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055Y1 -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055Y1
KR200184055Y1 KR2019990030022U KR19990030022U KR200184055Y1 KR 200184055 Y1 KR200184055 Y1 KR 200184055Y1 KR 2019990030022 U KR2019990030022 U KR 2019990030022U KR 19990030022 U KR19990030022 U KR 19990030022U KR 200184055 Y1 KR200184055 Y1 KR 200184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ink
writing
cov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19990030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pressurised, e.g. by gas
    • B43K7/035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pressurised, e.g. by gas the gas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필기용 잉크가 들어있는 심에 적절한 공기압력을 가하여 필기구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도 필기가 잘 되도록 한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구 케이스(1) 내부에 필기용 잉크(2)가 들어있는 기다란 심(10)이 장착되는 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2)가 채워지지 않은 심(10) 후방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미끄럼 가능하고 심(10)의 내경과 비슷한 직경을 갖는 마개(4), 상기 케이스(1)의 단부를 덮고 상기 케이스의 내경부를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 덮개(6), 상기 마개(4)와 덮개(6)를 연결하고 상기 심(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다란 밀대(12), 상기 심(10)의 후단부에서 부터 소정길이 길이방향으로 심의 벽면에 형성된 기다란 홈(5), 및 상기 밀대(12) 전체와 상기 심(10) 후단부 일부를 감싸서 상기 덮개(6)를 밀어주는 기능을 하는 스프링(9)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6)를 움직여 상기 마개(4)를 심(10)의 내부에서 상사점(U)과 하사점(B) 사이를 이동시킴으로써 홈(5)을 통해 심(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잉크(2)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해제하여 거꾸로 된 상태에서도 필기가 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Pen which can be used in upended state}
본 고안은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필기용 잉크가 들어있는 심에 적절한 공기압력을 가하여 필기구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도 필기가 잘 되도록 한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기구, 특히 볼펜 등의 경우 볼펜촉(11)을 아래로 향해 사용할 때는 아무 문제 없이 잘 써진다. 그러나, 볼펜촉(11)을 오랫동안 위로 세운 뒤에 볼펜을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누워 볼펜촉을 위로 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볼펜촉(11)에서 잉크가 잘 배출되지 않아 필기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통상적인 볼펜 잉크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배출되므로 볼펜촉(11)이 아랫쪽으로 향하고 있어야만 필기가 잘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펜촉(11)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잉크가 뒤로 밀려 볼펜촉(11)으로 잉크가 잘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의 고안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89-4693호에 공개되어 있는바, 이 고안은 볼펜심의 뒷부분을 고무마개로 삽입 밀착시켜 그 압력에 의해 잉크를 밀어주어 거꾸로 된 상태에서도 잉크가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볼펜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항상 잉크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압력이 작용하므로 볼펜촉을 통해 지속적으로 잉크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는 잘 써지지만, 잉크를 밀어주는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잠시 시간이 지나면 오히려 잉크와 마개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어 잉크가 볼펜촉 부분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볼펜심의 후단부로 공기를 유출입시키면서 거꾸로 사용시에만 볼펜심 내부의 잉크에 공기압력을 가함으로써, 거꾸로 사용할 경우 볼펜촉으로 부터 잉크가 잘 배출되고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볼펜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요부의 부분절개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잉크
4.. 마개 5.. 홈
6.. 덮개 7.. 고정걸이
8.. 고정걸이홈 9.. 스프링
10.. 심 11.. 촉
12.. 밀대 13..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필기구 케이스(1) 내부에 필기용 잉크(2)가 들어있는 기다란 심(10)이 장착되는 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2)가 채워지지 않은 심(10) 후방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미끄럼 가능하고 심(10)의 내경과 비슷한 직경을 갖는 마개(4);
상기 케이스(1)의 단부를 덮고 상기 케이스의 내경부를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 덮개(6);
상기 마개(4)와 덮개(6)를 연결하고 상기 심(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다란 밀대(12);
상기 심(10)의 후단부에서 부터 소정길이 길이방향으로 심의 벽면에 형성된 기다란 홈(5); 및
상기 밀대(12) 전체와 상기 심(10) 후단부 일부를 감싸서 상기 덮개(6)를 밀어주는 기능을 하는 스프링(9);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6)를 움직여 상기 마개(4)를 심(10)의 내부에서 상사점(U)과 하사점(B) 사이를 이동시킴으로써 홈(5)을 통해 심(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해 잉크(2)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해제하여 거꾸로 된 상태에서도 필기가 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홈(5)은 상기 심(10)의 내주면에 대칭으로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홈(5)의 길이는 상기 마개(4)의 상사점(U) 보다는 길고 하사점(B) 보다는 짧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끝단에 돌기가 형성된 기다란 고정걸이(7)가 상기 덮개(6)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걸이는 케이스(1)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걸이(7)의 단부 돌기가 맞물리는 2개의 고정걸이홈(8)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6)를 누르거나 밀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단부돌기가 각각 상기 2개의 고정걸이홈(8)에 맞물리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되는 기다란 볼펜심(10)에는 일정 길이의 잉크(2)로 충전되어 있다. 상기 볼펜심(10)중 잉크로 충전되지 않은 후방부에는 심(10)의 내경과 비슷한 직경을 갖는 마개(4)로 막혀진다. 이 마개(4)는 볼펜심(10)의 내경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케이스(1) 후단부에는 덮개(6)가 장착된다. 이 덮개(6) 역시 케이스(1) 내경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덮개(6)와 마개(4) 사이는 볼펜심(10)보다 직경이 작은 가느다란 밀대(12)로 연결된다. 그리고, 볼펜심(10)의 후방 외벽에는 돌기(13)가 형성되고 이 돌기(13)와 덮개(6) 사이에는 통상의 스프링(9)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덮개(6)를 누르면 밀대가 밀려 마개(4)가 일정 길이를 움직이게 되고, 마개(4)가 움직이는 길이에 대해 전방부로 최대한 밀린 지점을 하사점(B), 후방부로 최대한 후퇴한 지점을 상사점(U)이라 하면, 마개는 덮개(6)의 미는 힘과 스프링(9)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상사점(U)과 하사점(B) 사이를 화살표(A)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도면에는 상사점(U)에 위치한 상태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하사점까지 이동한 상태를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한편, 볼펜심(10)의 내경부에는 그 후단부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기다란 홈(5)이 형성된다. 상기 홈(5)은 볼펜심(10)의 내경부에 대칭으로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만 형성되거나 2개 이상 다수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홈(5)의 길이는 상기 상사점(U) 보다는 길고 하사점(B) 보다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덮개(6)에는 케이스(1) 외측으로 배치되는 기다란 고정걸이(7)가 형성되고, 이 고정걸이의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케이스(1) 벽면에는 상기 마개(4)의 이동 거리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고정걸이홈(8)이 상기 고정걸이(7)의 단부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개(6)를 누르거나 해제하면 고정걸이(7)가 고정걸이홈(8)에 맞물리면서 필요한 거리만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펜심(10)의 후단 내경부에 마개(4)가 장착되고, 마개(4)의 후면에는 밀대(1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심(10)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에 지지되어 스프링(9)이 감겨있다. 이 스프링(9)과 전술한 덮개(6)의 힘에 의해 상기 마개(4)가 화살표(A)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평상시, 필기구는 도 1의 실선과 같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마개(4)가 상사점(U)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볼펜심(10) 내주면에 형성된 홈(5)에 의해 잉크(2)의 후방부에 공기가 자유롭게 소통되므로 잉크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여, 잉크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필기구의 사용법인 아래로 쓰는데 아무 문제가 없음은 물론, 볼펜촉(11)으로 잉크가 새어나오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한편, 거꾸로 쓸 경우에는, 덮개(6)를 밀어 마개(4)를 하사점(B)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마개(4)가 홈(5)을 지나 볼펜심(10)의 후방부를 밀폐시키므로 잉크(2)에 압력을 가해주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볼펜촉(11)으로 잉크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필기상태가 양호하게 될 수 있다.
거꾸로 필기가 끝나고 다시 마개(4)를 상사점(U)으로 후퇴시키면, 홈(5)을 통해 잉크(2) 뒷부분으로 공기가 다시 유입되어, 잉크가 사용된 만큼의 줄어든 공간을 공기가 다시 채워주므로, 마개(4)를 다시 하사점(B)으로 눌러도 잉크의 사용량에 상관없이 다시 잉크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본 고안은 필기구중 특히 볼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볼펜을 포함한 모든 필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필기구 심 뒷부분으로 공기가 소통되면서 필기용 잉크에 압력을 가하고 해제하는 구성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에 의하면, 공기의 압력이 한번으로 끝나지 않고 반복적으로 압력을 가하고 해제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필기구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거꾸로 장기간 세워 둔 상태 또는 거꾸로 필기할 경우에도 촉을 통해 잉크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잘 써질 수 있음은 물론, 볼펜촉을 통해 필기용 잉크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심 내부의 잉크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거꾸로 한 상태에서도 필기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필기구 케이스(1) 내부에 필기용 잉크(2)가 들어있는 기다란 심(10)이 장착되는 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2)가 채워지지 않은 심(10) 후방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미끄럼 가능하고 심(10)의 내경과 비슷한 직경을 갖는 마개(4);
    상기 케이스(1)의 단부를 덮고 상기 케이스의 내경부를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 덮개(6);
    상기 마개(4)와 덮개(6)를 연결하고 상기 심(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다란 밀대(12);
    상기 심(10)의 후단부에서 부터 소정길이 길이방향으로 심의 벽면에 형성된 기다란 홈(5); 및
    상기 밀대(12) 전체와 상기 심(10) 후단부 일부를 감싸서 상기 덮개(6)를 밀어주는 기능을 하는 스프링(9);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6)를 움직여 상기 마개(4)를 심(10)의 내부에서 상사점(U)과 하사점(B) 사이를 이동시킴으로써 홈(5)을 통해 심(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잉크(2)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해제하여 거꾸로 된 상태에서도 필기가 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5)이 상기 심(10)의 내주면에 대칭으로 2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5)의 길이는 상기 마개(4)의 상사점(U) 보다는 길고 하사점(B) 보다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끝단에 돌기가 형성된 기다란 고정걸이(7)가 상기 덮개(6)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걸이는 케이스(1)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걸이(7)의 단부 돌기가 맞물리는 2개의 고정걸이홈(8)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6)를 누르거나 밀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단부돌기가 각각 상기 2개의 고정걸이홈(8)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KR2019990030022U 1999-12-28 1999-12-28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KR200184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22U KR200184055Y1 (ko) 1999-12-28 1999-12-28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22U KR200184055Y1 (ko) 1999-12-28 1999-12-28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055Y1 true KR200184055Y1 (ko) 2000-06-01

Family

ID=1960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022U KR200184055Y1 (ko) 1999-12-28 1999-12-28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0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22B1 (ko) * 2000-10-19 2003-04-11 정진화 액체필기구용 잉크전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22B1 (ko) * 2000-10-19 2003-04-11 정진화 액체필기구용 잉크전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7434A (ko) 필기구
US447973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cap retained in tip
JP7139328B2 (ja) 加圧式筆記具
KR200184055Y1 (ko)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US6257787B1 (en) Ball point pen smooth touch
US7452147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FI64765B (fi) Reservoarpenna
GB2104848A (en) Writing instrument
JP6741404B2 (ja) 化粧料容器
JP7007939B2 (ja) 繰出式加圧筆記具
KR200290684Y1 (ko)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수성 펜
KR100414861B1 (ko) 잉크저장 및 공급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JPH0343036Y2 (ko)
JPH0343037Y2 (ko)
US10214046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JPH038470Y2 (ko)
JP2005081821A (ja) 複合筆記具
JPH0517274Y2 (ko)
JPH0226709Y2 (ko)
KR200208917Y1 (ko) 잉크저장 및 공급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20020094193A (ko) 펜촉 마름방지장치
JPH0259078B2 (ko)
JPH0541906Y2 (ko)
KR200241727Y1 (ko) 볼펜
JPH0550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