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856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856Y1
KR200391856Y1 KR20-2005-0013408U KR20050013408U KR200391856Y1 KR 200391856 Y1 KR200391856 Y1 KR 200391856Y1 KR 20050013408 U KR20050013408 U KR 20050013408U KR 200391856 Y1 KR200391856 Y1 KR 200391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p
eraser
cap
hol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판국
Original Assignee
주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판국 filed Critical 주판국
Priority to KR20-2005-0013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6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볼펜과 수정액 및 컴퓨터용 사인펜을 일체화시킴으로서 필요에 따라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분실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materials}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펜슬과 지우개를 일체화시켜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각각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성을 최소화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연필이나 샤프펜슬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여기서 연필은 심이 닳아 쓰기 곤란한 경우 연필을 깍아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샤프펜슬은 샤프심이 닳아 쓰기 곤란한 경우 상부를 눌러만 주면 샤프심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 연필에 비하여 사용 편리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샤프펜슬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잘못 필기한 경우 이를 지우개로 지우면 깨끗해지므로 그 위에 다시 필기를 하면 된다. 통상적인 샤프펜슬은 상단부에 소량의 지우개가 달려 있으며, 필기하는 과정에서 오기를 한 경우 이를 지우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샤프펜슬의 상단부에 부착된 지우개는 그 양에 한계가 있고, 사용 후에는 교체가 어려워 결국 지우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샤프펜슬과 지우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샤프펜슬과 지우개를 일일이 찾아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샤프펜슬과 지우개가 각각 별도로 독립된 상태에서 보관됨에 따라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분실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샤프과 지우개를 일체화시켜 필요에 따라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분실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두개의 고정공을 갖는 유동방지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에 샤프인출공과 지우개인출공이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유동방지구의 일측 고정공에 삽입되며, 끝단에 지우개가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끝단과 지우개인출공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지우개인출부와; 상기 유동방지구의 타측 고정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샤프심이 보관되는 심통과, 심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와, 심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누름에 의해 샤프심을 단계적으로 출몰시키는 샤프심출몰장치와, 상기 샤프심출물장치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샤프심인출캡, 및 상기 샤프심인출캡의 끝단과 샤프인출공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샤프인출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삽입되며 내주연에 돌기를 갖는 삽입구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걸고리를 포함하는 상부캡과; 상기 연장부 하부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상부캡의 삽입부 내측에 놓여지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게 외주연에 형성된 요홈과, 하단부에 상기 연장부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부와 하단면에 형성된 수납홈을 포함하며, 하단면에는 회전시 상기 샤프인출부의 커버 또는 지우개인출부의 홀더 상단을 가압하여 180°간격으로 하부캡의 샤프인출공 또는 지우개인출공으로 샤프인출부 또는 지우개인출부가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식 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필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 필기구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2a 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내측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두개의 고정공(12)을 갖는 유동방지구(11)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에 샤프인출공(21)과 지우개인출공(22)이 형성된 하부캡(20)과, 상기 유동방지구(11)의 일측 고정공(12)에 삽입되며, 끝단에 지우개(32)가 장착되는 홀더(31)와, 상기 홀더(31)의 끝단과 지우개인출공(22)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33)을 포함하는 지우개인출부(30)와, 상기 유동방지구(11)의 타측 고정공(12)에 삽입되며, 내부에 샤프심이 보관되는 심통(41)과, 심통(41)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42)와, 심통(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42)의 누름에 의해 샤프심을 단계적으로 출몰시키는 샤프심출몰장치(43)와, 상기 샤프심출물장치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샤프심인출캡(44), 및 상기 샤프심인출캡(44)의 끝단과 샤프인출공(21)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45)을 포함하는 샤프인출부(4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51)이 형성된 연장부(50)와, 상기 연장부(50)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51)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삽입되며 내주연에 돌기(62)를 갖는 삽입구(61)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걸고리(63)를 포함하는 상부캡(60)과, 상기 연장부(50) 하부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상부캡(60)의 삽입부 내측에 놓여지며, 상기 돌기(62)와 대응되게 외주연에 형성된 요홈(71)과, 하단부에 상기 연장부(50)의 걸림턱(51)에 걸려지는 걸림부(72)와 하단면에 형성된 수납홈(73)을 포함하며, 하단면에는 회전시 상기 샤프인출부(40)의 커버(42) 또는 지우개인출부(30)의 홀더(31) 상단을 가압하여 180°간격으로 하부캡(20)의 샤프인출공(21) 또는 지우개인출공(22)으로 샤프인출부(40) 또는 지우개인출부(30)가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식 노브(70)를 포함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본체 내부에 샤프인출부(40)와 지우개인출부(30)가 내장되어 있어 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소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필요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특히 샤프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는 경우 오탈자나 오기의 발생시 편리하게 지우개(32)를 사용하여 지울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몸체(10)는 내측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두개의 고정공(12)을 갖는 유동방지구(11)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공(12)은 샤프인출부(40)와 지우개인출부(30)를 각각 사용하는 과정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하단에 샤프인출공(21)과 지우개인출공(22)이 형성된 하부캡(20)이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샤프인출공(21)은 사용시 샤프심인출캡(44)이 돌출되는 부분이며, 지우개인출공(22)은 지우개(32)가 돌출되는 부분이다.
지우개인출부(30)는 상기 유동방지구(11)의 일측 고정공(12)에 삽입되며, 끝단에 지우개가 장착되는 홀더(31)와, 상기 홀더(31)의 끝단과 지우개인출공(22) 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여기서, 홀더(31)의 끝단에는 지우개(32)가 삽입되게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우개(32)가 닳아 없어지면 지우개(32)를 용이하게 빼내어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홀더(31)의 끝단과 지우개인출공(22) 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33)은 지우개인출부(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우개인출부(30)가 몸체(10)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샤프인출부(40)는 상기 유동방지구(11)의 타측 고정공(12)에 삽입되며, 내부에 샤프심이 보관되는 심통(41)과, 심통(41)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42)와, 심통(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42)의 누름에 의해 샤프심을 단계적으로 출몰시키는 샤프심출몰장치(43)와, 상기 샤프심출물장치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샤프심인출캡(44), 및 상기 샤프심인출캡(44)의 끝단과 샤프인출공(21)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45)을 포함한다. 이때, 스프링(45)은 샤프심출몰장치(43)에 장착되는 스프링에 비하여 낮은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샤프인출부(40)에서 커버(42)가 외압에 의해 눌려지면 샤프심출몰장치(43)가 샤프심을 단계적으로 출몰시키며, 이렇게 출몰된 샤프심은 샤프심인출캡(4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샤프인출부(40)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연장부(50)는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51)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51)은 회전식 노브(70)가 후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부캡(60)은 상기 연장부(50)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51)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삽입되며 내주연에 돌기(62)를 갖는 삽입구(61)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걸고리(6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기(62)는 회전식 노브(70)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홈(71)에 결합되어 상부캡(60)의 회전에 따라 회전식 노브(70)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걸고리(63)는 본 고안 필기를 노트나 주머니에 걸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삽입구(61)는 연장부(50)의 걸림턱(51)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삽입되는데, 이는 샤프인출부(40)의 사용시 심통(41)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4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샤프심이 샤프심인출캡(44)으로 인출되게 된다.
회전식 노브(70)는 상기 연장부(50) 하부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상부캡(60)의 삽입부 내측에 놓여지며, 상기 돌기(62)와 대응되게 외주연에 형성된 요홈(71)과, 하단부에 상기 연장부(50)의 걸림턱(51)에 걸려지는 걸림부(72)를 포함하며, 하단면에는 회전시 상기 샤프인출부(40)의 커버(42) 또는 지우개인출부(30)의 홀더(31) 상단을 가압하여 180°간격으로 하부캡(20)의 샤프인출공(21) 또는 지우개인출공(22)으로 샤프인출부(40) 또는 지우개인출부(30)가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7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캡(60)의 돌기(62)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상부캡(60)의 회전시 회전식 노브(70)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회전식 노브(70)의 하단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일부가 급한 경사를 갖고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회전식 노브(70)가 회전하게 되면 하단면의 돌출되게 경사진 부분에 샤프인출부(40)의 커버(42) 또는 지우개인출부(30)의 홀더(31) 상단을 가압하여 180°간격으로 하부캡(20)의 샤프인출공(21) 또는 지우개인출공(22)으로 샤프인출부(40) 또는 지우개인출부(30)가 돌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부캡(60)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식 노브(7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식 노부가 회전하게 되면 샤프인출부(40) 또는 지우개인출부(30)가 선택적으로 하부캡(20)의 샤프인출공(21) 또는 지우개인출공(22)으로 인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샤프인출부(4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부캡(60)을 눌러주면 회전식 노브(70)가 커버(42)를 눌러주게 되며, 그에 따라 샤프심출몰장치(43)가 샤프심을 단계적으로 출몰시키게 되어 샤프심인출캡(44)을 통해 샤프심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과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지우개인출부(30)의 상단이 회전식노브(70)의 하단에 형성된 수납홈(73)에 삽입되게 되어 상부캡(60)을 눌러주어도 지우개인출부(30)가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필기구가 구성됨에 따라 샤프와 지우개(32)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분실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1 및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회전식노브(70)의 평평한 바닥면에 샤프인출부(40)의 커버(42)와 지우개인출부(30)의 상단이 위치하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도 1참조).
이후 상부캡(60)을 회전시키면 회전식 노브(7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식 노브(70)가 외전함에 따라 회전식 노브(70)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경사진 부분이 샤프인출부(40)의 커버(42) 또는 지우개인출부(3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며, 그에따라 하부캡(20)의 샤프인출공(21) 또는 지우개인출공(22)으로 가압된 샤프인출부(40) 또는 지우개인출부(30)가 인출되게 된다(도 2a 및 도 2b 참조). 상부캡(60)을 좀더 회전시키면 샤프인출부(40) 또는 지우개인출부(30)는 원래의 상태로 몸체(10) 안에 들어가게 된다.
도 2c는 샤프인출부를 샤용하는 상태를 보여준 도면으로, 샤프인출부(40)가 샤프인출공(21)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부캡(60)을 가압하게 되면 회전식 노브(70)가 심통(41)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42)를 가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샤프심이 샤프심인출캡(44)으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샤프과 지우개를 일체화시켜 필요에 따라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분실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필기구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 필기구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유동방지구 12 : 고정공
20 : 하부캡
21 : 샤프인출공 22 : 지우개인출공
30 : 지우개인출부
31 : 홀더 32 : 지우개
33 : 스프링
40 : 샤프인출부
41 : 심통 42 : 커버
43 : 샤프심출몰장치 44 : 샤프심인출캡
45 : 스프링
50 : 연장부
51 : 걸림턱
60 : 상부캡
61 : 삽입구 62 : 돌기
63 : 걸고리
70 : 회전식 노브
71 : 요홈 72 : 걸림부
73 : 수납홈

Claims (1)

  1. 내측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두개의 고정공을 갖는 유동방지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에 샤프인출공과 지우개인출공이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유동방지구의 일측 고정공에 삽입되며, 끝단에 지우개가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끝단과 지우개인출공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지우개인출부와;
    상기 유동방지구의 타측 고정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샤프심이 보관되는 심통과, 심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와, 심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누름에 의해 샤프심을 단계적으로 출몰시키는 샤프심출몰장치와, 상기 샤프심출물장치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샤프심인출캡, 및 상기 샤프심인출캡의 끝단과 샤프인출공사이에 놓여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샤프인출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삽입되며 내주연에 돌기를 갖는 삽입구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걸고리를 포함하는 상부캡과;
    상기 연장부 하부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상부캡의 삽입부 내측에 놓여지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게 외주연에 형성된 요홈과, 하단부에 상기 연장부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부와 하단면에 형성된 수납홈을 포함하며, 하단면에는 회전시 상기 샤프인출부의 커버 또는 지우개인출부의 홀더 상단을 가압하여 180°간격으로 하부캡의 샤프인출공 또는 지우개인출공으로 샤프인출부 또는 지우개인출부가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식 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2005-0013408U 2005-05-12 2005-05-12 필기구 KR200391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8U KR200391856Y1 (ko) 2005-05-12 2005-05-12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8U KR200391856Y1 (ko) 2005-05-12 2005-05-12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856Y1 true KR200391856Y1 (ko) 2005-08-09

Family

ID=4369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08U KR200391856Y1 (ko) 2005-05-12 2005-05-12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8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221B1 (ko) * 2017-08-24 2018-04-17 오한샘 다색 보드마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221B1 (ko) * 2017-08-24 2018-04-17 오한샘 다색 보드마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5682A (en) Wireless stylus and disposable stylus cartridge therefor for use with a pen computing device
CN100469595C (zh) 旋转送出式书写工具
KR200391856Y1 (ko) 필기구
US20070020024A1 (en) Lipstick-like pen
JP2023054261A (ja) ペン型コンパス
KR20110005398U (ko) 필기구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WO2014023950A1 (en) Writing device
KR20080113801A (ko) 편리한 펜슬
KR200356758Y1 (ko) 샤프펜슬의 구조
US20190160852A1 (en) Knock type pen
KR820001173Y1 (ko) 필구가 수납되는 수첩
KR100517486B1 (ko) 휘발성 잉크가 충진된 필기구
KR200363183Y1 (ko) 샤프펜슬의 메모펜 구조
US7758270B2 (en) Ink refill tool for a writing instrument
CN209869819U (zh) 一种吸墨钢笔
KR200319184Y1 (ko) 볼펜지우개가 구비된 볼펜
JP2004345292A (ja) 筆記具
JP7100763B2 (ja) ペン型コンパス
KR200331464Y1 (ko) 샤프펜슬
KR20120086033A (ko) 샤프 일체형 샤프심케이스
KR200356746Y1 (ko) 다용도 필기구
KR200232309Y1 (ko) 필기구
JPH0423027Y2 (ko)
KR20100012183U (ko) 멀티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