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432B1 - 누름 충전식 마커펜 - Google Patents

누름 충전식 마커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432B1
KR101471432B1 KR20130127768A KR20130127768A KR101471432B1 KR 101471432 B1 KR101471432 B1 KR 101471432B1 KR 20130127768 A KR20130127768 A KR 20130127768A KR 20130127768 A KR20130127768 A KR 20130127768A KR 101471432 B1 KR101471432 B1 KR 10147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ip
inflow
marker pen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2013012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12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후방에 형성된 누름부를 눌러 간단하게 몸체에 저장된 잉크가 필기용 닙으로 충전되어 빠르게 마커펜을 사용할 수 있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고 전단에 필기용 닙이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가 내장되며 전단에 전면커버가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 내부의 전면에서 내부로 위치하고, 외측면에는 잉크가 유입되는 제1유입홈이 형성된 잉크유입부와; 상기 잉크유입부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전방 외측면에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와, 중앙 내부에 닙고정부에 연결되면서 잉크가 저장되는 중공부와, 후방 외측면에 삽입홈과, 내부의 중공부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2유입홈이 형성된 잉크저장부와; 전면커버와 잉크저장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막음부와; 일단이 잉크저장부의 삽입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막음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누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름 충전식 마커펜{INK FILLING MARKER PEN}
본 발명은 몸체 후방에 형성된 누름부를 눌러 간단하게 몸체에 저장된 잉크가 필기용 닙으로 충전되어 빠르게 마커펜을 사용할 수 있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커펜은 내부에 잉크가 충진되고 그 말단에 필기용 닙(이하, '닙'이라 한다.)과 이를 감싸는 몸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커펜은 몸체 내부에 잉크가 수용될 수 있는 관이 형성되어 잉크를 직접 전방의 닙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커펜은 몸체 내부에 담겨진 잉크가 모두 소모될 경우 그냥 버리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의 후면에 착탈 가능한 마개를 설치하여 잉크가 소모된 경우에 몸체 내부에 잉크를 충진시키거나 별개의 교환용 잉크카트리지를 새것으로 교환하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커펜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마커펜의 경우 칠판에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닙이 몸체보다 상부로 올려지기 때문에 닙과 내장된 잉크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닙에 묻어 있는 잉크만을 사용하게 되어 잉크가 쉽게 소모되고, 잉크를 닙에 다시 묻히기 위하여 닙을 몸체보다 아래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닙에 잉크가 스며들 때까지 기다리거나 상하로 흔들거나 펌핑(엄밀히 관찰해보면 펌핑이 아니고 열림과 닫힘의 반복 임)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닙의 스프링을 내장하여 닙을 저장된 잉크방향으로 이동시켜 잉크가 빨리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서는 닙을 바닥에 누르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나, 닙을 바닥에 누르는(열림상태) 시간과 온도에 따른 잉크점도변화등의 조건에따라 바닥에 잉크가 과다하게 흘러나오게 되어 손과 옷에 오염되거나 필기 내용이 엉망이 되어 청소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닙이 아래 방향으로 놓여지면 잉크가 닙을 따라 계속 흘러나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 후방에 형성된 누름부를 눌러 간단하게 몸체에 저장된 잉크가 필기용 닙으로 충전되어 빠르게 마커펜을 사용할 수 있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누름부가 눌리는 시간을 사용자가 조절하여 필기용 닙에 공급되는 잉크의 양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충전식 마커펜은,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고 전단에 필기용 닙이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가 내장되며 전단에 전면커버가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 내부의 전면에서 내부로 위치하고, 외측면에는 잉크가 유입되는 제1유입홈이 형성된 잉크유입부와; 상기 잉크유입부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전방 외측면에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와, 중앙 내부에 닙고정부에 연결되면서 잉크가 저장되는 중공부와, 후방 외측면에 삽입홈과, 내부의 중공부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2유입홈이 형성된 잉크저장부와; 전면커버와 잉크저장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막음부와; 일단이 잉크저장부의 삽입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막음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누름봉;을 포함하고, 제1유입홈은 제2유입홈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막음부의 관통홀에는 밀봉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커버와 잉크저장부 사이에서 닙을 감싸는 잉크흡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막음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에 누름봉을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슬라이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누름 충전식 마커펜은 누름부를 눌러 간단하게 몸체에 저장된 잉크가 필기용 닙으로 충전되기 때문에 마커펜을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기용 닙에 충진되는 잉크의 량을 조정할 수 있어 잉크가 닙에 과다하게 충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충전식 마커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충전식 마커펜의 잉크 충진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충전식 마커펜의 평상시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충전식 마커펜은 필기용 닙(10;이하, '닙'이라 한다.)이 결합되는 전면커버(10)와, 잉크가 충전되는 몸체(20)와, 몸체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펜촉으로 공급하는 잉크유입부(30)와 잉크저장부(40)와, 몸체 내부의 잉크를 잉크저장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라이딩커버(60)와 누름부(70)를 구비한다.
전면커버(10)는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필기용 닙(1)이 삽입되는 안내공(21)이 형성되고, 후단은 몸체(20)에 결합된다. 전면커버(10)는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다단 또는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20)는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어 있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가 내장되며 전단에 전면커버(10)가 결합되고, 후단에 막음부(50)가 결합된다. 이때, 막음부(50)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관통하는 관통홀(51)이 형성되고, 관통홀(51) 주위에 밀봉링(52)이 위치한다.
잉크유입부(30)는 전면과 후면이 관통된 형상으로 몸체의 내측의 전방에서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잉크유입부(30)의 전방은 몸체의 외측전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 내부의 위치하는 외측면에는 몸체 내의 저장된 잉크가 유입되는 다수의 제1유입홈(31)이 형성된다.
잉크저장부(40)는 전면과 후면이 관통된 형상으로 잉크유입부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전단은 잉크유입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단이 잉크유입부(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저장부(40)의 전단이 잉크유입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전단과 후단은 단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잉크저장부(40)는 전방에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41)가 형성되고, 중앙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중공부(42)가 형성되며, 후방에는 삽입홈(43)이 형성된다. 닙고정부(41)의 후단과 중공부(42)의 전단은 이어져서 중공부의 잉크가 닙고정부(41)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의 외측면은 잉크유입부의 제1유입홈(31)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2유입홈(44)이 형성된다. 이때, 제1유입홈(31)은 제2유입홈(44)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면커버(10)와 잉크저장부(40) 사이에는 잉크저장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부(23)와 닙을 감싸면서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잉크흡입부재(22)가 위치하고, 잉크저장부의 삽입홈(43)에는 막음부의 관통홀(51)을 관통하여 연장된 누름봉(45)이 형성된다. 막음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누름봉(45)이 상하 이동할 때 몸체 내부의 잉크가 막음부(50)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링(52)이 설치되다.
한편, 슬라이딩커버(60)는 막음부(50)의 후면에 위치하며 몸체에 결합되는 전방과 슬라이딩홀(61)이 형성된 후면 및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공간에는 막음부(50)를 관통한 누름봉(45)의 끝단이 위치하고, 하단이 누름봉(45)의 끝단에 결합되면서 타단이 슬라이딩홀(61)을 관통하여 연장된 누름부(70)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누름부(70)를 누르면 누름부에 연결된 누름봉(45)이 전진하면서 누름봉이 결합된 잉크저장부(40)도 전면커버(10)쪽으로 전진한다. 이때, 잉크저장부(40)의 외측면이 잉크유입부(30)의 내측면을 따라 전면커버(10)쪽으로 전진되면서 잉크유입부의 제1유입홈(31)과 잉크저장부의 제2유입홈(44)이 일치되어 잉크유입부의 외부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저장부의 중공부(42)로 유입된다. 그리고, 누름부(70)를 누르지 않으면 전면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부(23)가 잉크저장부(40)를 밀어 잉크유입부의 제1유입홈(31)과 잉크저장부의 제2유입홈(44)이 서로 이격되어 잉크저장부의 외측에 저장된 잉크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캡(80)은 전면커버(10)의 전단에 부착된 닙(1)을 감싸면서 체결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서 닙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증발을 예방하고, 사용시는 간단하게 해체되어 필기가 가능토록 하는 공지의 캡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충전식 마커펜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의 전방에 잉크유입부와 잉크저장부를 각각 장착한 후 잉크흡입부재(22)와 탄성부재가 삽입된 전면커버(10)와 결합시킨다. 닙(10)은 전면커버의 안내공(21)을 관통하여 잉크저장부의 닙고정부(41)에 고정된다. 그 후 몸체의 후방을 통해 잉크를 삽입하고 막음부(50)와 슬라이커버(60)를 닫는다. 몸체 내부로 유입된 잉크는 전면의 잉크유입부과 후면의 막음부 사이에 저장된다.
마커펜을 사용하는 중에 잉크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 누름부(70)를 누르면 누름부(70)에 연결된 누름봉(45)이 전진하면서 누름봉(45)이 결합된 잉크저장부(40)도 전면커버(10)쪽으로 전진한다. 이때, 잉크유입부의 제1유입홈(31)과 잉크저장부의 제2유입홈(44)이 일치되면서 잉크유입부(30)외부의 잉크가 잉크저장부(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잉크저장부(40)로 유입된 잉크는 닙으로 이동하여 닙(1)을 적시고 잔여 잉크는 잉크흡입부재(22)에서 흡수된다. 잉크흡입부재(22)에 저장된 잉크는 마커펜이 사용될때 닙의 잉크가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닙으로 공급된다.
한편 누름부을 누르지 않으면 전면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부(23)가 잉크저장부(40)를 밀어 잉크유입부의 제1유입홈(31)과 잉크저장부의 제2유입홈(44)이 서로 이격되어 잉크저장부의 외측에 저장된 잉크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으며, 누름봉이 후진하면서 누름부도 슬라이딩커버(60)의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상부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된다.
따라서, 마커펜의 닙(1)과 잉크흡입부재(22)에 저장된 잉크가 소진될때까지 마카펜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커펜의 잉크가 떨어지면 누름부(70)를 눌러 다시 잉크를 다시 잉크저장부(40)쪽으로 바로 이동시켜 적당량의 잉크를 신속하게 보충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필기용 닙 10 : 전면커버
20 : 몸체 22 : 잉크흡입부재
23 : 탄성부 30 : 잉크유입부
31 : 제1유입홈 40 : 잉크저장부
41 : 닙고정부 42 : 중공부
43 : 삽입홈 44 : 제2유입홈
45 : 누름봉 50 : 막음부
60 : 슬라이딩커버 70 : 누름부
80 : 캡

Claims (5)

  1.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고 전단에 필기용 닙이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잉크가 내장되며 전단에 전면커버가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 내부의 전면에서 내부로 위치하고, 외측면에는 잉크가 유입되는 제1유입홈이 형성된 잉크유입부와;
    상기 잉크유입부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전방 외측면에 닙이 고정되는 닙고정부와, 중앙 내부에 닙고정부에 연결되면서 잉크가 저장되는 중공부와, 후방 외측면에 삽입홈과, 내부의 중공부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2유입홈이 형성된 잉크저장부와;
    전면커버와 잉크저장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막음부와;
    일단이 잉크저장부의 삽입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막음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누름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입홈은 제2유입홈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의 관통홀에는 밀봉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잉크저장부 사이에서 닙을 감싸는 잉크흡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에 누름봉을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슬라이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충전식 마커펜.
  5. 삭제
KR20130127768A 2013-10-25 2013-10-25 누름 충전식 마커펜 KR10147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768A KR101471432B1 (ko) 2013-10-25 2013-10-25 누름 충전식 마커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768A KR101471432B1 (ko) 2013-10-25 2013-10-25 누름 충전식 마커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432B1 true KR101471432B1 (ko) 2014-12-15

Family

ID=5267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768A KR101471432B1 (ko) 2013-10-25 2013-10-25 누름 충전식 마커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97B1 (ko) * 2015-01-06 2016-02-12 주식회사 탑아이오티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KR200482575Y1 (ko) 2015-11-20 2017-02-09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마커펜
KR101706669B1 (ko) * 2015-12-22 2017-02-14 주식회사 탑아이오티 필기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마커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305Y1 (ko) * 1999-11-11 2000-04-15 김명언 칠판용 필기구
KR100916381B1 (ko) * 2009-04-09 2009-09-07 박병오 마커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305Y1 (ko) * 1999-11-11 2000-04-15 김명언 칠판용 필기구
KR100916381B1 (ko) * 2009-04-09 2009-09-07 박병오 마커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97B1 (ko) * 2015-01-06 2016-02-12 주식회사 탑아이오티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KR200482575Y1 (ko) 2015-11-20 2017-02-09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마커펜
KR101706669B1 (ko) * 2015-12-22 2017-02-14 주식회사 탑아이오티 필기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마커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7709A1 (en)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1471432B1 (ko) 누름 충전식 마커펜
KR100916381B1 (ko) 마커펜
KR100987813B1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KR101277640B1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WO2017026176A1 (ja) 塗布具
US6406205B1 (en) Pen having a constant ink supplying device
JP2016078326A (ja) インク充填具
JP5998163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6027853B2 (ja) 筆記具
KR101706669B1 (ko) 필기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마커펜
KR100854649B1 (ko) 필기 보드용 잉크펜
KR101969491B1 (ko) 잉크펜
KR101969492B1 (ko) 지속적 잉크배출이 가능한 잉크펜
KR101653327B1 (ko)
JP2001080269A (ja) 塗布具
JP6042005B1 (ja)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04099B1 (ko)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JP6423555B1 (ja) 直液式筆ペン
KR101150536B1 (ko) 보드마카
KR200479314Y1 (ko) 샤프
KR200184055Y1 (ko)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KR101133975B1 (ko) 잉크리본 카트리지용 잉크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