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620B1 -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620B1
KR100434620B1 KR1019960005638A KR19960005638A KR100434620B1 KR 100434620 B1 KR100434620 B1 KR 100434620B1 KR 1019960005638 A KR1019960005638 A KR 1019960005638A KR 19960005638 A KR19960005638 A KR 19960005638A KR 100434620 B1 KR100434620 B1 KR 10043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piral
shaft
shim
bod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784A (ko
Inventor
마사히로 야스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Publication of KR96003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05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into which threads are cut during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목적) 잉크심의 본체통으로의 삽입이 용이한 동시에 잉크심의 빼내기도 용이한 필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수형부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암형부재에 끼워넣을 수 있고 게다가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게 한 수형 및 암형 부재의 끼워맞춤구조 및 박고빼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성)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의 외주면 또는 본체축 (20)의 내주면중의 어느 하나에 나사(11, 21)를 형성하고 나사(21)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본체축(20) 또는 앞마개(10)의 외주면은 나사(11, 21)가 먹어드는 탄성체로 형성한다. 앞마개(10)를 압입하므로서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가 본체축(20)과 끼워맞춰진다. 또한, 앞마개(10)는 나사를 느슨하게 돌리므로서 본체축(20)에서 뽑아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및 필기구 제조 방법{Writing utens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볼펜 등의 필기구에 관한 것이며, 잉크심의 본체축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며, 또한 잉크심의 뽑아내기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심의 선단부를 유지하는 앞마개와 같은 수형부재를 잉크심을 수납하는 본체축 같은 암형부재에 끼워넣고 뽑아내는 수형 및 암형부재의 끼워맞춤구조 및 끼워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형부재를 암형부재 내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수형부재를 암형 부재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한 수형 및 암형부재의 끼워맞춤 구조 및 끼우고 뽑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볼펜 같은 필기구엔 잉크심이 통 형상의 본체축 내에 수납되고 본체축에서 돌출하고 있는 잉크심의 선단부분을 본체축과 일체화되는 앞마개에 의해서 고정되게 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필기구에서는 본체축에는 수형나사가 형성되고 앞마개에는 암형나사가 형성되고, 본체축의 수형나사와 앞마개의 암형나사가 나사 맞춤하는 것에 의해서 본체축과 앞마개가 일체화된다.
이러한 구성의 볼펜은 잉크심의 뽑아내기가 용이하므로 잉크가 없어졌을 경우에, 본체축에서 잉크심만을 뽑아내고 잉크심을 교체할 수 있다. 이 구성의 볼펜은 본체축을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업무용의 볼펜으로서 애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볼펜은 수형나사와 암형나사를 나사맞춤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이러한 구조에서는 대량 생산이 어렵다.
수형 나사와 암형나사를 나사맞춤하고, 수형나사를 형성한 본체축과 암형나사를 형성한 앞마개를 일체화하는 것은 잉크심이 본체축에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나사를 나사맞춤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축과 앞마개를 접착제로 고착하고, 잉크심이 본체축에서 빠지지 않게 한 볼펜도 있다. 본체축과 앞마개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서 끼워넣는 것일 뿐이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 접착제에 의해서 본체축과 앞마개를 고착하는 방법은 잉크심을 뽑아낼 수 없으므로 잉크심만을 교환하는 타입의 볼펜엔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 조립시에 비틀어 넣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잉크심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의 볼펜이 요망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것으로서, 수형나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앞마개와 잉크통 및 볼펜 팁을 일체화한 잉크심을 미리 만들고 암형나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본체축 내에 잉크심을 압입하게 한 볼펜이 개발되어 있다. 이 볼펜은 잉크심의 앞마개 부분을 본체축 내에 압입하는 것이므로 앞마개가 본체축에서 빠져 나오는 일은 없다. 게다가 잉크심을 본체축에 압입하는 작업은 매우 간단하므로 대량 생산에도 적합하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 볼펜은 조립시에 비틀어 넣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잉크심의 교체도 가능하므로, 일단, 상술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즉, 상기 볼펜에서는 잉크가 없어지면 잉크심은 앞마개 부분을 쥐고 본체축에서 뽑아내고 잉크심만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본체축은 이전의 것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나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앞마개를 암형나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본체축 내에 압입하는 볼펜은 잉크심이 뽑히지 않게 하기 위해서 앞마개 부분과 본체축과의 끼워맞춤 힘이 강하게 되어 있으며, 게다가 앞마개는 끝이 가늘어서 쥐기 어려우므로 잉크심을 본체축에서 뽑아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잉크심의 본체축으로의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고, 또한 잉크심의 뽑아내기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필기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가로, 본 발명은 앞마개와 같은 수형부재와 본체축과 같은 암형부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끼워 넣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서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게 한 수형 및 암형부재의 끼워맞춤 구조 및 박고 뽑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의 수단은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선단에 앞마개 및 필기 팁이 설치된 잉크심과 중공(中空)의 본체축을 가지며 상기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만 나선형상이 설치되고 있으며, 잉크심이 본체축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1 수단에 의하면 필기구를 조립할 때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잉크심을 본체축에 압입하므로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기구는 조립이 용이하며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어느 하나에 나선형상이 형성되며, 이 나선형상이 다른 쪽과 맞닿으므로 종래 기술의 구성에 비해서 잉크심의 뽑아내기에 대한 강도가 높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필기구는 잉크심을 교체할 때는 잉크심을 돌리면 된다. 그러면 잉크심 또는 본체축에 나선형상이 설치되므로 잉크심은 나선형상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진행하고 본체축에서 이탈된다.
상기 제 1 수단을 더욱 발전시킨 제 2 수단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만 나선형상이 설치되며, 상기 나선형상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다른 쪽으로 먹어들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 의하면, 나선 형상은 다른 쪽의 부재에 먹어들고 있기 때문에, 잉크심을 회전시킨 경우의 잉크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일층 원활해진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의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만 나선형상이 설치되고,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다른 쪽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상은 상기 리브에 먹어들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3 수단에서는 나선 형상과 맞닿는 부위에 리브가 형성되므로, 리브의 선단부분이 나선형상과 맞닿고 단위면적마다 큰 힘으로 양자가 접하게 된다. 그때문에, 나선 형상은 리브에 먹어들며 가일층 높은 뽑아내기 강도를 발휘한다. 또한, 나선형상의 리브로의 먹어들음이 가일층 현저하게 되므로, 잉크심을 회전시킨 경우의 잉크심의 축 방향으로의 진행이 가일층 원활해진다.
또한, 리브의 골짜기의 부위를 공기빼기의 통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의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한쪽에만 나선형상이 설치되고, 상기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다른 쪽은 다각형이며, 나선형상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다른 쪽으로 먹어들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이 수단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내부, 나선 형상이 없는 쪽은 부재가 다각형을 형성하고 있다. 나선형상의 부재와는 부분적으로 강하게 맞닿아 있고, 나선형상은 다각형의 부분으로 파고 들어간다. 잉크심을 회전시킨 경우의 잉크심의축 방향으로의 진행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5 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2 수단의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고 리브에 나선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 3 수단의 리브의 위치를 나선형상의 부위에 바꿔놓은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나선형상과 다른 부위의 단위 면적당의 힘이 크고, 나선형상의 먹어들기가 현저해진다.
또한,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6 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수단의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다각형 부분에 나선 형상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 4 다각형의 부위를 나선형상의 부위에 바꿔놓은 것이다.
또한,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7 수단은 나선 형상이 앞마개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잉크통은 일반적으로 긴 치수의 통을 치수 절단해서 사용되므로, 나선 형상의 형성이 곤란하다. 그래서, 앞마개는 일반으로 금속의 절삭 가공이나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만들어지므로 나선형상의 형성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8 수단은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선단에 앞마개 및 필기 팁이 설치된 잉크심과 중공형상의 본체축을 가지며 상기잉크심의 앞마개는 송곳형의 전단부와 나선형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전단부의 나선형상부 측에는 절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축의 단부의 내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잉크심은 본체축 내에 삽입되고 앞마개의 나선 형상부는 본체축의 리브 부분에 먹어들며 본체축의 내외는 상기 앞마개의 절단부 및 본체축의 리브 사이의 틈을 거쳐서 연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에서는 상술한 각 발명과 마찬가지로 잉크심을 회전하므로서 나선 형상을 따라서 잉크심을 진행시킬 수 있고 리브를 갖기 때문에 먹어드는 것이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앞마개에 절단부가 설치되고 이 절단부 및 본체축의 리브 사이의 틈을 거쳐서 앞마개의 내외가 연통하고 있다. 상기 연통로는 공기빼기로서 기능하므로 본 발명의 필기구에서는 본체축에 공기빼기용의 구멍을 둘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9 수단은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선단에 앞마개 및 필기 팁이 설치된 잉크심과, 중공형상의 본체축을 가지며 상기 잉크심의 앞마개는 송곳형의 전단부와, 나선 형상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전단부의 나선 형상부 측에는 절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축의 단부의 내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잉크심은 본체축 내에 삽입되며 앞마개의 나선 형상부는 본체축의 다각형 부분에 먹어들며, 본체축의 내외는 상기 앞마개의 절단부를 거쳐서 연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이 수단은 상기 제 8 수단과 유사한 것이며, 리브를 대신해서 본체축의 내면을 다각형으로 하고 나선형상의 먹어들음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0 수단은 상술의 나선형상이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1 수단은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 통의 선단에 앞마개와 필기 팁이 일체화되고 있는 동시에, 일부에 나선형상이 형성된 잉크심을 만들고 상기 잉크심을 중공의 본체축에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의 제조 방법에서는 잉크심을 중공의 본체축에 압입하므로서, 잉크심을 본체축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구의 제조 방법에서는 잉크심으로서 일부에 나선형상이 설치된 것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잉크심을 회전시키므로서 잉크심을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2 수단은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 통의 선단에 앞마개와 필기팁이 일체화된 잉크심을 중공 형상이며 내주의 일부에 나선형상이 형성된 본체축 내에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1 수단의 나선형상의 부위를 본체 축 측에 바꿔놓은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3 수단은 상기 제 11 또는 제 12 수단의 필기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나선 형상의 부위는 압입후에 본체축의 내면 또는 잉크심의 외주면에 먹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제 14 수단은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암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넣는 수형 및 암형부재의 끼워맞춤구조에 있어서,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에 나선을 형성하고 암형부재의 재질을 수형부재의 나선이 먹어드는 소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14 수단에 의하면 나선을 형성한 수형 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암형부재 내에 압입하면 수형부재의 나선이 암형부재에 먹어들어서 축방향의 힘으로는 빠지기 어렵게 됨에도 불구하고 먹어들음이 나선상이기 때문에 나사를 풀드이 수형부재를 돌림으로서 가벼운 힘으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서 뽑아낼 수 있다.
상기 목적들 달성하기 위한 제 15 수단은 수형 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암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넣는 수형. 암형부재의 끼워맞춤구조에 있어서 암형부재의 내주에 나선을 형성하고 수형부재의 재질을 암형부재의 나선이 먹어드는 소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15 수단에 의하면 나선을 형성한 암형부재 내에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압입하면 수형부재의 나선이 수형부재에 먹어들어서 축방향의 힘으로는 빼기 어렵게 됨에도 불구하고 먹어들음이 나선상이므로 나사를 풀게 수형 부재를 돌리므로서 가벼운 힘으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서 빼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6 수단은 상기 제 14 또는 제 15 수단의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테이퍼 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16 수단에 의하면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축경한 테이퍼상으로 한 것에 의해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압입하기 쉽게 된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7 수단은 상기 암형부재의 내주면에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와 맞닿는 길이방향의 리브를 돌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17 수단에 의하면, 수형부재는 암형부재의 리브와만 접촉하고 두 부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마찰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수형부재를 암형부재 내에 편하게 압입할 수 있다. 수형부재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고 암형부재 내에 압입된 수형 부재는 리브가 먹어든 상태로 되기 때문에 수형부재는 암형 부재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수형부재와 리브와의 접촉면적은 근소하므로 나사를 풀 듯이 수형부재를 가볍게 돌리는 것만으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 내에서 뽑아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8 수단은 상기 수형 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에 암형부재의 내주면과 맞닿는 길이방향의 리브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필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 18 수단의 리브를 수형부재 측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9 수단은 상기 암형부재의 내주면을 다각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0 수단은 상기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를 다각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상기 제 19 및 제 20 수단은 암형부재의 내주면 또는 수형 부재를 다각형으로 하므로서, 나선형상의 먹어들음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1 수단은 상기 수형 및 암형 부재의끼워맞춤구조의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암형부재 내에 압입하므로써 끼워넣고 수형 부재를 돌리므로서 암형부재에서 뽑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제조 방법이다.
여기에서, 수형부재를 돌린다는 것은 수형부재가 암형부재에서 상대적으로 도는 것을 말한다.
상기 21 수단에 의하면 수형부재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압입할 수 있고, 수형 부재를 돌리는 것만으로 암형부재에서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끼워맞춤 및 뽑아냄의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8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 4A 도 및 제 4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5A도 및 제 5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이다. 제 10A 도 내지 제 10C 도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의 볼펜의 사시도, 및 정면도와, 본체축의 단면도이다. 제 11A 도 내지 제 11C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9 실시예의 볼펜의 사시도, 및 정면도와 본체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 1 도에 도시하는 볼펜에 응용할 수 있다. 이 볼펜은 통 형상의 본체축(20)내에 잉크심(1)을 삽입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잉크심(1)은 잉크통(3)과 앞마개(10) 및 볼펜팁(2)에 의해서 구성된다. 잉크통(3)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튜브이며 내부에 공지의 수성 잉크가 수납되어 있다(도시 생략).
앞마개(1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수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는 경도가 높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며 전단부분이 원추형이며 후단부는 통 형상이다. 그리고, 그 중간부에는 나사(나사형상)(11)가 형성되고 있다. 앞마개(10)의 중심부에는 잉크를 흐르게 하기 위한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볼펜 팁(2)은 금속제의 볼 홀더 중에 볼이 회전가능으로 삽입된 것이다.
잉크심(1)은 상기 잉크통(3)의 선단에 앞마개(10)가 삽입되며, 앞마개(10)의 선단에 볼펜 팁(2)이 장착되어 3 자가 일체화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의 부재의 앞마개(10)가 수형 부재로서 기능하고 본체축(20)이 암형부재로서 기능한다. 앞마개(10)와 본체축(20)은 제 1 도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형태 외에, 제 2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에 도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도 및 제 2A 도와 같이, 앞마개(10)(수형부재)의 외주에 나사(11)(나선형상)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체축(암형부재)(20)에는 아무런 나사도 두지 않고 재질을 상기 나사(11)가 먹어드는 것 같은 탄성체로 한것이다. 또한, 본체축(20)의 재질은 상기 앞마개(10)보다 경도가 낮아야 한다. 또한,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제 1 도와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인데 기능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요부를 모델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역으로, 제 2 실시예는 제 3 도, 제 4A 도에 도시하듯이, 본체축(20)의 단부의 내주에 나사(21)를 형성하고 앞마개(10)내는 나사를 설치하지 않고 그 재질을 상기 나사(21)가 먹어드는 것 같은 탄성체로 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탄성체는 나사(11, 21)의 선단이 강하게 밀어붙여졌을때, 매우 근소하게 패어드는 정도의 탄성으로 되며 큰 변형 능력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을 볼펜에 응용하는 경우는 공지의 볼펜의 본체축을 그대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는 평행이어도 좋으나 단부가 다소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앞마개 (10)의 끼워맞춤부(12)를 본체축(20)내에 압입하기 쉽게할 수도 있다.
잉크심(1)을 본체축(20)에 압입하면, 제 2B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하듯이, 앞 마개(10)의 나사(11) 또는 본체축 (20)의 나사(21)가 본체축(20)의 나사(21)가 본 체축(20)의 내주면 또는 앞마개(10)의 외주면에 먹어든 상태로 앞마개 (10)의 끼워 맞춤부(12)가 본체축(20)내에 끼워맞춤한다. 도면에 있어선 나사(11, 12)가 본체 축(20)의 내주면 또는 앞마개(10)의 외주면에 완전히 먹어든 상태를 나타내었는데 나사(11, 21)의 선단만이 근소하게 죄여들은 상태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볼펜의 구성으로서 나사(11, 21)의 선단 부분만을 먹어들게 하는 형태에서는 잉크심(1)과 본체축(20)의 내면과 사이에 나선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은 본체축(20)의 내외를 연통한다. 그 때문에, 해당부분은 공기빼기 구멍으로서도 기능한다.
앞마개(10) 또는 본체축(20)의 나사(11, 21)가 본체축 (20)의 내주면 또는 앞마개(10)의 외주면에 먹어들으므로서 잉크심(1)은 본체축(20)에서 용이하게 뽑아내는 일이 없다. 게다가, 잉크심(1)은 앞마개(10) 부분을 압입하는 것만으로 본체 축(20)내에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신속하고 대량으로 볼펜을 조립할 수 있다.
즉, 이 제 1 실시예의 볼펜을 조립한 때의 수순은 다음 같다. 우선,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잉크심(1)과 본체축(20)을 미리 성형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통(3)의 선단에 앞마개(10)와 볼펜 팁(2)이 일체화되고 앞마개(10)의 중간부에 나사(11)가 형성된 잉크심(1)을 만든다. 또한, 원통형의 본체축(20)을 만든다.
다음에, 상기 잉크심(1)을 중공의 본체축 (20)에 압입한다. 즉, 잉크심(1)과 본체축(20)을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잉크심(1)을 본체축(20)내에 곧바로 삽입한다. 그 결과, 잉크심(1)의 앞마개(10)에 설치된 나사(11)가 본체축 (20)에 끼워 넣어지며 잉크심(1)은 본체축(20)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볼펜을 조립할 때의 수순은 미리 잉크심(1)과 본체축(20)을 형성해두는 것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데 나사(21)는 제 3 도와 같이 본체축(20)의 내측의 단부만에 두고 앞마개(10)엔 나사는 두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잉크심(1)을 중공의 본체축(20)에 압입한다.
잉크심(1)내의 잉크가 없어지고 잉크심(1)을 교환할 때는 사용자가 잉크심(1)의 앞마개(10) 부분을 돌리면서 나사를 풀 듯이 본체축(20)에서 뽑아낸다. 이때, 앞마개(10) 또는 본체축(20)에 설치된 나사(11, 21)는 다른 쪽의 부재에 먹어 들고 있으며 다른 쪽의 부재에 일시적인 나사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앞 마개(10)를 돌리므로서 앞마개 (10)와 더불어 잉크심(1)은 나사(11, 21)를 따라서 진행하고 잉크심(1)은 본체축(20)에서 이탈한다.
잉크심(1)의 교환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개별로 행하기 때문에 신속 또는 대량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앞마개(10)는 압입에 의한 마찰력으로 끼워맞춤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나사의 먹어들음에 의해서 축방향의 끼워맞춤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앞마개 (10)를 다소 집기 어려워도 회전에 필요한 힘은 약해도 되며 나사를 풀 듯이 돌림으로서, 앞마개(10)를 본체축(20)에서 편하게 뽑아낼 수 있다.
잉크심(1)을 고착하고 있는 앞마개(10)를 뽑아낸 다음, 앞마개(10)의 나사(11)가 먹어들고 있던 본체축(20)의 내주면 (실시예 1), 또는 본체축(20)의 나사(21)가 먹어들고 있던 앞마개(10)의 외주면(실시예 2)은 다소의 상처를 남기고 상당한 부분이 복원된다. 또한, 재질을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나사 자국이 없는 원래의 곡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새로운 잉크심(1)을 고착하고 있는 앞마개 (10)를 본체축(20)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앞마개(12)는 본체축(20)과 끼워맞는다. 따라서, 사용자에 있어서도 앞마개 (10)를 본체축(20)에 끼워맞추는 작업은 용이해진다.
또한, 잉크심(1)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낡은 잉크심(1)에 의해서 본체축(20)의 내면 등에 암형나사 형상의 버릇이 나있으므로 잉크심(1)을 본체축(20)에 삽입하고 잉크심(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앞마개(10)와 본체축(20)과의 끼워맞춤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 및 사용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제 5A 도 및 제 5B 도에 도시하듯이,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의 표면 및 직경 확장부(13)의 내측면에 연속하는 공기홈(14)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구성은 특히 본 발명을 볼펜에 응용하는 경우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볼펜에서는 잉크심(1)내의 잉크가 볼펜 팁(2)에서 용이하게 배출되게 본체축(20)내에 공기가 도입되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체축(20)에 핀홀을 뚫어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핀홀에 의해서 외관이 다치게 되므로 디자인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앞마개(10)인 앞마개(10)에 핀홀을 뚫어 설치하고 핀홀이 보이기 어렵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잉크심(1)을 고착한 앞마개(10)는 끼워맞춤부(12)의 표면 및 직경 확장부(13)의 내측면이 본체축(20)의 내주면 및 단면과 밀착하고 있다. 그래서, 본체축(20)의 내측면과 단면과의 사이에 빈틈을 개방하게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의 표면에서 직경 확장부(13)의 내측면에 연속하는 공기홈(14)을 형성하고 공기가 공기홈(14)을 통과해서 본체축(20)내에 도입할 수 있게 한다(제 5A 도).
또한, 일반적으로 끼워맞춤부(12)의 나사(11)와 본체축 (20)의 내면과 사이는 완전히 밀착하는 일은 적으며 나사의 홈의 부위에 근소한 틈이 생기므로, 제 5B도와 같이, 앞마개 (10)의 단면만에 절단부나 공기홈(14)을 두는 것만으로도 본체 축(20)의 내외는 연통한다.
제 4 실시예는 제 6A 도 및 제 6B 도에 도시하듯이, 끝마개(C)에도 잉크심과 마찬가지의 끼워맞춤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이며, 끝마개(C)의 끼워맞춤부(12)에 절단부(15)를 형성한다. 이 끝마개(C)내는 잉크심(1)이 고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절단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절단부(15)에 의해서 끼워맞춤부(12)의 직경이 축소되기 쉬우므로, 끼워맞춤부(12)를 본체축(20)에 가일층 압입하기 쉽게 된다. 끝마개(C)의 직경 확장부(13)에 절단부(15)와 연속하는 얕은홈(16)을 형성하므로서 절단부(15)와 얕은홈(16)이 공기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제 6A 도 또는 제 6B 도와 같이 끝마개(C)의 끼워맞춤부(12) 또는 본체축(20)중의 어느 한쪽에만 나사를 형성하고 나사가 본체축(20)의 내주면 또는 끝마개(C)의 끼워맞춤부(12)의 외주면에 먹어들게 한다.
제 5 실시예는 제 7 도에 도시하듯이, 본체축(20)의 내주면에 앞마개(10)의 외주면과 맞닿는 복수개의 리브(23)를 돌출 설치한 것이다. 리브(23)는 본체축(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의 외주면에 먹어들게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 (20)의 어느 한쪽에만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앞마개(10)내 나사를 형성하는 경우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사는 연속된 것으로 되는데 본체축(20)에 나사를 형성하는 경우는 해당 나사는 리브(23)에 형성되고 불연속으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마개(10)와 본체축(20)은 리브(30)의 부분에서 접한다. 따라서, 앞마개(10)와 본체축(20)과의 접촉 면적은 상기 부재(10, 20)가 전주면에서 접합하는 경우보다 작아지므로 마찰저항이 작아지며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는 본체축(20)내에 압입하기 쉽게 된다.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가 본체축(20)내에 완전히 압입되면, 본체축(20)의 리브(23)가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 (12)의 표면에 먹어들으므로서,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는 리브(23)에서 집중적으로 하중을 받고, 앞마개(10)는 본체축 (20)에서 빠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와 본체축(20)과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나사를 풀 때 드는 약한 힘으로 앞마개(10)를 돌리는 것만으로 앞마개(10)를 본체축(20)에서 편하게 뽑아낼 수 있다.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도, 볼펜에 적용한 것이며, 본체축(20)을 통상의 다각형으로 한 것이다. 즉, 제 6 실시예에서는 본체축(20)을 제 8 도에 도시하는 통상의 6 각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본체축(20)을 제 8 도에 도시하는 통상의 3 각주로 한 것이다. 상기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에 있어서도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 또는 본체축(20)에 나사가 형성되고 있다.
본체축(20)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하므로서, 디자인상의 참신성이 발휘된다. 본체축(20)의 내주면을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원형으로 하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구조가 된다. 그러나,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하듯이, 본체축(20)의 내주면을 6 각형이나 3 각형으로 하면, 본체축(20)과 앞마개 (10)의 끼워맞춤부(12)와는 선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축(20)과 앞마개(10)의 끼워맞춤부(12)와의 마찰저항이 작아지므로, 앞마개(10)를 본체축(20)내에 압입하기 쉽게 된다. 또한, 나사를 풀수 있는 약한 힘으로 앞마개(10)를 돌리는 것만으로, 앞마개(10)를 본체축(20)에서 편하게 뽑아낼 수 있다.
상기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는 어느 것이나 다 본체축(20)의 내주면과 앞마개(10)의 외주면과 사이에 공간 (4)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마개(10)의 직경 확장부(13)의 내측면에 홈(도시 생략)을 형성하므로서, 공간(4)을 공기 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는 본체축(20)의 내외의 연통을 보다 완전한 것으로 할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제 8 실시예의 볼펜에서는 제 10A 도 내지 제 10C 도와 같이, 잉크심(1)의 형상 등은 제 1 실시예와 개략적으로 동일하며, 잉크심(1)은 잉크통(3)과 앞마개(10) 및 볼펜 팁(2)에 의해서 구성되고, 앞마개(10)는 전단부분이 원추형이며 후단부는 통형상을 하고 있어서, 그 중간부에는 M6 의 나사 (나선형상)(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앞마개(10)가 앞의 제 1 실시예와 다른점은 전단부분의 단부, 즉 전단 부분의 나사측의 부위에 절단부(18)가 설치된 점이다. 절단부(18)는 앞마개(10)의 표면부분에서 나사(11)의 높이까지 이르고 있다.
한편, 본체축(20)은 단부의 내면에 리브(19)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20)는 이 실시예에서는 5 조가 설치되고 있으며 어느 것이나 등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리브(19)의 높이는 0.3mm 정도여서 매우 낮다. 또한, 리브(20)의 형상은 이랑형상이며 원호형상을 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볼펜의 조립 수순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잉크심(1)과 본체 축(20)을 성형한 후, 잉크심(1)을 본체축(20)내에 압입하고 앞마개(10)의 나사(11) 부분을 본체축(20)의 단부에 곧바로 밀어넣는다. 그 결과, 나사(11)의 선단이 리브(19)에 먹어들며 잉크심(1)은 본체축(20)에 걸어맞춰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마개(10)에 절단부(18)가 설치되고 있으며, 본체축(20)과 앞마개(10)와 사이에는 공간이 있으며, 또한 나사(11)는 본체축(20)의 내면에 먹어든다고는 하지만 나사홈의 바닥의 부분과 본체축(20)의 내면과 사이에는 얼마간의 틈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앞마개(10)의 표면에서 절단부(18) 및 리브(19) 사이의 틈 또는 나사(11)를 거쳐서 본체축(20)의 내외가 연통되고 있다.
제 9 도에 도시하는 제 9 실시예는 상술한 제 8 실시예의 리브의 형상을 변형한 것이다. 즉, 제 9 실시예에서는 리브(19)의 형상은 꼭지 부분이 직선이고 원호에 대해서 5 개의 현을 둔 것 같은 형상이 채용되고 있다. 제 8 실시예의 본체축(20)의 단면의 형상을 관찰하면 꼭지부분이 직선의 리브(18)와 원호상의 부위(21)가 서로 다르게 존재하고, 그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기미를 띈 5 각형을 하고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5 각형의 크기는 원호상의 부위(21)의 직경이 예컨대 6mm 이라 하면, 5각형 부분의 내접원의 직경은 5.6mm 정도가 적당하다.
이 실시예에서도, 잉크심(1)이 본체축(20)에 삽입된 상태일 때, 앞마개(10)의 나사(11)는 오각형 부분의 일부로 파고들어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앞마개(10)의 표면에서 절단부 (18) 및 리브(19)사이의 틈 또는 나사(11)를 거쳐서 본체축 (20)의 내외가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필기구의 대표예로서 볼펜을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필기 팁이 볼 이외의 필기구, 예컨대 수지제 팁이나 펠트제 팁을 사용한 필기구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끼워맞춤 구조에 대해선 종래기술의 최초에 설명한 앞마개와 잉크심이 별체로 된 볼펜의 앞마개와 본체축과의 결합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끼워맞춤구조는 필기구라고 하는 범위를 떠나서 수형부재와 암형부재가 끼워맞춰지는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및 암형부재는 볼펜의 앞마개나 본체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림물감의 캡과 튜브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선 형상은 가공의 범용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 실시예 같은 나사를 이용할 것이 권장되는데,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나사 이외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드릴 형상, 압출기의 심형상, 또는 볼록 또는 오목 형상의 요철 홈이 불연속인 것이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시도.
제 4A 도 및 제 4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의 요부를 모델화한 단면도.
제 10A 도 내지 제 10C 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의 볼펜의 사시도 및 정면도와 본체축의 단면도.
제 11A 도 내지 제 11C 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 9 실시예의 볼펜의 사시도 및 정면도와 본체축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앞마개(수형부재) 11 : 나사(나선형상)
12 : 끼워맞춤부 18 : 절단부(노치)
19 : 리브 20 : 본체축(암형부재)
21 : 나사(나선형상) 23 : 리브
본 발명의 필기구는 필기구를 조립할 때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잉크심을 본체축에 압입하므로서 행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한편, 잉크심을 교체하는 때는 잉크심을 돌리므로서 용이하게 잉크심을 뽑아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형부재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암형부재에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수형부재와 암형부재는 나선에 의해서 끼워맞춤하기 때문에, 수형부재는 암형부재에서 빼내기 어렵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수형부재는 돌리는 것만으로 암형부재에서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그 뽑아내기의 작업이 용이해지며 사용 편의가 향상된다.

Claims (23)

  1.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앞 끝에 앞마개 및 필기팁이 설치된 잉크심과 중공(中空)인 본체축을 가지며 상기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만 나선 형상이 설치되고, 잉크심이 본체축 내에 삽입되어 있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만 나선형상이 설치되고, 상기 나선 형상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다른 쪽으로 먹어들어 가는, 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한쪽에만 나선 형상이 설치되고,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다른 쪽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 형상은 상기 리브로 먹어들어 가는, 필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한쪽에만 나선 형상이 설치되고, 상기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다른 쪽은 다각형이고, 나선형상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의 다른 쪽으로 먹어들어 가는, 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적어도 한쪽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리브에 나선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상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다른 쪽으로 먹어들어 가는, 필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본체축 내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다각형 부분에 나선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상은 잉크심 또는 본체축의 다른 쪽으로 먹어들어 가는, 필기구.
  7. 제 2 항에 있어서,
    필기구는 볼펜인, 필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이 앞마개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은 나사인, 필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앞마개의 일부에 절단부를 갖고, 이 절단부를 통해서 본체축의 내외가 연통하는, 필기구.
  11.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앞 끝에 앞마개 및 필기팁이 설치된 잉크심과 중공형상의 본체축을 가지며, 상기 잉크심의 앞마개는 송곳형의 전단부와 나선형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전단부의 나선 형상부 측에는 절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축의 단부의 내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잉크심은 본체축 내에 삽입되고, 앞마개의 나선 형상부는 본체축의 리브부분으로 먹어들어 가는 본체축의 내외는 상기 앞마개의 절단부 및 본체축의 리브 사이의 틈을 통해 연통되는, 필기구.
  12.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앞 끝에 앞마개 및 필기팁이 설치된 잉크심과 중공 형상의 본체축을 가지며, 상기 잉크심의 앞마개는 송곳형의 전단부와 나선형상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전단부의 나선형상부 측에는 절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축의 단부의 내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잉크심은 본체축 내에 삽입되고, 앞끝의 나선형상부는 본체축의 다각형 부분에 먹어들어 가고, 본체축의 내 ·외는 상기 앞마개의 절단부를 통해 연통되는, 필기구.
  13.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선단에 앞마개와 필기팁이 일체화됨과 동시에, 일부에 나선 형상이 형성된 잉크심을 만들고, 상기 잉크심을 중공의 본체축에압입(壓入)하는, 필기구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필기구는 볼펜인, 필기구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의 부위는 압입 후에 본체축의 내면 또는 잉크심의 외주면으로 먹어들어 가는, 필기구 제조 방법.
  16.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잉크통의 선단에 앞마개와 필기팁이 일체화된 잉크심을, 중공형상이며 내주의 일부에 나선형상이 형성된 본체축 내에 압입하는, 필기구 제조 방법.
  17.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와 암형부재의 내주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 또는 암형부재의 내주 중 어느 한쪽에 나선이 형성되고, 다른 쪽을 상기 나선이 먹어들어 가는 소재로 한, 필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 또는 암형부재의 내주 중 어느 한쪽에 나선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나선과 맞닿는 리브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필기구.
  19. 제 17 항에 있어서,
    나선이 먹어들어 가는 소재는 탄성체인, 필기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한, 필기구.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재의 내주면을 다각형으로 한, 필기구.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를 다각형으로 한, 필기구.
  23.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암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하는 필기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의 외주에 또는 암형부재의 내주중 어느 한쪽에 나선을 형성하고, 다른 쪽을 나선이 먹어들어 가는 소재로 한 수형 및 암형부재의 끼워 맞춤 구조를, 수형 및 암형부재의 끼워맞춤구조의 수형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암형부재내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끼워넣고, 수형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암형부재에서 뽑아내는, 필기구 제조 방법.
KR1019960005638A 1995-03-06 1996-02-28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KR100434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460095 1995-03-06
JP95-74600 1995-03-06
JP96-18408 1996-01-08
JP01840896A JP3505308B2 (ja) 1995-03-06 1996-01-08 筆記具、筆記具の製造方法および雄・雌部材の嵌合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784A KR960033784A (ko) 1996-10-22
KR100434620B1 true KR100434620B1 (ko) 2004-08-09

Family

ID=2635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638A KR100434620B1 (ko) 1995-03-06 1996-02-28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8361A (ko)
EP (1) EP0730982B1 (ko)
JP (1) JP3505308B2 (ko)
KR (1) KR100434620B1 (ko)
DE (1) DE69602860T2 (ko)
TW (1) TW3308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3702B2 (ja) * 1999-06-04 2011-07-13 シヤチハタ株式会社 筆記具及びペン芯ホルダー離脱方法
JP4748897B2 (ja) * 2001-08-15 2011-08-17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US6769380B1 (en) * 2002-07-05 2004-08-03 Producciones Generales-Progen S.A. Modular marker
US7461991B2 (en) * 2005-07-19 2008-12-09 Waterman Sas Quick release mechanism for access to ink reservoir of writing instrument
JP4711405B2 (ja) * 2005-08-30 2011-06-29 神 規人 漆塗装品製造方法、およびそれ用の研ぎ出し装置
JP4913483B2 (ja) * 2006-06-23 2012-04-11 ゼブラ株式会社 筆記部の接続構造
JP5035976B2 (ja) * 2007-08-01 2012-09-26 三菱鉛筆株式会社 ボールペン
CN102555433A (zh) 2011-12-29 2012-07-11 贝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笔杆热转印的设备
CN102555597B (zh) * 2011-12-29 2014-12-24 贝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笔自动装配线
CN102529505B (zh) 2011-12-29 2014-05-07 贝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颗粒状饰物均匀灌装的振动机
CN102555598B (zh) 2011-12-29 2015-02-04 贝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扁形笔自动装配线
JP6255905B2 (ja) * 2013-10-31 2018-01-10 ぺんてる株式会社 軸筒の連結構造
CN104129200A (zh) * 2014-08-19 2014-11-05 单仁德 一种地书笔
JP2018126962A (ja) * 2017-02-10 2018-08-16 モリス コーポレーションMorris Corporation 出没式筆記具
WO2018180737A1 (ja) * 2017-03-27 2018-10-04 株式会社NejiLaw ねじ体の相対回転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体
JP7014395B2 (ja) * 2017-03-27 2022-02-15 株式会社NejiLaw ねじ体の相対回転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体
JP7199785B2 (ja) * 2018-02-28 2023-01-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7214323B2 (ja) * 2019-03-29 2023-01-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7242405B2 (ja) * 2019-04-25 2023-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70015A (fr) * 1948-08-05 1950-12-28 Stylo à bille à niveau d'encre visible et cartouches d'encre interchangeables
DE832720C (de) * 1950-10-05 1952-02-28 Kaweco Badische Fuellfederfabr Kugelschreiber mit Tintenfuellung
GB815049A (en) * 1956-12-13 1959-06-17 Gen Motor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lf-threading fastener devices, particularly threadable sockets of such devices
US3255795A (en) * 1964-01-10 1966-06-14 Ginsburg Yale Self-locking nut
US3255658A (en) * 1964-08-17 1966-06-14 Dayton Perforators Inc Three sided thread opening
US3408092A (en) * 1967-04-13 1968-10-29 Appleton Electric Co Single piece connector for flexible hosing
US3471179A (en) * 1967-12-26 1969-10-07 Advanced Drainage Syst Adapter
US3797865A (en) * 1971-02-25 1974-03-19 Palmer Concrete Prod Inc Adapter
GB2091365B (en) * 1981-01-15 1984-09-12 Craig Med Prod Ltd Tube coupling
US4488738A (en) * 1981-05-12 1984-12-18 Valdes Osvaldo J Synthetic plastic pipe coupling and method of assembly
IN160209B (ko) * 1983-04-20 1987-06-27 Scripto Inc
US4529328A (en) * 1983-09-06 1985-07-16 The Parker Pen Company Projection-retraction mechanism for a writing instrument
US4755075A (en) * 1987-02-25 1988-07-05 Tae Yoon Leem Writing implement with tip having attaching projections
US4770560A (en) * 1987-05-29 1988-09-13 Ott Donald E Self-tapping connector
IE901885A1 (en) * 1990-05-25 1991-12-04 Glo Flo Products Self threading and locking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0982B1 (en) 1999-06-16
EP0730982A3 (ko) 1996-10-09
US5938361A (en) 1999-08-17
KR960033784A (ko) 1996-10-22
JP3505308B2 (ja) 2004-03-08
JPH08300870A (ja) 1996-11-19
TW330896B (en) 1998-05-01
DE69602860D1 (de) 1999-07-22
EP0730982A2 (en) 1996-09-11
DE69602860T2 (de) 200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620B1 (ko)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KR100428482B1 (ko) 측부노크식샤프펜슬
US3446563A (en) Fiber-tip writing pen with replaceable cartridge
US6132125A (en) Combination bubble blower pen
US5984550A (en) Writing device
JP6157907B2 (ja) 筆記具
JPH096515A (ja) 端末装置用入力ペン
JP4972934B2 (ja) 万年筆の軸構造
WO2020050247A1 (ja) 文房具、化粧料容器及び化粧品
JP5470173B2 (ja) クリップ付き筆記具用キャップ及び筆記具
JP2003118290A (ja) 塗布具
JP6159559B2 (ja) 筆記具
KR200286957Y1 (ko)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JP2017217759A (ja) 筆記具
JP4798982B2 (ja) 筆記具
JPH01281999A (ja)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レス筆記具のリフィール機構
JP6242067B2 (ja) 筆記具
JP2024079941A (ja) ボールペン
JP6202909B2 (ja) 筆記具用中芯収納体
JP3198418B2 (ja) 押出し式筆記具及び押出し式両頭筆記具
JPH056154Y2 (ko)
JPH10181281A (ja) 筆記具
JP3476723B2 (ja) 筆記具
JPS6112144Y2 (ko)
KR200270541Y1 (ko) 손가락 볼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