B1 (ko) 2004-07-07

Family

ID=2659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145A KR100439297B1 (ko) 2000-06-28 2001-06-25 곤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68159B2 (ko)
EP (1) EP1167195B1 (ko)
JP (1) JP2002080010A (ko)
KR (1) KR100439297B1 (ko)
AT (1) ATE296755T1 (ko)
DE (1) DE60111127T2 (ko)
ES (1) ES2245342T3 (ko)
TW (1) TW4929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70A (ko) * 2019-10-14 2021-04-22 (주)바인텍 절환 동작 모드가 적용된 결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55355B1 (es) * 2003-08-08 2007-07-16 Band-Automat, S.A. Maquina flejadora movil, para el flejado horizontal y vertical de cajas sobre palets o plataformas de carga.
JP5108593B2 (ja) * 2008-04-02 2012-12-26 ストラパック株式会社 バンド掛け機
DE102009040700A1 (de) * 2009-09-10 2011-03-24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binden
CN102310955A (zh) * 2011-03-09 2012-01-11 维苏威太阳能坩埚(苏州)有限公司 一种自动打包装置
GB2481724B (en) * 2011-07-13 2012-10-03 Chien-Fa Lai Feeding and reversing mechanism for a strapping machine
CH705743A2 (de) 2011-11-14 2013-05-15 Illinois Tool Works Umreifungsvorrichtung.
US10279945B2 (en) 2012-10-22 2019-05-07 Encore Packaging Llc Stretch film roping
PL3105128T3 (pl) 2014-02-10 2021-11-22 Signode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Urządzenie do taśmowania z urządzeniem do przesuwu taśmy w przód
DE102014102291A1 (de) 2014-02-21 2015-08-27 Steffen Link Verpackungsvorrichtung für Gegenstände mit einer Wickeleinrichtung
CA3050825C (en) * 2014-08-11 2022-01-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ell rang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10183768B2 (en) 2015-12-17 2019-01-22 Kenneth M. Payne Pallet threading apparatus
US10843827B2 (en) 2016-11-06 2020-11-24 Encore Packaging Llc Stretch film processing to replace strapping
USD864688S1 (en) 2017-03-28 2019-10-29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USD833493S1 (en) * 2017-07-14 2018-11-13 Encore Packaging Llc Stretch strapping device
CA192340S (en) * 2019-07-22 2021-12-30 Ergopack Deutschland Gmbh Packaging machine
US11673710B2 (en) 2021-01-14 2023-06-13 Encore Packaging Llc Securing apparatus for packaging and shipping
USD983245S1 (en) * 2021-09-24 2023-04-11 Dongguan Jingduan Packaging Technology Co. Ltd Pallet strapp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3781A (en) * 1959-10-23 1965-10-26 Interlake Steel Corp Strap guide
GB1031516A (en) * 1962-09-18 1966-06-02 Seal Less Strapping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raining flexible material about packages and the like
US3279354A (en) * 1965-03-17 1966-10-18 Fmc Corp Strap feeding apparatus
US3263599A (en) * 1965-05-24 1966-08-02 Fmc Corp Palletized load strapping method
US3899963A (en) * 1973-12-11 1975-08-19 Signode Corp Articulated strap chute and guide means therefor
US3949662A (en) * 1975-04-29 1976-04-13 Fmc Corporation Pallet strapper with projectable lance
EP0112820A1 (en) * 1982-06-17 1984-07-11 Se-Produkter A device for wrapping bands around pallet loads
JPS6077820A (ja) * 1983-10-03 1985-05-02 ニチロ工業株式会社 バンド式梱包機のバンド引戻し引締め装置
JPS6077818A (ja) * 1983-10-06 1985-05-02 ストラパック株式会社 梱包装置
CH662791A5 (de) * 1984-03-13 1987-10-30 Konrad Feinmechanik Ag A Maschine zum anlegen eines bandes um ein packgut.
JPS61259912A (ja) * 1984-12-28 1986-11-18 ニチロ工業株式会社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の供給・引締め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867053A (en) * 1988-02-17 1989-09-19 Strapack Corporation Strapping band guide unit in full automatic strapping machine
JP2740804B2 (ja) * 1990-02-09 1998-04-15 ストラパック株式会社 梱包機における空梱包バンドの除去方法
JPH05262309A (ja) * 1992-03-19 1993-10-12 Naigai Kk パウダクラッチを用いたローラ引締式梱包機の引締制御方法
JP2857280B2 (ja) * 1992-06-10 1999-02-17 ストラパック株式会社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供給・引締方法及び装置
US5355786A (en) * 1993-09-21 1994-10-18 Signode Corporation Strap guide for guiding strap through aligned openings in pallet stringers
US5513483A (en) * 1995-01-31 1996-05-07 Illinois Tool Works Inc. Continuously adjustable strapping machine
US5916108A (en) * 1997-05-08 1999-06-29 Bedford Industr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tie ribbon to an aritcle
US6363689B1 (en) * 2000-01-26 2002-04-02 Sandar Industries, Inc Band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70A (ko) * 2019-10-14 2021-04-22 (주)바인텍 절환 동작 모드가 적용된 결속장치
KR102336302B1 (ko) * 2019-10-14 2021-12-08 (주)바인텍 절환 동작 모드가 적용된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1127T2 (de) 2006-05-04
KR20020001579A (ko) 2002-01-09
US20020000080A1 (en) 2002-01-03
EP1167195A1 (en) 2002-01-02
ES2245342T3 (es) 2006-01-01
DE60111127D1 (de) 2005-07-07
TW492935B (en) 2002-07-01
ATE296755T1 (de) 2005-06-15
JP2002080010A (ja) 2002-03-19
EP1167195B1 (en) 2005-06-01
US6568159B2 (en)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297B1 (ko) 곤포기
CA2694202C (en) Strapping machine with improved tension, seal and feed arrangement
JP3278450B2 (ja) ケーブルを自動ケーブル処理装置内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EP0936142A2 (en) Revolving wrapping means for a packaging device
JPS61217316A (ja) 緊縛バンドで包装品を繁縛する方法および機械
NL7906748A (nl) Half automatische verpakkingsmachine.
US11724841B2 (en) Machine head for packing machine and packing machine
CA240160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tying bundles of objects
KR20190016874A (ko) 농산물 자동 묶음장치
FR2843366B1 (fr) Dispositif d'entrelacage pour machine de palettisation et machine de palettisation equipee d'un tel dispositif
CN113597925A (zh) 一种用于捆扎机的卷线器及具有该卷线器的捆扎机
CN112722388B (zh) 捆扎机用机头及捆扎机
JP2006504588A (ja) 少なくとも2つのストラップをパケット周辺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GB2059010A (en) Tension adjusting mechanism for article binding machine
CN215530295U (zh) 一种用于捆扎机的卷线器及具有该卷线器的捆扎机
CN217074906U (zh) 一种包扎机
CN216146766U (zh) 一种用于捆扎机的驱动机构及捆扎机
SU1608101A1 (ru) Привод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JP3244595B2 (ja) 梱包機
RU22489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утки проволочных обвязок и растяже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определением усилия
KR950006760Y1 (ko) 반자동 곤포기
US6877421B2 (en) Device for binding of pulp bales
JP2851698B2 (ja) 大束結束機における帯封機構
JP3091493U (ja) 簡易アーチ式梱包機
KR200292386Y1 (ko) 포장기용 밴드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