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14Y1 - 샤프 - Google Patents

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14Y1
KR200479314Y1 KR2020140006518U KR20140006518U KR200479314Y1 KR 200479314 Y1 KR200479314 Y1 KR 200479314Y1 KR 2020140006518 U KR2020140006518 U KR 2020140006518U KR 20140006518 U KR20140006518 U KR 20140006518U KR 200479314 Y1 KR200479314 Y1 KR 200479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im
discharge
shar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모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모나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모나미
Priority to KR2020140006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의 후단에 배출제한 심보충구를 형성하여서 샤프 뚜껑을 열지 않고도 샤프심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의 후단에 배출제한 심보충구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심저장부의 후단에 배출제한 심보충구를 구비함으로써 필심의 보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심저장부에 저장된 필심의 배출은 제한되어 심저장부의 필심 보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샤프{Sharp}
본 고안은 샤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의 후단에 배출제한 심보충구를 형성하여서 샤프 뚜껑을 열지 않고도 샤프심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프는 선재로 성형된 심을 수납하였다가 필기구 선단으로 일정 길이씩 배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샤프는 종래의 연필과 같이 매번 연필 깍지 않고도 연필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샤프는 후단이 심수납공간이 형성된 심저장부와 상기 심저장부를 수용하는 샤프몸체 및 상기 샤프몸체의 전단에 결합되어 심공급구에서 공급되는 심이 사용가능하게 돌출되는 선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심저장부의 후단에는 저장된 심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샤프뚜껑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샤프는 심저장부에 일정 수량의 심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심저장부에 저장된 심이 모두 사용되게 되면, 샤프뚜껑을 열고 심을 심저장부에 보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샤프는 심의 공급을 위하여 샤프뚜껑을 열고 공급하여야 함으로 필심의 보충이 용이하지 않고, 샤프뚜껑의 분실시 저장된 필심이 심저장부에서 쏟아져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5310호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샤프는 심의 공급을 위하여 샤프뚜껑을 열고 공급하여야 함으로 필심의 보충이 용이하지 않고, 샤프뚜껑의 분실시 저장된 필심이 심저장부에서 쏟아져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의 후단에 배출제한 심보충구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심저장부의 후단에 배출제한 심보충구를 구비함으로써 필심의 보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심저장부에 저장된 필심의 배출은 제한되어 심저장부의 필심 보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상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 상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필심 보충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필심 배출 제한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결합 상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에 필심을 용이하게 보충하고 심저장부에 보관된 필심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심수납공간이 형성된 심저장부(120)와 상기 심저장부(120)를 수용하는 샤프몸체(110) 및 상기 샤프몸체(110)의 전단에 결합되어 심공급구(130)에서 공급되는 심이 사용가능하게 돌출되는 선축(140)으로 구성된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120)의 후단측에 결합되어 필심이 보충이 용이하게 원뿔홈으로 가이드하고 심저장부(120)에 저장된 필심의 배출이 제한되게 웝뿔돌기를 형성한 배출제한 심보충구(10)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는 봉상으로 형성된 보충구몸체(11) 중앙에 관통형성된 심공급관로(12)와 보충구몸체(11)의 심저장부(120) 결합부 측인 내측에 심저장부(120)에 저장된 필심을 심공급관로(12)의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원뿔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심배출제한부(13), 보충구몸체(11)의 외측에 필심의 보충시 심공급관로(12)로 모아 유도할 수 있게 원뿔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심보충유도홈(14) 및 상기 심배출제한부(13)와 심공급관로(12) 사이에는 심저장부(120)로 보충된 심이 걸리지 않게 심배출제한부(13)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면상으로 형성한 걸림방지면(15)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방지면(15)의 폭은 공급되는 필심의 굵기보다 작은 굵기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는 심저장부(120)와 연결캡(20)을 매개로 결합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캡(20)은 심저장부(120)와 결합되는 연결관(21)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연결관(21)의 반대 측에 배출제한 심보충구(10)를 수용하는 심보충구수용부(2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의 심배출제한부(13)의 외측에는 심공급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심수용벽(16)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120)의 후단측에 결합되어 필심이 보충이 용이하게 원뿔홈으로 가이드하고 심저장부(120)에 저장된 필심의 배출이 제한되게 웝뿔돌기를 형성한 배출제한 심보충구(10)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는 봉상으로 형성된 보충구몸체(11) 중앙에 관통형성된 심공급관로(12)와 보충구몸체(11)의 심저장부(120) 결합부 측인 내측에 심저장부(120)에 저장된 필심을 심공급관로(12)의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원뿔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심배출제한부(13), 보충구몸체(11)의 외측에 필심의 보충시 심공급관로(12)로 모아 유도할 수 있게 원뿔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심보충유도홈(14) 및 상기 심배출제한부(13)와 심공급관로(12) 사이에는 심저장부(120)로 보충된 심이 걸리지 않게 심배출제한부(13)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면상으로 형성한 걸림방지면(15)을 형성한 본 발명의 샤프에 필심의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심보충유도홈(14)으로 삽입하면, 원뿔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져 경사면으로 이루는 심보충유도홈(14)의 측벽으로 따라 심공급관로(12)로 유도되어 심저장부(120)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심저장부(120)로 공급 저장된 필심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심배출제한부(13)에 의하여 보충구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심공급관로(12)로 유도되지 못하고 경사면으로 형성된 배출제한부의 외면으로 따라 미끄러져 외부로의 배출이 제한되는 것이다.
특히, 배출제한부와 심공급관로(12) 사이에 걸림방지면(1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출제한부와 심공급관로(12) 사이에 날카로운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아 필심이 우연히 걸려 상기 심공급관로(12)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방지면(15)이 필심의 굵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필심이 배출제한부와 접할 때 경사면 측으로 미끄러져 배출이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는 심저장부(120)와 연결캡(20)을 매개로 결합되게 실시하면 배출제한부와 심공급유도홈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의 심배출제한부(13)의 외측에는 심공급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심수용벽(16)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배출제한 심보충구(10)를 심저장부(120)에 결합시 상기 심저장부(120)의 내벽과 배출제한 심보충구(10) 사이의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심배출제한부(13)에 의한 심배출제한 작업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배출제한 심보충구
11 : 보충구몸체 12 : 심공급관로
13 : 심배출제한부 14 : 심보충유도홈
15 : 걸림방지면 16 : 심수용벽
20 : 연결캡
21 : 연결관 22 : 심보충구수용부
110 : 샤프몸체 120 : 심저장부
130 : 심공급구 140 : 선축

Claims (4)

  1. 심수납공간이 형성된 심저장부(120)와 상기 심저장부(120)를 수용하는 샤프몸체(110) 및 상기 샤프몸체(110)의 전단에 결합되어 심공급구(130)에서 공급되는 심이 사용가능하게 돌출되는 선축(140)으로 구성된 샤프에 있어서;
    심저장부(120)의 후단측에 결합되어 필심이 보충이 용이하게 원뿔홈으로 가이드하고 심저장부(120)에 저장된 필심의 배출이 제한되게 웝뿔돌기를 형성한 배출제한 심보충구(10)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는 봉상으로 형성된 보충구몸체(11) 중앙에 관통형성된 심공급관로(12)와 보충구몸체(11)의 심저장부(120) 결합부 측인 내측에 심저장부(120)에 저장된 필심을 심공급관로(12)의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원뿔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심배출제한부(13), 보충구몸체(11)의 외측에 필심의 보충시 심공급관로(12)로 모아 유도할 수 있게 원뿔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심보충유도홈(14) 및 상기 심배출제한부(13)와 심공급관로(12) 사이에는 심저장부(120)로 보충된 심이 걸리지 않게 심배출제한부(13)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면상으로 형성한 걸림방지면(15)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방지면(15)의 폭은 공급되는 필심의 굵기보다 작은 굵기로 형성하고;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는 심저장부(120)와 연결캡(20)을 매개로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연결캡(20)은 심저장부(120)와 결합되는 연결관(21)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연결관(21)의 반대 측에 배출제한 심보충구(10)를 수용하는 심보충구수용부(22)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제한 심보충구(10)의 심배출제한부(13)의 외측에는 심공급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심수용벽(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6518U 2014-09-03 2014-09-03 샤프 KR200479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18U KR200479314Y1 (ko) 2014-09-03 2014-09-03 샤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18U KR200479314Y1 (ko) 2014-09-03 2014-09-03 샤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314Y1 true KR200479314Y1 (ko) 2016-01-14

Family

ID=5517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518U KR200479314Y1 (ko) 2014-09-03 2014-09-03 샤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1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189A (ja) * 1996-09-05 1998-05-19 Pioneer:Kk シャープペンシル筆記体を含む多芯筆記具
JPH10157380A (ja) * 1996-11-27 1998-06-16 Pentel Kk シャ−プペンシルの芯タンクのキャップ
KR200221761Y1 (ko) * 2000-10-24 2001-04-16 김봉현 샤프연필의 연필심 공급구조
KR100785310B1 (ko) 2007-03-21 2007-12-14 류형욱 다수의 샤프심 보관실을 가지는 샤프펜슬
KR20120004999U (ko) * 2010-12-30 2012-07-10 이지민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189A (ja) * 1996-09-05 1998-05-19 Pioneer:Kk シャープペンシル筆記体を含む多芯筆記具
JPH10157380A (ja) * 1996-11-27 1998-06-16 Pentel Kk シャ−プペンシルの芯タンクのキャップ
KR200221761Y1 (ko) * 2000-10-24 2001-04-16 김봉현 샤프연필의 연필심 공급구조
KR100785310B1 (ko) 2007-03-21 2007-12-14 류형욱 다수의 샤프심 보관실을 가지는 샤프펜슬
KR20120004999U (ko) * 2010-12-30 2012-07-10 이지민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4518B (zh) 填充墨水匣的對流填充裝置
US10709171B2 (en)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0835725B2 (en) Tattoo needle tip with capillary ink reservoir and combined device thereof
CN208774290U (zh) 墨水补充容器
JP2018008510A (ja) 液体供給機構、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18008510A5 (ko)
KR20190093573A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JP2015024852A (ja) 液体容器および液体容器セット
KR200479314Y1 (ko) 샤프
KR101958956B1 (ko)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WO2012157594A1 (ja) 塗布具
KR101533378B1 (ko)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KR20160012098A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471432B1 (ko) 누름 충전식 마커펜
CN106004065B (zh) 液体容纳体
WO2017026176A1 (ja) 塗布具
JP6069003B2 (ja) 液体塗布具
KR20110013160A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JP2022009509A (ja) 液体吐出装置
JP5806051B2 (ja) 注出キャップ
JP5794732B2 (ja) 補充具および補充具を備えた筆記具セット
JP2012135916A (ja) インク補充具及びインク補充具を有する筆記具セット
JP2016087068A (ja) 髪用塗布具
KR102199520B1 (ko) 화장품용 용기
US3006386A (en) Refill device for cartridges of ball point p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