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149Y1 - 보드 잉크 펜 - Google Patents

보드 잉크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149Y1
KR200280149Y1 KR2020020007420U KR20020007420U KR200280149Y1 KR 200280149 Y1 KR200280149 Y1 KR 200280149Y1 KR 2020020007420 U KR2020020007420 U KR 2020020007420U KR 20020007420 U KR20020007420 U KR 20020007420U KR 200280149 Y1 KR200280149 Y1 KR 200280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b
pen
ink
pen body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유민
Original Assignee
소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유민 filed Critical 소유민
Priority to KR2020020007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149Y1/ko

Lin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펜심과;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및, 상기 펜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드 잉크 펜{Board ink pen}
본 고안은 보드 잉크 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충전이 가능한 보드 잉크 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교 및, 학원의 교실이나 기업의 강연회장등에서는 칠판과 백묵이 보조 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석회석으로 제작된 백묵은 사용이 용이한 반면에, 칠판에 쓰고 지우는 과정에서 석회분이 비산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석회분이 호흡을 통해서 흡입될 경우 건강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철판 재료에 코팅을 함으로써 제작된 화이트 보드(white board)와, 화이트 보드에 대한 필기구로서 보드 잉크 펜(marker pen)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드 잉크 펜은 원통형으로 제작된 펜 본체내에 수성 또는 유성의 잉크를 충전시킨 것으로서, 잉크가 펜심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보드 잉크 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드 잉크 펜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펜 본체(1)와, 상기 펜 본체(1)의 전방에 고정된 펜심 홀더(4)와, 상기 펜심 홀더(4)에 끼워진 펜심(1)과, 상기 펜 본체(1)의 후방에 고정된 밀폐 마개(3)를 구비한다. 잉크는 상기 펜 본체(1)내에 충전되어 있으며, 펜심(2)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배출됨으로써 필기를 가능하게 한다. 뚜껑(4)은 보드 잉크 펜을 사용하지 않을때 잉크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보드 잉크 펜은 잉크를 펜 본체(1)내에 충전시켜서 사용한 후에 폐기시키게 된다. 즉, 밀폐 마개(3)는 펜 본체(1)에 대하여 접합된 상태로써 분리될 수 없도록 제작되므로 잉크를 재충전해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보드 잉크 펜은 잉크의 고갈시에는 폐기될 수 밖에 없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드 잉크 펜은 재활용될 수 없으므로 사용에 있어서 많은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며, 더욱이 폐기된 보드 잉크 펜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보드 잉크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잉크의 재충전이 가능한 보드 잉크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통상적인 보드 잉크 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 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1. 펜 본체 22. 펜심 유지부
23. 탄성 흡수체 24. 밸브 시트
25. 밸브 26. 스프링
27. 밸브 하우징 28. 분리형 마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펜심과;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및, 상기 펜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펜심;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상기 펜 본체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잉크 충전용 카트리지; 및, 상기 펜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펜 본체내에 설치된 상기 카트리지 개봉용 절단날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펜심과;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상기 펜 본체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 단에 베어링이 형성되고 타단에 회전부가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중간 밀폐부; 상기 스크류의 회전부가 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펜 본체의 일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드 잉크 펜은 잉크를 내부에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펜 본체(21)와, 상기 펜 본체(21)로부터 잉크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펜 본체(21)의 전방에 설치된 펜심 홀더(11)와, 상기 펜심 홀더(11)에 의해서 유지되는 펜심(29)과, 상기 펜 본체(21)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형 마개(28)를 구비한다.
펜심 홀더(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심(29)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22), 상기 펜심 유지부(22)의 내측에 수용되며 중공부(23a)가 형성된 탄성 흡수체(23), 상기 펜심 유지부(22)내에 안착되는 밸브 시트(24), 상기 밸브 시트(24)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며 전방 로드(25a) 및, 후방 로드(25b)를 구비하는 밸브(25), 상기 후방 로드(25b)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26) 및, 상기 밸브 시트(24)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26)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가 통과되는 통공(27a)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27)을 구비한다. 펜심 유지부(22)는 펜 본체(21)의 전방 단부(21b)에 접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펜 본체(21)의 후방 단부에는 나선부(21a)가 형성되며, 분리형 마개(28)가 그러한 나선부(21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펜 본체(21)내에 충전된 잉크는 밸브 하우징(27)의통공(27a)을 통해서, 그리고 개방된 밸브(25)를 통해서 탄성 흡수체(23)를 습윤시킬 수 있으며, 펜심(29)은 탄성 흡수체(23)로부터 잉크를 전달받아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탄성 흡수체(23)는 예를 들면 스폰지 같은 재료로 제작된다.
도 3 은 상기 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밸브 하우징(27)은 밸브 시트(24)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밸브(25)의 저면은 밸브 시트(24)의 돌기부(24a)에 의해서 안착됨으로써, 밸브 시트(24)의 유로(31)를 폐쇄하고 있다. 밸브(25)의 후방 로드(25b)에는 스프링(26)이 끼워지는데, 스프링(26)의 일단은 밸브(25)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스프링(26)의 타단은 밸브 하우징(27)의 스프링 안착부(27b)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프링(26)은 밸브(25)가 밸브 시트(24)에 가압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잉크 유로(31)를 폐쇄하게 된다. 밸브(25)를 개방하려면 후방 로드(25a)에 접촉된 펜심(29, 도 2)에 외력을 가하여 스프링(26)을 수축시키면 된다. 후방 로드(25b)는 밸브 하우징(27)에 형성된 로드 삽입공(27c)을 통해서 밸브 하우징(27)의 외측으로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펜심(29)을 펜심 유지부(22)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밸브(25)가 개방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펜심(29)의 일단은 펜심 유지부(22)와 탄성 흡수체(23)의 중공부(23a)를 통해서 밸브(25)의 전방 로드(25a)와 접촉한다. 펜심(29)을 밀어넣게 되면 밸브(25)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그에 따라서 밸브(25)가 개방된다. 밸브(25)가 개방되면 밸브 하우징(27a)의 통공을 통해서 잉크가 유입될 수 있으며, 밸브 시트(24)의 전방에 배치된 탄성 흡수체(23)를 습윤시키고, 그에 따라서 펜심(29)은 탄성 흡수체(23)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아 필기를 가능하게 한다. 실제에 있어서 사용자는 보드 잉크 펜을 직립으로 세운 상태에서 펜심(29)을 누름으로써 잉크가 탄성 흡수체(23)를 습윤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잉크가 고갈되면, 분리형 마개(28)를 열고서 잉크를 재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면 번호 32 로 표시된 것은 교반용 볼이며, 사용자가 펜 본체(21)내에 충전된 잉크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드 잉크 펜을 흔들어주면 교반용 볼(32)이 잉크를 교반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드 잉크 펜은 펜심 유지부(42)에 유지된 펜심(49)과, 상기 펜 유지부(42)로부터 연장되며 중공형 원통인 펜 본체(41)와, 상기 펜 본체(41)의 내측에 삽입되는 잉크 카트리지(45)와, 상기 펜 본체(41)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폐쇄할 수 있는 분리형 마개(48)를 구비한다. 펜심 유지부(42)의 내측에는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탄성 흡수체(23), 밸브 시트(24), 밸브(25), 스프링(26) 및, 밸브 하우징(27)이 내장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메카니즘과 동일한 방식으로 펜심(49)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잉크가 카트리지(45)에 충전된 상태로 공급된다. 카트리지(45)는 합성 수지등의 재료로 제작되며, 일 단부에는 밀폐부(46)가 형성된다. 밀폐부(46)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밀폐부(46)가 연성의 포일등으로 감싸여져서 형성된다. 카트리지(45)는 중공형 원통형인 펜 본체(41)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밀폐부(46)는 펜 본체(41)내에 설치된 개봉용 절단날(43)에 의해서 절단됨으로써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개봉용 절단날(43)이 원형의 칼날로 형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45)를 삽입하였을때 연성의 밀폐부(46)를 절단함으로써 잉크가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45)는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성 재질의 밀폐부(46)와 그것을 개봉하는 절단날(43)을 채택하는 대신에, 카트리지(45)의 단부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마개로 밀폐하는 것이다. 카트리지(45)를 나사 결합으로써 밀폐하는 마개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마개를 제거하고 펜 본체(41)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잉크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어떠한 경우에서건 카트리지(45)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분리형 마개(48)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드 잉크 펜은 펜심(59)을 유지하는 펜심 유지부(52)와, 상기 펜심 유지부(52)와 결합된 중공 원통형인 펜 본체(51)와, 상기 펜 본체(51)내에 설치되는 스크류(62) 및, 상기 스크류(62)에 의해서 전후진되는 중간 밀폐부(63)와, 상기 펜 본체(51)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마개(58)를 구비한다. 상기 펜심 유지부(52)의 내측에는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탄성 흡수체(23), 밸브 시트(24), 밸브(25), 스프링(26) 및, 밸브 하우징(27)들이 내장되며, 동일한 메카니즘을 통해서 잉크를 펜심(59)에 공급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류(62) 및, 중간 밀폐부(63)는 중공 원통형인 펜 본체(51)의 내부에 충전된 잉크를 펜심(59)을 향해서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된 잉크는 일부가 고갈되더라도 항상 펜심(59)과 중간 밀폐부(63) 사이에 충전된 상태로 되며, 중간 밀폐부(63)와 분리형 마개(58) 사이에는 잉크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잉크가 펜심(59)과 중간 밀폐부(63) 사이에 항상 존재하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탄성 흡수체(23)의 잉크가 고갈되면 사용자는 펜심(29)을 눌러서 밸브(25)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이때 펜심(29)이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펜심(29)을 눌러야만 한다. 이는 물론 잉크가 중력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정체하기 때문이다. 펜 본체(51)내에 잉크가 일부 고갈된 상태에서 펜심(29)을 아래로 향하게 두고 펜심(29)을 누르면 탄성 흡수체(23)에 잉크가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잉크가 밸브(25)와 분리형 마개(28)사이에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인 경우에는 펜심(29)을 위로 향하게 하고 펜심(29)을 누르더라도 잉크가 탄성 흡수체(23)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도 5 에 도시된 중간 밀폐부(63)를 제공함으로써, 펜 본체(51)의 위치에 무관하게 잉크를 항상 펜심(59)과 중간 밀폐부(63) 사이에 정체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 에 도시된 중간 밀폐부(63)는 스크류(62)의 회전에 의해서 전후진 할 수 있다. 스크류(62)의 전방에는 베어링(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원통형 펜 본체(5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스크류(6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1)은 펜 본체(51)의 내측 직경에 대응하는 원형 고리 및, 상기 원형 고리에 스크류(62)를 연결하는 스포크(spoke)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밀폐부(63)는 스크류(62)에 나사 결합되며, 일 측에 회전 방지용 돌기(63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용 돌기(63a)는 펜 본체(51)의 내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대응하는 홈에 삽입됨으로써, 스크류(63)가 회전할때 중간 밀폐부(63)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중간 밀폐부(63)는 회전되지 않고, 펜 본체(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후진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부(64)는 분리형 마개(58)에 결합된다. 회전부(64)는 분리형 마개(58)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64a)는 분리형 마개(58)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서 분리형 마개(58)의 외부로 돌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64a)를 돌려서 스크류(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교반용 볼(65)이 펜 본체(51)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보드 잉크 펜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간 밀폐부(63)가 결합된 스크류(62)를 펜 본체(51)로부터 분리시키고, 펜 본체(51)의 내측에 잉크를 충전시킨다. 다음에 중간 밀폐부(63)를 회전부(64)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스크류(62)를 결합시킨다. 스크류(62)의 결합은 분리형 마개(58)를 나선부(51a)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드 잉크 펜의 사용중에 잉크가 일부 고갈되면, 사용자는 회전부(64)를 회전시킴으로써 중간 밀폐부(63)를 펜심(59)을 향해 전진시킨다. 중간 밀폐부(63)를 전진시켜서 잉크가 밸브(25, 도 2)에 근접하여 정체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펜본체(51)를 어떠한 방향으로 배치하던간에 상관 없이 펜심(59)을 누르면 탄성 흡수체(23)에 잉크가 공급될 수 있다. 즉, 밸브(25)가 개방될때 잉크의 일부가 탄성 흡수체(23)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다. 잉크의 고갈에 따라서 회전부(64)를 회전시켜서 중간 밀폐부(63)를 전진시킨다. 이와 같은 중간 밀폐부(63)의 작용은 특히 수직으로 세워진 화이트 보드에 대한 필기 작용이 이루어질 경우에, 보드 잉크 펜의 펜심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도 펜심을 누르기만 하면 연속적인 필기 작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보드 잉크 펜은 잉크를 반복적으로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드 잉크 펜을 폐기시키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펜심과;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및,
    상기 펜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
  2. 펜심과;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상기 펜 본체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잉크 충전용 카트리지; 및,
    상기 펜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본체내에 설치된 상기 카트리지 개봉용 절단날을 더 구비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보드 잉크 펜.
  4. 펜심과;
    상기 펜심이 삽입되는 펜심 유지부, 상기 펜심 유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중공형 탄성 흡수체, 상기 펜심 유지부내에 안착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를 밀폐가능 하며 전방 로드 및, 후방 로드를 구비하는 밸브, 상기 후방 로드가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잉크 통과용 통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펜심 홀더;
    상기 펜심 유지부에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펜 본체;
    상기 펜 본체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 단에 베어링이 형성되고 타단에 회전부가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중간 밀폐부;
    상기 스크류의 회전부가 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펜 본체의 일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는 분리형 마개;를 구비하는 보드 잉크 펜.
KR2020020007420U 2002-03-13 2002-03-13 보드 잉크 펜 KR200280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20U KR200280149Y1 (ko) 2002-03-13 2002-03-13 보드 잉크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20U KR200280149Y1 (ko) 2002-03-13 2002-03-13 보드 잉크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149Y1 true KR200280149Y1 (ko) 2002-07-02

Family

ID=7311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20U KR200280149Y1 (ko) 2002-03-13 2002-03-13 보드 잉크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1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047B1 (ko) * 2002-10-07 2005-09-13 (주)네오겟 잉크펜 구조
KR100916381B1 (ko) 2009-04-09 2009-09-07 박병오 마커펜
KR100987813B1 (ko) 2009-07-31 2010-10-13 남상인 잉크충진식 마커펜
KR101688780B1 (ko) * 2016-08-17 2016-12-22 주식회사 디맥스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용 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047B1 (ko) * 2002-10-07 2005-09-13 (주)네오겟 잉크펜 구조
KR100916381B1 (ko) 2009-04-09 2009-09-07 박병오 마커펜
WO2010117231A2 (ko) * 2009-04-09 2010-10-14 Park Byung Oh 마커펜
WO2010117231A3 (ko) * 2009-04-09 2011-03-10 Park Byung Oh 마커펜
KR100987813B1 (ko) 2009-07-31 2010-10-13 남상인 잉크충진식 마커펜
KR101688780B1 (ko) * 2016-08-17 2016-12-22 주식회사 디맥스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용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620B2 (en) Fluid applicator instrument
KR100916381B1 (ko) 마커펜
KR200280149Y1 (ko) 보드 잉크 펜
CN107028328B (zh) 液状化妆品容器
US6152634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sanitary moistener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US5938359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sanitary moistener
JP2008516791A (ja) S字型液体筆記道具
KR100659785B1 (ko) 액체성 에스자형필기도구
US20120003026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movable Cartridge of Writing Material
KR101272842B1 (ko) 양 단 닙을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101108351B1 (ko) 펜촉에 잉크를 공급시키는 수동잉크펌핑기
KR950001698B1 (ko) 필기구
JP2595418Y2 (ja) 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補充容器
JP2001080278A (ja) 塗布具
KR100765992B1 (ko) 마킹펜
JP2548496Y2 (ja) 筆記具用尾栓
KR200300746Y1 (ko) 잉크펜 구조
KR200172478Y1 (ko) 샤프펜의 다용도 지우개
KR200324341Y1 (ko) 잉크의 누설을 방지하는 액상분필
KR100507047B1 (ko) 잉크펜 구조
KR101057862B1 (ko) 잉크의 이중 수용구조를 구비한 마커 펜
KR200259206Y1 (ko) 필기구용 카트리지
KR100573251B1 (ko) 기밀장치를 내장한 필기구
JPS61121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