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99U -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 Google Patents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99U
KR20120004999U KR2020100013611U KR20100013611U KR20120004999U KR 20120004999 U KR20120004999 U KR 20120004999U KR 2020100013611 U KR2020100013611 U KR 2020100013611U KR 20100013611 U KR20100013611 U KR 20100013611U KR 20120004999 U KR20120004999 U KR 20120004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p
inner cylinder
diameter
outer peripheral
periphe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이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민 filed Critical 이지민
Priority to KR2020100013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999U/ko
Publication of KR20120004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4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brought into position by gravity
    • B43K21/045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brought into position by gravity with writing-cores automatically replaced from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43K5/165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with detachable means, e.g. caps, co-operating with the wri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25Eraser or rubber material, e.g. comprising har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B43L19/0081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of the mechanical penci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프심을 넣을 때 샤프 뚜껑을 열고 닫는 번거로움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샤프는,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3),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샤프 본체의 개방된 상단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뻗어있는 돌출부(5),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상기 샤프 내부통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개방된 하단 외주부를 갖는 고깔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고깔구조의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Mechanical Pencil with Cone-shaped Structure}
본 고안은 샤프(mechanical penci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 상단의 뚜껑을 대체하는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통상의 샤프를 사용할 경우, 샤프심을 넣기 위해서는 샤프 상단의 뚜껑을 분리한 뒤 샤프심을 샤프 본체통에 넣고 뚜껑을 닫는 과정이 필요한데, 샤프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이 번거로운 경우가 종종 있다. 더욱이 샤프심을 넣다 보면 샤프심 뚜껑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데, 떨어진 샤프 뚜껑이 분실되어 버리면 샤프까지도 버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샤프심을 넣는 과정에서 샤프 뚜껑을 열고 닫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샤프 뚜껑을 분실할 염려를 줄이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샤프심을 넣을 때 샤프 뚜껑을 열고 닫는 번거로움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샤프심을 넣기 위해 샤프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뚜껑이 분실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뚜껑의 분실로 인하여 샤프를 버리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 효과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샤프 본체의 개방된 상단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뻗어있는 돌출부;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상기 샤프 내부통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개방된 하단 외주부를 갖는 고깔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고깔구조의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 및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샤프 본체의 개방된 상단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뻗어있는 돌출부;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샤프 내부통의 내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구조의 최소 내직경부가 상기 테이퍼 구조의 하부와 상기 샤프 내부통이 만나는 지점 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상기 샤프 내부통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개방된 하단 외주부를 갖는 고깔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깔구조의 샤프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샤프심을 넣을 때 샤프 뚜껑을 별도로 열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에 샤프 뚜껑을 열고 닫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샤프는 샤프 뚜껑의 필요성 자체를 제거하였으므로 샤프 뚜껑이 분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뚜껑의 분실로 인하여 샤프를 버리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 효과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샤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도면상에서의 방향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가 수직으로 위치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방', '하방', '아래쪽', 및 '위쪽' 등의 용어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서 있는 샤프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대체한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기존의 샤프와 달리 샤프심 투입구(4)에는 뚜껑이 별도로 부착되지 않고, 대신 샤프 내부통(3)의 안쪽에 고깔 형태의 구조(고깔구조)(2)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고깔구조(2)는 개방된 상단 외주부 및 하단 외주부를 가지며,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샤프심 투입구(4)가 있는 돌출부(5)를 통해 샤프심을 삽입하면 샤프심이 고깔구조(2)의 하단 외주부의 개구를 통해 샤프 내부통(3)으로 떨어지고, 고깔구조(2)의 하단 외주부의 개구가 샤프 내부통(3)의 한가운데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샤프심이 일단 샤프 내부통(3)으로 떨어지면, 샤프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있든지, 샤프의 사용을 위해 수직으로 세워져 있든지, 또는 샤프를 거꾸로 세우든지 여부에 상관없이 샤프심이 고깔구조(2)를 통하여 빠져 나가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샤프 뚜껑 없이도 샤프심을 샤프 내부통(3)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2 내지 도5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1의 샤프의 내부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로서, 샤프는 크게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및 이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 내부통(3)의 상단부로부터는 샤프 본체(6)의 개방된 상단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뻗어있는 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샤프 내부통(3)과 돌출부(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5)는 샤프심 투입구를 갖는 원기둥 형태 또는 다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샤프 내부통(3)의 안쪽 상부에는 고깔구조(2)가 부착되어 있다. 고깔구조(2)는 샤프 내부통의 상부 내측에서 상기 샤프 내부통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하단 외주부를 가진다. 고깔구조의 상단 외주부는 도면 상에서 위쪽, 즉 샤프심이 외부에서 삽입되는 투입구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하단 외주부는 이와 대향하는 쪽, 즉 도면 상에서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고깔구조의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다. 그리고, 상단 외주부는 샤프 내부통(3)의 내직경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대략 1.5mm 내지 2mm이고, 이 경우, 예컨대 샤프가 0.5mm 샤프심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대략 3개 내지 4개의 샤프심을 한꺼번에 넣을 수 있다.
고깔구조(2)는 샤프 내부통(3)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 실시예로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고깔구조(2)와 샤프 내부통(3)이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통형 구조(5)를 통해 샤프심을 삽입하여 일단 샤프심이 샤프 내부통(3)으로 떨어지면, 샤프가 어떤 형태로 놓여져 있더라도 샤프심이 샤프 밖으로 빠져 나가기가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샤프 뚜껑 없이도 샤프심을 샤프 내부통(3)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로서, 샤프가 샤프 본체(6)와 샤프 내부통(3)으로 구성되고 샤프 내부통(3)의 상단부에 돌출부(5)가 뻗어있는 구조는 도2와 동일하다. 다만 도2와 비교할 때 도3의 실시예는 고깔구조(2) 대신에 샤프 내부통(3)의 내직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 구조(7)를 가진다.
테이퍼 구조(7)는 샤프 내부통(3)의 내측에 형성되고, 샤프 내부통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샤프 내부통의 내직경이 작아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구조(7)의 최소 내직경부(71)는 테이퍼 구조(7)의 하부와 샤프 내부통(3)이 만나는 지점(73) 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샤프 내부통(3)에 들어온 샤프심이 샤프 상단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테이퍼 구조(7)는 샤프 내부통(3)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 실시예로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테이퍼 구조(7)와 샤프 내부통(3)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로서, 도3과 비교할 때 테이퍼 구조(7)가 샤프 내부통(3)의 상단부와 바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만이 다르다. 즉 돌출부(5)의 내측 표면이 테이퍼 구조(7)의 상부와 바로 이어져 있고, 구조적으로 도3 보다 비교적 단순한 형상이므로 플라스틱 성형시 보다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샤프의 상단 부분의 수직 단면도로서, 샤프는 크게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및 그 안쪽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3)으로 구성된다. 샤프 본체(6)의 상단부에는 병목 형태로 직경이 줄어들어 돌출부(5)가 있고 샤프 내부통(3)의 안쪽 상부에는 고깔구조(2)가 부착되어 있다.
도2 내지 도4와 비교할 때, 도5의 실시예는 샤프 내부통(3)의 상단부가 샤프 본체(6) 안쪽에 위치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통상적으로는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돌출부(5)가 샤프 내부통(3)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돌출부(5)를 누름으로써 샤프심이 나오는 구조인데 비해, 도5에서는 돌출부(5)가 샤프 본체(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컨대 샤프를 흔들 때마다 샤프심이 나오는 샤프이거나 샤프 본체의 아래쪽 즉 샤프심이 나오는 방향 근처에 샤프심을 나오게 하는 버튼이 장착된 샤프인 경우라면 도5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5에서의 샤프 내부통(3)의 고깔 구조(2)는 도2와 동일하고, 또한 도3 및 도4에서처럼 고깔구조 대신 테이퍼 구조(7)를 도5의 샤프 내부통(3)의 내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5의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샤프 내부통(3)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샤프 본체(6)가 샤프 내부통(3)의 역할을 같이 겸하고 있으며 이 경우 고깔구조(2) 또는 테이퍼 구조(7)는 샤프 본체(6)의 내부 둘레에 부착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고깔구조 또는 테이퍼 구조를 갖는 샤프에 다양한 변형과 추가가 가해질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5)를 원통형 구조로 할 수도 있고 삼각 기둥, 육각 기둥, 팔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5)의 상단에 기존 샤프에서처럼 뚜껑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뚜껑은 샤프 내부의 샤프심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샤프 외형의 미관을 위한 용도일 수 있고 또는 지우개와 같은 별도 부착물을 위한 용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뚜껑으로서 지우개 자체가 뚜껑 형태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여서는 안 된다.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2: 고깔구조
3: 샤프 내부통 4: 샤프심 투입구
5: 돌출부 6: 샤프 본체
7: 테이퍼 구조

Claims (6)

  1.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3);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샤프 본체의 개방된 상단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뻗어있는 돌출부(5);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상기 샤프 내부통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개방된 하단 외주부를 갖는 고깔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고깔구조의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2.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및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3);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샤프 본체의 개방된 상단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뻗어있는 돌출부(5);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 내부통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샤프 내부통의 내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조(7)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구조의 최소 내직경부(71)가 상기 테이퍼 구조의 하부와 상기 샤프 내부통이 만나는 지점(73) 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3.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상기 샤프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샤프심을 수용하는 샤프 내부통(3); 및
    상기 샤프 내부통의 내측에 상기 샤프 내부통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개방된 하단 외주부를 갖는 고깔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4. 상단부가 개방된 샤프 본체(6); 및
    상기 샤프 본체의 상부 내측에 상기 샤프 본체의 수직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며, 개방된 상단 외주부와 개방된 하단 외주부를 갖는 고깔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외주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깔구조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구조가 상기 샤프 내부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KR2020100013611U 2010-12-30 2010-12-30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KR201200049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611U KR20120004999U (ko) 2010-12-30 2010-12-30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611U KR20120004999U (ko) 2010-12-30 2010-12-30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99U true KR20120004999U (ko) 2012-07-10

Family

ID=4685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611U KR20120004999U (ko) 2010-12-30 2010-12-30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9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14Y1 (ko) * 2014-09-03 2016-01-14 주식회사모나미 샤프
KR20170089423A (ko) 2016-01-26 2017-08-03 김광석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14Y1 (ko) * 2014-09-03 2016-01-14 주식회사모나미 샤프
KR20170089423A (ko) 2016-01-26 2017-08-03 김광석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671B2 (en) Carafe
EP3135600A1 (en) Hinge cap
KR20120004999U (ko)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US7866084B1 (en) Fishing jig with easy tie eye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JP2007145352A (ja) キャップ
JP3212243U (ja) ペンケース
KR100787345B1 (ko) 성수채를 가진 성수용기
JP5162422B2 (ja) 計量キャップ
JP3205131U (ja) 転倒抑制機能を備えた容器、容器の蓋及び蓋付き容器
JP6229976B2 (ja) 錠剤容器
JP2015214348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42354Y2 (ja) 壜口の密封装置
US20180029757A1 (en) One-touch cap
CN210365039U (zh) 易穿破的饮水机水桶的桶盖和饮水机水桶
RU149264U1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JP3188446U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5180389B1 (ja) 液体収容容器
JP3224624U (ja) 容器の蓋および当該蓋付き容器
KR102075238B1 (ko) 텀블러 주머니
JP2008007135A (ja) 容器及び容器用錘
JP4565415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
JP2009051515A (ja) 耐衝撃性容器
KR20110004723U (ko) 샤프심 투입구가 스위치로 되어있는 샤프
JP3010331U (ja) 複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