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323B1 -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323B1
KR100432323B1 KR10-2002-0000427A KR20020000427A KR100432323B1 KR 100432323 B1 KR100432323 B1 KR 100432323B1 KR 20020000427 A KR20020000427 A KR 20020000427A KR 100432323 B1 KR100432323 B1 KR 10043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en core
pen
outer cylinder
mechanical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584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오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2006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Abstract

필심의 잔존량이 극히 적어지도록 된 샤프펜슬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외통(10) 내의 필심송출기구(20) 보다 앞끝쪽에 필심이 관통하는 관통구멍(50a)을 가진 슬라이더(50)가 설치되고서, 이 슬라이더(50)의 선단부에 내경방향으로 돌출하여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날개부(50e)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50)의 후단부에는 내경방향으로 돌출해서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리브(50f)가 형성됨으로써, 소모되어 짧아진 필심(L1)은 날개(50e)에 보유지지되고, 다음의 필심(L2)은 리브(50f)에 보유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샤프펜슬 {Mechanical pencil}
본 발명은 샤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심을 유효하게 사용함으로써 잔량이 극히 적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된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샤프펜슬은 일반적으로, 외통과, 이 외통 내에 설치되어 필심을 조여필심을 송출하게 되는 필심송출기구, 이 필심송출기구 보다 앞끝쪽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필심지지구 및, 상기 필심송출기구가 필심송출동작을 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갖춰 구성되어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필심이 필심송출기구에 의해 조여져 이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다가, 필기를 하기 위해 필심을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키려면, 조작부를 조작해서 필심송출기구에 의해 송출되도록 한다. 이때, 필심이 필심지지구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송출기구에 의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질 때 소정량만큼 송출된 필심이 필심송출기구가 되돌려질 때 함께 후퇴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필심송출기구가 되돌려지면 다시 필심을 조이게 됨으로써,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한 필심이 필기압에 대해서도 후퇴하지 않아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샤프펜슬에서는, 필심이 소모되어 필심송출기구로부터 외통 앞끝까지의 거리 보다 짧아지면 필심송출기구의 조임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소모되어 짧아진 필심을 더 이상은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이와 같은 소모된 필심을 송출하게 되는 경우, 필심송출기구에 의해 다음의 필심이 송출되도록 하여 다음의 필심이 소모된 필심을 밀어내도록 할 수도 있으나, 다음의 필심이 필심지지구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심송출이 완전히 이루어지게 되지 않아, 소모된 필심을 확실하게 밀어내지 못하게 되는경우가 있게 된다. 특히, 샤프펜슬을 위를 향하도록 한 채로 필심을 송출하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사태가 일어나는 일이 많게 된다. 그 결과, 필심송출기구에서 외통 앞끝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게 된 필심은 충분히 사용될 수가 없게 되어, 잔여필심으로 되어 못쓰게 되고 만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잔여필심의 양이 극히 적어지게 할 수 있는 샤프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샤프펜슬의 요부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구와 슬라이더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 - - - 외통 20 - - - - 필심송출기구
50 - - - 슬라이더(필심지지구) 50e - - - - 날개부(필심지지부)
50f - - - 리브(필심지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통과, 이 외통 내에 설치되어 필심을 조이고 필심을 송출하는 필심송출기구 및, 이 필심송출기구가 필심송출동작을 행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녹크조작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필심송출기구와 상기 외통의 앞끝 사이에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필심지지부가 축방향으로 떨어져 적어도 2곳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필심이 소모되어 필심송출기구와 외통 앞끝의 길리보다 짧아지게 된 경우, 상기 적어도 2곳의 필심지지부 중, 축방향 앞쪽에 설치된 필심지지부에서 필심이 보유지지되고, 축방향 뒤쪽에 설치된 필심지지부에서 다음의 필심이 보유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필심송출기구로 다음의 필심을 송출하게 되면, 뒤쪽에 설치된 필심지지부에 의해 다음의 필심이 확실하게 송출되어져, 이렇게 확실하게 송출된 다음의 필심이 소모된 필심을 밀어내게 됨으로써, 소모된 필심이 확실하게 송출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소모된 필심을 충분히 사용할수가 있게 되어, 적어도 앞쪽에 설치된 필심지지부가 소모된 필심을 보유지지할 수 있는 한 사용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잔여필심의 양을 극히 적어지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외통 내의 필심송출기구 보다 앞끝쪽에 필심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진 필심지지구가 설치되어, 이 필심지지구에 상기 필심지지부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심지지구에 필심지지부가 설치됨으로써,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필심지지구에 축방향으로 떨어져 적어도 2개의 필심지지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필심지지구의 축방향 길이가 길어져, 관통하는 필심이 필심지지구에 의해 포위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필심이 마음대로 편심(偏心)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 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은 주로, 외통(10)과, 이 외통(10) 내에 설치되어 필심을 조이고서 필심을 송출하는 필심송출기구(20), 이 필심송출기구(20) 보다 앞끝쪽에 위치하여 그 내부를 관통하는 필심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필심보유지지구인 슬라이더(50) 및, 상기 필심송출기구(20)로 하여금 필심을 송출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외통(10)은 앞쪽외통(12)과 이 앞쪽외통(12)에 나사결합된 선구(先具) 및 뒤쪽외통(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고서, 상기 앞쪽외통(12)의 외주면에는 탄성재료로 된 그립(18)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앞쪽외통(12)과 선구(14) 및 뒤쪽외통은, 일체로 된 부품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본 실시예 보다 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구(14)의 앞끝에 형성된 구멍(14a)이 외통(10)의 앞끝구멍으로 되어 필심이 출입하는 구멍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필심송출기구(20)는 임의의 구성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필심을 수용하는 필심수납통(22)과, 이 필심수납통(22)의 앞끝에 고정되어 필심을 조여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척(24), 이 척(24)의 외주쪽에 설치되어 척(24)을 조여주는 척링(26), 이 척링(26)이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슬리이브(28) 및, 이 슬리이브(28)와 상기 필심수납통(22) 사이에 설치되어 필심수납통(22)과 척(24)을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척스프링(30)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심수납통(22)의 뒤끝에는 조작부인 녹크부재가 착탈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어서, 이 녹크부재를 녹크하면 필심송출기구(20)의 필심수납통(22)과 척(24) 및 척링(26)이 전진하여 필심을 소정량만큼씩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단, 상기 조작부는 후단부에서 녹크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외통(10)의 측면부에 설치한 측방녹크부재로 녹크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선구(14) 내에는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필심지지구인 슬라이드(50)와 팁(tip; 52)이 수납되게 되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팁(52) 및 슬라이드(50)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이들 팁(52) 및 슬라이드(50)가 필심과 함께 선구(14) 앞끝의 구멍(14a)에서 돌출하거나 또는 구멍(14a) 속으로 퇴몰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 팁(52) 및 슬라이드(50)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을 필요는 없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지 않는 형식의 샤프펜슬이더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확대해서 도시한 것과 같이, 이 슬라이드(50)에는 필심이 관통하는 관통구멍(50a)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을 한 본체(50b)와, 이 본체(50b)의 후단부에 이 본체(50b)의 바깥쪽에 동심적(同心的)으로 설치된 외통부(50c) 및, 상기 본체(50b)와 외통부(50c)를 축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50d)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50b)의 선단부에는 내경방향으로 돌출한 날개부(50e)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50b)의 후단부에는 상기 관통구멍(50a)의 내주면에 내경방향으로 돌출한 리브(50f)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50)의 리브(50f)가 형성된 본체(50b) 후단부의 리브(50f)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슬릿(50h)이 형성되어, 이 슬릿(50h)에 의해 리브(50f)가 직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變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통부(50c)의 외주면에도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리브(50g)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외통부(50c)의 리브(50g)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슬릿(50i)이 형성됨으로써, 이 슬릿(50i)에 의해 리브(50g)가 직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날개부(50e)와 리브(50f)는 관통구멍(50a)을 관통하는 필심에접촉해서 적당한 정도의 지지력으로 필심을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50) 외통부(50c)의 리브(50g)는 선구(14)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적당한 정도의 지지력으로 선구(14)와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릿(50h, 50i)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슬릿(50h. 50i)을 형성시켜놓으면 보다 안정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샤프펜슬에서, 필심이 소모되지 않은 경우에는, 필심이 필심송출기구(20)의 척(24)에 의해 조여지게 된 부분 보다 앞끝쪽 부분에서, 슬라이드(50)의 날개부(50f)와 리브(50f)에 의해 보유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기타의 구성과 작용은 종래의 샤프펜슬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필심이 소모되어 도시된 것과 같이 그 길이가 필심송출기구(20)의 척(24)과 선구(14)의 구멍(14a) 사이의 길이보다 짧아지면, 소모된 필심(L1)이 슬라이드(50)의 날개부(50e)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다음의 필심(L2)은 슬라이드(50)의 리브(50f)에 의해 보유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소모된 필심(L1)이 날개부(50e)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를 조작해서 필심송출기구(20)에 의해 다음의 필심(L2)이 송출되도록 하면, 이 다음의 필심(L2)이 슬라이드(50)의 리브(50f)에 의해 보유지지되기 때문에, 척(24)이 되돌려질 때 이 척(24)과 함께 되돌려지지 않고 확실하게 소정량만큼의 송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송출된 량만큼 소모된 필심(L1)이 밀려나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모된 필심(L1)을 확실하게 송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샤프펜슬을 위로 향하게 해서 송출동작이 이루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확실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소모된 필심(L1)을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잔존량을 될 수 있는 한 적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날개부(50e)와 리브(50f)의 축방향 길이가 충분히 길어지도록 할 수 있게 하면, 소모된 필심(L1)과 다음의 필심(L2)을 보유지지하기가 좋게 되고, 그 결과 슬라이더(50)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필심이 소모되지 않은 경우에도 슬라이더(50)에 의해 필심이 보호되어져, 의도하지 않은 편심이 일어나지 않아 필심이 부러지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단,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인 날개부(50e)와 리브(50f)를 1개의 부품에다 설치하는 대신, 각각 독립된 별개의 부품에다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심이 소모되어 짧아진 경우에, 축방향으로 떨어져 적어도 2곳 이상에 설치된 필심지지부 중, 앞쪽의 필심지지부가 소모되어 짧아진 필심을 보유지지하고, 뒤쪽의 필심지지부로 송출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필심이 확실하게 필심송출기구에 의해 송출될 수가 있어서, 소모되어 짧아진 필심이 밀어내어져 송출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소모되어 짧아진 필심을 거의 끝까지 사용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잔존량을 극소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외통과(10), 이 외통(10) 내에 설치되어 필심을 조여 필심을 송출하게 되는 필심송출기구(20) 및, 이 필심송출기구(20)가 필심송출동작을 행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녹크조작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필심송출기구(20)와 상기 외통(10)의 앞끝 사이에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필심지지부(50e, 50f)가 축방향으로 떨어져 적어도 2곳 이상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 내의 필심송출기구(20) 보다 앞끝쪽에 필심이 관통하는 관통구멍(50a)을 가진 슬라이더(50)가 설치되고서, 이 슬라이더(50)에 상기 필심지지부(50e, 5of)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KR10-2002-0000427A 2001-01-10 2002-01-04 샤프펜슬 KR100432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3113 2001-01-10
JP2001003113A JP4676067B2 (ja) 2001-01-10 2001-01-10 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584A KR20020060584A (ko) 2002-07-18
KR100432323B1 true KR100432323B1 (ko) 2004-05-22

Family

ID=1887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427A KR100432323B1 (ko) 2001-01-10 2002-01-04 샤프펜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08246B2 (ko)
EP (1) EP1223050B1 (ko)
JP (1) JP4676067B2 (ko)
KR (1) KR100432323B1 (ko)
CN (1) CN1196605C (ko)
DE (1) DE60223732T2 (ko)
TW (1) TW56198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9684B4 (de) * 2006-10-31 2008-08-21 Faber-Castell Ag Mechanischer Bleistift
JP5146863B1 (ja) * 2012-09-27 2013-02-20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
CN108528095A (zh) * 2018-05-16 2018-09-14 张济人 一种无笔帽的泛用型圆珠笔壳
EP3988322A4 (en) * 2019-06-20 2023-07-26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PENCIL PENCI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6889Y1 (ko) * 1966-03-28 1970-07-13
JPS50112237U (ko) * 1974-02-22 1975-09-12
WO1986004300A1 (en) * 1985-01-26 1986-07-31 Kabushikikaisha Kotobuki Eversharp pencil
US5462376A (en) * 1994-02-16 1995-10-31 Kotobuki & Co., Ltd. Mechanical pencil with improved slider mechanism
JP3466739B2 (ja) * 1994-10-28 2003-11-17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JP3388432B2 (ja) * 1999-08-04 2003-03-24 ミクロ株式会社 シャ−プペンシ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3050B1 (en) 2007-11-28
TW561986U (en) 2003-11-11
CN1196605C (zh) 2005-04-13
CN1364699A (zh) 2002-08-21
US20020090248A1 (en) 2002-07-11
EP1223050A1 (en) 2002-07-17
JP2002205488A (ja) 2002-07-23
JP4676067B2 (ja) 2011-04-27
DE60223732T2 (de) 2008-11-20
KR20020060584A (ko) 2002-07-18
DE60223732D1 (de) 2008-01-10
US6908246B2 (en)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323B1 (ko) 샤프펜슬
US7284927B2 (en) Writing instrument including stick-shaped material propelling mechanism
JPH1199795A (ja) シャ−プペンシル
EP1391323B1 (en) Stick-like object receiving member and barrel provided with stick-like object receiving member
US7080949B1 (en) Composite writing utensil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US20020110404A1 (en) Cap positioning construction
KR20030051204A (ko) 이중척식 샤프펜슬
KR200198145Y1 (ko) 2중척식샤프펜슬
JPH0235506Y2 (ko)
JPH1148680A (ja) シャ−プペンシル
JP2017080956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WO2018110682A1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3783513B2 (ja) 繰出鉛筆
US20020031393A1 (en) Cap fixing construction
JP2000094883A (ja) 筆記具
JP2012106452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5420322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23163731A (ja) 筆記具
KR840002385Y1 (ko) 샤프 펜슬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JP2005053038A (ja) 回転繰出式筆記具
JP2000343889A (ja) 筆記具
KR830000485Y1 (ko) 샤프펜슬
JPH0638714Y2 (ja) シヤ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