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957Y1 -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6957Y1 KR200286957Y1 KR2020020016836U KR20020016836U KR200286957Y1 KR 200286957 Y1 KR200286957 Y1 KR 200286957Y1 KR 2020020016836 U KR2020020016836 U KR 2020020016836U KR 20020016836 U KR20020016836 U KR 20020016836U KR 200286957 Y1 KR200286957 Y1 KR 2002869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ib
- insertion tube
- pen
- pen holder
- writing instrum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명이 다된 펜촉을 새로운 펜촉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펜촉(30)의 외측 일부를 삽입관(40)으로 감싸고, 그 삽입관(40)을 결합수단에 의해 펜대(5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52)에 끼워서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명이 다된 펜촉을 새로운 펜촉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사용하는 잉크의 종류에 따라서 건식형과 습식형으로 구분되는데 건식형은 연필, 샤프펜슬, 홀더펜슬과 같은 것이 있고, 습식형은 수성볼펜, 유성펜, 만년필, 사인펜, 형광펜, 보드마커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사인펜이나 형광펜, 보드마커 등과 같이 펜촉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잉크를 공급하도록 한 필기구는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대(20)의 끝에 펜촉(22)을 설치하고, 그 펜대(20)의 내부에는 펜촉(22)에 접촉하여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용 튜브(24)가 삽입되어 있으며, 펜촉(22)을 덮기 위한 뚜껑(26)이 구비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필기구는 사용중 종이나 보드에 묻어 있던 다른 색깔의 잉크가 묻게 되면, 모세관을 타고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 후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펜촉(22)에 있던 잉크가 굳으면서 모세관을 막고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필기구는 펜촉(22)이 펜대(20)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교환할 수 없었기 때문에 펜촉(22)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펜대(20)를 포함한 필기구 전체를 폐기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필기구 중에서 국내 특허 제 10-0256998호(2000년 2월 26일 등록)로 등록된 "리필용 필기구"와 같이 내부의 잉크공급용 튜브(24)만을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필기구의 경우 잉크공급용 튜브(24)를 몇 번이고 새것으로 교체할 수는 있으나 펜촉(22)을 교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펜촉(22)이 수명을 다하게 되면, 잉크공급용 튜브(24)의 교환만으로는 더 이상의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펜촉을 임의로 교환할 수 있는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펜촉의 외측 일부를 삽입관으로 감싸고, 그 삽입관을 결합수단에 의해 펜대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끼워서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하여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필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필기구를 보인 펜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펜촉 40 : 삽입관
50 : 펜대 52 : 삽입구멍
62,64 : 회전방지용 리브 66,68 : 홈
72 : 탄성돌기 74 : 환형홈
82 : 수나사부 84 : 암나사부
90,92 : 보호캡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촉(30)의 외측 일부를 삽입관(40)으로 감싸고, 그 삽입관(40)을 결합수단에 의해 펜대(5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52)에 끼워서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40)은 펜촉(30)과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며, 그 일측 단부에는 펜대(50)의 선단면에 걸리는 플랜지(42)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42)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펜촉(30)을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삽입관(40)은 펜촉(30)의 외측 중앙에 결합되며, 펜촉(30)의 전후단이 삽입관(40)의 앞뒤로 노출되도록 하여 후단으로부터는 잉크를 공급받도록 하고, 앞부분으로는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관(40)의 외주면과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예컨대, 두 개의 회전방지용 리브(62)(64)와 홈(66)(68)을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펜촉(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삽입관(40)의 외주면과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탄성돌기(72)와 환형홈(74)을 각각 형성하여 펜촉(30)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관(40)의 외주면에 수나사부(82)를 형성하고, 상기 펜대(50)에 형성된 삽입구멍(52)에는 암나사부(84)를 형성하여 이 수나사부(82)와 암나사부(84)를 서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삽입관(40)을 통해 펜촉(30)이 펜대(50)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일부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음)
또,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촉(30)을 덮는 보호캡(90)(92)을 두어 펜대(50)에 결합되기 전 보관할 때 펜촉(3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보호캡(90)(92)은 펜촉(30)에 끼워지며, 예컨대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촉(30)의 끝 부분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시에 필기에 적합한 모양으로 가공하거나 성형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5,96은 펜대(50)의 끝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펜뚜껑을 나타낸 것이고, 100,102는 잉크공급용 튜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의 일 실시예에서는 첨부도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촉(30)을 장시간 방치하여 잉크가 굳어버리거나 오염되어 새로운 펜촉(30)으로 교환하여야 되는 경우 버려야 할 펜촉(30)을 펜대(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삽입관(40)과 펜대(50)를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삽입관(40)과 펜대(50)의 축방향 결합력을 유지하고 있는 탄성돌기(72)와 환형홈(74)이 분리하려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서로 분리되면서 삽입관(40)과 펜촉(30)이 펜대(50)의 삽입구멍(5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즉, 펜촉(30)이 삽입관(40)과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관(40)을 펜대(5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펜촉(30)은 삽입관(40)과 함께 분리된다.
이때 새로운 펜촉(30)을 펜대(50)에 끼우기 위해서 삽입관(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용 리브(62)(64)와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형성되어 있는 홈(66)(68)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관(40)을 펜대(50)의 삽입구멍(52)으로 밀어넣게 되면, 삽입관(40)이 회전방지용 리브(62)(64)와 홈(66)(68)의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구멍(52)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삽입관(4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던 탄성돌기(72)가 삽입구멍(52)의 입구 모서리를 만나게 되면, 탄성돌기(72)의 외경이 삽입구멍(52)의 내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저항을 받게 되는데, 이때 이 저항력을 이기도록 삽입관(40)을 더 큰 힘으로 밀어 넣게 되면, 탄성돌기(72)가 탄성변형에 의해 약간 수축되면서 삽입구멍(52)으로 압입되며, 이 탄성돌기(72)가 삽입구멍(52)에 형성된 환형홈(74)에 이르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환형홈(74)에 걸리게 되는 동시에 삽입관(40)에 형성된 플랜지(42)도 펜대(50)의 끝에 걸리면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즉, 삽입관(40)에 형성된 회전방지용 리브(62)(64)와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형성되어 있는 홈(66)(68)은 삽입관(4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고, 삽입관(40)에 형성된 탄성돌기(72)와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홈(74)은 삽입관(40)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관(40)이 펜대(50)에서 분리될 수 있는 힘 이상의 외력을 삽입관(40)에 가하지 않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되고, 결국 펜촉(30)은 삽입관(40)과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관(40)과 함께 펜대(50)에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후 펜촉(30)을 덮고 있는 보호캡(90)을 제거하게 되면, 새로운 펜촉(30)으로의 교환이 완료되며, 보관시에는 펜뚜껑(95)을 닫아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펜뚜껑(95)을 개방하여 사용하면 되며, 다시 펜촉(30)이 오염되거나 수명을 다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삽입관(40)을 빼내고 끼우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매번 새로운 펜촉(30)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위와 같은 필기구를 이용해서 필기할 때 펜촉(30)에 작용되는 힘은 대부분 펜대(50)를 향해서 펜촉(30) 끝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삽입관(40)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2)에 의해 그 힘의 대부분이 지탱되며, 필기 도중에 작용되는 회전방향의 힘은 회전방지용 리브(62)(64)와 홈(66)(68)에 의해 지지되어 펜촉(30)이 돌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첨부도면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명이 다된 펜촉(30)을 펜대(5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삽입관(40)을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삽입관(40)과 함께 펜촉(30)이 펜대(50)로부터분리되며, 새로운 펜촉(30)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삽입관(40)을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일치시킨 다음 나사결합방향으로 삽입관(40)을 돌리게 되면, 삽입관(40)이 펜대(50)의 삽입구멍(52)으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삽입관(40)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2)가 펜대(50)의 끝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나사결합이 정지되면서 새로운 펜촉(30)이 펜대(5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후 펜촉(30)을 감싸고 있는 보호캡(92)을 삽입관(40)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펜촉(30)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보관시에는 펜뚜껑(96)을 닫아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펜뚜껑(96)을 개방하여 사용하면 되고, 다시 펜촉(30)이 오염되거나 수명을 다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삽입관(40)을 돌려서 빼내고 끼우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매번 새로운 펜촉(30)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수명을 다하거나 오염된 펜촉을 새로운 펜촉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사용하던 펜대와 잉크공급용 튜브 및 펜뚜껑을 그대로 둔 채 펜촉만을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 펜대의 내부에 설치된 잉크공급용 튜브로부터 펜촉으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필기구에 있어서,상기 펜촉(30)의 외측 일부를 삽입관(40)으로 감싸고, 그 삽입관(40)을 결합수단에 의해 펜대(5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52)에 끼워서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관(40)의 외주면과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용 리브(62)(64)와 홈(66)(68)을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펜촉(30)의 회전을 구속하고, 삽입관(40)의 외주면과 펜대(50)의 삽입구멍(52)에 탄성돌기(72)와 환형홈(74)을 각각 형성하여 펜촉(30)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관(40)의 외주면에 수나사부(82)를 형성하고, 상기 펜대(50)에 형성된 삽입구멍(52)에는 암나사부(84)를 형성하여 이 수나사부(82)와 암나사부(84)를 서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삽입관(40)을 통해 펜촉(30)이 펜대(50)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30)의 끝 부분을 납작한 형태나 원추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6836U KR200286957Y1 (ko) | 2002-05-31 | 2002-05-31 |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6836U KR200286957Y1 (ko) | 2002-05-31 | 2002-05-31 |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6957Y1 true KR200286957Y1 (ko) | 2002-08-24 |
Family
ID=7312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6836U KR200286957Y1 (ko) | 2002-05-31 | 2002-05-31 |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695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145B1 (ko) | 2010-03-02 | 2012-04-06 | 최주헌 | 교체 가능한 볼펜촉을 내장한 볼펜 케이스 |
KR20200000152U (ko) * | 2018-07-11 | 2020-01-21 | 임현수 | 만년필 |
-
2002
- 2002-05-31 KR KR2020020016836U patent/KR2002869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145B1 (ko) | 2010-03-02 | 2012-04-06 | 최주헌 | 교체 가능한 볼펜촉을 내장한 볼펜 케이스 |
KR20200000152U (ko) * | 2018-07-11 | 2020-01-21 | 임현수 | 만년필 |
KR200491799Y1 (ko) * | 2018-07-11 | 2020-06-05 | 임현수 | 만년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12998B1 (en) | Multi-function writing instrument | |
US4865479A (en) | Writing utensil with an exchangeable eraser | |
US5895160A (en) | Universal marking instrument apparatus | |
JP2545330Y2 (ja) | 筆記具 | |
KR100434620B1 (ko) |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 |
CN110944848A (zh) | 3色马克笔 | |
US3079895A (en) | Ball-point pens | |
KR200286957Y1 (ko) |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 |
US5984550A (en) | Writing device | |
JP6545451B2 (ja) | 消去部材付筆記具 | |
KR100515991B1 (ko) | 필기구 및 펜심홀더 이탈방법 | |
US20070110499A1 (en) | Dual-purpose pen for painting | |
US20230339257A1 (en) | Multi-color marker pen | |
CN214396123U (zh) | 一种新型书写笔 | |
CN214775029U (zh) | 一种组合笔 | |
JP2017217759A (ja) | 筆記具 | |
JP5470173B2 (ja) | クリップ付き筆記具用キャップ及び筆記具 | |
JP2009234181A (ja) | ノック式筆記具 | |
JP4817557B2 (ja) | 筆記具 | |
KR200283974Y1 (ko) | 양방향 필기구 | |
KR200319184Y1 (ko) | 볼펜지우개가 구비된 볼펜 | |
CN112848754A (zh) | 一种组合笔 | |
CN117141149A (zh) | 多色记号笔 | |
KR200324665Y1 (ko) | 녹크식 필기구 | |
KR200454973Y1 (ko) | 필기구로 이용 가능한 펜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