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482B1 - 측부노크식샤프펜슬 - Google Patents

측부노크식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482B1
KR100428482B1 KR1019970705122A KR19970705122A KR100428482B1 KR 100428482 B1 KR100428482 B1 KR 100428482B1 KR 1019970705122 A KR1019970705122 A KR 1019970705122A KR 19970705122 A KR19970705122 A KR 19970705122A KR 100428482 B1 KR100428482 B1 KR 10042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knock button
knock
button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1726A (ko
Inventor
시게키 마루야마
쇼지 오누키
Original Assignee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721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84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70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관한 것으로, 이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이송 장치가 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의 측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은 눌러져서 상기 심 이송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을 이송시키고, 상기 노크 버튼이 압력을 가한 방향으로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배 이상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는 상기 심 삽입부의 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제55-171577(1980)호는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의 한 예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 공개 공보는, 하단에 구금을 장착하고 외통보다 짧은 내통이 그 외통 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수용되고, 상기 구금을 상기 외통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구금을 상기 외통 내로 후퇴시키는 역할을 하는 내부 기구 복귀 스프링 및 적절한 맞물림 수단이 상기 외통 내에 구비되며, 상기 외통의 손잡이부의 근방에 외공이 구비되고, 상기 내통에 있어 상기 외공에 상응하는 부분에 내공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에 심 케이스, 연결 파이프 및 3할(割) 척이 일체로 수용되고, 상기 구금의 내부와 상기 내통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3할 척의 외부에 패스너가 구비되며, 상기 내통에서 심 선단부를 향해 상기 3할 척을 움직이게 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하는 슬라이더가 상기 내통 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상단의 경사면을 아래로 누를 수 있는 측부 노크 버튼이 상기 외통에 구비되고, 상기심선단부를 향해 상기 3할 척을 누를 수 있는 노크 커버가 상기 심 케이스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헤드부 및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을 설명하고 있다.
작동시, 심 케이스에 저장된 심들 중에서 1개의 심이 연결 파이프의 상단에 의해 분리된 후, 상기 연결 파이프를 통과하여 3할 척 내로 도입된다. 슬라이더와 3할 척은 측부 노크 버튼을 반지름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전방으로 움직이고, 이로써 3할 척에 의해 물린 심은 전방으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공급 동작을 실행하면, 즉 측부 노크 버튼을 누르면, 슬라이더에는 전방으로의 힘 뿐만 아니라 측부 노크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으로의 힘도 가해진다. 후자의 방향으로 슬라이더에 가해지는 힘은 슬라이더를 경사지게 하는 힘이 되고, 이 힘은 측부 노크 버튼을 누를수록 증가한다. 슬라이더가 경사지면 상기 연결 파이프와 상기 3할 척 사이의 연결부가 휘어진다. 이 경우, 심의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다. 즉, 심이 그러한 휘어짐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 전방으로 또는 충분한 양으로 공급될 수 없다.
최근, 소비자들은 값싼 제품을 더욱 더 선호하고 있다. 기업에 있어서도 인건비가 비싸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를 감소시키는 것이 더욱 더 절실해지고 있다. 볼펜 및 샤프 펜슬과 같은 필기구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전술한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도 역시 저렴하게 제조해야 했다.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을 저렴하게 제조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2개의 부재를 1개의 통합 부재로 형성시키는 방식, 단순화된 조립 방법을 채택하는 방식, 또는 부재의 수를 감소시키는 방식과 같은 다수의 이용 가능한 방식들이 있다. 그러나, 2개의 부재를 1개의 통합 부재로 형성시키는방식은 부재 자체를 값싸게 제조할 수 있지만, 특정 형태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복잡하고 값비싼 성형 모울드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부재의 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부재의 수를 감소시키면, 조립이 단순해진다.
그러나, 단순히 부재의 수만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필요한 기능들이 없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예의 경우에 있어서, 심 케이스와 연결 파이프가 생략되면, 심은 슬라이드를 지나쳐 스프링부에 들어갈 수 있으며, 이 경우 심은 3할 척에 의해 물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방으로 공급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측부 노크식 버튼을 누르면, 심이 부러져 버릴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의 내부에는 심 공급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통의 측부에는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심 공급 기구가 앞뒤로 이동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이 공급되는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개략적 1/2 종단면도.
도 2는 노크 버튼과 맞물림부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통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1/2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통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가이드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을 도시한 1/2 종단면도.
도 11은 노크 버튼과 맞물림부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12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1/2 종단면도.
도 13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6과 유사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8과 유사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태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노크 버튼과 맞물림부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2는 슬라이드 부재를 도시한 1/2 종단면도.
도 23은 도 20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3과 유사한 단면도.
도 25는 슬라이드 부재의 변경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6은 슬라이드 부재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태양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제6 실시태양의 한 변경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도 27의 제6 실시태양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도 27의 제6 실시태양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2는 슬라이드 부재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화살표 F의 방향에서 취한 도.
도 34는 슬라이드 부재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5는 도 34의 화살표 G의 방향에서 취한 도.
도 36은 슬라이드 부재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7은 도 34의 화살표 H의 방향에서 취한 도.
도 38은 통의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39는 통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0은 노크 버튼의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1은 도 27에 도시된 제6 실시태양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2는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3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4는 통의 또다른 변경예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도.
도 45는 슬라이드 부재와 통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6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7은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6과 유사한 단면도.
도 48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9는 도 48의 선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0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9와 유사한 단면도.
도 51은 슬라이드 부재와 통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는 도 51의 선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3은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노크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5는 노크 버튼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6은 노크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7은 도 56에 도시된 노크 버튼의 사시도.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은, 통의 내부에는 심 공급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통의 측부에는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심 공급 기구가 앞뒤로 이동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이 공급되고, 상기 노크 버튼이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배 이상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 삽입부의 전방에는 심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은, 통의 내부에 심 공급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통의 측부에는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심 공급 기구가 앞뒤로 이동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이 공급되고, 상기 노크 버튼의 근방에는 심응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심 수용부에는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심 수용부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심 삽입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방식
도 1 내지 도 6은 제1 실시태양을 도시한 설명도들이다. 관통구(2)는 통(1)의 측부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3)는 관통구(2)에 형성되어 있다.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노크 버튼(4)은 통(1)에 대하여 수직인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관통구(2)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돌출부(3)와 활강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가이드 홈(5)은 노크 버튼(4)의 마주보는 외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크 버튼(4)은 후술되는 심 공급 기구를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경사면(6)도 갖는다. 각각의 경사면(6)과 평형한 경사면(7)은 경사면(6)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크 버튼(4)이 통(1)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맞물림 클러치(9)는 노크 버튼(4)의 누름 표면(8)의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심을 저장하고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0)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심 탱크(11)는 통(1)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심 탱크(11)는 2개 이상의 심을 저장할 수 있고, 노크 버튼(4)은 심 탱크(11)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척 링(12)이 고정되어 있는 척(13)은 심 탱크(11)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척(13)은심을 풀어주고 붙잡는 역할을 하며, 척 링(12)은 척(13)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명한 배치는 심 공급 기구를 구성한다.
맞물림 부재(14)는 심 탱크(11)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경사 홈(15)은 맞물림부재(14)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노크 버튼(4)은 활강 가능하게 경사 홈(15)과 맞물려 있다. 구체적으로, 노크 버튼(4)의 경사면(6 및 7)은 노크 버튼(4)의 맞물림부를 형성하고, 맞물림 부재(14)의 경사 홈(15)은 노크 버튼(4) 각각의 맞물림부에 대해 맞물림 수용부로서 작용한다.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노크 버튼(4)은 비교적 자유롭게 맞물림 부재(14)에 삽입될 수 있고,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노크 버튼(4)이 흔들리거나, 또는 통(1)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홈은 통(1)의 관통구(2)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가이드 홈과 맞물릴 수 있는 가이드 돌출부는 노크 버튼(4)의 마주보는 외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출부는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아치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과 아치형 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의 맞물림 관계를 충족시키고 노크 버튼(4)이 통(1)의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 번호(18)는 통(1)의 전단에 나사식으로 조인 선단 부재를 표시한 것이고, 이 선단 부재(18)는 통(1)과 일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심이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심 보유 부재(19)는 선단 부재(18)에 압입 고정되고, 심을보호하기 위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심 보호 파이프(20)는 선단 부재(18)의 팁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심 보유 부재(19)와 심 보호 파이프(20)는 선단 부재(1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시, 노크 버튼(4)을 반지름 방향으로 수직으로 누르면, 노크 버튼(4)의 경사면(6)은 경사 홈(15)에 활강하면서 전방으로 맞물림 부재(14)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 동작에 의해, 심 탱크(11)와 척(13)은 전방으로 움직이고(도 5 과 도 6을 참조), 심은 심 보호 파이프(20)로부터 돌출된다. 이 실시태양에서, 노크 버튼(4)의 측면 벽은 비교적 작은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고, 이것은 통(1)의 관통구(2)에 노크 버튼의 설치를 용이하게 허용할 수 있다.
노크 버튼(4)의 변경예는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맞물림 부재(14)의 각 경사 홈(15)과 맞물리는 맞물림부(21)는 노크 버튼(22)의 마주보는 내부 표면에 돌출 라인로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맞물림부(21)는 경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크 버튼(22)의 마주보는 내부 표면에 맞물림부(21)를 형성시킴으로써, 노크 버튼(22)의 긴 가이드 돌출부(23)를 형성시켜 통(1)[관통구(2)]의 가이드 홈(5)과 맞물리게 할 수 있으므로, 노크 버튼(22)의 진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태양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태양의 배치에 추가하여, 축소된 직경부(24)는 관통구(2)의 후방에서 통(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노크 버튼(21)은 후단면(26)이 축소된 직경부(24)에 의해 형성된 면부(25)와 접촉하면서 활강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노크 버튼(22)의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는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도 8을 참조).
가이드 홈 또는 돌출부가 통에 형성되어 있는 또다른 예로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과 돌출부를 갖고 있는 가이드 부재(27)는 분리 부재로서 통(1)에 고정될 수 있다. 노크 버튼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설명한 배치에 추가하여,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필름은 노크 버튼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 또는 상호 반발하는 자석과 같은 탄성 부재는 노크 버튼과 통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2 실시태양을 도시한 설명도들이다. 관통구(2)는 통(1)의 측부에 형성되고,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노크 버튼(28)은 통(1)에 대하여 수직인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관통구(2)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절단부(30)는 노크 버튼(28)의 측부(29)의 중간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방 경사면(31)은 노크 버튼(28)의 각 측부(29)의 전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절단부(30)와 이에 상응하는 하나의 전방 경사면(31)에 의해 정의되는 노크 버튼(28)의 각 측부는 제1 맞물림부(32)를 구성한다. 후방 경사면(33)은 절단부(30)의 후방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후방 경사면(33)과 이에 상응하는 하나의 노크 버튼(28)의 후단면(34)에 의해 정의되는 노크 버튼(28)의 각 측부는 제 2 맞물림부(35)를 각각 구성한다. 도면 번호(36)는 노크 버튼(28)의 마주보는 외부 측면의 바닥 단부에 각각 형성된 맞물림 클러치를 나타내며, 노크 버튼(28)이 통(1)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심을 저장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0)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심 탱크(37)는 통(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척 링(12)이 고정되어 있는 척(13)은 심 탱크(37)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맞물림 부재(38)는 심 탱크(37)의 중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부재(38)는 분리 부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38)가 분리 부재로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맞물림 부재(38)와 심 탱크(37)가, 예를 들면 압입 고정, 돌출부와 오목부 사이의 맞물림, 또는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절단부(39)는 맞물림 부재(38)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각 절단부(39)의 전방부는 노크 버튼(28)의 제1 맞물림부(32)와 각각 맞물리는 제1 맞물림 수용부(40)를 구성한다. 중간 경사면(41)은 제1 맞물림 수용부(40)의 후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응하는 제1 맞물림부(32)의 전방 경사면(31)과 맞물린다. 각 절단부(39)의 후방부는 노크 버튼(28)의 제2 맞물림부(35)와 각각 맞물리는 제2 맞물림 수용부(42)를 구성한다. 후방 경사면(43)은 제2 맞물림 수용부(42)의 후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응하는 노크 버튼(28)의 제2 맞물림부(35)의 중간 경사면(33)과 맞물려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크 버튼(28)의 제1 맞물림부(32)는 각각 맞물림 부재(38)의 절단부(39) 내로 삽입되고, 맞물림 부재(38)의 제2 맞물림 수용부(42)는 노크 버튼(28)의 제1 맞물림부(32)와 노크 버튼(28)의 제2 맞물림부(35)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노크 버튼(28)의 제1 맞물림부(32)에 형성된 전방 경사면(31)과 노크 버튼(28)의 제2 맞물림부(35)에 형성된 중간 경사면(33)은, 노크 버튼(28)이 보다 평활하게 눌러질 수 있도록, 활강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제1 실시태양의 변경예와 유사하게, 제1 맞물림부(45)와 제2 맞물림부(46)는 노크 버튼(44)의 내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맞물림부(45) 및 제2 맞물림부(46)와 각각 맞물리는 경사 홈 형상의 맞물림 수용부(48 및 49)는 맞물림 부재(47)에 형성될 수 있다. 노크 버튼(44)의 제1 맞물림부(45) 및 제2 맞물림부(46)는 은폐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을 갖고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작동시, 노크 버튼(28)을 반지름 방향으로 수직으로 누르면, 노크 버튼(28)의 전방 경사면(31) 및 중간 경사면(33)은, 맞물림 부재(38)의 중간 경사면(41) 및 후방 경사면(43)에 활강하면서, 전방으로 맞물림 부재(38)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 동작에 의해, 심 탱크(11)와 척(13)은 전방으로 움직이고(도 12를 참조), 심은 전방으로 공급된다.
부가 가치를 갖고 있는 본 발명의 예는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이 예에서, 지우개 돌출량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공급 장치는 후방부에 구비되어 있다. 막대 형상의 공급 장치는 하기에 설명한다. 통(1)의 후단부의 내부 측면(후방부 1a)은 도 15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10각형 형상을 갖지만, 정사각형 형상, 타원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을 제외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방부에서 육각형 단면 형상의 고정부(50a)를 갖고 있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는, 통(1)과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가 서로 회전 할 수 없는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후방부(1a)에 고정되어 있다.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의 후방부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 홈(51b)과 가이드 홈(51b)의 후단은 함께 연결되며, 이음매 테두리(50c)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51)은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에 고정되고, 나선형 홈(51b)은 외통(51)의 내부 측면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외통(51)은, 이 외통(51)의 한 말단과 맞물려 있는 이음매 테두리(50c)와 외통(51)의 나머지 다른 말단과 맞물려 있는 O-링과 같은 고정 부재(52) 사이에 조여지고,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 번호(53)는 지우개(54b)를 고정시키기 위한 막대 형상의 수용 부재를 나타낸다. 맞물림 돌출부(53a)는 막대 형상의 수용 부재(53)의 측면 표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50b)을 통해 나선형 홈(51a)과 맞물려 있다.
작동시, 외통(51)을 통(1)[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50)는 나선형 홈(51a)에 의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지우개(54b)는 돌출되어 있다. 지우개(54b)가 수납되면, 외통(51)은 반대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심을 공급시키기 위한 누름기구가 심 탱크에 구비되면, 막대 형상의 공급 장치는 통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막대 형상의 공급 장치가 선행 기술의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에 구비되면, 통의 전체 길이는 작동이 고장날 정도로 증가된다. 이것은 누름 기구를 구성하는 연결 요소가 척 기구를 구성하는 심 척의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것은 연결 요소가 심을 하나씩 분리하는 심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척 몸체와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누름 기구는 심 수용 부재의 후방과 심 탱크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제3 실시태양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제3 실시태양에 있어서, 노크 버튼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개선된 노크 버튼은, 각각의 제1 실시태양 및 제2 실시태양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고정된 노크 버튼의 상태로 도입되어 있다. 하기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는 제2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노크 버튼(28)은, 노크 버튼(28)의 하부가 관통구(2)를 관통하여 압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항해[맞물림 클러치(36)를 향해]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폭이 큰 부분은 압입 고정부(54)를 구성한다. 또한 노크 버튼(28)은, 그 상부의 폭이 관통구(2)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하기 위해서, 그 상부를 향해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폭이 작은 부분은 비압입 고정부(55)를 구성한다. 노크 버튼(28)을 누르면, 간극(S)은 노크 버튼(28)을 누르는 과정 중 노크 버튼(28)과 관통구(2)의 벽 표면 사이에 생긴다.
작동시, 관통구(2)를 관통하여 압입 고정된 노크 버튼(28)을 손가락과 같은 것에 의해 반지름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누르면, 노크 버튼(28)의 전방 경사면(31) 및 중간 경사면(33)은, 맞물림 부재(38)의 중간 경사면(41) 및 후방 경사면(43)에 활강하면서, 전방으로 맞물림 부재(38)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 동작의 과정중, 관통구(2)에 대한 노크 버튼(28)의 압입 고정 동작은 해제되고, 간극(S)이 형성되며, 심 탱크(37) 및 척(13)은 심을 공급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움직인다.
제3 실시태양의 변경예는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이 변경예에 있어서, 맞물림 부재(38)의 절단부(39)는 상부 측면이 하부 측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사다리꼴부(56)]을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U 형상의 노크 버튼(28)은 단면의 사다리꼴 내부 형상[사다리꼴부(57)]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누름은, 노크 버튼(28)이 관통구(2)를 관통하여 압입 고정되도록,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하단을 개방시킨다.
작동시, 압입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노크 버튼(28)을 누르면, 사다리꼴부(57)의 중간부는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상부를 지나쳐 움직이고, 이어서 사다리꼴부(57)의 상부는,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하부가 사다리꼴부(57)의 하부의 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사다리꼴부(56)의 상부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이 복귀 동작은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하부의 감소된 폭에 기인하기도 한다.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복귀에 의해, 관통구(2)의 압입 고정된 상태는 해재되고, 간극(S)은 노크 버튼(28)의 외부 측면과 관통구(2)의 벽 표면 사이에 생긴다. 압입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시간은,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중간부가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상부 측면에 이르기 전에 압입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선택된다.
제4 실시태양은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손잡이부(58)는 울퉁불퉁하거나, 또는 비교적 고연성 또는 액상 고무 물질의 페인트를 도포하여 고화시킴으로써 형성되고, 통(1)의 전방 손잡이부(필기 중에 잡을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 밖에 관 모양의 고무 손잡이는 분리 부재로서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부(58)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고무 손잡이를 고정시킴으로써, 필기에 의한 피로, 손가락 통증 등을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킬 수 있다. 관통구(2)는 손잡이부(58)의 후방에서 통(1)의 측부에 형성되고,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노크 버튼(28)은 통(1)에 대하여 수직인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관통구(2)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노크 버튼(28)은 제2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노크 버튼과 유사한 구조물을 가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립(59)과 일체로 형성된 마개(60)는 통(1)의 후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클립(59)만이 통(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61)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슬라이드 부재(62)는 통(1)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척 링(12)이 고정되어 있는 척(13)은 슬라이드 부재(62)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맞물림 부재(38)는 슬라이드 부재(62)의 중간부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분리 부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38)가 분리 부재로서 구비되면, 슬라이드 부재(62)와 맞물림 부재(38)는, 예를 들면 압입 고정, 돌출부와 오목부 사이의 맞물림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38)는 제2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맞물림 부재의 것과 상당히 유사한 구조물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약 2개 또는 3개의 심을 통과 삽입시키는 심 도입구(63)는, 슬라이드 부재(62)의 후단에 형성되고, 통(1)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고있는 심 수용 부재(64)는 심 도입구(63)의 후단부 내로 압입 고정된다. 심 수용 부재(64)의 내부는 심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원추형 같이 형상화되고, 심을 심도입구(63)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심 삽입구(66)는 원추형 형상부(6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심 수용 부재(64)의 후방에서 통(1)의 내부는 심 탱크부(67)를 구성하고, 심은 심 삽입구(66)를 통과하여 심 도입구(63) 내로 하나씩 떨어진다. 심의 직경(외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는 각각의 구(68) 및 척 압입 고정구(69)는 심 도입구(63)에 인접한 슬라이드 부재(62)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68)의 직경은 심 도입구(63)의 내부 직경 또는 척 압입 고정구(69)의 내부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척(13)의 후단에 형성된 구(70)의 직경은 심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5 실시태양의 특징은 하기에 설명한다. 심 도입구가 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코어 핀은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되는 경우 쉽게 휘어지지 않는다. 또한,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제품도 성형중에 쉽게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곧바른 심 도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노크 버튼(28)이 손잡이부(58)의 후방에, 그리고 클립(59)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노크 버튼(28)이 필기 중에 우연히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시, 복수개의 심이 심 탱크부(67) 내로 삽입되면, 1개의 심은 원추형부(65)의 심 삽입구(66)에 의해 심들로부터 분리되고, 심 도입구(63)와 구(68)를 통과하여 척(13) 내로 도입된다. 심이 어느 정도 구부러지거나 또는 슬라이드 부재(62)가 성형에 의해서와 같이 어느 정도 구부러진다고 해도, 심도입구(63)는 각 심의 외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이 평활하게 척(13) 내로 도입된다. 이 경우, 노크 버튼(28)을 반지름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누르면, 노크 버튼(28)의 전방 경사면(31) 및 중간 경사면(33)은, 맞물림 부재(38)의 중간 경사면(41) 및 후방 경사면(43)에 활강하면서, 전방으로 맞물림 부재(38)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62) 및 척(13)은 전방으로 움직이고, 심은 전방으로 공급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척의 심 조임부에서 척의 심 수용부까지의 척 길이는 사용된 심의 길이보다 크도록 선택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공급된 심을 따라 즉각적으로 후속되는 1개의 심을 제외하고는 잔류 심들은, 전방으로 공급된 심이 척의 조임부 내로 평활하게 삽입되도록(또는 평활하게 떨어지도록), 전방의 심 후단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1개의 심이 전방으로 공급된 심의 후단에 즉각적으로 후속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공급된 심이 점차적으로 닳아 없어짐에 따라(점차적으로 짧아짐에 따라), 즉각적으로 후속되는 심은 평활하게 움직여 전방으로 공급된다.
상기 실시태양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는 생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1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휘어짐 또는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분할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슬라이드 부재(62)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 의해, 척이 압입 고정되는 부재용 재료 및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부재용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호 표면 접촉은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형상은 오목 볼록 맞물림부(69)가 형성됨으로써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면,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척의 누름 거리는 척의 확실한 붙잡는 힘(gripping force)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노크 버튼의 누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누름 동작의 양호한 감각이 인식될 수 있다.
제6 실시태양은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관통구(71)는 통(70) 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노크 버튼(72)은 통(1)의 반지름 방향으로 노크 버튼(72)의 후단 지점을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관통구(71)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노크 버튼(72)은, 노크 버튼(72)의 후단에 형성된 오목부(73)가 관통구(71)의 한 단부(후단부)에 고정되고, 노크 버튼(72)의 전단에 형성된 돌출부(74)도 관통구(71)의 나머지 다른 단부(전단부)와 맞물려 있는 방식으로, 통(1)에 고정되어 있다.(도 27의 정상 및 바닥은 각각 "후방" 및 "전방"에 해당된다.) 그러나, 노크 버튼(72)을 통(1)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러한 예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노크 버튼(72)은 통(70)의 반지름 방향과 평형하게 움직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단 부재(76)는 연결 부재(75)를 통해 통(70)의 전방에 나사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심이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심 보유 부재(77)는 선단 부재(76)에 압입 고정되고, 심을 보호하기 위한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심 보호 파이프(78)는 선단 부재(76)의 팁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79)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슬라이드 부재(80)는 연결 부재(75)에 배치되어 있다. 척 링(81)이 고정되어 있는 척(82)은슬라이드 부재(80)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척(82)은 심을 풀어 주고 붙잡는 역할을 하고, 척 링(81)은 척(8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심을 저장하는 심 탱크부(83)는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방에 구비되고, 심 탱크부(83)는 통(70)의 내부를 구성한다. 즉, 통(70) 그 자체는 심 탱크부(83)를 구성한다.
슬라이드 부재(8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경사면(84)은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단에 형성되고, 노크 버튼(72)의 전단의 바닥면(85)에 인접해 있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방부는 도 2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직경은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에서 움직이고 사용되는 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소위 0.5 mm 심이 사용되면 [JIS(일본 공업 표준 규격) S6013에 명시된 공칭 직경 0.5 mm을 갖고 있는 심의 허용 가능한 직경 범위는 0.55∼0.58 mm임], 통(1)과 슬라이드 버튼(9) 사이의 간극은 약 0.1∼0.3 mm로 설정될 수 있다. 소위 0.2 mm 심이 사용되면, 이러한 간극은 사용되는 심의 직경에 따라 임의대로 선택될 수 있다.
심을 척(82)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심 삽입구(86)는 슬라이드 부재(8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기본 배치를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은 통(70) 그 자체를 심 탱크부(83)으로서 형성시킬 수 있고, 또한 통(70)[심 탱크부(83)]으로부터 심을 척(13) 내로 정확하게 도입시킬 수도 있다.
여러 변경예들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변경예에서, 슬라이드부재(80)의 후방부는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 슬라이드 부재(80)는 거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4개의 코너들은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의 내부 벽 표면에서 활강하도록 제거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형상과 통(70)의 내부 벽 표면의 형상 사이의 상관성은 반대일 수 있다. 물론, 슬라이드 부재(80)와 통(70) 사이에 생성된 각 간극(87)의 크기는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도 30에 도시된 예에서, 작은 돌출부(88)(종방향 리브)는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의 내부 벽 표면에 활강하도록 슬라이드 부재(8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예와 유사하게, 슬라이드 부재(80)의 형상과 통(70)의 내부 벽 표면(70)의 형상 사이의 상관성은 반대일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80)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작은 돌출부는 통의 내부벽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각 돌출부(88)의 높이는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임의의 예는 통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의 활강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 31에 도시된 예에서, 통(70)의 내부 형상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슬라이드 부재(80)의 외부 형상도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상에 추가하여, 다양한 다른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
제2 변경예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슬라이드 부재 또는 제1 변경예의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에 대하여 각각 회전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맞물림부(89)는 슬라이드 부재(80)의 각각의 경사면(84) 외부에 형성되고, 상응하는 노크 버튼(72)의 측면과 표면 접촉하게 되어 있다(도 32 및 도 33을 참조).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80)의 회전은 노크 버튼(72)에 의해 방지된다. 도 43및 도 4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는 슬라이드 바닥부에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와 맞물려 있는 슬라이드 홈은 통의 내부 벽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변경예는 심을 슬라이드 부재의 심 삽입구 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80)의 심 삽입구(86)의 상단부는 원뿔형 형상[원뿔형부(9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되 있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경사면(84)의 상단에서 내부 중심[심 삽입구(86)]까지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각각의 경사 표면부(9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8은 심을 슬라이드 부재 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키는 제4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부(91)는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방에서 통(70)의 내부 벽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작은 직경부(92)는 단부(91)의 후방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심은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단 주변부(93)에 의해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설명한 각각의 변경예에서, 통의 전체 길이는 짧아 질 수 있다. 또한, 심이 슬라이드 부재의 경사면에 접해있기 때문에, 심에 포함된 심 오일은, 노크 버튼이 경사면(슬라이드 부재)을 평활하게 누를 수 있도록(활강시킬 수 있도록), 경사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심 수용부가 슬라이드 부재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 변경예에 있어서, 통의 전체 길이는 보다 짧아질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개이 심이 삽입될 수 있는 구(94)를 갖고 있는 제한부(95)는 노크 버튼(72)의 후방에서 통(7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심이 삽입될 수 있는 구(96)를 갖고 있는 제한부(97)는 노크 버튼(72)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심이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방부에 전혀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심은 심 삽입구(86) 내로 평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부(95 또는 97)는 실질적인 심 수용부로서 역할을 하고, 부(95 또는 97)의 후방부는 심 탱크부로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설명한 각각의 변경예들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를 갖고 있지만, 선단 부재는 통의 전단에 직접 고정될 수 있고, 심 공급 기구는 통의 전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비용의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노크 버튼은, 이 노크 버튼을 누르는 경우 노크 버튼의 전단의 코너에 의해서와 같이 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단부(98) 및 경사면(99) 또는 완곡부를 가질 수 있다(도 42를 참조). 물론, 절단부(98) 길이는 심이 더 이상 절단부(98)를 통과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노크 버튼의 후단에 가까이 형성된 제한부의 다양한 변경예들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43은 제1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변경예에 있어서 제한부(100)는 도 40에 도시된 예에서 제한부의 위치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다. 즉, 제한부(100)는 이 제한부(100)가 통(70)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관통구(71)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한부(100)가 고정될 수 있는 큰 직경 구(101)는 통(71)의 관통구(71)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노크 버튼(72)은, 샤프 펜슬이 단순한 과정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관통구 및 큰 직경의 구(101)를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통(70)에 부착될 수 있다.
맞물림 돌출부(102)는 노크 버튼(72)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맞물림 돌출부(102)는 노크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70)의 내부 벽 표면과 맞물려 있다. 돌출부(103)는 슬라이드 부재(80)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돌출부(103)는 통(1)의 내부 벽 표면에 형성된 홈(104)과 맞물려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45를 참조).
도 46은 노크 버튼(72)이 통(70)의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상이한 회전축 점에서 회전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노크 버튼(72)의 제한부(105)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단부(106)는 통(7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며, 제한부(105)의 후단부는 단부(106)와 맞물려 있다. 노크 버튼(72)은 맞물림 지점을 회전축 지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도 47을 참조).
제한부를 갖고 있는 상기 언급한 각 예에서, 슬라이드 부재(80)의 외부 직경은, 심이 탄성 부재(10) 또는 슬라이드 부재(80)와 통(70) 사이의 간극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예에만 특정되게 국한된 것이 아니다.
통(70)의 후방부 그 자체가 심 탱크를 구성하기 때문에, 심 탱크는 선행 기술 분야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분리 부재로서 구비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생산 비용의 추가 감소는 실제로 보다 더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심수용부는 노크 버튼의 후방에 형성되기 때문에, 노크 버튼이 통 내에 고정될 때(조립 중에), 노크 버튼이 전후방의 역전 상태로 통 안으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명백한 구별이 노크 버튼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존재한다. 명백한 구별이 노크 버튼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노크 버튼의 방향에 관한 결정은 노크 버튼과 통이 용이하고 빠르게 조립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8 및 도 49는 제한부(107)의 심 삽입구(108)가 슬릿 유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변경예를 도시한 것이다. 관통구(71)는 통의 길이 방향으로 통(70)의 측부에 형성되고,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노크 버튼(72)은 통(1)의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노크 버튼(72)의 후단부 지점을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관통구(71)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고 축에서 전방으로 약간 경사져 있는 제한부[심 수용부(107)]은 노크 버튼(72)의 후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한부의 외부 직경이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면, 제한부(107)는 통(1)에 고정되거나, 또는 심의 통로를 허용하지 않은 간극은 제한부(107)와 통(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벽은, 제한부(107)의 후방부(도 48의 상부)가 심 삽입구(108)를 구성하도록 제한부(107)에 의해 통(7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 형상의 심 삽입구(109)는 제한부(107)의 중심에 형성되지만, 또한 경사 표면은 심이 심 삽입구(109)으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심 삽입구(109)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표면(110)은 제한부(107)의 하단[노크 버튼이 형성된 측면과 마주보는 제한부(107)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 표면(110)은 노크 버튼(72)을 누른 경우 제한부(107)의 하단부가 통(70)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112 및 113)는 노크 버튼(72)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112 및 113)는 노크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거절되는(탈락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관통구(71)의 전단 및 후단의 내부 표면(114 및 115)과 맞물려 있다.
도 50은 슬라이드 부재가 통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통의 내부 측면은 단면 형상이 거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80)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크 버튼(72)의 제한부(115)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116)는 심 삽입구(109)가 위치되어 있는 통(7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16)와 맞물린 홈(117)은 슬라이드 부재(80)에 형성될 수 있다(도 51 및 도 52를 참조).
노크 버튼을 통 내로 포함시키는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는 하기에 설명한다. 도 53에 도시된 예에서, 슬릿(118)은 노크 버튼(72)이 통(70)의 관통구(71)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돌출부(113)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노크 버튼(72)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도 54를 참조). 노크 버튼(72)이 관통구(71) 내에 고정된 경우, 또한 종방향의 동작은 저지될 수도 있다. 또한, 슬릿(118)은 각각의 돌출부(112)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노크 버튼(72)의 전방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3)는 노크 버튼(72)의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 또는 슬릿부의 위치는 임의대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6 및 도 57은 노크 버튼(72)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경예에서, 통(70)의 관통구(71)와 맞물려 있는 돌출부(113)는 노크 버튼(72)을 누르지 않는 경우 노크 버튼(72)과 슬라이드 부재(80)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변경예에서, 힘은 노트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탈락되는 방향으로 항상 노크 버튼(72)에 작용해도, 돌출부(112)의 맞물림은 노크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저지하며, 탈락되는 방향으로 노크 버튼(72)을 추진시킴으로써 노크 버튼(72)이 진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적인 척의 누름 거리는, 척의 확실한 십 붙잡는 힘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노크 버튼의 누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누름 동작의 양호한 감각이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은, 통의 내부에는 심 공급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통의 측부에는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을 누르면 심 공급 기구가 앞뒤로 이동하여 심이 상기 통으로부터 심 삽입부까지 공급되고, 상기 노크 버튼이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 배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 삽입부 전방에는 심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은, 통의 내부에는 심의 공급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통의 측부에는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을 누르면 심 공급 기구가 앞뒤로 이동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이 공급되고, 상기 노크 버튼의 근방에는 심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심 수용부에는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심 수용부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심 삽입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있는 각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값싸게 제조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성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평활한 심 공급 작동을 실현시킬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통(1)의 내부에는 심 공급 기구(38, 62)가 배치되고, 상기 통의 측부(2)에는 노크 버튼(28)이 상기 통(1)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심 공급 기구(38, 62)가 앞뒤로 이동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이 공급되며, 또
    상기 노크 버튼(28)이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심 삽입부(63)는 심 직경의 2배 이상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심 삽입부의 전방에는 심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노크 버튼은 상기 통의 측부에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을 향해 직접 눌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크 버튼은 이 노크 버튼의 작동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맞물림부(32, 35)를 가지며, 상기 심 공급 기구는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용부(40, 42)를 가지는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로서, 상기 노크 버튼(28)과 상기 심 공급 기구(38, 62)는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 수용부를 조인 상태로 활강 가능하게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2. 샤프 펜슬용 통;
    상기 통의 내부에 배치된 심 공급 기구;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이 통의 측부에 배치되고, 또 이를 누르면 상기 심 공급 기구가 앞뒤로 이동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이 공급되는 노크 버튼;
    상기 노크 버튼의 근방에 배치된 심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수용부(64);
    연필 심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심 수용부에 형성시킨 심 삽입구(66); 및
    상기 심 수용부(64)에 대해 축방향 반대쪽으로 각각 상기 심 삽입구(66)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한 심도입구(63)와 심탱크부(67)를 포함하는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은 이 노크 버튼의 작동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맞물림부(32, 35)를 갖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28)에 압입 고정부 및 비압입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의 전방부에는 손잡이부(58)가 형성되고, 상기 통의 후방부에는 클립(59)이 배치되며, 또 상기 노크 버튼(28)은 상기 손잡이부(58)의 후방과 상기 클립(59)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펜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부(63)에 형성된 상기 심 삽입구(66)는 1개의 심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고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28)의 동작을 상기 심 공급 기구로 전달하는 슬라이드 부재(62)가 상기 심 공급 기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심 공급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심 삽입구(66)가 형성되며,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62)의 외부 직경과 상기 통(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심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62)의 내부 표면에는 경사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표면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62)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또 상기 경사 표면과 심 삽입구(66)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부(64)는 상기 노크 버튼(28)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심 수용부(64)의 외부 직경은 상기 통(1)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심 수용부(64)에는 심을 통과시키기 위한 심 삽입구(6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부(64)는 상기 노크 버튼(28)의 후방부와 일체가 되게 형성되고, 상기 심 수용부(64)의 외부 직경은 상기 통(1)의 내부 직경과거의 동일하며, 상기 심 수용부(64)에는 심을 통과시키기 위한 슬릿 형상의 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측부 노크식 샤프 펜슬.
KR1019970705122A 1995-01-30 1996-01-26 측부노크식샤프펜슬 KR100428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6595 1995-01-30
JP95-33065 1995-01-30
JP95-64843 1995-02-28
JP6484395 1995-02-28
JP10076295 1995-03-31
JP95-100763 1995-03-31
JP10076395 1995-03-31
JP95-100762 1995-03-31
JP12717395 1995-04-27
JP95-127173 1995-04-27
JP15530695 1995-05-30
JP95-155306 1995-05-30
JP95-336163 1995-11-30
JP33616395 1995-11-30
JP33615995 1995-11-30
JP95-336159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26A KR19980701726A (ko) 1998-06-25
KR100428482B1 true KR100428482B1 (ko) 2004-07-27

Family

ID=2757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22A KR100428482B1 (ko) 1995-01-30 1996-01-26 측부노크식샤프펜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65889A (ko)
EP (1) EP0806305B2 (ko)
KR (1) KR100428482B1 (ko)
DE (1) DE69633382T3 (ko)
WO (1) WO19960236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38B1 (ko) 2007-10-26 2010-12-1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샤프펜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679A (ja) * 1997-10-27 1999-05-18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US5967684A (en) * 1998-08-21 1999-10-19 Huang; Kuang-Yen Pen with push-button
JP3490008B2 (ja) * 1998-12-25 2004-01-26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US6755584B2 (en) 2002-01-24 2004-06-29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TW200509851A (en) * 2003-04-22 2005-03-16 Becton Dickinson Co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US7022128B2 (en) * 2003-04-22 2006-04-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US20050034574A1 (en) * 2003-08-15 2005-02-17 Chih - Ching Hsien Hand tool having an extendable handle structure
FR2861330B1 (fr) * 2003-10-22 2006-02-03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a bouton lateral
JP4468002B2 (ja) 2004-02-02 2010-05-26 壽印刷紙工株式会社 サイドノック式繰出し機構
TWI369970B (en) 2004-10-20 2012-08-11 Beaver Visitec Int Us Inc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having user operable lock
US8464430B2 (en) 2008-02-07 2013-06-18 Beaver-Visitec International (Us), Inc. Retractable safety knife
USD628635S1 (en) * 2010-01-20 2010-12-07 Beifa Group Co., Ltd. Pen
CN101797858A (zh) 2010-03-17 2010-08-11 王元鸿 侧按活动铅笔
FR3009699B1 (fr) 2013-08-13 2016-10-28 Maped Porte-mine equipe d’une cartouche de mines amovible
FR3047690B1 (fr) * 2016-02-11 2018-03-16 Societe Bic Portemine a bouton lateral et distribution de gomme et procede d'assemblage
US10272714B2 (en) 2016-12-06 2019-04-30 Sanford L.P. Anti-rotation extendable eraser mechanism
KR200495421Y1 (ko) * 2017-11-24 2022-05-19 동아연필(주) 노크식 펜
CN110936754B (zh) * 2019-12-22 2020-09-22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凸位按压拔笔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8822A (en) * 1924-03-26 1924-12-09 Saadi Edward Pencil
DE1020256B (de) * 1953-06-08 1957-11-28 Pelikan Werke Wagner Guenther Handschreibgeraet mit durch Querdruck auf einen querelastischen Teil des Schreibgeraeteschaftes laengsbeweglich gefuehrter Klemmzange
US3075496A (en) * 1959-04-10 1963-01-29 Sheaffer W A Pen Co Writing instrument construction
US3883253A (en) * 1972-03-03 1975-05-13 Pentel Kk Mechanical pencil
JPS5212489Y2 (ko) * 1973-03-13 1977-03-19
JPS5017033U (ko) 1973-06-07 1975-02-24
JPS5212489A (en) * 1975-07-17 1977-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nector
JPS5845913Y2 (ja) 1978-02-15 1983-10-19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
JPS5836559Y2 (ja) * 1979-05-26 1983-08-17 三菱鉛筆株式会社 ヘツド及びサイド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US4619539A (en) * 1984-02-13 1986-10-28 Kotobuki & Co, Ltd. Mechanical pencil equipped with lead-storing cartridge
DE3514012C1 (de) * 1985-04-18 1986-04-10 Elmar 6967 Buchen Gehrig Kugelschreiber
DE8612809U1 (de) * 1986-05-10 1986-07-03 Keil, Georg, 64401 Groß-Bieberau Schreibstift
JPH0634155Y2 (ja) 1988-12-12 1994-09-07 株式会社壽 軸体先端部の出没機構
JPH035020A (ja) 1989-06-01 1991-01-10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による鋼板のu曲げ方法
JP3139002B2 (ja) * 1990-03-15 2001-02-26 ぺんてる株式会社 押出し式筆記具
JPH04153099A (ja) * 1990-10-18 1992-05-26 Iwasaki Kinzoku Kogyo Kk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3501418B2 (ja) * 1994-07-22 2004-03-02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38B1 (ko) 2007-10-26 2010-12-1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샤프펜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3382D1 (de) 2004-10-21
EP0806305A1 (en) 1997-11-12
DE69633382T3 (de) 2010-08-26
EP0806305A4 (en) 2000-01-12
DE69633382T2 (de) 2005-09-22
US6065889A (en) 2000-05-23
KR19980701726A (ko) 1998-06-25
WO1996023666A1 (fr) 1996-08-08
EP0806305B2 (en) 2009-03-18
EP0806305B1 (en)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482B1 (ko) 측부노크식샤프펜슬
US5713680A (en) Combined writing tool
JPH11332643A (ja) 液体塗布具
JP2001232273A (ja) ノック式液体容器
US6224282B1 (en) Side knock-type ball point pen
EP1184201B1 (en) Mechanical pencil
US6857807B2 (en) Liquid applicator
US6893178B2 (en) Offset pen structure
JPH08267988A (ja) 多芯筆記具
JP3680433B2 (ja) 多芯筆記具
KR900005504B1 (ko) 샤아프 펜슬
JP7319167B2 (ja) 摩擦具
JP7352442B2 (ja) 摩擦具
JPH07285291A (ja) 芯体繰り出し具
JP7319168B2 (ja) 摩擦具
JP4454326B2 (ja) 吐出容器
JP2010082892A (ja) 筆記具
JP3870908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3158277B2 (ja) 棒状体繰出機構付筆記具
KR920004690Y1 (ko) 복합필기구의 지우개 송출장치
KR0119114Y1 (ko) 봉상물조출구
JP2005193431A (ja) グリップ付き軸筒
KR940005253Y1 (ko) 샤아프 펜슬의 필심 송출용 슬라이드
JP2549135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H10181281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