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52U - 만년필 - Google Patents

만년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52U
KR20200000152U KR2020180003185U KR20180003185U KR20200000152U KR 20200000152 U KR20200000152 U KR 20200000152U KR 2020180003185 U KR2020180003185 U KR 2020180003185U KR 20180003185 U KR20180003185 U KR 20180003185U KR 20200000152 U KR20200000152 U KR 20200000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ib
main body
fountain p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799Y1 (ko
Inventor
임현수
Original Assignee
임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수 filed Critical 임현수
Priority to KR2020180003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9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06Ink reservoirs with movable pistons for withdrawing ink from an ink-receptacle
    • B43K5/08Ink reservoirs with movable pistons for withdrawing ink from an ink-receptacle with ink-supply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09Feed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만년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펜촉으로 적정량씩 공급해가면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잉크를 상시 옆에 두고 필기를 해야 하는 기존 딥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만년필은, 중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펜촉이 결합되어 있는 전방캡, 상기 본체부 및 전방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펜촉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를 가압하여 상기 펜촉에 잉크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가압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를 저장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만년필{FOUNTAIN PEN}
본 고안은 만년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펜촉으로 공급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만년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년필은 크게 펜촉이 설치된 본체, 본체의 전방에 장착되는 덮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만년필은 펜촉에 잉크를 찍어 노트 등에 필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만년필은 펜촉에 묻어 있는 잉크가 소진될 때마다 새롭게 잉크를 찍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만년필은 사용자가 잉크를 감으로 찍어서 사용하게 되는바, 펜촉에 적정량의 잉크를 정확하게 찍어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잉크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펜촉에 잉크를 찍는 과정 등에서 손이나 옷 등에 잉크가 묻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1162호(2000.05.23.)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펜촉으로 적정량씩 공급해가면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잉크를 상시 옆에 두고 필기를 해야 하는 기존 딥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만년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만년필은, 중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펜촉이 결합되어 있는 전방캡, 상기 본체부 및 전방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펜촉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를 가압하여 상기 펜촉에 잉크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가압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를 저장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캡은,
상기 본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캡부재, 상기 수평캡부재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펜촉이 결합되는 경사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캡부재 및 경사캡부재에는 상기 저장부의 잉크가 펜촉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중 저장부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의 동력을 피스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연과 동력전달부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이 단계적으로 직진 이동되면서 저장부 내의 잉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펜촉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캡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만년필은, 본체부의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가 형성되고, 외부에서 가동부를 회전시키면 가압부가 저장부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펜촉에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만년필과 같이 별도로 잉크를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펜촉에 묻어 있는 잉크가 소진될 때마다 펜촉에 잉크를 찍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펜촉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부가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잉크를 알맞은 양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잉크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에 적용된 펜촉과 착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에 적용된 저장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에 적용된 전방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만년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에 적용된 펜촉과 착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에 적용된 저장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년필(1)은 본체부(10), 전방캡(20), 저장부(30), 가압부(40), 가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본체부(10)는 저장부(30) 및 가압부(40)가 각각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가지며, 이로 인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다.
본체부(10)의 중공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0)는 원형 단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전방에는 전방캡(20), 펜촉(60) 등을 가릴 수 있는 뚜껑(11)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뚜껑(11)에는 와이셔츠나 양복의 주머니, 가방의 내,외부에 구비된 꽂이수단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캡(20) 또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펜촉(60) 및 저장부(30)가 각각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전방캡(20)의 전방과 후방도 개방된다.
전방캡(20)은 펜촉(6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본체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방캡(20)의 후방측 외주연과 본체부(10)의 전방측 내주연에 서로 맞물리는 나선을 형성하여 회전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전방캡(20)을 본체부(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펜촉(60)은 실제로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대략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노트와 같은 필기 대상물과 접촉되는 끝부분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즉, 펜촉(60)의 끝부분이 노트에 접촉되어 저장부(30)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흡수시킴에 따라 필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펜촉(60)은 착탈부(70)를 매개로 전방캡(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부(70) 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펜촉(60)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갖는다. 이로 인해 착탈부(70)의 전방과 후방도 개방된다.
착탈부(70)의 외주연과 전방캡(20)의 내주연에는 서로 맞물리는 나선이 형성되어, 착탈부(70)를 전방캡(20)에 회전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펜촉(60)이 착탈부(7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탈부(70)가 전방캡(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인해, 펜촉(60)이 고장 날 경우 새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장부(30)는 펜촉(60)에 잉크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전방측은 전방캡(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의 후측은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저장부(30) 역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저장공간을 갖는다.
따라서, 저장부(30)의 전방과 후방도 개방되는데, 저장부(30)의 전방 개방된 부분은 펜촉(60)과 접촉되어 잉크를 공급할 수 있고, 후방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는 가압부(4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0)의 전방은 마개(31)에 의해 막혀 있고, 마개(31)에는 잉크가 조금씩 세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홀(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부(30)의 후방은 가압부(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비해 큰 직경으로 개방된다.
가압부(40)는 저장부(30)에 저장된 잉크가 펜촉(60)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피스톤(41), 동력전달부(42), 배출수단(41a,42a)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41)은 일부분이 저장부(30)의 후방에서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며, 다른 부분은 저장부(3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동력전달부(42)에 결합된다.
피스톤(41)은 저장부(30)의 내부공간에서 마찰 없이 원활하게 직진 이동될 수 있도록 저장부(3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41)의 전방에는 저장부(3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고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4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41)이 저장부(30)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가압부재(411)가 저장부(30)의 내부공간에 압력을 가해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배출시키게 된다.
동력전달부(42)는 가동부(50)의 회전동력을 피스톤(41)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저장부(30)의 후방으로 돌출된 피스톤(41)의 외면에 결합되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부분은 가동부(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42)는 저장부(30)의 후측 끝단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배출수단(41a,42a)은 가동부(50)의 작동 시 피스톤(41)이 저장부(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진이동시키는 구성으로써, 피스톤(41)의 외주연과 동력전달부(42)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체결되는 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41)과 저장부(30)에는 피스톤(41)이 회전되지 않고 직진 이동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방지수단은 저장부(30)의 내부 양면에 회전방지홈(30a)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고, 피스톤(41)의 양면에는 회전방지홈(30a)에 수용되어, 회전방지홈(30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회전방지키(412)를 형성시킴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가동부(50)는 사용자가 펜촉(60)에 잉크를 공급하고자 할 시 사용되는 구성으로써, 본체부(10)의 후방으로 돌출된 동력전달부(4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본체부(10)의 후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된 가동부(50)를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동력전달부(42)가 회전되고, 피스톤(41)은 가동부(50) 및 동력전달부(42)의 회전수에 맞게 저장부(30)의 전방을 향해 단계적으로 직진이동되며, 그 과정에서 저장부(30) 내의 가압부재(411)가 압력을 가해 잉크를 조금씩 배출시켜 펜촉(60)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만년필(1)은 본체부(10)의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가 형성되고, 외부에서 가동부(50)를 회전시키면 가압부(40)가 저장부(30)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펜촉(60)에 공급하게 됨에 따라, 종래의 만년필과 같이 별도로 잉크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으며, 펜촉(60)에 묻어 있는 잉크가 소진될 때마다 펜촉(60)에 잉크를 찍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펜촉(60)에 잉크를 찍는 과정 등에서 손이나 옷 등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장점도 있다.
또한, 가압부(40)는 가동부(50), 배출수단(41a,42a) 및 회전방지수단(30a, 412)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잉크를 펜촉(60)에 공급할 수 있는 바, 저장부(30)에서 잉크가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고, 적절한 양으로 배출되어 펜촉(6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제2실시예)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에 적용된 전방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년필(1)은 본체부(10), 전방캡(20), 저장부(30), 가압부(40), 가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캡(20)을 제외한 본체부(10), 저장부(30), 가압부(40), 가동부(50)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전방캡(20)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캡(20)은 본 고안에 따른 만년필을 오블리크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수평캡부재(21), 경사캡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캡부재(21)는 일단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전방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1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결합부재(211)는 본체부(10)에 나선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시 본체부(10)와 수평을 이룬다.
경사캡부재(22)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23)를 매개로 수평캡부재(21)와 연결된다.
따라서, 경사캡부재(22)는 수평캡부재(21)의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경사캡부재(22)는 저면이 개방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캡부재(22)의 내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펜촉(60)이 결합된 착탈부(70)가 체결된다.
이때, 펜촉(60)의 끝 뾰족한 부분은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경사캡부재(22)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전방캡(20)에는 저장부(30)의 잉크를 펜촉(6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급수단(20a)은 공급수단(20a)은 홀 또는 공급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수평캡부재(21)와 연결부재(23)와 연결캡부재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홀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수평캡부재(21)의 상단에는 공급수단(20a)과 연결되는 연결관(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부(30)의 전방을 수평캡부재(21)의 내부에 삽입하면 연결관(212)이 마개(31)의 홀(31a)을 관통하여 저장부(30)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동부(50)를 회전시켜 가압부(40)가 저장부(30) 내를 가압하도록 하면 저장부(30)의 잉크가 연결관(212)과 공급수단(20a)을 순차적으로 거쳐 펜촉(60)에 공급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만년필을 오블리크 타입으로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만년필 10 : 본체부
20 : 전방캡 20a : 공급수단
21 : 수평캡부재 211 : 결합부재
212 : 연결관 22 : 경사캡부재
23 : 연결부재 30 : 저장부
30a : 회전방지홈 31 : 마개
31a : 홀 40 : 가압부
41 : 피스톤 41a,42a : 배출수단
411 : 가압부재 412 : 회전방지키
42 : 동력전달부 50 : 가동부
60 : 펜촉 70 : 착탈부

Claims (5)

  1. 중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펜촉이 결합되어 있는 전방캡,
    상기 본체부 및 전방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펜촉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를 가압하여 상기 펜촉에 잉크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가압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를 저장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만년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캡은,
    상기 본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캡부재,
    상기 수평캡부재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펜촉이 결합되는 경사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캡부재 및 경사캡부재에는 상기 저장부의 잉크가 펜촉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형성되는 만년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중 저장부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의 동력을 피스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만년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연과 동력전달부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이 단계적으로 직진 이동되면서 저장부 내의 잉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만년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캡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만년필.
KR2020180003185U 2018-07-11 2018-07-11 만년필 KR200491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85U KR200491799Y1 (ko) 2018-07-11 2018-07-11 만년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85U KR200491799Y1 (ko) 2018-07-11 2018-07-11 만년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52U true KR20200000152U (ko) 2020-01-21
KR200491799Y1 KR200491799Y1 (ko) 2020-06-05

Family

ID=6922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85U KR200491799Y1 (ko) 2018-07-11 2018-07-11 만년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9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62Y1 (ko) 1998-06-29 2000-08-16 차종안 볼펜형 만년필
KR200286957Y1 (ko) * 2002-05-31 2002-08-24 아성정공 주식회사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KR20060016461A (ko) * 2004-08-17 2006-02-22 장창호 잉크의 전진 가압능력을 갖는 액상분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404B2 (ja) * 1992-04-22 2001-07-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振動子の温度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62Y1 (ko) 1998-06-29 2000-08-16 차종안 볼펜형 만년필
KR200286957Y1 (ko) * 2002-05-31 2002-08-24 아성정공 주식회사 교환가능한 펜촉을 갖는 필기구
KR20060016461A (ko) * 2004-08-17 2006-02-22 장창호 잉크의 전진 가압능력을 갖는 액상분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99Y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309B2 (ja) 複合筆記具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CN100469595C (zh) 旋转送出式书写工具
JP3963768B2 (ja) 複合筆記具
KR20140141621A (ko) 샤프 펜슬
KR20200000152U (ko) 만년필
KR200485605Y1 (ko) 대용량 필기구
CN110303800B (zh) 一种可换笔芯的压缩笔
CN217705297U (zh) 一种揿动笔
KR200391856Y1 (ko) 필기구
JP6227902B2 (ja) 筆記具
JP4522559B2 (ja) 中綿式筆記具における中綿交換機構
US2627843A (en) Writing instrument
CN217294074U (zh) 一种旋转式伸缩笔
TWM651611U (zh) 多方位設置複數個眼線液筆芯的替換式多色眼線液筆
CN211994851U (zh) 一种可加墨型白板笔
CN218876719U (zh) 一种具有修正带功能的圆珠笔
KR200354527Y1 (ko) 샤프펜슬
KR200466619Y1 (ko) 리필 가능한 다용도 필기구
KR101272842B1 (ko)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CN114347696A (zh) 一种揿动笔
US610818A (en) Fountain-pen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KR20080113801A (ko) 편리한 펜슬
US1910907A (en) Fountain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