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099B1 -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 Google Patents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099B1
KR101604099B1 KR1020140148056A KR20140148056A KR101604099B1 KR 101604099 B1 KR101604099 B1 KR 101604099B1 KR 1020140148056 A KR1020140148056 A KR 1020140148056A KR 20140148056 A KR20140148056 A KR 20140148056A KR 101604099 B1 KR101604099 B1 KR 10160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ner housing
body portion
open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예원
Original Assignee
장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예원 filed Critical 장예원
Priority to KR102014014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1/00Filling devices
    • B43K11/005Filling devices for refilling capillary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2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having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에 잉크의 충진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는, 내측에 잉크가 흡수되어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측면에 잉크유입홀이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잉크 충전시 상기 잉크유입홀을 개방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필기구 본체부; 및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거치되며, 상기 잉크유입홀을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재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거치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는 필기구 본체부에 구비된 잉크저장부재에 함수된 잉크가 다 소모된 경우 필기구 본체부를 거치대부에 꽂아 두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잉크저장부재에 잉크를 빠르게 재충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INK CHARGING TYPE WRITING TOOL SET}
본 발명은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에 잉크의 충진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기구는 크게 필기구 전방팁에 볼이 삽입되어 볼의 유동에 의해 잉크가 유출되는 볼형식 필기구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잉크 저장 부재(20) 내부에 잉크를 충진시켜 잉크를 소정량씩 펜 본체에 내장되는 잉크 저장 부재(20) 전방에 형성된 전방 펜촉재(30)에 공급함으로써 필기가 되는 함수식 필기구(10)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함수식 필기구(10)는 통 형상의 잉크 저장 부재(20) 내부에 필터재를 내장시킨 후, 필터재에 일정량의 잉크를 함수시켜, 함수된 잉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소정량씩 전방에 내삽된 펜촉재(30)에 전달되는 형식으로 필기가 이뤄진다.
그러나 이러한 함수식 필기구(10)에서의 잉크 저장 부재(20)의 기능은 전방 펜촉재(30)에 필기하기에 적당한 양의 잉크만을 잉크 저장 부재(20)의 필터재에 함수된 양만큼 제공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잉크 저장 부재(20)에 함수되는 잉크의 양이 제한적이므로 잉크가 모두 소모된 경우에는 필기구를 버리거나 잉크 저장 부재(20) 만을 교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필기구가 낭비되고, 버려지는 필기구나 잉크 저장 부재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052236호(등록일자: 2011.07.21)에는 잉크 사용 필기구의 잉크 충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잉크 충전 장치는 잉크 저장 용기를 통해 필기구 거치대로 잉크가 공급되고, 공급된 잉크는 필기구의 잉크 저장 부재를 통해 중력 반대 방향으로 흡수되게 되는 바, 잉크 저장 부재에 잉크가 흡수되는 속도 및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잉크 저장 용기와 필기구 거치대가 별개의 장치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구 본체부에 구비된 잉크저장부재에 함수된 잉크가 다 소모된 경우 필기구 본체부를 거치대부에 꽂아 두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잉크저장부재에 잉크를 빠르게 재충전할 수 있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리필 부재나 충전 부재를 교환할 필요없이 소모된 잉크를 재충전하는 과정을 단순화시켜 필기구의 재활용도를 높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는, 내측에 잉크가 흡수되어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측면에 잉크유입홀이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잉크 충전시 상기 잉크유입홀을 개방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필기구 본체부; 및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거치되며, 상기 잉크유입홀을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재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거치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필기구 본체부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과, 상기 제1고정홈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고정홈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잉크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고, 잉크 충전시에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부 외주연의 외경은 상부 외주연의 외경보다 작게 제공되고, 상기 필기구 본체부는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하우징 및 상기 외부하우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잉크저장부재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부는,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재에 잉크를 공급하는 거치대 몸체부; 및 상기 거치대 몸체부의 하단에 고정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 몸체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부면에 제공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기구 본체부의 하부가 삽입되고, 하단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이 지지되는 상부지지면을 갖는 상부거치부; 상기 상부거치부에서 하방으로 연통형성되되,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면을 갖는 하부거치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거치부 및 상기 하부거치부를 감싸며 제공되고, 잉크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하부거치부와 연통되는 잉크저장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하부거치부 내에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공급유로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로 개폐부는, 일단은 상기 하부거치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단의 상기 하부거치부와 인접한 일측은 상기 잉크저장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는 개폐홈과, 상기 개폐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이 하방 이동하여 접촉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상기 개폐홈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개방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는,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차단시키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거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 몸체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는 통기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는 필기구 본체부에 구비된 잉크저장부재에 함수된 잉크가 다 소모된 경우 필기구 본체부를 거치대부에 꽂아 두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잉크저장부재에 잉크를 빠르게 재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는 별도의 리필 부재나 충전 부재를 교환할 필요없이 소모된 잉크를 재충전하는 과정을 단순화시켜 필기구의 재활용도를 높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잉크 사용 필기구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에서 필기구 본체부와 거치대부의 결합전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기구 본체부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필기구 본체부에서 잉크유입홀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거치대부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필기구 본체부와 도 5의 거치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필기구 본체부와 거치대부가 결합된 상태의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에서 필기구 본체부와 거치대부의 결합전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기구 본체부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필기구 본체부에서 잉크유입홀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거치대부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필기구 본체부와 도 5의 거치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필기구 본체부와 거치대부가 결합된 상태의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100)는 필기구 본체부(1000) 및 거치대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기구 본체부(1000)는 내부하우징(1200)과 외부하우징(1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1200)은 내측에 잉크(I)가 흡수되어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재(1100)를 구비할 수 있다. 잉크저장부재(1100)의 끝단에는 별도의 펜촉재(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내부하우징(1200)의 측면에는 잉크유입홀(1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잉크유입홀(1210)은 내부하우징(1200)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1200)의 하단은 잉크저장부재(1100)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1200)의 외주연에는 제1고정홈(1220)과 제2고정홈(1230)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고정홈(1220)과 제2고정홈(1230)은 각각 2개씩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제1고정홈(1220)이 2개가 제공되는 경우, 도 3 및 도 4와 같이, 각각의 제1고정홈(1220)은 내부하우징(1200)의 외주연에서 서로 같은 높이에 상호 대향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고정홈(1230)은 제1고정홈(1220)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홈(1230)이 2개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제2고정홈(1230)은 각각의 제1고정홈(1220)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제2고정홈(1230)은 내부하우징(1200)의 외주연에서 각각의 제1고정홈(1200)보다 높은 위치에서 서로 같은 높이로 상호 대향되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2고정홈(1230)은 각각의 제1고정홈(1220)과 내부하우징(1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고정홈(1220)과 각각의 제2고정홈(1230)은 내부하우징(1200)의 외주연 일측에서 그 위치의 높이만 다를 뿐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1,2고정홈(1220,1230)은 내부하우징(1200)의 상부 외주연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부하우징(1300)은 내부하우징(1200)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처럼, 외부하우징(1300)은 잉크(I) 충전시 잉크유입홀(1210)을 개방할 수 있다. 잉크저장부재(1100)를 갖는 내부하우징(1200)의 하단은 외부하우징(1300)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연장되어 외부하우징(1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하우징(1300)의 내주연에는 적어도 1 이상의 고정돌기(13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돌기(1310)는 각각 2개씩 형성된 제1,2고정홈(1220,1230)에 대응하여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돌기(1310)가 2개가 제공되는 경우, 고정돌기(1310)는 외부하우징(1300)의 상부 내주연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돌기(1310)는 잉크(I)의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제1고정홈(12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 본체부(1000)가 잉크(I)의 충전이 필요치 않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필기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고정돌기(1310)는 각각의 제1고정홈(1220)에 각각 끼움삽입된 상태로 일측 또는 양측의 잉크유입홀(1210)을 닫고 있게 된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각각의 고정돌기(1310)는 거치대부(2000)에서 잉크(I) 충전시 내부하우징(1200)에 가해지는 외력(예: 사용자의 손에 의한 힘 등)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각각의 제2고정홈(1230)에 끼움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1310)는 잉크 충전시에 내부하우징(120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2고정홈(12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잉크유입홀(1210)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필기구 본체부(1000)는 탄성부재(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하우징(1200)의 하부 외주연의 외경은 상부 외주연의 외경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탄성부재(1400)는 내부하우징(1200)과 외부하우징(1300)의 사이에서 내부하우징(120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0)는 내부하우징(1200) 및 외부하우징(13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400)는 외부하우징(1300)이 상방으로 이동 및 내부하우징(1200)이 하방으로 이동시 수축되었다가 외부하우징(1300)과 내부하우징(1200)이 본래의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00)는 용수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대부(2000)에는 필기구 본체부(1000)가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부(2000)에는 잉크유입홀(1210)을 통해 잉크저장부재(1100)로 잉크(I)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잉크(I)가 저장될 수 있다. 거치대부(2000)는 거치대 몸체부(2100) 및 거치대 고정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 몸체부(2100)에는 필기구 본체부(100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거치대 몸체부(2100)는 잉크저장부재(1100)에 잉크(I)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몸체부(2100)는 바디부(2110), 상부거치부(2120), 하부거치부(2130), 잉크저장부(2140), 공급유로 개폐부(2150), 그리고 잉크저장부재 거치부(2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10)는 필기구 본체부(1000)가 거치시 필기구 본체부(1000)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부거치부(2120)는 바디부(2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거치부(2120)의 상부면에는 개구부(2121)가 제공될 수 있다. 필기구 본체부(1000)의 하부는 개구부(2121)를 통해 상부거치부(21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거치부(2120)의 하단에는 외부하우징(1300)의 하단이 맞닿아 지지되는 상부지지면(2122)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거치부(2130)는 상부거치부(2120)에서 하방으로 바디부(2110) 내에 연통형성될 수 있다. 하부거치부(2130)에는 내부하우징(1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내부하우징(1200)의 하부는 내부하우징(12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예: 사용자의 손에 의한 힘 등)에 의해 하부거치부(2130)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외부하우징(1300)의 하단은 상부지지면(212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1400)는 수축되면서 각각의 고정돌기(1310)가 각각의 제1고정홈((1220)에서 벗어나게 되고 외부하우징(1300)이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다가 최종적으로 각각의 고정돌기(1310)는 각각의 제2고정홈(1230)에 끼워져서 외부하우징(1300)은 상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하우징(1300)의 상방 이동이 이뤄질 때 잉크유입홀(1210)은 열릴 수 있다.
하부거치부(2130)의 하단에는 내부하우징(1200)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면(2132)을 가질 수 있다.
잉크저장부(2140)에는 잉크저장부재(1100)에 충진될 잉크(I)가 저장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2140)는 바디부(2110)의 내부에서 상부거치부(2120) 및 하부거치부(2130)를 감싸며 제공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2140)는 잉크공급유로(2141)을 통해 하부거치부(2130)와 연통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2140)는 내부하우징(1200)이 하부거치부(2130)에 거치시의 잉크유입홀(1210)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저장부(2140)의 배치는 잉크(I)의 유속을 증가시켜 잉크저장부재(1100)로의 충진이 빠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급유로 개폐부(2150)는 바디부(2110)의 내부에 적어도 1 이상 제공될 수 있다. 공급유로 개폐부(2150)는 하부거치부(2120) 내에서 내부하우징(1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에 대응되게 동작하여 잉크공급유로(2141)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급유로 개폐부(2150)는 상기한 잉크유입홀(1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부(2110) 내부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모두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유로 개폐부(2150)가 2개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공급유로 개폐부(215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그 중 어느 하나의 공급유로 개폐부(2150)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급유로 개폐부(2150)는 개폐홈(2151), 스프링(2152) 및 마개(2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홈(2151)은 바디부(2110) 내부에서 지면 혹은 바닥면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홈(2151)의 일단은 하부거치부(213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개폐홈(2151)의 타단은 막혀 있게 된다. 개폐홈(2151)의 상단에서 하부거치부(2130)와 인접한 일측은 잉크저장부(2140)와 연통될 수 있다.
스프링(2152)은 개폐홈(2151)의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개(2153)는 개폐홈(2152)의 개방측에 배치되어 스프링(2152)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개(2153)는 내부하우징(1200)이 하방 이동하여 물리적 접촉되는 경우 스프링(2152)이 수축되면서 개폐홈(2151)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153)는 상부면(2153a), 경사면(2153b) 및 돌출면(215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2153a)은 잉크공급유로(2141)를 차단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상부면(2153a)은 평상시에는 잉크(I)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잉크공급유로(2141)를 닫고 있다. 그러나 마개(2153)가 개폐홈(2151)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상부면(2153a) 역시 이동되어 잉크공급유로(2141)는 열릴 수 있다.
경사면(2153b)은 상부면(2153a)의 끝단에서 하부거치부(2130)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돌출면(2153c)은 경사면(2153b)의 끝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53b)과 돌출면(2153c)의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하우징(1200)의 하단의 경사진 형상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내부하우징(1200)을 통한 마개(2153)의 슬라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하부거치부(2130)와 인접한 잉크저장부(2140)의 최하단 및 개폐홈(2151)의 상단 일측은 평소에는 마개(2153)의 상부면(2153a)으로 닫혀 있게 되나, 상기와 같이 잉크(I)의 재충전을 위해 내부하우징(1200)이 삽입되는 경우 마개(2153)가 개폐홈(2151)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 연통되는 통로가 잉크공급유로(2141)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개(2153)가 개폐홈(2151)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잉크공급유로(2141)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상태의 잉크유입홀(1210)은 하부거치부(213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잉크공급유로(2141)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2140)는 잉크공급유로(2140)를 통해 잉크(I)를 공급하고, 공급되는 잉크(I)는 잉크유입홀(1210)을 통과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잉크저장부재(1100)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유입홀(1210)은 내부하우징(1200)의 하단 보다 일정 높이 위쪽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유입홀(1210)은 중력방향 및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잉크(I)의 충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잉크저장부재(110)로의 잉크 충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디부(2110) 내부의 화살표는 잉크(I)의 확산이 상/하부로 동시에 진행됨을 의미한다.
잉크저장부(2140)의 하부면은 잉크공급유로(214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잉크(I)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잉크저장부재 거치부(2160)는 바디부(2110)내의 하부에서 하부거치부(2130)의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재 거치부(2160)에는 잉크저장부재(1100)에 잉크(I)가 충전되는 동안 내부하우징(1200)보다 하부로 제공되는 잉크저장부재(110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대 몸체부(2100)는 바디부(2110)의 하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1 이상의 통기공(2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공(2170)은 하부거치부(2130)와 잉크저장부재 거치부(216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기공(2160)은 바디부(2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모두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통기공(2170)은 바디부(2110)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잉크저장부재(1100) 하단의 잉크(I)의 확산속도를 증가시켜 잉크저장부재(1100) 내에 잉크(I)의 충진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열역학적 평형이동에 관한 원리로 평형상태에 있는 물질계의 온도나 압력을 바꾸었을 때 그 평형상태가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설명하는 르 샤틀리에의 원리(Le Chatelier's principle)를 이용한 것이다. 이 원리는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평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운동이나 반응이 진행됨을 의미한다(Chemical equilibrium).
도 2와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거치대 고정부(2200)는 거치대 몸체부(2100)의 하단에 고정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 고정부(2200)는 거치대 몸체부(2100)를 바닥면 또는 벽면 등에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거치대 고정부(2200)는 에어캡(air cap)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필기구 본체부(1000)에 구비된 잉크저장부재(1100)에 함수된 잉크가 다 소모된 경우 필기구 본체부(1000)를 거치대부(2000)에 꽂아 두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잉크저장부재(1100)에 잉크를 빠르게 재충전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잉크를 충진하기 위해 필기구의 상단을 열어 잉크를 충진시키는 등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리필 부재나 충전 부재를 교환할 필요없이 소모된 잉크를 재충전하는 과정을 단순화시켜 필기구의 재활용도를 높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1000 : 필기구 본체부 1100 : 잉크저장부재
1200 : 내부하우징 1210 : 잉크유입홀
1220 : 제1고정홈 1230 : 제2고정홈
1300 : 외부하우징 1310 : 고정돌기
1400 : 탄성부재 2000 : 거치대부
2100 : 거치대 몸체부 2110 : 바디부
2120 : 상부거치부 2121 : 개구부
2122 : 상부지지면 2130 : 하부거치부
2132 : 하부지지면 2140 : 잉크저장부
2141 : 잉크공급유로 2150 : 공급유로 개폐부
2151 : 개폐홈 2152 : 스프링
2153 : 마개 2153a : 상부면
2153b : 경사면 2153c : 돌출면
2160 : 잉크저장부재 거치부 2170 : 통기공
2200 : 거치대 고정부

Claims (14)

  1. 내측에 잉크가 흡수되어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측면에 잉크유입홀이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잉크 충전시 상기 잉크유입홀을 개방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필기구 본체부; 및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거치되며, 상기 잉크유입홀을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재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거치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기구 본체부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과,
    상기 제1고정홈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고정홈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잉크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고, 잉크 충전시에 상기 내부하우징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부 외주연의 외경은 상부 외주연의 외경보다 작게 제공되고,
    상기 필기구 본체부는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하우징 및 상기 외부하우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잉크저장부재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부는,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재에 잉크를 공급하는 거치대 몸체부; 및
    상기 거치대 몸체부의 하단에 고정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몸체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부면에 제공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기구 본체부의 하부가 삽입되고, 하단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이 지지되는 상부지지면을 갖는 상부거치부;
    상기 상부거치부에서 하방으로 연통형성되되,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면을 갖는 하부거치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거치부 및 상기 하부거치부를 감싸며 제공되고, 잉크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하부거치부와 연통되는 잉크저장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하부거치부 내에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공급유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 개폐부는,
    일단은 상기 하부거치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단의 상기 하부거치부와 인접한 일측은 상기 잉크저장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는 개폐홈과,
    상기 개폐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이 하방 이동하여 접촉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상기 개폐홈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개방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차단시키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거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몸체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는 통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10. 내측에 잉크가 흡수되어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측면에 잉크유입홀이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잉크 충전시 상기 잉크유입홀을 개방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필기구 본체부; 및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거치되며, 상기 잉크유입홀을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재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거치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잉크저장부재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11. 내측에 잉크가 흡수되어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측면에 잉크유입홀이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잉크 충전시 상기 잉크유입홀을 개방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필기구 본체부; 및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거치되며, 상기 잉크유입홀을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재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거치대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부는,
    상기 필기구 본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재에 잉크를 공급하는 거치대 몸체부; 및
    상기 거치대 몸체부의 하단에 고정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몸체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부면에 제공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기구 본체부의 하부가 삽입되고, 하단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이 지지되는 상부지지면을 갖는 상부거치부;
    상기 상부거치부에서 하방으로 연통형성되되,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면을 갖는 하부거치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거치부 및 상기 하부거치부를 감싸며 제공되고, 잉크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하부거치부와 연통되는 잉크저장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하부거치부 내에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공급유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 개폐부는,
    일단은 상기 하부거치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단의 상기 하부거치부와 인접한 일측은 상기 잉크저장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는 개폐홈과,
    상기 개폐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이 하방 이동하여 접촉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상기 개폐홈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개방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잉크공급유로를 차단시키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거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몸체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는 통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KR1020140148056A 2014-10-29 2014-10-29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KR10160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056A KR101604099B1 (ko) 2014-10-29 2014-10-29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056A KR101604099B1 (ko) 2014-10-29 2014-10-29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099B1 true KR101604099B1 (ko) 2016-03-21

Family

ID=5565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056A KR101604099B1 (ko) 2014-10-29 2014-10-29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0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81B1 (ko) * 2009-04-09 2009-09-07 박병오 마커펜
KR101052236B1 (ko) * 2010-10-25 2011-07-29 김진현 잉크 사용 필기구의 잉크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81B1 (ko) * 2009-04-09 2009-09-07 박병오 마커펜
KR101052236B1 (ko) * 2010-10-25 2011-07-29 김진현 잉크 사용 필기구의 잉크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8913B1 (en) Case for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US10709171B2 (en)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5859164B1 (ja) 塗布具
JP2688324B2 (ja) 後充填可能な水性筆記具並びに所属の後充填容器
KR100916381B1 (ko) 마커펜
ITTO20030303A1 (it) Stazione di custodia e rifornimento di inchiostro di
CN105705436A (zh) 适于再装的喷雾瓶
KR101604099B1 (ko) 잉크 충전식 필기구 세트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CN112996669B (zh) 用于打印流体箱的溢流腔室
EP3424746B1 (en) Direct liquid type writing tool
KR101471432B1 (ko) 누름 충전식 마커펜
JP5975420B2 (ja) 反転式印判
KR100987813B1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JP5975421B2 (ja) 反転式印判
KR101052236B1 (ko) 잉크 사용 필기구의 잉크 충전 장치
KR20110013160A (ko) 잉크충진식 마커펜
JP2011173308A (ja) 筆記具
JP6656917B2 (ja) インキ補充器具
KR101337765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JP2017038787A (ja) 塗布具
KR101804552B1 (ko) 잉크 흘림방지 펜
JP6042005B1 (ja)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3988B2 (ja) インク補給具及び補給式筆記具セット
US10357974B2 (en) Printing fluid supply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