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451B1 - 피복분체 및 이를 배합하여 된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복분체 및 이를 배합하여 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451B1
KR100436451B1 KR10-1999-7002176A KR19997002176A KR100436451B1 KR 100436451 B1 KR100436451 B1 KR 100436451B1 KR 19997002176 A KR19997002176 A KR 19997002176A KR 100436451 B1 KR100436451 B1 KR 10043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ting
refractive index
silica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6137A (ko
Inventor
니시가따가즈히로
니시무라히로찌까
Original Assignee
포라가세이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라가세이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포라가세이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45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1/305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81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률 1.3∼1.8인 분체를 핵으로하고, 이것에 굴절률 1.9∼3.1인 물질을 피복하고, 그위에 굴절률 1.3∼1.8인 물질을 더 피복하여 피복분체를 얻는 것이다. 상기 분체를 화장료, 도료로서 사용하면 차폐성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명도를 손상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발색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복분체 및 이를 배합하여 된 화장료{COATED POWDER AND COSMETIC PREPARED BY BLENDING SAID POWDER}
종래 화장료나 도료용의 안료로서 실리카나 2산화 티탄, 또는 실리카 표면에 티타니아 등의 금속산화물을 피복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2산화 티탄은 차폐성이 높은 것이긴 하나, 다량으로 사용하면 부자연스런 미백효과가 나타나거나 명도가 저하하여 자연스런 발색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피복분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장료나 도료등에 사용할 때에 이들의 명도를 손상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발색을 실현하는 분체 및 이 분체를 배합하여 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서, 명도를 손상하지 않고 자연 발색을 실현하는 분체 및 이 분체를 배합하여 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굴절율 1.3∼1.8의 분체를 핵으로 하고, 이것에 굴절율 1.9∼3.1의 물질을 피복하고, 그 위에 굴절율 1.3∼1.8의 물질을 더 피복하면, 각 피복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 파장의 광의 직진 투과성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고, 또 전투과량은 피복두께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고 100%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료, 도료등의 안료로서 사용한 때에 차폐성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명도를 손상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발색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본 발명은 (A) 굴절률 1.3∼1.8의 분체를 핵으로 하고, 이 위에 (B) 굴절률 1.9∼3.1의 물질의 피복층을 갖고, 이 위에 (C) 굴절률 1.3∼1.8의 물질의 피복층을 더 갖는 피복분체이다. 본 발명의 피복분체는 용도에 따라서 광의 직진 투과율을 조절가능하고, 광의 전투과량이 높아 명도를 거의 손상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피복분체를 배합하여 되는 화장료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복분체는 핵이 되는 굴절률 1.3∼1.8의 분체에, 졸겔법이나 분무 건조법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굴절률 1.9∼3.1의 물질과 굴절률 1.3∼1.8의 물질을 피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핵이 되는 분체의 형상은 판상이어도, 구상이어도, 부정형이어도 좋으나 광을 고르게 확산 투과시키기 위해서는 구상인 것이 좋다. 핵이 되는 분체의 입경은 소망하는 피복분체의 입경이나, 핵이 되는 분체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핵이 되는 분체에 피복되는 물질의 중량비 등의 조건에 따라서 적의 조정하여도 좋다. 핵이 되는 분체의 형상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핵이 되는 분체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5∼4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28㎛이다. 또 핵이 되는 분체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3∼1.8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1.6이다. 이와 같은 핵이 되는 분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굴절률 n=약 1.54422), 알루미나(굴절률 n=약 1.76∼1.77), 탄산칼슘(굴절률 n=약 1.6585) 등을 들 수 있고, 투과율의 점에서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이 핵이 되는 분체에 최초로 피복되어, 제1층을 형성하는 물질은 굴절률이 1.9∼3.1인 것이 바람직하고, 2.1∼2.6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핵이 되는 분체에 최초로 피복되어, 제1층을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티타니아(굴절률 n=약 2.493∼2.586), 지르코니아(굴절률 n=약 2.13, 2.19 또는 2.20)등을 들수 있다. 이 제1층의 피복량은 피복분체의 용도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나, 통상은 피복분체의 전량에 대해서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5∼30중량% 정도의 피복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량이 1중량% 미만이면 차폐효과가 충분하지 않게 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명도가 저하함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1층 위에 더 피복되어, 제2층을 형성하는 물질은 굴절률이 1.3∼1.8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6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층을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등을 들수 있고, 투과율의 점에서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이 제2층의 피복량은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의 조정가능하나, 통상은 피복분체 전량에 대해서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 정도의 피복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량이 1중량% 보다 적으면 광의 전투과량이 감소하여, 명도가 올라가지 않고, 30중량%를 초과해서 피복해도 명도를 올리는 효과의 향상이 나타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피복분체는 그 형상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그 입경이 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4∼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경이 상기 범위외에서도 본 발명의 피복분체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나, 이 범위내이면 화장료나 도료등에 사용되는 안료로서 더 취급하기 쉽고, 또 화장료에 배합한 때에는 사용감촉이 더 양호하다.
이와같은 피복분체를 얻는 데는 예를 들어, 알콕시실란을 암모니아 첨가에 의한 가수분해를 행하여 구상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고, 다음에 이것을 티탄알콜사이드용액에 투입하여, 가수분해를 행하고 표면에 티탄알콕사이드 가수분해물의 피복층을 형성시켜서 소성 등을 하여 제1층 피복층을 형성한다. 이 피복분체를 알콕시실란 용액중에 투입하여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제2층을 더 형성하고, 이것을 소성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복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제2층의 형성은 알콕시실란 용액을 제1층을 갖는 분체에 분무한 후, 얻어진 분체를 가열 건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다. 또 출발원료의 분체로서 시판의 실리카 분체를 사용할수 도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61-27020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정구상(true spherical) 실리카 분체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복분체는 화장료나 도료등에 배합할 수 있다. 피복분체의 배합량은 화장료나 도료등의 목적에 따라서 적의 조정하여도 좋다.
상기 피복분체를 포함하는 본발명의 화장료는 제형 및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형은 용액상, 유액상, 크림상, 수성겔상등 어느것도 좋고, 또 용도로서는 파운데이션, 콘트롤칼라, 메이크업제(make-up base), 아이칼라, 화장수, 화장유액, 치크칼라, 립칼라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피복분체외에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 예를 들어 수성성분,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착색제, 향료, 항산화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자외선방지제, 항염증제, 미백제 또는 상기 본 발명의 피복분체 이외의 분체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피복분체를 배합하는 이외는 통상의 화장료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실시예로서 본발명의 피복분체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모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10중량%인 에탄올 용액에 2중량% 암모니아 수용액을 서서히 적하하고, 3시간 교반하여 구상 실리카 입자(입경 0.8㎛, 소성후 약 0.55㎛가 됨)을 제조했다. 이 입자를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나서 300℃에서 4시간 가열건조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이 입자 10g을 티탄이소프로폭사이드가 3중량%인 이소프로판올 용액 270ml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5% 함수이소프로판올 10ml를 서서히 적하하여, 입자 표면에 티탄이소프로폭사이드 가수분해물을 부착시켜 여과후 물로 세척하고, 300℃에서 4시간 가열 건조했다. 이 분체를 테트라에톡시실란이 10중량%인 에탄올 용액 60ml에 투입하고, 1N 염산용액을 서서히 적하 첨가하고 하루밤낮 교반하여 표면에 실리카 피복층을 형성시켰다. 최종적으로 얻은 분체를 800℃에서 4시간 소성하여 피복분체(I)를 얻었다. 각 피복단계에서 X선회절의 2산화 티탄(TiO2) 유래의 피크 강도비로 실리카와 티탄의 중량비율을 구한 결과 피복분체(I)의 실리카(핵이 되는 분체) : 티타니아(제1층) : 실리카(제2층)의 비율은 70:20:10이었다. 또 피복분체(I)의 입경은 소성후 약 0.6㎛였다.
실시예 2
정구상 실리카 수지분체(도시바실리콘제, 토스펄 120)를 전기로에 넣고, 매분 20℃의 속도로 실온에서 1000℃ 까지 승온한 뒤, 이 온도에서 6시간동안 소성한 후, 전원을 차단하여 실온까지 자연방냉하여 정구상 실리카(입경 0.85㎛)를 얻었다. 이 실리카 분말 10g을 지르코늄테트라-n-프로폭사이드가 5중량%인 이소프로판올 용액 70ml에 투입하고, 5중량% 함수이소프로판올을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서서히 적하 첨가하면서 가수분해를 행하고, 얻은 분체를 800℃에서 소성하여 지르코니아 피복분체를 얻었다. 이 지르코니아 피복분체를 테트라에톡시실란이 10중량%인 에탄올 용액 55ml에 투입하고, 1N 염산용액을 서서히 적하하여 하루밤낮 동안 교반하여 표면에 실리카 피복층을 형성시켰다. 최종적으로 얻은 분체를 800℃에서 4시간 소성하여 피복분체(II)를 얻었다. 제조의 각 피복단계에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X선회절의 2산화 지르코늄(ZrO2) 유래의 피크 강도비로, 실리카와 지르코니아의 중량비율을 구한 결과, 피복분체(II)의 실리카(핵이 되는 분체) : 지르코니아(제1층) : 실리카(제2층)의 비율은 80:10:10이었다. 또 피복분체(II)의 입경은 소성후 약 0.9㎛였다.
실시예 3
모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10중량%인 에탄올 용액에 2중량% 암모니아 수용액을 서서히 적하하고, 3시간 교반하여 구상 실리카 입자(입경 0.8㎛)을 제조했다. 이 입자를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나서 300℃에서 4시간 가열건조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이 입자 10g을 티탄이소프로폭사이드가 3중량%인 이소프로판올 용액 60ml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5% 함수이소프로판올 10ml를 서서히 적하하여, 표면에 티탄이소프로록사이드 가수분해물을 부착시켜 여과후 물로 세척하고, 300℃에서 4시간 가열 건조했다. 이 분체를 테트라에톡시실란이 10중량%인 에탄올 용액 50ml에 투입하고, 1N 염산용액을 서서히 적하 첨가하고 하루밤낮 교반하여 표면에 실리카 피복층을 형성시켰다. 최종적으로 얻은 분체를 800℃에서 4시간 소성하여 피복분체(III)를 얻었다. 제조의 각 피복단계에서 실시예1과 같이 X선회절의 2산화 티탄(TiO2) 유래의 피크 강도비로 실리카와 티타니아의 중량비율을 구한 결과, 피복분체(I)의 실리카(핵이 되는 분체) : 티타니아(제1층) : 실리카(제2층)의 비율은 85:5:10이었다. 또 피복분체(I)의 입경은 소성후 약 0.6㎛였다.
실시예 4
모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10중량% 에탄올 용액에 2중량% 암모니아 수용액을 서서히 적하하고, 3시간 교반하여 구상 실리카 입자(입경 0.8㎛)을 제조했다. 이 입자를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뒤, 300℃에서 4시간 가열건조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이 입자 10g을 티탄이소프로폭사이드가 3중량%인 이소프로판올 용액 30ml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5% 함수이소프로판올 10ml를 서서히 적하하고, 표면에 티탄이소프로폭사이드 가수분해물을 부착시켜 여과후 물로 세척하고, 300℃에서 4시간 가열 건조했다. 이 분체를 테트라에톡시실란이 10중량%인 에탄올 용액 50ml에 투입하고, 1N 염산용액을 서서히 적하 첨가하고 하루밤낮 교반하여 표면에 실리카 피복층을 형성시켰다. 최종적으로 얻은 분체를 800℃에서 4시간 소성하여 피복분체(IV)를 얻었다. 제조의 각 피복단계에서 실시예1과 같이 X선회절의 2산화 티탄(TiO2) 유래의 피크 강도비로 실리카와 티타니아의 중량비율을 구한 결과, 피복분체(IV)의 실리카(핵이 되는 분체) : 티타니아(제1층) : 실리카(제2층)의 비율은 87.5:2.5:10이었다. 또 피복분체(IV)의 입경은 소성후 약 0.6㎛였다.
실시예에서 얻은 피복분체 및 비교예로서 종래 공지의 분체의 400, 500, 600, 700nm에서의 광투과 데이터를 표1에 나타냈다. 직선투과율은 분체를 통과한 광을 즉시 뒤에서 수광하고, 광투과선량을 측정한 것으로, 전투과율은 적분구를 사용하여 각 방면으로 산란하면서 투과한 광선량을 측정한 것이다.
표1의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실시예의 분체는 모두 직선의 투과율은 피복분체의 실리카(핵이 되는 분체) : 티타니아 또는 지르코니아(제1층) : 실리카(제2층)의 중량비율에 의해서 각 파장에서 조정가능함에 대해서, 전체의 광투과량은 100%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다른 단일 성분의 분말이나 일층 피복의 분체에서는 볼수 없는 특징이다.
다음에 이들 분체를 사용하여 표2에 나타낸 조성의 파운데이션을 제작했다. 각 파운데이션의 직선투과율 및 전투과율을 측정한 결과를 표3에 나타냈다.
표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피복분체는 파운데이션에 적용한 때에도 그 특성을 유지하고 전체의 명도를 떨어뜨리지 않음이 명백하였다.
본 발명의 피복분체는 직선방향의 광투과량은 성분의 조성비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으나 전투과량은 어느 파장영역에 있어서도 거의 100%를 유지하고, 이 특징은 화장품이나 도료에 적용한 때에도 유지된다. 그 때문에 화장료나 도료등의 도포후의 명도를 손상하는 일이 거의 없어, 매우 유용하다.

Claims (11)

  1. (A) 굴절률 1.3∼1.8인 분체를 핵으로 하고, 그 위에 (B) 굴절률 1.9 ∼3.1인 물질의 피복층을 갖고, 그 위에 (C) 굴절률 1.3∼1.8 물질의 피복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2. 제1항에 있어서,
    (B)의 굴절률 1.9∼3.1인 물질의 피복층의 량이 피복분체 전량의 1∼50중량%이고, (C)의 굴절률 1.3∼1.8인 물질의 피복층의 량이 피복분체 전량의 1∼30중량%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3. 제1항에 있어서,
    굴절률 1.3∼1.8인 물질이 실리카이고, 굴절률 1.9∼3.1인 물질이 티타니아 및 지르코니아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굴절률 1.3∼1.8인 물질이 실리카이고, 굴절률 1.9∼3.1인 물질이 티타니아 및 지르코니아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7. 제1항에 있어서,
    핵으로 되는 분체가 구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8. 제2항에 있어서,
    핵으로 되는 분체가 구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9. 제3항에 있어서,
    핵으로 되는 분체가 구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10. 제6항에 있어서,
    핵으로 되는 분체가 구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분체.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피복분체를 배합하여 되는 화장료.
KR10-1999-7002176A 1996-09-17 1997-03-26 피복분체 및 이를 배합하여 된 화장료 KR10043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66680 1996-09-17
JP26668096 1996-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137A KR20000036137A (ko) 2000-06-26
KR100436451B1 true KR100436451B1 (ko) 2004-06-24

Family

ID=1743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176A KR100436451B1 (ko) 1996-09-17 1997-03-26 피복분체 및 이를 배합하여 된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0315B2 (ko)
JP (1) JP3605118B2 (ko)
KR (1) KR100436451B1 (ko)
AU (1) AU2043197A (ko)
WO (1) WO1998011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906B2 (ja) 1997-12-01 2001-07-16 株式会社資生堂 複合粉末及びこれを含む着色用組成物、並びにこの複合粉末乃至着色用組成物の使用方法
JP3342664B2 (ja) * 1998-06-09 2002-11-11 花王株式会社 油性固形化粧料
US6117435A (en) * 1998-06-24 2000-09-12 Color Access, Inc. Natural look cosmetic compositions
KR100461885B1 (ko) * 2000-01-25 2004-12-14 닛폰 에어로실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 분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분말을 사용한 제품
KR100376304B1 (ko) * 2000-12-29 2003-03-17 주식회사 선진화학 화장품용 다기능성 복합 분체의 제조 방법
KR100435812B1 (ko) * 2001-10-19 2004-06-12 주식회사 태평양 다공성 구상 실리카 표면에 나노크기의 지르코니아와실리카가 코팅된 기능성 복합 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844516B1 (fr) * 2002-09-18 2006-06-02 Oreal Pigment interferentiel et composition cosmetique comportant un tel pigment
DE10259246A1 (de) * 2002-12-17 2004-07-01 Merck Patent Gmbh Anorganische sphärische Absorptionspigmente
US20050074473A1 (en) * 2003-10-07 2005-04-07 Cabot Corporation Soft-focu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umed alumina
WO2010092890A1 (ja) * 2009-02-10 2010-08-19 綜研化学株式会社 被覆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51171A1 (de) * 2009-10-29 2011-05-05 Merck Patent Gmbh Pigmente
CN102905887B8 (zh) * 2009-12-29 2016-06-22 格雷斯公司 复合无机颗粒以及制备和使用它们的方法
DE102013012023A1 (de) * 2013-07-19 2015-01-22 Merck Patent Gmbh Pigmentgemisch
FR3026008B1 (fr) * 2014-09-19 2016-11-25 Oreal Composition a base de particules composites spheriques multicouches et d'un filtre uv
US11141363B2 (en) * 2017-01-06 2021-10-12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Ultraviolet-shielding particle coated with silicon oxide,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ultraviolet-shielding particle coated with silicon oxide, and cosmetic
JP6988487B2 (ja) * 2017-01-06 2022-01-0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含有水系組成物、化粧料
JP6988488B2 (ja) * 2017-01-06 2022-01-0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含有水系組成物、化粧料
JP6941958B2 (ja) * 2017-03-31 2021-09-29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被覆粒子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253B2 (ja) * 1990-08-22 1998-04-15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US5246780A (en) * 1991-08-29 1993-09-21 L'oreal Coated particle for use in cosmetic preparations and method
JPH06116119A (ja) * 1992-10-08 1994-04-26 Nippon Sheet Glass Co Ltd 紫外線吸収効果の高い化粧料
JP2576824B2 (ja) * 1994-01-24 1997-01-29 日本無機化学工業株式会社 紫外線遮断剤とこれを配合した樹脂組成物および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05118B2 (ja) 2004-12-22
US6740315B2 (en) 2004-05-25
KR20000036137A (ko) 2000-06-26
WO1998011865A1 (fr) 1998-03-26
US20030035883A1 (en) 2003-02-20
AU2043197A (en) 1998-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451B1 (ko) 피복분체 및 이를 배합하여 된 화장료
EP1672036B1 (en) Pearlescent pigment
EP1666541B1 (en) Black bright pigment, and cosmetic, coating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and ink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1672037B1 (en) Pearlescent pigment
TWI395794B (zh) 干涉顏料
KR0162620B1 (ko) 포토 크로믹성 연색 조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재료
JP3849177B2 (ja) 紫外線吸収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97099A (ja) 無機球状吸収顔料
KR20070104268A (ko) 안료
EP0558881B1 (en) Ultraviolet-screening scale pigment, process for preparing the pigment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pigment
EP1066818B1 (en) Inorganic composite powder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JP2006299051A (ja) 着色複合粉末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17523106A (ja) α−Al2O3フレーク
US6562323B1 (en) Composite powder, cosmetic and paint with the composite powder blended therein
JPH10167929A (ja) 球状白色顔料微粒子配合化粧料
JP2001010929A (ja) 複合粉末
JPH06192594A (ja) 撥水撥油性顔料およびそれを含有した粉体化粧料
JPH0587545B2 (ko)
JPH0611872B2 (ja) 二酸化チタン被覆シリカビ−ズ、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EP1512729B1 (en) Scaly particles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coating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and ink composition
JPH05230395A (ja) 鱗片状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1143626A (ja) 被覆粉体並びに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019127592A (ja) 顔料混合物
JPH10226518A (ja) 酸化セリウム粉末、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塗料および化粧料
JP7350624B2 (ja) 無色透明のフレーク状顔料、それ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