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842B1 -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842B1
KR101272842B1 KR1020110118060A KR20110118060A KR101272842B1 KR 101272842 B1 KR101272842 B1 KR 101272842B1 KR 1020110118060 A KR1020110118060 A KR 1020110118060A KR 20110118060 A KR20110118060 A KR 20110118060A KR 101272842 B1 KR101272842 B1 KR 10127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
cartridge
receptor
pen nib
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806A (ko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11011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842B1/ko
Priority to PCT/KR2012/009611 priority patent/WO2013073841A1/ko
Publication of KR2013005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6Clip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8Movable closure or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양 측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닙 혹은 서로 다른 색상의 카트리지를 공급하여 카트리지 색상별 혹은 닙 형태별로 별도의 필기구를 제작하지 않도록 하며, 펜심이 분리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어 필기구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양 단으로 서로 다른 형상의 전방 닙과 후방 닙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닙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2피스의 수용체로 구성되는 펜심과; 상기 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펜심과는 스프링 및 직접 전동식을 위한 출몰 메카니즘에 의해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전방 닙이 출몰되도록 닙 구멍을 형성하는 축과; 일 측은 상기 펜심의 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고 타 측은 축의 닙 구멍 내주연에서 닙구멍을 개폐시키도록 부착되는 마름방지장치와; 상기 펜심의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펜심 타단과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SLIDE TYPE WRITING TOOLS HAVING TWIN NIB}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카트리지의 잉크가 나오는 닙(nib)을 필기구의 양 단에 각각 구비하여 닙 사용 시에만 노출시키고 비 사용 시에는 기밀한 상태로 밀폐시키도록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강한 마카펜이나, 화이트펜, 수성펜, 형광펜 등은 닙이 공기 중에 장시간 개방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닙의 잉크 등이 말라붙게 되어서 필기구 수명이 단축되거나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닙의 사용 시에만 노출시키고 비 사용 시에는 기밀한 상태로 밀폐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축의 타 단을 누름으로써 스프링이 움직여 닙이 나오도록 하는 마름방지 장치를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가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크식 필기구의 펜심(1)은 일 측이 닙에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타 측이 펜심이 나오도록 눌러지는 노크부(2)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카트리지는 일 측 닙에만 단일 색상의 잉크를 공급하게 되는 바, 다양한 형태의 닙이나 서로 다른 색상의 카트리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닙과 카트리지별로 각각의 필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형광펜 등은 펜심을 분리시키기가 어려워 내부의 카트리지 교환이 불가능하여 카트리지의 잉크를 모두 사용한 후에는 폐기처분되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 양 측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닙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펜심 양 단에 각각 닙을 구비하고 분리된 펜심에서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색상의 카트리지가 각 측의 닙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펜심 내부에 카트리지 분리막을 형성하여 각각의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양 단으로 서로 다른 형상의 전방 닙과 후방 닙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닙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2피스의 수용체로 구성되는 펜심과; 상기 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펜심과는 스프링 및 직접 전동식을 위한 출몰 메카니즘에 의해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전방 닙이 출몰되도록 닙 구멍을 형성하는 축과; 일 측은 상기 펜심의 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고 타 측은 축의 닙 구멍 내주연에서 닙구멍을 개폐시키도록 부착되는 마름방지장치와; 상기 펜심의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펜심 타단과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펜심은, 상기 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전방 닙 수용체와; 상기 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후방 닙 수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방 닙 수용체는, 일 측에 상기 전방 닙을 고정시키도록 전방 닙 직경에 대응하는 중공 원형 튜브 형태를 가지는 닙연장축과; 전방 닙의 잉크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닙 연장축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카트리지 수용부와; 축의 가이드 슬릿을 따라 표출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외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타 측 내부에 후방 닙 수용체를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후방 닙 수용체 삽입구와; 삽입된 상기 후방 닙 수용체와 결합되도록 그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방 닙 수용체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후방 닙 수용체는, 일 측에 후방 닙이 고정되게 후방 닙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관경을 가지는 콘 형상의 후방 닙 수용부와; 상기 후방 닙 수용부의 외 측면으로는 상기 캡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캡 결합용 나사산과;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후방 닙 수용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카트리지 수용부와; 타 측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삽입부와; 상기 전방 닙 수용체와과 맞물리도록, 상기 카트리지 삽입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닙 수용체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후방 닙 수용체는, 일 측에 후방 닙이 고정되게 후방 닙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관경을 가지는 콘 형상의 후방 닙 수용부와; 상기 후방 닙 수용부의 외 측면으로는 상기 캡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캡 결합용 나사산과; 후방 닙의 잉크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후방 닙 수용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후방 닙 카트리지 수용부와; 타 측에 전방 닙의 잉크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와; 상기 전방 닙 수용체와 맞물리도록, 상기 후방 닙 카트리지 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닙 수용체 결합수단과; 전방 닙 카트리지와 후방 닙 카트리지의 잉크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와 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 사이에서 막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 분리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에 전방 카트리지의 타 단이 고정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 내 측면에 복수개의 리브가 카트리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은 후방 닙 수용부와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그 내부가 후방 닙 수용부 및 후방 닙 형상에 대응하게 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방닙 수용부와; 상기 후방 닙 수용체의 캡 결합용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그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는카트리지 양 측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닙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으며, 혹은 서로 다른 색상의 카트리지가 해당 측의 닙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어 카트리지 색상별 혹은 닙 형태별로 필기구를 제작 및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펜심이 분리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어 필기구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의 펜심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펜심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펜심 분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펜심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의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펜심 분해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는 축(20) 내부에 삽입되어 축 전방의 닙 구멍(29)으로 닙이 출몰하도록 전 후진하는 펜심에 있어서, 펜심의 후방에도 닙(31)을 구비하여 닙(31)을 보호할 수 있는 캡(50)을 결합시킴으로써 누름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는 카트리지와 닙을 수용하도록 전방 닙 수용체(10)와 후방 닙 수용체(30)로 구성되는 펜심, 상기 펜심을 수용하는 축(20), 상기 축의 닙구멍을 개폐하며 전방 닙을 밀폐시키는 마름방지장치(40), 후방 닙을 밀폐시키는 캡(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20)은 단일 몸체(body) 케이스 또는 양분 가능한 몸체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도록, 고무, 실리콘,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사출 성형되거나 몰드성형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축(20)은 플라스틱 소재의 일반적인 특성, 즉 탄성, 가요성, 신축성 중 어느 하나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축(20)의 일 측에는 전방 닙(1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닙구멍(29)이 축심방향을 따라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고, 축(20)의 타 측에는 펜심 몸체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펜심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20)의 타 측 외원주면에는 다양한 형식 중 어느 하나로 설계된 반기어(22)가 클립 형태의 해당 결합 부위(21)에 일체형으로 형성 또는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러한 반기어(22)는 해당 결합 부위(21)와의 결합 관계 하에서, 직접 전동식에 의한 전방 닙(11)의 돌출 또는 몰입에 따른 정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펜심의 돌출부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기어(22) 및 해당 결합 부위(21)는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안전노크식 필기구의 저소음 펜심 출몰 메커니즘(2003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55414호, 동년 특허출원 제56940호)에 개시된 안전 노크 방식과 유사 내지 동일한 출몰 메커니즘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50)을 계속적으로 누름에 따라 펜심의 닙(11)이 닙구멍(29)을 관통하여 앞으로 전진된 상태에서 캡(50)를 놓게 되더라도, 상기 펜심과 축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펜심이 후퇴하지 못하도록 상기 해당 결합 부위(21)에 결합된 반기어(22)와 펜심 돌출부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에 의해 전방 닙(11)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캡(50)를 누르게 되면 상기 결합관계가 해제되어 캡(50)을 놓는 순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펜심이 후퇴하여 전방 닙(11)이 퇴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20)은 반기어(22)에 맞물리는 펜심 돌출부가 해당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표출된 상태로 축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운동 가능토록 유한한 길이를 갖고 소정 단 부위가 개방된 직선형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10)은 직접 전동식에 의한 펜심의 전 후진에 따라 닙 구멍(29)을 신속하게 개폐시키는 마름방지장치(40)를 내부에 장착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직접 전동식이란, 축(20)의 닙구멍(29)이 마름방지장치(40)의 볼형도어에 의해 기밀하게 밀폐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노크부(knock part)를 누르는 힘이 직접 전달되어서 볼형도어가 동작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 필기구의 축(20)을 한 손으로 잡은 후, 엄지손가락 등으로 필기구 상단의 누름부에 해당하는 캡(50)을 누를 때, 캡(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펜심에 의해 연동되는 볼형도어는 개방 방향으로 회전각 90ㅀ만큼 회전하면서 관통통로를 전방 닙의 축 방향에 일치시키도록 회전함과 동시에 축(20)의 닙구멍(29)을 개방(open)시킨다.
이후, 전방 닙은 마름방지장치(40)의 볼형도어 관통통로를 통해서 닙구멍(29)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캡(50)을 누를 경우,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돌출된 전방 닙이 원래의 위치, 즉 축(20)의 내부로 몰입하게 되며, 이후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볼형도어는 폐쇄 방향으로 회전각 90ㅀ만큼 회전하면서 관통 통로를 전방 닙의 축 방향에 수직하게 회전함과 동시에 축(20)의 닙구멍(29)을 폐쇄(close)시킨다.
이하 마름방지장치(40)의 볼형도어는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0817202호의 '마름방지 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에 게재되어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심은 전방 닙 수용체(10)와 후방 닙 수용체(30) 및 캡(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펜심은 전방 닙 수용체(10)와 후방 닙 수용체(30) 및 후방 닙 수용체(30)와 캡(50)이 서로 나사 결합 및 해제되어 그 내부의 내용물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펜심은 축(20)의 펜심구멍(28)을 통해 삽입되어 축과 펜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에 의해 구속되는 스프링에 의해 긴장 상태를 가지게 되며, 또한 일 단이 축의 닙구멍에 부착되는 마름방지장치(40)의 타 단이 전방 닙 삽입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는 전방 닙(11)을 수용하며 상기 전방 닙(1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3)의 일 측이 수용되는 관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의 일 측 단은 전방 닙(11)이 고정되게 전방 닙(11) 직경에 대응하는 중공 원형 튜브 형태의 닙연장축(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닙연장축(12)은 카트리지 수용부(1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닙 연장축부(12)의 끝단에는 카트리지 수용부(12)로부터 통상의 잉크 공급 방식(예 : 모세관 현상, 압력차, 흡입 등)에 의해 카트리지의 잉크를 공급받을 수 있게 전방 닙(1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방 닙(11)은 필기구의 종류에 따라서, 유성 또는 수성 잉크용 팁, 화이트 액 배출용 팁, 형광펜용 팁, 마카펜용 팁 등이 사용되고, 각각의 상기 팁들에 대응하는 잉크 공급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는 닙 연장축부(1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카트리지 수용부(13)를 형성하며 전방 닙(11)과 연결되는 카트리지(3)의 일 측을 삽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는 외 측면으로 축의 가이드 슬릿을 따라 표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의 타 측 단은 하기에 설명될 후방 닙 수용체(30)를 삽입하기 위한 후방 닙 수용체 삽입구(17)를 형성하며, 삽입된 후방 닙 수용체(30)와 나사 결합되도록 그 내측에 나사산(15)을 형성한다.
상기 후방 닙 수용체(30)는 후방 닙(31)을 수용하며 상기 후방 닙(3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3)의 타 측이 수용되도록 관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방 닙 수용체(30)의 일 측 단은 후방 닙(31)이 고정되게 후방 닙(31)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관경을 가지는 콘 형상의 후방 닙 수용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방 닙수용부(32) 역시 카트리지 수용부(3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후방 닙 수용부(32)의 외 측면으로는 캡(50)과 나사 결합되도록 캡 결합용 나사산(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닙 수용부(32)의 끝단에는 카트리지 수용부(33)로부터 통상의 잉크 공급 방식(예 : 모세관 현상, 압력차, 흡입 등)에 의해 카트리지의 잉크를 공급받을 수 있게 후방 닙(31)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방 닙(31)은 상기 전방 닙(11)과 다른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후방 닙 수용체(30)는 닙 수용부(3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카트리지 수용부(33)를 형성하며, 후방 닙(31)과 연결되는 카트리지(3)의 타 측을 삽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33)의 외면은 펜심의 결합 시에 후방 닙을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하며 혹은 나사 결합된 전방 닙 수용체(10)와 후방 닙 수용체(30)를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된다.
상기 후방 닙 수용체(30)의 타 측단은 카트리지(3)를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삽입부(37)가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삽입부(37)의 외측면으로는 전방 닙 수용체(1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전방 닙 수용체 결합용 나사산(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3)는 잉크 탱크 용량에 대응한 유한한 시간동안 전방 닙과 후방 닙을 통해 잉크를 균일하고 연속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대용량 탱크부를 갖고 있다.
상기 캡(50)은 후방 닙 수용체(30)의 후방 닙 수용부(32) 및 후방 닙(31)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그 내부가 후방 닙 수용부(32) 및 후방 닙(31)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인 후방닙 수용부(52)를 형성한 뚜껑이다.
상기 캡(50)은 후방 닙 수용체(30)의 캡 결합용 나사산(34)과 결합되도록 그 일측 내면에 나사산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닙 수용체(10)는 축 내부에서 돌출부가 가이드슬릿에 구속되되, 스프링에 의해 축과 긴장된 상태를 가지도록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의 후방 닙 수용체 삽입구(17)로 후방 닙 수용체(30)에 부착되는 카트리지(3) 및 카트리지 삽입부(37)을 삽입하게 되고 전방 닙 수용체 결합용 나사산(35)이 전방 닙 수용체(10)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펜심을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심은 전방 닙 수용체(10)와 후방 닙 수용체(60) 및 캡(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펜심은 전방 닙 수용체(10)와 후방 닙 수용체(60) 및 후방 닙 수용체(60)와 캡(50)이 서로 나사 결합 및 해제되어 그 내부의 내용물을 교환하되, 전방 닙은 전방 닙 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하고 후방 닙은 후방 닙 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펜심과 결합되는 필기구 구성 및 결합관계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방 닙 수용체(10)와 캡(50)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전방 닙 수용체 및 캡과 동일한 구성 및 형태를 가지게 된다.
다만,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후방 닙 수용체(60)에 전방 닙 카트리지 수용부와 후방 닙 카트리지 수용부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을 분리하도록 카트리지 분리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제2실시예의 상기 후방 닙 수용체(60) 길이는 상기 제1실시예의 후방 닙 수용체(30)의 길이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에 대응하여 전방 카트리지와 후방 카트리지의 길이가 정해진다.
상기 후방 닙 수용체(60)는 후방 닙(61)을 수용하며 상기 후방 닙(6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7)와 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5) 가 수용되도록 관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방 닙 수용체(60)의 일 측 단은 후방 닙(61)이 고정되게 후방 닙(61)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관경을 가지는 콘 형상의 후방 닙 수용부(6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방 닙수용부(62) 역시 카트리지 수용부(6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후방 닙 수용부(62)의 외 측면으로는 캡(50)과 나사 결합되도록 캡 결합용 나사산(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닙 수용부(62)의 끝단에는 카트리지 수용부(63)로부터 통상의 잉크 공급 방식(예 : 모세관 현상, 압력차, 흡입 등)에 의해 카트리지의 잉크를 공급받을 수 있게 후방 닙(61)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방 닙(61)은 상기 전방 닙과 다른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후방 닙 수용체(60)는 후방 닙 수용부(6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후방 카트리지 수용부(63)를 형성한다.
상기 후방 카트리지 수용부(63)는 후방 카트리지를 밀폐되게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63)의 외면은 펜심의 결합 시에 후방 닙을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하며 혹은 나사 결합된 전방 닙 수용체와 후방 닙 수용체(60)를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된다.
상기 후방 카트리지 수용부(63)의 외측면으로는 전방 닙 수용체(1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전방 닙 수용체 결합용 나사산(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닙 수용체(60)의 타 측단은 전방 카트리지(5)의 타 단을 삽입하기 위한 전방 카트리지 삽입부(68)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카트리지 삽입부(68)의 내 측면으로는 전방 카트리지의 타 단이 고정되게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리브(67)가 카트리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카트리지 삽입부(68)과 후방 카트리지 수용부(63)의 사이에는 카트리지 분리막(66)이 형성되어 있어 전방 카트리지와 후방 카트리지의 잉크가 혼합되지 않도록 밀폐되게 분리된다.
따라서 전방 닙 수용체는 축 내부에서 돌출부가 가이드슬릿에 구속되되, 스프링에 의해 축과 긴장된 상태를 가지도록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전방 닙 수용체의 후방 닙 수용체 삽입구로 후방 닙 수용체(60)에 부착되는 전방 닙 카트리지(7) 및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68)를 삽입하게 되고 전방 닙 수용체 결합용 나사산(65)이 전방 닙 수용체(10)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펜심을 구성하게 된다.
10 : 전방 닙 수용체 20 : 축
30. 60 : 후방 닙 수용체 40 : 마름방지장치
50 : 캡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양 단으로 서로 다른 형상의 전방 닙과 후방 닙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닙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2피스의 수용체로 구성되는 펜심과; 상기 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펜심과는 스프링 및 직접 전동식을 위한 출몰 메카니즘에 의해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전방 닙이 출몰되도록 닙 구멍을 형성하는 축과; 일 측은 상기 펜심의 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고 타 측은 축의 닙 구멍 내주연에서 닙구멍을 개폐시키도록 부착되는 마름방지장치와; 상기 펜심의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펜심 타단과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심은, 상기 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전방 닙 수용체와; 상기 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후방 닙 수용체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닙 수용체는,
    일 측에 상기 전방 닙을 고정시키도록 전방 닙 직경에 대응하는 중공 원형 튜브 형태를 가지는 닙연장축과;
    전방 닙의 잉크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닙 연장축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카트리지 수용부와;
    축의 가이드 슬릿을 따라 표출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외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타 측 내부에 후방 닙 수용체를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후방 닙 수용체 삽입구와;
    삽입된 상기 후방 닙 수용체와 결합되도록 그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방 닙 수용체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
  4. 양 단으로 서로 다른 형상의 전방 닙과 후방 닙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닙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2피스의 수용체로 구성되는 펜심과; 상기 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펜심과는 스프링 및 직접 전동식을 위한 출몰 메카니즘에 의해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전방 닙이 출몰되도록 닙 구멍을 형성하는 축과; 일 측은 상기 펜심의 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고 타 측은 축의 닙 구멍 내주연에서 닙구멍을 개폐시키도록 부착되는 마름방지장치와; 상기 펜심의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펜심 타단과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심은, 상기 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전방 닙 수용체와; 상기 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후방 닙 수용체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닙 수용체는,
    일 측에 후방 닙이 고정되게 후방 닙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관경을 가지는 콘 형상의 후방 닙 수용부와;
    상기 후방 닙 수용부의 외 측면으로는 상기 캡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캡 결합용 나사산과;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후방 닙 수용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카트리지 수용부와;
    타 측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삽입부와;
    상기 전방 닙 수용체의 후방닙 수용체 결합수단과 맞물리도록, 상기 카트리지 삽입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닙 수용체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
  5. 양 단으로 서로 다른 형상의 전방 닙과 후방 닙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닙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2피스의 수용체로 구성되는 펜심과; 상기 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펜심과는 스프링 및 직접 전동식을 위한 출몰 메카니즘에 의해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전방 닙이 출몰되도록 닙 구멍을 형성하는 축과; 일 측은 상기 펜심의 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고 타 측은 축의 닙 구멍 내주연에서 닙구멍을 개폐시키도록 부착되는 마름방지장치와; 상기 펜심의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펜심 타단과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심은, 상기 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전방 닙 수용체와; 상기 후방 닙을 수용하며, 상기 후방 닙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후방 닙 수용체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닙 수용체는,
    일 측에 후방 닙이 고정되게 후방 닙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관경을 가지는 콘 형상의 후방 닙 수용부와;
    상기 후방 닙 수용부의 외 측면으로는 상기 캡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캡 결합용 나사산과;
    후방 닙의 잉크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후방 닙 수용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관부의 후방 닙 카트리지 수용부와;
    타 측에 전방 닙의 잉크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와;
    상기 전방 닙 수용체와 맞물리도록, 상기 후방 닙 카트리지 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닙 수용체 결합수단과;
    전방 닙 카트리지와 후방 닙 카트리지의 잉크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와 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 사이에서 막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 분리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에 전방 카트리지의 타 단이 고정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전방 닙 카트리지 삽입부 내 측면에 복수개의 리브가 카트리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후방 닙 수용부와 후방 닙을 밀폐되게 수용하도록 그 내부가 후방 닙 수용부 및 후방 닙 형상에 대응하게 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방닙 수용부와;
    상기 후방 닙 수용체의 캡 결합용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그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단 닙을 가진 출몰식 필기구.
KR1020110118060A 2011-11-14 2011-11-14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10127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60A KR101272842B1 (ko) 2011-11-14 2011-11-14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PCT/KR2012/009611 WO2013073841A1 (ko) 2011-11-14 2012-11-14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60A KR101272842B1 (ko) 2011-11-14 2011-11-14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06A KR20130052806A (ko) 2013-05-23
KR101272842B1 true KR101272842B1 (ko) 2013-06-10

Family

ID=4842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060A KR101272842B1 (ko) 2011-11-14 2011-11-14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2842B1 (ko)
WO (1) WO2013073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3901B1 (en) * 2022-01-20 2022-08-16 Mark Cuban Palm p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68U (ja) * 1993-03-18 1994-10-04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両頭塗布具
JP2002187395A (ja) 2000-12-22 2002-07-02 Mitsubishi Pencil Co Ltd キャップレスマーカ
KR100817202B1 (ko) * 2007-04-17 2008-03-27 주식회사 모리스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97B1 (ko) * 2008-08-14 2009-01-28 최영준 건조방지용 출몰식 필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68U (ja) * 1993-03-18 1994-10-04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両頭塗布具
JP2002187395A (ja) 2000-12-22 2002-07-02 Mitsubishi Pencil Co Ltd キャップレスマーカ
KR100817202B1 (ko) * 2007-04-17 2008-03-27 주식회사 모리스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3841A1 (ko) 2013-05-23
KR20130052806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138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100734903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100772596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20070112889A (ko) 출몰식 필기구
US8944716B2 (en) Valved applicator
KR101272842B1 (ko)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CN110944848B (zh) 3色马克笔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KR101188919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JP3199678U (ja) 化粧用ペン
KR101774425B1 (ko) 자동밀폐 구조를 구비한 필기구
US20120003026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movable Cartridge of Writing Material
KR200280149Y1 (ko) 보드 잉크 펜
JP5457948B2 (ja) 塗布具
KR100738904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US20230339257A1 (en) Multi-color marker pen
US7758270B2 (en) Ink refill tool for a writing instrument
WO2016025814A1 (en) Writing utensil including compartment for storing writing utensils and accessories
JP4343265B2 (ja) 多芯筆記具
KR200354527Y1 (ko) 샤프펜슬
US20080247807A1 (en) Liquid dispensing instrument
KR200319184Y1 (ko) 볼펜지우개가 구비된 볼펜
JP4553309B2 (ja) 筆記具
JP2013223972A (ja) 筆記具レフィル及びそれを収容した筆記具
TWM538738U (zh) 雙頭式化妝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