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813B1 - 잉크충진식 마커펜 - Google Patents

잉크충진식 마커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813B1
KR100987813B1 KR1020090070827A KR20090070827A KR100987813B1 KR 100987813 B1 KR100987813 B1 KR 100987813B1 KR 1020090070827 A KR1020090070827 A KR 1020090070827A KR 20090070827 A KR20090070827 A KR 20090070827A KR 100987813 B1 KR100987813 B1 KR 100987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ip
case
marker pe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인
Original Assignee
남상인
주식회사 서진비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인, 주식회사 서진비티이 filed Critical 남상인
Priority to KR102009007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12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용 닙을 아래 방향 몸체의 아랫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신속하게 적당량의 잉크만이 닙으로 충전되어 빠르게 마커펜을 사용할 수 있는 잉크충진식 마커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전단에 필기용 닙이 삽입되는 전면케이스와; 전단이 전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잉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잉크카트리지가 형성되는 후면케이스와; 내부에 잉크밀어넣기볼이 내장되고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조절공간을 구비하며 후면케이스의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를 필기용 닙으로 제공하는 연결부재;를 포함되며; 상기 잉크조절공간의 내측전단은 잉크밀어넣기볼이 이동되면서 내부의 잉크가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근접한 크기를 갖는 잉크주입부와, 내측후단은 잉크밀어넣기볼이 이동되면서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잉크공급부와, 내측중앙에 잉크주입부 또는 잉크공급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잉크밀어넣기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잉크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방에 필기용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면케이스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는 잉크공급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전단은 연결부재의 잉크공급돌기가 삽입되며, 후단은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마개에 의해 밀봉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커펜, 닙, 잉크밀어넣기볼, 잉크조절공간, 잉크카트리지

Description

잉크충진식 마커펜{INK FILLING MARKER PEN}
본 발명은 필기용 닙을 아래 방향 몸체의 아랫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신속하게 적당량의 잉크만이 닙으로 충전되어 빠르게 마커펜을 사용할 수 있는 잉크충진식 마커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커펜은 내부에 잉크가 충진되고 그 말단에 필기용 닙(이하, '닙'이라 한다.)과 이를 감싸는 몸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커펜은 몸체 내부에 잉크가 수용될 수 있는 관이 형성되어 잉크를 직접 전방의 닙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커펜은 몸체 내부에 담겨진 잉크가 모두 소모될 경우 그냥 버리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의 후면에 착탈 가능한 마개를 설치하여 잉크가 소모된 경우에 몸체 내부에 잉크를 충진시키거나 별개의 교환용 잉크카트리지를 새것으로 교환하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커펜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마커펜의 경우 칠판에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닙이 몸체보다 상부로 올려지기 때문에 닙과 내장된 잉크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닙에 묻어 있는 잉크만을 사용하게 되어 잉크가 쉽게 소모되고, 잉크를 닙에 다시 묻히기 위하여 닙을 몸체보다 아래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닙에 잉크가 스며들 때까지 기다리거나 상하로 흔들거나 펌핑(엄밀히 관찰해보면 펌핑이 아니고 열림과 닫힘의 반복 임)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닙의 스프링을 내장하여 닙을 저장된 잉크방향으로 이동시켜 잉크가 빨리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서는 닙을 바닥에 누르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나, 닙을 바닥에 누르는(열림상태) 시간과 온도에 따른 잉크점도변화등의 조건에따라 바닥에 잉크가 과다하게 흘러나오게 되어 손과 옷에 오염되거나 필기 내용이 엉망이 되어 청소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닙이 아래 방향으로 놓여지면 잉크가 닙을 따라 계속 흘러나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기용 닙을 아래 방향 몸체의 아랫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신속하게 적당량의 잉크만이 닙으로 충전되어 빠르게 마커펜을 사용할 수 있는 잉크충진식 마커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기용 닙을 움직이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잉크가 배어나와 빠르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잉크의 과도한 유출로 손과 옷을 오염시키거나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잉크충진식 마커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은, 전단에 필기용 닙이 삽입되는 전면케이스와; 전단이 전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잉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잉크카트리지가 형성되는 후면케이스와; 내부에 잉크밀어넣기볼이 내장되고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조절공간을 구비하며 후면케이스의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를 필기용 닙으로 제공하는 연결부재;를 포함되며;
상기 잉크조절공간의 내측전단은 잉크밀어넣기볼이 이동되면서 내부의 잉크가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근접한 크기를 갖는 잉크주입부와, 내측후단은 잉크밀어넣기볼이 이동되면서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잉크공급부와, 내측중앙에 잉크주입부 또는 잉크공급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잉크밀어넣기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잉크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방에 필기용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면케이스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는 잉크공급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전단은 연결부재의 잉크공급돌기가 삽입되며, 후단은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마개에 의해 밀봉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단에 전면케이스로 삽입된 닙을 지지하고, 후단에 연결부재의 전면부가 삽입되어 닙으로 공급되는 잉크를 흡수 저장하는 잉크흡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전방에 필기용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면케이스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는 잉크공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전단은 연결부재의 잉크공급돌기가 삽입되며, 후단은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마개에 의해 밀봉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면케이스의 전단에 부착된 닙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충진식 마커펜은 필기용 닙을 아래 방향 몸체의 아랫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적당량의 잉크만이 빠르게 닙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충진되기 때문에 마커펜을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기용 닙에 충진되는 잉크의 량을 조정할 수 있어 잉크가 닙에 과다하게 충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기용 닙을 바닥에 누르지 않고서도 잉크가 충진되기 때문에 간편하 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절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은 펜촉이 결합되는 전면케이스(20)와, 잉크가 충전되는 후면케이스(30) 및 후면케이스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펜촉으로 공급하는 연결부재(40)를 갖는다.
전면케이스(20)는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필기용 닙(10;이하, '닙'이라 한다.)이 삽입되는 안내공(21)이 형성되고, 후단은 후면케이스(30)에 결합된다.
후면케이스(30)는 내부에 외부로부터 잉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잉크카트리지(31)가 형성되고, 잉크카트리지의 전단은 관통홀(33)이 형성되어 연결부재의 잉크공급돌기(42)가 삽입되며, 후단은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마개(32)에 의해 밀봉 체결된다.
연결부재(40)는 전방에는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4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면케이스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는 잉크공급돌기(42)가 형성되며, 닙고정부(41)와 잉크공급돌기(42) 사이에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조절공간(44)이 형성된다. 잉 크조절공간(44)에서 닙고정부(41)와 잉크공급돌기(42)는 서로 관통되어 잉크조절공간에 연결되며 다량의 잉크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좁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다. 또한, 잉크조절공간(44)의 내부에는 잉크밀어넣기볼(43)이 위치된다.
잉크조절공간의 내측전단에는 잉크밀어넣기볼(43)이 이동되면서 내부의 잉크가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잉크밀어넣기볼(43)의 지름보다 근접한 지름을 갖는 잉크주입부(45)가 형성되고, 내측후단에는 잉크밀어넣기볼(43)이 이동되면서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잉크공급부(46)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잉크주입부(45) 또는 잉크공급부(46)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잉크밀어넣기볼(43)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잉크저장부(47)가 형성된다. 이때, 잉크주입부와 잉크저장부의 이동하는 경사각을 급하게 하여 기울기를 크게 하면 쉽게 잉크주입부의 구멍을 막았다 열었다 할 수 있어 과다량의 잉크 주입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잉크공급부와 잉크저장부의 이동 경사각은 완만하게 하여 잉크공급부에서의 잉크 공급과 배출을 쉽게 하여 과잉공급을 통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평상시 닙(10)이 지면을 향하도록 마케펜을 앞으로 기울이면 잉크밀어넣기볼(43)이 잉크주입부(45)쪽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주입부(45)쪽의 잉크에 압력을 가하여 닙으로 자연스럽게 주입시키고 잉크밀어넣기볼(43)이 잉크주입부(45)에 맞닿으면 저장공간의 잉크가 더 이상 닙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마커펜을 사용하기 위하여 닙(10)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부로 들면 잉크밀어넣기볼(43)은 잉크공급부(46)쪽으로 이동되면서 밀착되어 저장공간의 잉크가 잉크공급부(46)를 통해 후면케이스로 빠저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커펜을 사용하다가 잉크가 떨어지면 다시 마커펜을 앞으로 기울여 적당량의 잉크를 신속하게 보충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면케이스의 내측에는 전방과 후방이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잉크흡입부재(50)가 위치한다. 잉크흡입부재(50)의 전단에는 전면케이스의 안내공(21)으로 삽입된 닙(1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51)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연결부재(40)의 전면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잉크흡입부재는 평상시 닙(10)이 지면을 향하도록 마케펜을 앞으로 기울이면 잉크주입부쪽의 잉크가 닙으로 이동할 때 이동되는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잉크흡입부재(50)에 저장된 잉크는 마커펜이 사용될때 닙의 잉크가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닙으로 공급된다.
또한, 캡(60)은 전면케이스(20)의 전단에 부착된 닙(10)을 감싸면서 체결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서 닙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증발을 예방하고, 사용시는 간단하게 해체되어 필기가 가능토록 하는 공지의 캡(6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면케이스(20)의 내부에 잉크흡입부재(50)를 삽입하고, 잉크흡입부재의 고정홈(52)에 연결부재의 전면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닙(10)을 전면케이스의 안내공(21)과 잉크흡입부재의 지지공(51)을 따라 연결부재의 닙고정부(41)에 고정 된다. 이때, 잉크흡입부재의 내부로 연결부재의 일부만이 삽입되기 때문에 잉크흡입부재에 의해 닙(10)이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후, 연결부재의 잉크공급돌기(42)가 후면케이스의 잉크카트리지(31)에 삽입시키면서 전면케이스(20)와 후면케이스(3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는 숫나사와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면케이스와 연결부재 및 후면케이스의 한편, 후면케이스가 일체로 결합되면 후면케이스의 마개(32)를 열고 마커펜용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에 충전시키고 다시 마개(32)를 닫는다.
마커펜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사용중 잉크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 마케펜을 앞으로 기울이면 연결부재의 잉크조절공간(44)에서 잉크밀어넣기볼(43)이 잉크주입부(45)쪽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주입부(45)쪽에 위치하는 잉크에 압력을 가하여 잉크를 닙(10)으로 자연스럽게 주입되고 잉크밀어넣기볼(43)이 잉크주입부(45)에 맞닿으면 잉크저장부(47)의 잉크가 더 이상 닙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때, 닙으로 공급되는 잉크를 닙을 감싸는 잉크흡입부재로 함께 공급되면서 저장되어 잉크가 닙으로 계속 공급됨으로써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커펜을 사용하기 위하여 닙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들어올리면 연결부재의 잉크조절공간(44)에서 잉크밀어넣기볼(43)이 잉크공급부(46)쪽으로 이동되면서 밀착되어 잉크저장부(47)의 잉크가 잉크공급부(46)를 통해 후면케이스로 빠저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커펜의 닙과 잉크흡입부재에 저장된 잉크가 소진될때까지 마카펜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커펜의 잉크가 떨어지면 다시 마커펜을 앞으로 기울여 잉크조절공간 내에 남아 있는 잉크를 다시 잉크공급부쪽으로 바로 이동시켜 적당량의 잉크를 신속하게 보충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절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충진식 마커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기용 닙 20 : 전면케이스
30 : 후면케이스 32 : 마개
40 : 연결부재 41 : 닙고정부
42 : 잉크공급돌기 44 : 잉크조절공간
43 : 잉크밀어넣기볼 45 : 잉크주입부
46 : 잉크공급부 47 : 잉크저장부
50 : 잉크흡입부재 60 : 캡

Claims (5)

  1. 전단에 필기용 닙이 삽입되는 전면케이스와; 전단이 전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잉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잉크카트리지가 형성되는 후면케이스와; 내부에 잉크밀어넣기볼이 내장되고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조절공간을 구비하며 후면케이스의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를 필기용 닙으로 제공하는 연결부재;를 포함되며;
    상기 잉크조절공간의 내측전단은 잉크밀어넣기볼이 이동되면서 내부의 잉크가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근접한 크기를 갖는 잉크주입부와, 내측후단은 잉크밀어넣기볼이 이동되면서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잉크공급부와, 내측중앙에 잉크주입부 또는 잉크공급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잉크밀어넣기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잉크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방에 필기용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면케이스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는 잉크공급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전단은 연결부재의 잉크공급돌기가 삽입되며, 후단은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마개에 의해 밀봉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충진식 마커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70827A 2009-07-31 2009-07-31 잉크충진식 마커펜 KR10098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27A KR100987813B1 (ko) 2009-07-31 2009-07-31 잉크충진식 마커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27A KR100987813B1 (ko) 2009-07-31 2009-07-31 잉크충진식 마커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170A Division KR101277640B1 (ko) 2009-12-14 2009-12-14 잉크충진식 마커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813B1 true KR100987813B1 (ko) 2010-10-13

Family

ID=4313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827A KR100987813B1 (ko) 2009-07-31 2009-07-31 잉크충진식 마커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8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631B1 (ko) * 2010-12-31 2012-11-29 서상일 펜 중간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잉크펜
KR101969491B1 (ko) 2017-11-28 2019-05-16 주식회사 베스트라 잉크펜
KR101969492B1 (ko) 2018-01-29 2019-05-16 주식회사 베스트라 지속적 잉크배출이 가능한 잉크펜
KR20210136285A (ko) 2020-05-07 2021-11-17 곽노찬 필기용 마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40U (ko) * 1999-06-02 1999-09-06 이철규 오래쓰고쉽게마르지않는마커펜의구조
KR200270390Y1 (ko) * 2001-11-08 2002-04-03 김명숙 도포가 용이한 칼라펜
KR200280149Y1 (ko) 2002-03-13 2002-07-02 소유민 보드 잉크 펜
KR200430891Y1 (ko) * 2006-08-11 2006-11-13 노만우 잉크 절약형 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40U (ko) * 1999-06-02 1999-09-06 이철규 오래쓰고쉽게마르지않는마커펜의구조
KR200270390Y1 (ko) * 2001-11-08 2002-04-03 김명숙 도포가 용이한 칼라펜
KR200280149Y1 (ko) 2002-03-13 2002-07-02 소유민 보드 잉크 펜
KR200430891Y1 (ko) * 2006-08-11 2006-11-13 노만우 잉크 절약형 필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631B1 (ko) * 2010-12-31 2012-11-29 서상일 펜 중간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잉크펜
KR101969491B1 (ko) 2017-11-28 2019-05-16 주식회사 베스트라 잉크펜
KR101969492B1 (ko) 2018-01-29 2019-05-16 주식회사 베스트라 지속적 잉크배출이 가능한 잉크펜
KR20210136285A (ko) 2020-05-07 2021-11-17 곽노찬 필기용 마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171B2 (en)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0987813B1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KR101277640B1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JPH07195703A (ja) インク再充填器及びインク再充填方法
FI102523B (fi) Uudelleentäytettävä nestekirjoituskynä ja yhdistelmä, johon kuuluu uud elleentäytettävä nestekirjoituskynä sekä täyttösäiliö
JP5859164B1 (ja) 塗布具
BRPI0409573A (pt) estação de armazenamento e recarga de tinta para um cartucho de uma cabeça impressora
KR101958956B1 (ko)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JP3111130U (ja) 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インク補給器
KR101471432B1 (ko) 누름 충전식 마커펜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JP5975421B2 (ja) 反転式印判
JP6124200B2 (ja) インキ自給式印判
JP2013256031A (ja) 反転式印判
KR101052236B1 (ko) 잉크 사용 필기구의 잉크 충전 장치
JP5933793B1 (ja) 塗布具
JP2010531750A (ja) 筆記、マーキング、および/または描画をする器具
KR101706669B1 (ko) 필기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마커펜
KR101804552B1 (ko) 잉크 흘림방지 펜
JP6027853B2 (ja) 筆記具
KR101246662B1 (ko) 구부러진 액상분필
JP2007331326A (ja) ローラー式塗布具
KR101438181B1 (ko) 매니큐어 도포장치
JP2023183085A (ja) 筆記具用インキカートリッジ
JP6012002B2 (ja) インキ自給式印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