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342B1 -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342B1
KR100431342B1 KR10-2001-0015720A KR20010015720A KR100431342B1 KR 100431342 B1 KR100431342 B1 KR 100431342B1 KR 20010015720 A KR20010015720 A KR 20010015720A KR 100431342 B1 KR100431342 B1 KR 10043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storage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kimchi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616A (ko
Inventor
조성호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342B1/ko
Priority to JP2001270958A priority patent/JP2002303484A/ja
Priority to US09/947,752 priority patent/US6755243B2/en
Priority to CNB011236965A priority patent/CN1170104C/zh
Priority to EP01308408A priority patent/EP1245918A3/en
Publication of KR2002007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616A/ko
Priority to US10/726,552 priority patent/US71213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1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one sp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8Refrigerat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김치냉장고는, 상호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온도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범위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저장실 내부의 실제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저장실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가 동작불량이 발생하면 동작 불량된 온도센서를 교체 또는 수리하거나 나머지 하나의 온도센서로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Kimchi-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의 센싱 구조 및 온도제어방법이 개선된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라고 하는 것은, 저장실의 온도를 소정의 냉각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를 칭하지만, 최근에는 숙성 및 냉각이 필요한 김치 등의 음식물을 전용으로 보관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 역시 냉장고의 한 종류로 인식되어 있다.이러한 냉장고는 그 종류가 다양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저장실 내의 온도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기기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냉각기능과 함께 숙성기능을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종래 김치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110)과, 외부케이싱(110)내에 격리 수용되고 외부케이싱(110)과의 사이에 발포제충전공간을 형성하며 저장실(111)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120)을 가지고 있다. 저장실(111)의 하부에는 기계실(113)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케이싱(110)과 내부케이싱(120) 사이의 발포제충전공간에는 내부케이싱(1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증발기파이프(115) 및 히터(117)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계실(113) 내부에는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114) 등의 기기들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외부케이싱(110)과 내부케이싱(120) 사이의 발포제충전공간에는 저장실(1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도시않은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센서(1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온도센서(119)는 내부케이싱(120)의 외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저장실(111)의 내부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센서(119)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게 되는데, 온도센서(119)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208366 및 특0123432에 개시된 바와같이 온도센서(119)로부터의 검출온도가 정해진 측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이거나 온도센서(119)가 완전단선되어 온도검출이 불가능한 때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있어서는, 온도센서가 외부케이싱과 내부케이싱 사이의 발포제충전공간에서 내부케이싱의 외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저장실 내부의 실제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며, 저장실 내부의 온도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온도센서가 증발기파이프 및 히터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내부케이싱의 외표면을 감지하기 때문에, 저장실 내부영역의 실제온도와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내부케이싱 표면온도 간에 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실내부에 추가적으로 저장물이 투입되어 온도변화가 발생하면, 변화된 온도가 내부케이싱 표면을 통해 온도센서에 감지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야 하므로 제어부에 의한 저장실 내부의 신속한 온도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단일의 온도센서가 외부케이싱과 내부케이싱 사이의 발포재충전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온도센서의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 및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 내부의 실제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저장실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의 동작 불량시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거나 대체 동작 가능한 다른 온도센서를 마련하여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김치냉장고 측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김치냉장고 조작패널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냉각모드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숙성모드 제어흐름도,
도 7은 종래 김치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3 : 내부케이싱
15 : 톱커버 17 : 기계실
19 : 조작패널부 20 : 저장실
21 : 센서수용부 23 : 센서커버
35 :제1센서동작표시부 37 : 제2센서동작표시부
40 : 냉각시스템 50 : 히터
61 : 제1온도센서 63 : 제2온도센서
70 : 제어부 80 : 전원공급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호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온도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범위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는 상기 저장실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2설정온도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제1온도센서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 일영역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2온도센서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2온도센서를 수용하는 센서수용부와, 상기 센서수용부를 개폐하는 센서커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여기서,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설정온도 범위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작은 온도범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내에 속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게 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을 감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 중 해당하는 센서동작표시부에 동작불량을 표시하고, 정상 동작되는 다른 하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동작중인 온도센서의 온도설정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가 모두 동작불량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에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불량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 냉매밸브를 가지고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고온으로 유지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온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는 상기 저장실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설정온도범위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2설정온도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작은 온도범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할 때 까지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 중 해당하는 센서동작표시부에 동작불량을 표시하고, 정상 동작되는 다른 하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동작중인 온도센서의 온도설정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가 모두 동작불량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불량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 냉매밸브를 가지고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김치냉장고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1)는, 한 쌍의 저장실(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저장실(20)의 도어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9)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11)과, 외부케이싱(11)내에 수용되고 외부케이싱(11)과의 사이에 발포제충전간격을 형성하며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13)과, 본체(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각 저장실(20)의 상향 개구를 형성하는 톱커버(15)를 갖는다. 저장실(20)의 하부에는 기계실(17)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10) 내에는 저장실(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도 4의 5)와,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0)와, 선택된 운전모드 및 온도센서(60)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장치(5)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도4의 70)와, 각 기기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4의 8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톱커버(15) 전방에는 사용자가 김치냉장고(1)의 운전모드를 선택하거나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조작패널부(19)가 마련되어 있다.온도조절장치(5)는 김치냉장고(1)의 운전모드가 냉각모드일 때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소정의 냉각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시스템(도 4의 40)과, 김치냉장고(1)의 운전모드가 숙성모드일 때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소정의 숙성온도로 상승시키는 히터(50)를 갖는다.
냉각시스템(40)은 기기실(17)내에 설치되는 압축기(41)와, 압축기(41)로부터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로부터의 냉매를 증발시켜 저장실(20)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기(43)와, 압축기(41)로부터의 냉매가 증발기(43)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 및 차단하는 밸브(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증발기(43)는 관상체로 제작되며 발포재충전공간에서 각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13)의 외표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히터(50)는 증발기(43)와 마찬가지로 발포재충전공간에서 각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13)의 외표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온도센서(60)는 저장실(20)의 하부영역을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61)와, 저장실(20)의 상부영역을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63)를 갖는다.제1온도센서(61)는 내부케이싱(13)과 외부케이싱(11) 사이의 발포제충전공간에서 내부케이싱(13)의 외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온도센서(63)는 톱커버(15)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수용부(21)에 수용되어 저장실(20)의 내측 중앙영역의 실제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센서수용부(21)는 센서커버(23)에 의해 개방 및 차단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2온도센서(63)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김치냉장고 조작패널부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패널부(19)에는 저장실(20)의 운전모드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선택버튼(31)과, 저장실(2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운전표시부(33)와,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의 정상동작 및 동작불량을 표시하는 제1센서동작표시부(35)와 제2센서동작표시부(37)가 마련되어 있다.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35,37)는 도 3과 같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각 온도센서(61,63)의 동작 및 불량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청각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 내부의 온도와, 미리 설정되어 냉각모드 또는 숙성모드의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온도범위를 비교한 다음, 저장실(20) 내부의 온도가 정확하고 빠르게 해당 운전모드의 온도범위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냉각시스템(40) 또는 히터(50)의 운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모드에 따른 설정온도범위는, 저장실(20) 내부의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되는데, 이때, 제1온도센서(61)와 제2온도센서(63)는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각각 같거나 다른 설정온도범위를 감지하도록 미리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저장실(20) 내부의 실질적인 온도변화를 비교적 빠르게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63)의 설정온도범위에 비해 제1온도센서(61)의 설정온도범위를 작게 설정한다. 그리고, 제2온도센서(63)에서 실질적으로 감지되는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가지고 우선적으로 온도조절장치(5)의 운전을 제어하다가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온도센서(63)가 감지하는 설정온도범위 내에 들면,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하는 설정온도범위를 가지고 온도조절장치(5)의 운전을 제어하여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것이다. 이에 의해,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변화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김치냉장고(1)의 운전시 제1 또는 제2온도센서(61,63) 중 어느 하나의 동작불량이 발생하면 제1 또는 제2센서동작표시부(35,37)에 해당 온도센서(61 또는 63)의 동작불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나머지 하나의 온도센서(63 또는 61)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값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장치(5)의 운전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70)는 김치냉장고(1)의 운전시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가 모두 동작불량이면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35,37)를 통해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의 동작불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온도조절장치(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예컨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의 고장유무 즉, 동작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각 온도센서(61,63)가 동작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각 온도센서(61,63)로부터의 검출온도가 정해진 측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이거나 각 온도센서(61,63)가 완전단선되어 온도검출이 불가능한 때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냉각모드 제어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1)의 운전이 진행되면, 제어부(70)는 먼저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를 동작시켜서(S01), 제1온도센서(61)만 불량인지(S02), 또는 제2온도센서(63)만 동작불량인지(S03), 혹은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가 모두 불량인지(S04)를 차례로 확인한다.
이때, S02 단계에서 제1온도센서(61)만 동작불량임이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제1온도센서(61)의 불량을 표시하는 한편, 제2온도센서(63)만을 가지고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70)는 제1센서동작표시부(35)에 제1온도센서(61)의 불량을 표시하고(S101), 제2온도센서(63)가 저장실(20) 내부온도를 감지하도록 한다(S102). 그런 다음,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2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S103),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소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오프(OFF)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범위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104). 그리고,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2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S103),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소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70)는 다시,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대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비교한다(S105). 비교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대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온(ON)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106). 그런 다음, 제어부(70)는 온도제어흐름을 S01 단계로 리턴시킨다. 이에 의해, 제1온도센서(61)가 동작불량이 발생하여도 제2온도센서(63)를 가지고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S02 단계에서 제1온도센서(61)의 정상동작이 확인되고 S03 단계에서 제2온도센서(63)만 동작불량임이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제2온도센서(63)의 불량을 표시하는 한편, 제1온도센서(61)만을 가지고 저장실(20)의 내부온도를 제어하게 된다.즉, 제어부(70)는 제2센서동작표시부(37)에 제2온도센서(63)의 불량을 표시하고(S201), 제1온도센서(61)가 저장실(20) 내부온도를 감지하도록 한다(S202). 그런 다음,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1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S203),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소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오프(OFF)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204). 그리고,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1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S203),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소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70)는 다시,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대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비교하여(S205).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대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온(ON)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범위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206). 그런 다음, 제어부(70)는 온도제어흐름을 S01 단계로 리턴시킨다. 이에 의해, 제2온도센서(63)가 동작불량이 발생하여도 제1온도센서(61)를 가지고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S03단계에서 제2온도센서(63)의 동작불량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A/S를 통해 제2온도센서(63)를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다. 즉, A/S를 행하는 작업자는 제2온도센서(63)가 수용되어 있는 센서수용부(21)의 센서커버(23)를 개방하여 제2온도센서(63)를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S02, S03 단계를 지나 S04 단계에서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가 모두 불량임이 확인되면, 제어부(70)는 먼저 전원공급부(80)로부터 김치냉장고(1) 본체(10)내에 설치된 온도조절장치(5)들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온도조절장치(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S 301). 그런 다음,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35,37)에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의 동작불량을 표시하여(S 302) 김치냉장고(1)의 사용불가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의 동작불량시 김치냉장고(1)가 임의로 운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온도조절장치(5)의 기기들이 임의운전에 따른 과부하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S02, S03 단계를 지나 S04 단계에서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가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가 저장실(20) 내부온도를 감지하도록 한다(S05). 그런 다음, 제어부(70)는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대설정온도와 제2최소설정온도의 사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06). 즉,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값을 제2설정온도범위의 최소값 및 최대값과 비교한다.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값이 제2설정온도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어부(70)는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2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S07),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소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오프(OFF)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범위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08). 그리고,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2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S07),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소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70)는 다시,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대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비교한다(S09). 비교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2최대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온(ON)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10).이와 같이, 제어부(70)는 제2온도센서(63)를 이용하여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다가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설정온도범위, 즉, 제1최소설정온도와 제1최대설정온도의 사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11).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설정온도범위를 벗어나면, 다시 S07 단계로 돌아가서 S11단계 까지의 온도제어흐름을 반복한다.
그런 다음, S11단계에서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설정온도범위내에 들면 제어부(70)는 온도제어흐름을 S203 단계로 이동시켜서 제1온도센서(61)를 가지고 저장실(20) 내부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70)는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 내부의 실질적인 온도값에 기초하여 냉각시스템(4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냉각모드에 해당하는 온도로 안정을 시키는 것이다.
한편, S06 단계에서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 내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범위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과 같으면, 제어부(70)는 저장실(20) 내부의 온도가 안정되었다고 판단하여 온도제어흐름을 S203 단계로 이동시켜서 제1온도센서(61)를 가지고 저장실(20) 내부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S06단계에서 제2온도센서(63)에서 감지되는 저장실(20) 내부의 온도가 제2최소 또는 최대설정온도와 같으면, 제어부(70)는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1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고, 비교된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소설정온도보다 낮으면(S203),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오프(OFF)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204).
그리고, S203단계에서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와 제1최소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소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70)는 다시, 제1온도센서(61)에서 감지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대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비교하여(S205). 비교된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제1최대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41) 및/또는 밸브(미도시) 등의 냉각시스템(40)을 온(ON)시켜서 저장실(20)내부의 온도가 제1최대설정온도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S206). 그런 다음, 제어부(70)는 온도제어흐름을 S01 단계로 리턴시킨다. 이에 의해,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냉각모드에 해당하는 적정온도로 빠르고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모드가 숙성모드일 때도, 제1 및 제2온도센서(61,63)를 이용하여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숙성모드의 온도제어흐름은 P08, P103, P203 단계에서 히터(50)가 ON되는 것과, P10, P106, P206 단계에서 히터(50)가 OFF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흐름이 도 5의 냉각모드 제어흐름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온도설정범위는 당연히 미리설정된 숙성모드에 대응하는 온도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운전모드가 숙성모드와 냉각모드를 교호적으로 반복할 때도 전술한 도 5 및 도 6의 제어흐름에 따라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저장실의 설정온도범위의 최소값 및/또는 최대값을 비교하여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저장실 내부의 실제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저장실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가 동작불량이 발생하면 나머지 하나의 온도센서로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온도센서의 동작불량의 경우에는 제2온도센서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김치냉장고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의 냉장고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실 내부의 실제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저장실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가 동작불량이 발생하면 동작 불량된 온도센서를 교체 또는 수리하거나 나머지 하나의 온도센서로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호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 및 제2온도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범위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 일영역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표면온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2설정온도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2온도센서를 수용하는 센서수용부와, 상기 센서수용부를 개폐하는 센서커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작은 온도범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게 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할 때 까지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 중 해당하는 센서동작표시부에 동작불량을 표시하고, 정상 동작되는 다른 하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동작중인 온도센서의 온도설정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가 모두 동작불량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에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불량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 냉매밸브를 가지고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14.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온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 일영역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표면온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온도범위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상기 저장실의 제2설정온도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와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작은 온도범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내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2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할 때 까지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센서동작표시부 중 해당하는 센서동작표시부에 동작불량을 표시하고, 정상 동작되는 다른 하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동작중인 온도센서의 온도설정범위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가 모두 동작불량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의 동작불량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 냉매밸브를 가지고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저장실을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10-2001-0015720A 2001-03-26 2001-03-26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43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720A KR100431342B1 (ko) 2001-03-26 2001-03-26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1270958A JP2002303484A (ja) 2001-03-26 2001-09-06 冷蔵庫及びその制御方法
US09/947,752 US6755243B2 (en) 2001-03-26 2001-09-07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B011236965A CN1170104C (zh) 2001-03-26 2001-09-17 冰箱和它的控制方法
EP01308408A EP1245918A3 (en) 2001-03-26 2001-10-02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oodstuffs
US10/726,552 US7121334B2 (en) 2001-03-26 2003-12-04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720A KR100431342B1 (ko) 2001-03-26 2001-03-26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616A KR20020075616A (ko) 2002-10-05
KR100431342B1 true KR100431342B1 (ko) 2004-05-12

Family

ID=1970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720A KR100431342B1 (ko) 2001-03-26 2001-03-26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55243B2 (ko)
EP (1) EP1245918A3 (ko)
JP (1) JP2002303484A (ko)
KR (1) KR100431342B1 (ko)
CN (1) CN11701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788A (ko) * 2001-12-29 2003-07-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온도유지용 부재의 결합구조
CA2501407A1 (en) * 2002-10-17 2004-04-29 Unilever Plc Refrigeration apparatus
DE20301800U1 (de) * 2003-02-05 2003-04-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KR100529892B1 (ko) * 2003-03-1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7028885B2 (en) * 2003-03-28 2006-04-18 Auction Management Solutions, Inc Automated condition evaluator
KR100573770B1 (ko) * 2004-04-24 200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96215A1 (en) * 2004-12-08 2006-09-07 Crumlin Ethan J Environmentally adaptable transport device
KR100707358B1 (ko) * 2004-12-09 2007-04-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2개의 온도센서를 갖는 김치저장고 및 이러한 김치저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US20070180839A1 (en) * 2006-02-09 2007-08-09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ling apparatus of kimchi refrigerator and method therefor
KR20080086279A (ko) * 2007-03-22 2008-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90314484A1 (en) * 2008-06-18 2009-12-24 Akz Technologies Llc Standalone flow ra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flow rate of cooling or heating fluid through a heat exchanger
US8167120B2 (en) * 2008-09-22 2012-05-01 Systec Corporation Lateral load building conveyor apparatus
DE102013211103A1 (de) * 2013-06-14 2014-12-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CN103727736B (zh) * 2013-12-25 2016-03-09 杭州华日家电有限公司 一种冰箱探头失效的处理方法及装置
USD793457S1 (en) * 2015-07-24 2017-08-01 Nuc Electronics Co., Ltd. Electric appliance for food fermentation
WO2017066435A1 (en) * 2015-10-16 2017-04-20 Wal-Mart Stores, Inc. Sensor data analytics and alarm management
US10278895B2 (en) * 2016-04-11 2019-05-07 Tokitae Llc Portable device for cold chain storage
CN105783411B (zh) * 2016-04-20 2018-02-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分时控制方法和装置
CN106175410B (zh) * 2016-08-02 2018-12-25 杭州九阳欧南多小家电有限公司 一种电饭煲的烹饪控制方法
CN106288636A (zh) * 2016-08-15 2017-01-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的控温方法、控温装置和冰箱
CN106642883B (zh) * 2016-11-23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制冷方法
CN106766650B (zh) * 2016-11-23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冰箱内是否放入温度异常物品的方法
US20180228281A1 (en) * 2017-02-13 2018-08-16 Wal-Mart Stores, Inc. Temperature Controlled-Shopping Cart System
US10429863B2 (en) * 2017-05-15 2019-10-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tor control
CN108013734A (zh) * 2017-09-28 2018-05-11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应急烹饪方法和烹饪器具
CN112040822A (zh) * 2018-04-19 2020-12-04 狮子辉政 爆米花制造装置
ES2882627T3 (es) * 2018-08-31 2021-12-02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que tiene un compartimento de fermentación y su método de operación
CN110617671B (zh) * 2019-09-23 2021-09-1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制冷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制冷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1466922B2 (en) 2020-01-31 2022-10-11 Perlic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frigeration device having a lid assembly
US20220099363A1 (en) * 2020-09-25 2022-03-31 Duke Manufacturing Co. Food holding apparatus
US11912465B2 (en) 2021-01-27 2024-02-27 Duke Manufacturing Co. Liner for food receiver of food holding apparatus
USD1005781S1 (en) 2021-01-29 2023-11-28 Duke Manufacturing Co. Liner for a food holding well
CN114279161B (zh) * 2021-12-22 2022-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温度控制方法、装置及冰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05A (ko) * 1998-02-28 1999-09-27 배길성 김치저장고의 온도센서 설치구조
KR19990075786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김치저장고의 온도센서 설치구조
KR200198165Y1 (ko) * 1998-06-20 2000-10-02 윤종용 김치저장고용 증발기 온도센서의 설치구조
KR20010001495A (ko) * 1999-06-04 2001-01-05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온도 표시용 감지센서
KR100294599B1 (ko) * 1999-04-02 2001-07-04 윤종용 김치저장고용 온도센서의 설치구조
KR20020022826A (ko) * 2000-09-21 2002-03-28 황한규 김치저장고용 온도센서 장착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576A (ja) * 1983-07-25 1985-02-1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H01285767A (ja) * 1988-05-11 1989-11-16 Nippon Kentetsu Co Ltd 冷蔵貯蔵庫の温度調節方法
JPH07122542B2 (ja) 1991-02-21 1995-12-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の温度制御装置
US5458186A (en) 1992-08-17 1995-10-17 Goldstar Co., Ltd. Refrigerator with kimchi seasoning and storing chamber
US5398599A (en) 1992-08-19 1995-03-21 Goldstar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asoning of kimchi in refrigerator
DE4404574A1 (de) * 1993-06-09 1994-12-15 Hans Heeri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Wärmebehandlung von Nahrungsmitteln
KR960016436B1 (ko) 1993-09-27 1996-12-11 대우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 수상기의 캡션신호 자동 조절장치
JPH07110183A (ja) 1993-10-15 1995-04-2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制御装置
JPH07180951A (ja) 1993-12-24 1995-07-18 Toshiba Corp 乾燥機能付き冷蔵庫
JPH07246022A (ja) 1994-03-08 1995-09-26 Satake Eng Co Ltd 穀物保冷庫
US5947197A (en) * 1994-12-20 1999-09-07 Mando Machinery Corporation Kimchi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turing and preserving kimchi therein
KR960038331A (ko) 1995-04-08 1996-11-21 구자홍 냉장고의 균일냉각 제어장치
JP3530299B2 (ja) * 1996-01-23 2004-05-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における温度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KR0169616B1 (ko) 1996-04-25 1999-01-15 구자홍 냉장고의 온도조절 방법 및 장치
KR100187198B1 (ko) * 1996-08-23 1999-05-01 김광호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JPH10300319A (ja) 1997-04-23 1998-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9990032147A (ko) 1997-10-16 1999-05-06 전주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100301466B1 (ko) 1998-01-08 2001-09-22 구자홍 냉장고의냉장실구조및온도제어방법
TW446106U (en) * 1998-02-20 2001-07-11 Matsushita Refrigeration Co Lt Refrigerator having a cooler mounted in each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KR100268502B1 (ko) * 1998-07-30 2000-10-16 윤종용 냉장고의 균일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7134B1 (ko) 1998-12-17 2001-10-26 황한규 김치냉장고의내장형온도센서장착구조
JP2000286033A (ja) * 1999-03-31 2000-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ーター制御装置
KR20010077175A (ko) 2000-02-01 2001-08-17 남기식 개별온도제어기능을 갖는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05A (ko) * 1998-02-28 1999-09-27 배길성 김치저장고의 온도센서 설치구조
KR19990075786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김치저장고의 온도센서 설치구조
KR200198165Y1 (ko) * 1998-06-20 2000-10-02 윤종용 김치저장고용 증발기 온도센서의 설치구조
KR100294599B1 (ko) * 1999-04-02 2001-07-04 윤종용 김치저장고용 온도센서의 설치구조
KR20010001495A (ko) * 1999-06-04 2001-01-05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온도 표시용 감지센서
KR20020022826A (ko) * 2000-09-21 2002-03-28 황한규 김치저장고용 온도센서 장착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616A (ko) 2002-10-05
US6755243B2 (en) 2004-06-29
US20040107714A1 (en) 2004-06-10
US20020134545A1 (en) 2002-09-26
EP1245918A2 (en) 2002-10-02
US7121334B2 (en) 2006-10-17
CN1170104C (zh) 2004-10-06
EP1245918A3 (en) 2003-05-07
JP2002303484A (ja) 2002-10-18
CN1376889A (zh)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342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7975497B2 (en) Refrigeration unit having variable performance compressor operated based on high-pressure side pressure
KR2019011248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2678A (ko) 냉장고
EP2618079B1 (en) Method for operating ice-making machine
KR1005574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20040025420A (ko) 냉장고의 자가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19791A (ko) 냉장고 제어방법
KR2005009633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443988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3090654A (ja) 冷蔵庫
GB2362703A (en) Refrigeration control system
KR10059543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3207259A (ja) 冷蔵庫
KR20070061946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343679B1 (ko) 냉기조절장치의결빙방지방법
KR100333320B1 (ko) 김치저장고의 솔레노이드밸드 작동 감지방법
KR100342258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13625B1 (ko) 냉장고 및 그 온도표시제어방법
KR101197147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온도이상 제어방법
KR100647876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김치냉장고의 오동작 제어 방법
KR100451575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KR2001001104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15062B1 (ko) 냉장고의 응급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JPH0791792A (ja) 冷凍ストッ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